맨위로가기

통계적 유의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계적 유의성은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관찰된 결과가 우연에 의한 것이 아닌, 실제 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존 아버스넛과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은 신생아 성비 연구에서 유의 확률 개념을 처음 도입했으며, 로널드 피셔는 유의성 검정 개념을 정립하고 유의 수준 0.05를 제시했다. 유의 수준 α는 귀무 가설을 기각할 확률의 상한으로, p-값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통계적 유의성은 귀무 가설 기각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지만, 실질적인 유의미성을 나타내는 효과 크기와는 구분되어야 하며, 연구 결과의 재현성 문제와 더불어 통계적 유의성 개념 자체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의 재정의와 함께, 다중 비교, 신뢰 구간 등 관련 개념들이 함께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 검정 - 귀무 가설
    귀무 가설은 통계적 유의성 검정에서 검정되는 '영향 없음' 또는 '차이 없음'에 대한 명제로, 대립 가설과 반대되며, 증거를 통해 기각 여부를 판단하고 과학적 주장을 통계적 잡음과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 가설 검정 - 유의 확률
    유의 확률은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귀무 가설이 참일 때 관측된 결과의 극단성을 나타내는 확률값으로, 귀무 가설 기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지만 오용될 수 있어 다른 통계적 추론 방법이 대안으로 제시된다.
  • 통계학 - 확률
    확률은 사건의 가능성을 수치화한 개념으로, 도박에서 시작되어 수학적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해석과 요소, 응용 분야를 가지며 양자역학, 사회 현상 등에도 적용된다.
  • 통계학 - 사분위수
    사분위수는 정렬된 데이터를 4등분하는 세 개의 값으로 데이터 분포 요약 및 이상치 탐지에 활용되며, 제1사분위수(Q₁)는 하위 25%, 제2사분위수(Q₂ 또는 중앙값)는 하위 50%, 제3사분위수(Q₃)는 하위 75%를 나타낸다.
통계적 유의성
개요
정의통계적 유의성이란 연구 결과가 우연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통계적 유의성은 가설 검정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연구 결과가 모집단 전체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임계값일반적으로 p-value가 0.05 (5%)보다 작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한다.
통계적 유의성의 원리
가설 설정연구 질문에 대한 귀무 가설대립 가설을 설정한다.
검정 통계량 계산수집된 데이터로부터 검정 통계량을 계산한다.
p-value 계산검정 통계량과 유의 수준을 이용하여 p-value를 계산한다.
의사 결정p-value가 유의 수준보다 작으면 귀무 가설을 기각하고, 대립 가설을 채택한다.
통계적 유의성의 해석
유의 수준의 의미유의 수준은 귀무 가설이 참인데 기각하는 오류 (제1종 오류)를 범할 확률의 최대 허용치이다.
p-value의 의미p-value는 귀무 가설이 참이라고 가정했을 때, 관측된 결과보다 더 극단적인 결과가 나올 확률이다.
주의 사항통계적 유의성은 결과의 실질적인 중요성을 의미하지 않는다. 표본 크기가 클 경우, 작은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날 수 있다.
통계적 검정
t-검정두 그룹 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분산 분석 (ANOVA)세 그룹 이상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카이제곱 검정범주형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중요성
임상적 유의성통계적 유의성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장하지 않으므로, 임상적 유의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효과 크기효과 크기를 통해 결과의 실제적인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비판
p-해킹연구자가 의도적으로 유의한 p-value를 얻기 위해 분석 방법을 조작하는 행위이다.
출판 편향유의한 결과만 출판되는 경향이 있어, 전체 연구 결과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관련 용어
유의 수준가설 검정에서 귀무 가설을 기각하는 기준이 되는 확률 값. 일반적으로 0.05 또는 0.01을 사용한다.
p-값귀무 가설이 참일 때, 현재 관측된 결과 또는 그보다 더 극단적인 결과를 얻을 확률.
귀무 가설처음부터 버릴 것을 예상하는 가설.
대립 가설연구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가설.
가설 검정통계적 추론의 한 방법으로, 모집단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표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

