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은 몰도바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의 통화이다. 1994년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에서 처음 발행되었으며, 소련 루블에 증지를 붙인 형태로 시작되었다. 이후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여러 차례 액면 변경을 거쳤으며, 현재는 동전과 지폐가 모두 사용된다.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은 미국 달러에 고정 환율로 운영되며, 트란스니스트리아 외부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블 - 러시아 루블
러시아 루블은 14세기부터 사용된 러시아의 공식 통화로, 100코페크로 구성된 십진법 화폐이며, 소련 루블을 거쳐 현재의 루블로 개혁되었고, 국제 정세와 경제 상황에 따라 가치 변동을 겪고 있다. - 루블 - 벨라루스 루블
벨라루스 루블은 벨라루스의 통화로, 소련 붕괴 후 자체 루블을 발행하기 시작하여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두 차례 화폐 개혁을 단행했으며, 러시아와의 통화 통합 시도 중단 후 미국 달러에 연동되었다. - 유럽의 통화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유럽의 통화 - 아이슬란드 크로나
아이슬란드 크로나는 아이슬란드의 공식 통화로, 덴마크 크로네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후 독자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하여 동전 발행, 화폐 개혁, 환율 고정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중앙은행이 관리하며 캐시리스 사회로 전환 중이고, 금융 위기 이후 가치 변동을 겪고 있다.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 |
---|---|
일반 정보 | |
이름 |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
현지어 이름 | 로마자 표기: rublă transnistreană (루블ă 트란스니스트레안ă) 몰도바 키릴 문자: рублэ транснистрянэ 러시아어: приднестровский рубль (프리드네스트롭스키 루블) 우크라이나어: придністровський рубль (프리드니스트로우스키 루블) |
ISO 코드 | 없음 |
사용 국가 | 몰도바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사실상) |
도입일 | 1994년 |
대체 통화 | 소비에트 루블 |
발행 기관 | 트란스니스트리아 중앙 은행 |
은행 웹사이트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 |
조폐국 | 티라스폴 조폐국 (Тираспольский монетный двор) |
기호 | [[파일:Pridnestrovie ruble sign.svg|20px]] (일반적으로 руб/р, 때때로 ПМР) |
인플레이션율 | 10.83% (2006년) |
가치 | |
보조 단위 비율 | 1/100 |
보조 단위 이름 | 코페이카 (, ) |
보조 단위 복수형 | 코페이카 () |
사용 | |
자주 사용되는 동전 | 5, 10, 25, 50 코페이카, 1, 3, 5, 10 루블 |
드물게 사용되는 동전 | 1 코페이카 |
자주 사용되는 지폐 | 1, 5, 10, 25, 50, 100 루블 |
드물게 사용되는 지폐 | 200, 500 루블 |
2. 역사
1990년 몰도바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한 트란스니스트리아는 1994년 중앙 은행인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을 설립하고, 레우와는 다른 독자적인 통화인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PRB) 발행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소비에트 연방 시절의 소비에트 연방 루블 지폐에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의 초상과 액면가가 인쇄된 증지를 붙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1994년 발행 직후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통화 가치가 급격히 하락했고, 결국 같은 해 안에 1,000 구 루블을 1 신 루블로 교환하는 액면 변경을 단행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은 이후에도 계속되어, 2000년에는 다시 1,000,000 기존 루블을 1 신 루블로 교환하는 2차 액면 변경을 실시하였다. 2008년 당시 환율은 1유로당 약 10 PRB 전후였다.
