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모르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모르어군은 티모르섬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묶어 부르는 분류이다. 제프리 헐(1998)은 티모르어군을 티모르어군 A와 티모르어군 B로 나누어 분류했으며, 반 엥겔레호벤(2009)은 헐의 분류를 따르면서 마쿠바어와 루앙어-키사르어를 티모르어군 A에 추가했다. 또한, Taber(1993)는 어휘통계학적 분류를 통해 남서 말루쿠 분기를 제안했고, Edwards(2021)는 중앙 티모르와 티모르-바바르라는 두 개의 주요 분기로 나누어 언어를 분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모르어군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티모르어군 - 우압메토어
    우압메토어는 파열음, 비음, 마찰음 등의 자음과 전설 모음, 후설 모음 등의 모음 체계를 가지며, 오스트로네시아어 기본 어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어휘를 확인할 수 있고 숫자 체계도 존재한다.
  • 동티모르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동티모르의 언어 -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는 해협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발전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20세기 초 네덜란드 식민지배 하에서 보급이 추진되어 1928년 인도네시아의 국어로 채택되었으며, 독립 후 정부의 지원으로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2억 명 이상의 화자를 보유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티모르어군
언어 정보
이름티모르어군
다른 이름티모르-바바르어군
사용 지역티모르섬, 웨타르섬, 바바르 제도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조어원시 티모르어
언어 코드
글롯토로그 (Glottolog)라멜라우어군: timo1260 (Timoric B)
파브론어군/라멜라우외어군: timo1259 (Timoric A)
분류 (논쟁 있음)
하위 언어(논쟁 있음)

2. 분류

나우에테어는 티모르어군 내에서 그 위치가 명확하지 않다. 티모르어군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되어 왔다.

제프리 헐(1998)과 반 엥겔레호벤(2009)은 티모르어군을 A와 B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분류를 제안했다.[1] 타베르(Taber, 1993)는 어휘통계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티모르어군의 "남서 말루쿠" 분기를 제안했고,[2] 에드워즈(Edwards, 2021)는 티모르와 남서 몰루카 제도의 언어를 중앙 티모르와 티모르-바바르 두 개의 주요 분기로 나누었다.[3]

2. 1. Hull (1998)

제프리 헐(1998)은 티모르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 '''티모르어군'''
  • * 티모르어군 A (Extra-Ramelaic, Fabronic; 라멜레이크어가 아닌 모든 언어)
  • ** 서부: 다완어(우압메토어)–아마라시어, 헬롱어, 로티어(빌바어, 뎅카어, 롤레어, 링구어, 델라-오에날레어, 테르마누어, 티어)
  • ** 중부: 테툼어, 베카이스어, 하부어
  • ** 북부: 웨타르어, 갈롤리어
  • ** 동부: 카이루이어, 와이모아어, 미디키어, 나우에티어
  • * 티모르어군 B (Ramelaic, 라멜라우 산 근처)
  • ** 서부: 케마크어, 투쿠데데어
  • ** 중부: 맘바이 어
  • ** 동부 (이다라카): 이다테어, 이스니 어, 라카레이어, 롤레인어[1]

2. 2. Van Engelenhoven (2009)

반 엥겔레호벤(Van Engelenhoven, 2009)은 제프리 헐의 분류를 받아들였지만, 마쿠바어와 루앙어-키사르어(키사르어, 로망어, 루앙어, 웨탄어, 레티어)를 티모르어군 A의 동부 계열에 추가했다.[1]

2. 3. Taber (1993)

Taber (1993:396)는 서남말루쿠어군과 바바르어군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서다마르어를 티모르어군 내의 고립어로 두었다.

  • 서남말루쿠어군
  • * 동다마르어
  • * 웨타르어군
  • ** 갈롤리어 (탈루르어)
  • ** 웨타르어 방언군

아푸타이어
페라이어
투군어
일리운어

  • * 키사르·로마어군
  • ** 키사르어
  • ** 로망어 (로마어)
  • * 루앙어군
  • ** 레티어
  • ** 루앙어
  • ** 웨탄어
  • * TNS (테운·닐라·세루아) 어군
  • ** 테운어
  • ** 닐라·세루아어군: 닐라어, 세루아어
  • 바바르어군
  • * 북바바르어군
  • ** 북바바르어
  • ** 다이어
  • ** 다웨라·다웰로르어
  • * 남바바르어군
  • ** 서남바바르어군

엠플라와스어
텔라·마스부아르어
임로잉어

  • ** 마셀라·동남바바르어군

동남바바르어
세릴리어
동마셀라어
중앙마셀라어

  • 서다마르어


Taber (1993:396)은 어휘통계학적 분류를 통해 티모르어군의 "남서 말루쿠" 분기를 제안했는데, 이는 서다마르어와 바바르어군을 제외한 이 지역의 모든 언어를 포함한다.

  • '''티모르어군'''
  • *(티모르의 다른 분기)
  • * 남서 말루쿠
  • ** 동다마르어
  • ** 웨타르어: 탈루르어, 웨타르어 군(Aputai, Perai, Tugun, Iliun)
  • ** 키사르-로마어: 키사르어, 로마어
  • ** 루앙어: 레티어, 루앙어, 웨탄어
  • ** TNS (Teun-Nila-Serua): 테운어, Nila-Serua (닐라어, 세루아어)
  • (CMP의 다른 분기, 바바르어군 및 서다마르어 포함)

2. 4. Edwards (2021)

Edwards (2021)는 티모르와 남서 몰루카 제도의 언어를 '중앙 티모르'와 '티모르-바바르'의 두 주요 분기로 나눈다.[3]

  • 중앙 티모르: 케막어, 토코데데어, 맘바이어, 벨라운어
  • 티모르-바바르
  • 헬롱어
  • 로테-메토어
  • 서부 로테-메토어
  • 델라어, 오에날레어
  • 뎅카-메토어
  • 뎅카어, 렐레인어
  • 메토어
  • 핵심 로테어
  • 티이어, 롤레어
  • 테르마누어, 바아어, 코르바포어, 보카이어, 탈라에어, 케카어
  • 빌바아어, 디우어, 렐레누크어
  • 리코우어, 란두어, 오에파오어
  • 라카레이-이데이트: 라카레이어, 이데이트어
  • 동 티모르 (카와이미나): 카이루이어, 와이모아어, 미디키어, 나우에티어
  • 웨타르-아타우루: 아타우란어, 갈로리어, 웨타르어
  • 남서 몰루카: 키사르어, 로망어, 레티어, 루앙어, 웨탄어, 테운어, 닐라어, 세루아어, 동다마르어
  • 바바르어군

참조

[1] 서적 Austronesian historical linguistics and culture history: a festschrift for Robert Blust https://www.academ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9
[2] 서적 Metathesis and unmetathesis in Amarasi http://langsci-press[...] Language Science Press 2020
[3] 서적 Rote-Meto Comparative Dictionary https://press-files.[...] ANU Press 2021
[4] 문서 Adelaar 20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