2. 역사

통계적 유의성 개념은 18세기 존 아버스넛과 피에르시몽 라플라스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다. 이들은 남녀 출생 성비가 같다는 귀무 가설을 설정하고, 유의 확률(p-값) 개념을 도입하여 이를 검증했다.[85][86][87][88][89][90][91]

1925년 로널드 피셔는 '유의성 검정(tests of significance)' 개념을 제시했다.[92][93][94] 그는 p-값이 0.05보다 작을 때 유의하다는 기준을 처음으로 제시하여, 이후 통계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관례를 만들었다.[95] 피셔는 0.05라는 유의 수준을 제안했지만, 이 값을 고정된 기준으로 사용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 그는 1956년 저서에서 특정 상황에 따라 유의 수준을 다르게 설정할 것을 권장했다.[30]

1933년 예지 네이만이건 피어슨은 유의 확률을 평가하는 기준점을 유의 수준 \alpha라 명명하고, 이 값을 데이터 수집 전에 미리 설정할 것을 권고했다.[95][96]

2. 1. 유의 수준 (α)

유의 수준(α)은 귀무 가설이 참일 때 귀무 가설을 기각할 확률, 즉 제1종 오류를 범할 확률의 상한값을 의미한다.[69] 다시 말해, 귀무 가설이 실제로 참인데도 불구하고 이를 잘못 기각할 확률이다.[3]

일반적으로 0.05 (5%)가 널리 사용되지만, 연구 분야나 목적에 따라 다른 값을 사용할 수 있다.[69] 예를 들어, 사회 과학에서는 0.1 (10%), 엄밀함이 요구되는 자연 과학에서는 0.01 (1%)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데이터 표시에 있어서는 유의성에 단계를 두어 복수의 유의 수준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예를 들어 0.05 수준에서 유의하다면 *, 0.01 수준과 0.001 수준에 대해서는 각각 , *와 같이 표시한다.

유의 수준은 연구 설계 단계에서 미리 설정해야 하며,[96] 연구 결과에 따라 임의로 변경해서는 안 된다. 1933년 예지 네이만이건 피어슨은 유의 수준을 α로 명명하고, 데이터 수집 전에 미리 설정할 것을 권장했다.[30][31]

유의 수준 5%에서 유의하다는 것은, "실제로는 우연에 지나지 않는데, 잘못하여 '의미가 있다'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가능성이 5% 있다는 의미이다.

때때로 연구자들은 신뢰 수준 \( \gamma = 1 - \alpha \)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이는 귀무 가설이 참일 때 귀무 가설을 기각하지 않을 확률이다.[32][33]

2010년대 이후 과학의 "재현성 위기"와 관련하여, 2017년 72명의 저명한 연구자들은 새로운 발견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유의 수준 α를 0.05에서 0.005로 낮출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유의 수준을 낮추는 것이 오히려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70]

2. 2. p-값 (p-value)

P값은 귀무 가설이 참일 때, 관측된 결과 또는 그보다 더 극단적인 결과가 나올 확률을 의미한다.[4][11] p-값이 유의 수준(\alpha)보다 작으면 귀무 가설을 기각하고, 그렇지 않으면 귀무 가설을 기각하지 못한다. p-값은 '우연히 발생할 확률'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p-값이 작다고 해서 연구 가설이 반드시 참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양측 검정에서 유의 수준 \alpha에 대한 기각역은 표본 분포의 양쪽 끝으로 분할되며 곡선 아래 면적의 5%를 차지한다(흰색 영역).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연구자는 ''p''-값을 계산한다. ''p''-값이 미리 정해진 유의 수준 \alpha보다 작거나 같으면 귀무 가설은 기각된다. \alpha는 '유의 수준'이라고도 하며, 귀무 가설이 참일 때 귀무 가설을 기각할 확률(제1종 오류)이다. 일반적으로 5% 이하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alpha가 5%로 설정된 경우, 조건부 확률에서 제1종 오류가 발생할 확률은, '귀무 가설이 참인 경우' 5%이며,[36]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관찰된 ''p''-값이 5%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이다.[37] 표본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때 이는 기각역이 표본 분포의 5%를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8] 이 5%는 단측 검정에서와 같이 표본 분포의 한쪽에 할당되거나, 양측 검정에서와 같이 분포의 양쪽에 분할될 수 있으며, 각 꼬리(또는 기각역)는 분포의 2.5%를 포함한다.