2. 1. 첫 번째 루블 (1994년)
1990년 몰도바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한 미승인 국가인 트란스니스트리아는 1994년 중앙 은행인 트란스니스트리아 은행을 설립하고 첫 번째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PRB)을 발행하기 시작했다.[1]독립 선언 이후 트란스니스트리아는 소련 루블을 계속 사용했다. 그러나 소련 해체 이후 다른 구소련 공화국들이 자체 통화를 발행하면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소련 루블 지폐가 트란스니스트리아로 대량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했다.[2] 이러한 상황에서 자국의 재정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트란스니스트리아 정부는 1993년 7월부터 임시 조치를 시행했다. 1961년부터 1992년 사이에 발행된 소련 루블 및 러시아 루블 지폐에 티라스폴의 창립자인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장군의 초상과 해당 지폐의 액면가가 인쇄된 접착식 증지(스티커)를 붙여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2] 이 증지가 붙은 지폐는 증지가 없는 기존 지폐를 대체하며 통용되었다. 현재 수집 시장에서 보이는 증지가 부착된 미사용 지폐의 상당수는 1994년 이후 수집가들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2]
1994년 공식적으로 발행된 첫 번째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역시 초기에는 소련 루블 지폐와 동일한 디자인에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의 초상과 액면가가 표시된 증지를 붙인 형태였다.[3] 그러나 발행 직후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통화 가치가 급격히 하락했고, 결국 같은 해 안에 새로운 통화를 발행하는 액면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때 신 루블과 구 루블의 교환 비율은 1 대 1,000이었다.[4]
2. 2. 두 번째 루블 (1994년-2000년)
1990년 몰도바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한 트란스니스트리아는 1994년 중앙 은행인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을 설립하고, 레우와는 다른 독자 통화 발행을 시작했다.1994년 8월, 두 번째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이 발행되었으며, 이는 첫 번째 임시 통화를 대체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1,000 구 루블을 1 신 루블로 교환하는 화폐 개혁이 단행되었다. 이 통화는 지폐로만 구성되었고, 당시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더 높은 액면가의 지폐를 발행해야 했다. 1994년에 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폐(50 루블부터 5,000 루블까지)에는 발행 연도가 1993년으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진정되지 않아, 결국 2000년에는 1,000,000 구 루블을 1 신 루블로 교환하는 추가적인 액면 변경을 실시하게 되었다.
2. 3. 세 번째 루블 (2000년-현재)
2000년에 세 번째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이 발행되었으며, 1,000,000 구 루블을 1 신 루블로 교환하는 화폐 개혁이 이루어졌다. 이는 1994년에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차 화폐 개혁(1 신 PRB = 1000 구 PRB)을 시행했음에도 인플레이션이 계속되었기 때문이다. 2000년에 도입된 새로운 통화는 동전과 지폐로 구성되어 있다.2008년 기준으로 환율은 1EUR당 10 PRB 전후였다.
3. 화폐
1990년 몰도바로부터 분리·독립을 선언한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정부는 1994년 중앙 은행인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 Приднестровский Республиканский Банк|프리드네스트롭스키 레스푸블리칸스키 반크ru )을 설립하고, 몰도바의 통화인 몰도바 레우와는 다른 독자적인 통화로서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PRB) 발행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통화였던 소비에트 연방 루블 지폐와 동일한 디자인에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의 초상과 액면가가 인쇄된 증지를 붙여 발행했다.
그러나 1994년 안에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새로운 통화를 발행해야 했다. 이 신 통화는 1 PRB가 구 1000 PRB의 가치를 가졌지만, 인플레이션은 그 후에도 계속되었다. 결국 2000년에는 1 PRB가 100만 신 PRB의 가치를 갖도록 다시 액면 변경을 실시했다.
2000년 통화 개혁 이후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은 1, 5, 10, 25, 50, 100, 200, 500 루블 권종의 지폐를 발행했다. 2007년에는 1루블부터 100루블까지의 지폐가 새로운 디자인과 개선된 보안 기능을 갖춘 시리즈로 대체되었다. 현재 통용되는 지폐의 도안 인물과 소재는 다음과 같다.
액면 | 앞면 | 뒷면 |
---|---|---|
1 루블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 키츠카니 기념비 |
5 루블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 "크빈트"(KVINT|크빈트영어) 브랜디 공장 |
10 루블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 노보-냐메츠키 수도원 |
25 루블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 벤데르 성 |
50 루블 | 타라스 셰우첸코 | 대통령궁 / 정부 청사 |
100 루블 | 드미트리에 칸테미르 | 티라스폴 크리스마스 성당 |
200 루블 | 표트르 루미안체프 | 그로스-예거스도르프 전투 (1757년 7월 21일) |
500 루블 | 예카테리나 2세 | 예카테리나 2세가 내린 티라스폴 건설 칙령과 요새 계획도 |
2008년 현재 환율은 1유로=10PRB 전후이다.
주화로는 1, 5, 10, 25, 50 코페이카 금속 주화가 발행되고 있다. 2014년에는 세계 최초로 플라스틱 재질의 1, 3, 5, 10 루블 주화가 발행되었으나, 현재는 제조되지 않는다.