사회 심리학 계열 저널인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베이직 앤 어플라이드 소셜 사이콜로지영어(BASP)는 P값의 이용에 따른 여러 문제점을 고려하여 귀무가설 유의성 검정 및 이와 유사한 통계적 처리를 금지한다고 발표했다.[68]

3.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의 역할

통계적 유의성은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는 귀무 가설을 기각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귀무 가설은 연구 중인 현상에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가설이다.[35] 귀무 가설이 기각되려면 관찰된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해야 한다. 즉, 관찰된 ''p''-값이 사전 지정된 유의 수준 \alpha보다 작아야 한다.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연구자는 ''p''-값을 계산하는데, 이는 귀무 가설이 참일 때 동일한 크기 이상의 효과를 관찰할 확률이다.[4][11] ''p''-값이 미리 정해진 수준 \alpha보다 작거나 같으면 귀무 가설은 기각된다. \alpha는 '유의 수준'이라고도 하며, 귀무 가설이 참일 때 귀무 가설을 기각할 확률(제1종 오류)이다. 일반적으로 5% 이하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alpha가 5%로 설정된 경우, 조건부 확률에서 제1종 오류가 발생할 확률은, '귀무 가설이 참인 경우' 5%이며,[36]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관찰된 ''p''-값이 5%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이다.[37] 표본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때 이는 기각역이 표본 분포의 5%를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8] 이 5%는 단측 검정에서와 같이 표본 분포의 한쪽에 할당되거나, 양측 검정에서와 같이 분포의 양쪽에 분할될 수 있으며, 각 꼬리(또는 기각역)는 분포의 2.5%를 포함한다.

단측 검정의 사용은 연구 질문 또는 대립 가설이 특정 방향을 지정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예를 들어 물체의 그룹이 '더 무거운지' 또는 평가에서 학생들의 성적이 '더 나은지'와 같은 경우이다.[39] 양측 검정은 여전히 사용될 수 있지만, 단측 검정보다 검정력이 낮다. 이는 단측 검정의 기각역이 귀무 분포의 한쪽 끝에 집중되어 있고, 양측 검정의 각 기각역 크기의 두 배(5% 대 2.5%)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단측 검정을 사용하면 덜 극단적인 결과로도 귀무 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40] 단측 검정은 대립 가설의 지정된 방향이 올바른 경우에만 양측 검정보다 더 강력하다. 그러나 만약 틀린 경우 단측 검정은 검정력이 없다.

4. 한계 및 비판

통계적 유의성 개념은 여러 한계와 비판에 직면해 있다.

연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해서 실질적으로 유의미하거나 재현 가능한 것은 아니다.[46][47][48]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구 결과가 반드시 실질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아닐 수 있다.[49][18] 효과 크기는 연구의 실질적인 유의미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연구자들은 ''p''-값과 함께 효과 크기를 보고하여 연구 결과의 유의미성을 평가해야 한다.[50]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항상 재현되는 것은 아니며,[48] 일부는 거짓 양성일 수 있다.[51]

2010년대부터 일부 학술지에서는 유의성 검정, 특히 α=5% 임계값 사용에 의문을 제기하며,[52] 더 자세한 분석을 권장했다. 사회 심리학 분야의 학술지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는 유의성 검정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53] 다른 척도를 사용하도록 요구했다.[54][55]

P값 이용에 따른 여러 문제점을 고려한 사회 심리학 계열 저널인 (BASP)는 귀무가설 유의성 검정 및 이와 유사한 통계적 처리를 금지한다고 발표했다.[68]

그러나 이러한 금지에 대해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가 ''p''값 보고를 금지하는 것은 문제의 증상만을 치료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56] 일부 통계학자들은 우도비나 베이즈 요인과 같은 다른 증거 척도를 선호한다.[57]

2016년, 미국 통계 협회(ASA)는 P값에 대한 기본적인 문제점을 정리하고 "P값은 그것만으로는 통계 모델이나 가설에 대한 증거의 좋은 지표가 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71]

유의 수준 \alpha는 귀무 가설이 참일 때 귀무 가설을 잘못 기각할 확률(제1종 오류)을 의미한다.[3] 일반적으로 0.05 (5%)가 사용되지만, 학문 분야나 연구 대상에 따라 다른 값을 사용하기도 한다.[69] 유의 수준 5%에서 유의하다는 것은 "실제로는 우연에 지나지 않는데, 잘못하여 '의미가 있다'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가능성이 5% 정도 있다는 의미이다.

4. 1. 통계적 유의성 개념의 재정의

2010년대에 들어 과학계는 재현성 위기에 직면했고, 학술 문헌의 신뢰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2017년, 72명의 저명한 연구자들은 재현성 위기의 원인 중 하나로 새로운 발견에 대한 통계적 기준이 낮다는 점을 지적하며, 유의 수준 α를 0.05에서 '''0.005'''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70]

그러나 일리노이 공과대학교의 컴퓨터 과학자 Shlomo Argamon은 유의 수준을 낮추는 것이 오히려 데이터 마이닝과 같은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반박하며, 유연한 p-값 임계값을 선택하거나 p-값을 연속적인 지표로 해석하는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또한 작은 유의 수준 α 값을 사용하면 출판되지 못하는 논문이 많아지는 '사장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70]

이러한 논쟁 속에서 2019년, 800명 이상의 통계학자와 과학자들은 과학에서 "통계적 유의성"이라는 용어 사용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에 서명했다. 이들은 p-값이 유의 수준보다 큰 경우 "유의차가 있다고 할 수 없다"는 의미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헌에서 "유의차가 없다 = 효과가 없다"고 잘못 해석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신뢰 구간을 상호 구간이라는 용어로 바꿔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72]

5. 다중 비교

동일한 종류의 검정을 반복하여 전체의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다중 비교''') 1회의 검정에 대한 유의 수준을 α라고 하면, k회의 유사한 시행에 대해 한 번이라도 유의한 결과를 얻을 확률 αk는 k회 시행의 독립성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k회 시행이 독립적일 때는 αk = 1-(1-α)k가 된다. 그러나 αk의 상한은 kα이므로, 1회의 검정에 대한 유의 수준을 α/k로 정하면, k회의 유사한 시행에 대해 유의 수준이 기껏해야 α인 검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본페로니 보정이라고 한다. 다만, 이 방법은 k의 값이 커질수록 유의 수준이 낮아져 실용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더 높은 검정력을 가진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옛날에는 LSD법이 본페로니 방법과 함께 계산이 용이하여 선호되었다. 오늘날에는 튜키의 범위 검정이나 Ryan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또한 셰페 방법이나 WSD법도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은 분산 분석에서 3수준 이상의 요인의 주효과가 유의한 경우의 하위 검정에도 사용된다.

6. 신뢰 구간과 가설 검정

신뢰 수준 Confidence level|컨피던스 레벨영어과 신뢰 구간은 1937년 네이먼(Neyman)에 의해 도입되었다.[34]

통계량 X가 어떤 모수 θ의 추정량인 경우, 유의 수준 α에서 귀무 가설이 기각되지 않는 X의 가능한 범위는 신뢰 수준 (1-α)에 대한 θ의 신뢰 구간과 같다.

예를 들어, 표본 평균 X를 모평균 θ의 추정량으로 간주하면, 귀무 가설: θ = θ0가 유의 수준 5%에서 기각되지 않는 X의 범위는 θ0의 95% 신뢰 구간과 일치한다.