3. 1. 주화
주화는 1, 5, 10, 25, 50 코페이카 단위로 발행되며, 초기에는 알루미늄이나 구리-아연 합금으로 만들어져 소련 시대의 주화와 유사한 형태를 띠었다. 1 코페이카 주화는 2009년 1월 유통이 중단되었다.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주화 | ||||||||||
---|---|---|---|---|---|---|---|---|---|---|
사진 | 액면가 | 기술적 매개변수 | 설명 | 최초 주조일 | 비고 | |||||
지름 | 두께 | 질량 | 재질 | 테두리 | 앞면 | 뒷면 | ||||
-- | 1 코페이카 | 15.9mm | 1.5mm | 0.62 그램 | 알루미늄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숫자 "1", 두 개의 밀 이삭 사이에 "КОПЕЙКА" 문구 | 2000 | 폴란드 조폐창(Mennica Polska)에서 주조; 2009년 1월에 유통 중단 |
![]() | 5 코페이카 | 17.9mm | 1.4mm | 0.7 그램 | 알루미늄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숫자 "5", 두 개의 밀 이삭 사이에 "КОПЕЕК" 문구 | 2000 | 폴란드 조폐창(Mennica Polska)에서 주조 |
-- | 5 코페이카 | 18mm | 1.43mm | 0.79 그램 | 알루미늄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숫자 "5", 두 개의 밀 이삭 사이에 "КОПЕЕК" 문구 | 2005 | 수정된 문장; 티라스폴 조폐창(Тираспольский монетный двор|티라스폴스키 모네트니 드보르rus)에서 주조 |
5 코페이카 | 니켈 도금된 강철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숫자 "5", 두 개의 밀 이삭 사이에 "КОПЕЕК" 문구 | 2019 | 금속 조성 변경; 티라스폴 조폐창(Тираспольский монетный двор|티라스폴스키 모네트니 드보르rus)에서 주조 | ||||
-- | 10 코페이카 | 20mm | 1.5mm | 1 그램 | 알루미늄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숫자 "10", 두 개의 밀 이삭 사이에 "КОПЕЕК" 문구 | 2000 | 폴란드 조폐창(Mennica Polska)에서 주조 |
-- | 10 코페이카 | 20mm | 1.5mm | 1 그램 | 알루미늄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숫자 "10", 두 개의 밀 이삭 사이에 "КОПЕЕК" 문구 | 2005 | 수정된 문장; 티라스폴 조폐창(Тираспольский монетный двор|티라스폴스키 모네트니 드보르rus)에서 주조 |
-- | 10 코페이카 | 니켈 도금된 강철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숫자 "10", 두 개의 밀 이삭 사이에 "КОПЕЕК" 문구 | 2019 | 금속 조성 변경; 티라스폴 조폐창(Тираспольский монетный двор|티라스폴스키 모네트니 드보르rus)에서 주조 | |||
-- | 25 코페이카 | 17mm | 2.15 그램 | 알루미늄-청동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스타일화된 월계관 안에 숫자 "25", "КОПЕЕК" 문구 | 2002 | 폴란드 조폐창(Mennica Polska)에서 주조 | |
-- | 25 코페이카 | 17mm | 1.36mm | 2.2 그램 | 알루미늄-청동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스타일화된 월계관 안에 숫자 "25", "КОПЕЕК" 문구 | 2005 | 수정된 문장; 비자성 |
-- | 25 코페이카 | 17mm | 1.46mm | 2.1 그램 | 청동 도금된 강철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스타일화된 월계관 안에 숫자 "25", "КОПЕЕК" 문구 | 2005 | 수정된 문장; 자성; 티라스폴 조폐창(Тираспольский монетный двор|티라스폴스키 모네트니 드보르rus)에서 주조 |
-- | 25 코페이카 | 황동 도금된 강철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스타일화된 월계관 안에 숫자 "25", "КОПЕЕК" 문구 | 2019 | 금속 조성 변경; 티라스폴 조폐창(Тираспольский монетный двор|티라스폴스키 모네트니 드보르rus)에서 주조 | |||
-- | 50 코페이카 | 19mm | 1.45mm | 2.75 그램 | 알루미늄-청동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스타일화된 월계관 안에 숫자 "50", "КОПЕЕК" 문구 | 2000 | 폴란드 조폐창(Mennica Polska)에서 주조 |
-- | 50 코페이카 | 18.9mm | 2.70 그램 | 알루미늄-청동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스타일화된 월계관 안에 숫자 "50", "КОПЕЕК" 문구 | 2005 | 수정된 문장; 비자성 | |
-- | 50 코페이카 | 19mm | 1.45mm | 2.80 그램 | 청동 도금된 강철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스타일화된 월계관 안에 숫자 "50", "КОПЕЕК" 문구 | 2005 | 수정된 문장; 자성; 티라스폴 조폐창(Тираспольский монетный двор|티라스폴스키 모네트니 드보르rus)에서 주조 |