참조

[1] 서적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SAGE Publications, Inc
[2] 서적 The Certified Quality Engineer Handbook ASQ Quality Press
[3] 서적 Introductory Statistics with R Springer
[4] 웹사이트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http://www.dartmouth[...] 2019-11-11
[5] 논문 Revised standards for statistical evidence 2013-10-09
[6] 서적 Biostatistics in Clinical Trials John Wiley & Sons Ltd
[7] 서적 Understanding The New Statistics: Effect Sizes, Confidence Intervals, and Meta-Analysis Routledge
[8] 논문 Points of significance: Significance, P values and t-tests 2013-10-30
[9] 논문 Statistical power and significance testing in large-scale genetic studies 2014-04-17
[10] 서적 Practical Statistics for Medical Research https://archive.org/[...] Chapman & Hall/CRC
[11] 서적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Engineering and the Sciences Cengage Learning
[12] 간행물 Significance level SAGE Publications
[13] 서적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A Guide for Practitioners and Students in the Social Science Scarecrow Press, Inc.
[14] 서적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Cengage Learning
[15] 서적 Compassionate Statistics: Applied Quantitative Analysis for Social Services (With exercises and instructions in SPSS) SAGE Publications, Inc
[16] 서적 Statistics Explained: An Introductory Guide for Life Scienti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Research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Routledge
[18] 웹사이트 What is P-value? http://www.stat.ualb[...] 2019-11-10
[19] 논문 Balancing statistical and clinical significance in evaluating treatment effects 2001-03-01
[20] 서적 The Descent of Human Sex Ratio at Birth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1] 논문 An argument for Divine Providence, taken from the constant regularity observed in the births of both sexes http://www.york.ac.u[...]
[22] 서적 Practical Nonparametric Statistics Wiley
[23] 서적 Applied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Chapman & Hall
[24] 서적 The History of Statistics: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Before 1900 Harva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in Statisticians of the Centuries Springer
[26]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al Statistics from 1750 to 1930 Wiley
[27] 서적 Understanding The New Statistics: Effect Sizes, Confidence Intervals, and Meta-Analysis Routledge
[28] 서적 Statistical Methods for Research Workers https://archive.org/[...] Oliver and Boyd
[29] 서적 Hypothesis-testing Behaviour Psychology Press
[30] 서적 Experimental Design and Data Analysis for Biologis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논문 The testing of statistical hypotheses in relation to probabilities a priori
[32] 논문 Confidence Interval or P-Value?
[33] 웹사이트 StatNews #73: Overlapping Confidence Interval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https://www.cscu.cor[...]
[34] 논문 Outline of a Theory of Statistical Estimation Based on the Classical Theory of Probability
[35] 서적 Applied Statistics for Public and Nonprofit Administration Cengage Learning
[36] 서적 The Essentials of Statistics: A Tool for Social Research Cengage Learning
[37] 서적 Statistics Explained: An Introductory Guide for Life Scientis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An Introduction To Experimental Design And Statistics For Biology CRC press
[39] 서적 Research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Routledge
[40] 서적 Statistics explained Routledge
[41] 서적 Scientific Inference: Learning from D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Risk, Chance, and Causation: Investigating the Origins and Treatment of Diseas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43] 서적 Shifting Standards: Experiments in Particle Physics in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44] 논문 Basic statistical analysis in genetic case-control studies 2011-02-06
[45] 논문 Guidelines for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2012-07-05
[46] 논문 The Case Against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ing
[47] 논문 Why most published research findings are false
[48] 논문 The earth is flat (p > 0.05): significance thresholds and the crisis of unreplicable research 2017
[49] 논문 A Visitor's Guide to Effect Sizes 2004