-- | 50 코페이카 | 황동 도금된 강철 | 민자/매끄러움 | 프리드네스트로비안 몰도바 공화국(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장, 발행 연도 | 스타일화된 월계관 안에 숫자 "50", "КОПЕЕК" 문구 | 2019 | 금속 조성 변경; 티라스폴 조폐창(Тираспольский монетный двор|티라스폴스키 모네트니 드보르rus)에서 주조 | |||
![]() | 1 루블 | 26mm | 1.2mm | 0.85 그램 | 플라스틱 - 복합 재료[3] | 민자/매끄러움 | 숫자 "1", "РУБЛЬ, ПРИДНЕСТРОВСКИЙ РЕСПУБЛИКАНСКИЙ БАНК" 문구,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의 초상화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의 로고, 발행 연도 및 액면가 반복 패턴 | 2014 | 원형; 러시아의 고즈나크에서 제작 |
-- | 3 루블 | 31mm | 1.2mm | 1 그램 | 플라스틱 - 복합 재료 | 민자/매끄러움 | 숫자 "3", "РУБЛЯ, ПРИДНЕСТРОВСКИЙ РЕСПУБЛИКАНСКИЙ БАНК" 문구, 프랑수아 생트 드 볼란의 초상화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의 로고, 발행 연도 및 액면가 반복 패턴 | 2014 | 사각형 (모서리가 둥근); 러시아의 고즈나크에서 제작 |
-- | 5 루블 | 28.6mm | 1.2mm | 1 그램 | 플라스틱 - 복합 재료 | 민자/매끄러움 | 숫자 "5", "РУБЛЕЙ, ПРИДНЕСТРОВСКИЙ РЕСПУБЛИКАНСКИЙ БАНК" 문구, 표트르 알렉산드로비치 루먄체프-자두나이스키의 초상화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의 로고, 발행 연도 및 액면가 반복 패턴 | 2014 | 오각형 (모서리가 둥근); 러시아의 고즈나크에서 제작 |
-- | 10 루블 | 28mm | 1.2mm | 0.9 그램 | 플라스틱 - 복합 재료 | 민자/매끄러움 | 숫자 "10", "РУБЛЕЙ, ПРИДНЕСТРОВСКИЙ РЕСПУБЛИКАНСКИЙ БАНК" 문구, 예카테리나 2세의 초상화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의 로고, 발행 연도 및 액면가 반복 패턴 | 2014 | 육각형 (모서리가 둥근); 러시아의 고즈나크에서 제작 |
2014년 8월 22일,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1, 3, 5, 10 루블 액면가의 주화를 발행했다.[4] 이는 법정 통화로서 사상 최초이자 세계 유일의 플라스틱 주화였으나, 현재는 제조되지 않는다.
2000년부터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은 은과 금으로 제작된 많은 상업용 기념 주화를 발행했다. 주조 수는 500개에서 5,000개 사이로 매우 적었다. 주제로는 "드네스트르 강변의 고대 요새",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뛰어난 사람들",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적색 도서" 등이 포함되었다. 전체 목록은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트란스니스트리아는 건국 당시 자체 조폐국이 없었기에, 폴란드 조폐창(Mennica Polska)이 바르샤바에서 2000년 주화를 주조했다.[6] 주조된 동전은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 은행 소유의 트럭을 통해 우크라이나를 거쳐 트란스니스트리아로 운송되었다.
몰도바 정부는 이를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사실상'' 승인으로 간주하여 불만을 표했고, 2001년 10월 몰도바 대통령 블라디미르 보로닌은 폴란드 총리와 이 문제를 논의했다.[7] 폴란드 조폐창은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통화가 아니므로, 동전이 아닌 토큰을 생산하고 있다고 해명했다.[8]
이 갈등은 2004년 12월, 우크라이나 세관이 리비우 근처에서 11.7만달러 상당의 트란스니스트리아 동전을 실은 트럭을 압수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동전은 몰도바 당국에 넘겨졌고, 폴란드 정부는 다시 항의를 받았다.
폴란드 외무부는 2005년 4월 폴란드 조폐창에 트란스니스트리아 동전 생산이 우크라이나 및 몰도바와의 관계를 위태롭게 하고 폴란드의 이미지를 손상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결국 폴란드 조폐창은 같은 달 트란스니스트리아와의 계약을 취소했다.
이에 트란스니스트리아는 자체적으로 동전을 생산하기 위해 2005년 11월 18일, 이고르 스미르노프 대통령 참석 하에 티라스폴 조폐창(Тираспольский монетный двор|티라스폴스키 모네트니 드보르rus)을 개장했다. 현재 1, 5, 10, 25, 50 코페이카 금속 주화가 발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