[50] 서적 Measurement, Design, and Analysis: An Integrated Approach Psychology Press
[51] 서적 Principles, Problems, Practices, and Prospects Reproducibility: Principles, Problems, Practices, and Prospects 2016
[52] 웹사이트 CSSME Seminar Series: The argument over ''p''-values and the Null Hypothesis Significance Testing (NHST) paradigm http://www.education[...]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Leeds 2016-12-01
[53] 웹사이트 Psychology Journal Bans Significance Testing https://www.scienceb[...] Science-Based Medicine 2015-02-25
[54] 논문 Psychology journal bans P values 2015-03-05
[55] 뉴스 P value ban: small step for a journal, giant leap for science https://www.sciencen[...] 2016-12-01
[56] 논문 On doing better science: From thrill of discovery to policy implications https://serval.unil.[...] 2017-02
[57] 논문 Moving to a World Beyond "p < 0.05" http://revistas.ucm.[...] 2019-03-20
[58] 논문 Thou Shalt Not Bear False Witness Against Null Hypothesis Significance Testing 2016-10-05
[59] 논문 A manifesto for reproducible science 2017-01
[60] 논문 Redefine statistical significance
[61] 논문 'One-size-fits-all' threshold for P values under fire https://www.nature.c[...] 2017
[62] 논문 Remove, rather than redefine, statistical significance 2017
[63] 웹사이트 Moving Science's Statistical Goalposts https://www.csicop.o[...] CSI 2018-07-10
[64] 논문 Scientists rise up against statistical significance 2019-03
[65] 논문 Moving to a World Beyond "p < 0.05" 2019-03-20
[66] 간행물 有意 2022-02-10
[67] 웹사이트 significant - Quick search results {{!}}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2023-09-04
[68] 문서 2015 T&F社のBASP誌がP値の使用禁止を発表 https://www.editage.[...]
[69] 문서 JIS Z 8101-1 : 1999 統計 − 用語と記号 − 第1部:確率及び一般統計用語 2.53 有意水準, 日本規格協会 http://kikakurui.com[...]
[70] 뉴스 統計学の大物学者がP値の刷新を提案 https://www.natureas[...] Nature ダイジェスト 2017
[71] 웹사이트 「統計的有意性とP値に関するASA声明(原題:The ASA’s statement on p-values: Context, process, and purpose. 2016; 70: 129-133. ) https://www.biometri[...] The American Statistician 2017-04-23
[72] 웹사이트 「“統計的に有意差なし”もうやめませんか」 Natureに科学者800人超が署名して投稿 https://www.itmedia.[...] ITmedia 2019-03-26
[73] 서적 Research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Routledge
[74] 서적 Introductory Statistics with R https://archive.org/[...] Springer
[75] 웹인용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http://www.dartmouth[...] 2019-11-11
[76] 저널 Revised standards for statistical evidence 2013-10-09
[77] 서적 Biostatistics in Clinical Trial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Ltd
[78] 서적 Understanding The New Statistics: Effect Sizes, Confidence Intervals, and Meta-Analysis Routledge
[79] 저널 Points of significance: Significance, P values and t-tests 2013-10-30
[80] 저널 Statistical power and significance testing in large-scale genetic studies 2014-04-17
[81] 서적 Practical Statistics for Medical Research https://archive.org/[...] Chapman & Hall/CRC
[82] 서적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Engineering and the Sciences Cengage Learning
[83] 백과사전 Significance level SAGE Publications
[84] 서적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A Guide for Practitioners and Students in the Social Science Scarecrow Press, Inc.
[85] 서적 The Descent of Human Sex Ratio at Birth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6] 저널 An argument for Divine Providence, taken from the constant regularity observed in the births of both sexes http://www.york.ac.u[...]
[87] 인용 Practical Nonparametric Statistics Wiley
[88] 인용 Applied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Chapman & Hall
[89] 서적 The History of Statistics: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Before 1900 Harvard University Press
[90] 인용 in Statisticians of the Centuries by C.C. Heyde and E. Seneta Springer
[91] 인용 A History of Mathematical Statistics from 1750 to 1930 Wiley
[92] 서적 Understanding The New Statistics: Effect Sizes, Confidence Intervals, and Meta-Analysis Routledge
[93] 서적 Statistical Methods for Research Workers https://archive.org/[...] Oliver and Boyd
[94] 서적 Hypothesis-testing Behaviour https://archive.org/[...] Psychology Press
[95] 서적 Experimental Design and Data Analysis for Biologis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6] 저널 The testing of statistical hypotheses in relation to probabilities a prio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