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테툼어는 테툰-딜리, 테툰-테리크, 테툰-벨루, 나나에크의 4가지 방언이 존재하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Tetun-Prasa)가 널리 사용된다. 테툼어는 15세기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와 인도네시아의 점령 기간을 거치면서, 로마 가톨릭 교회를 중심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2002년 동티모르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고유어, 포르투갈어 차용어, 말레이어 차용어 등 다양한 어휘를 포함한다. 문법적으로는 부사, 전치사, 시제 표현 등 독특한 특징을 보이며, 한국과의 관계에서는 경북대학교가 테툼어 한글 표기를 제안했으나 외교적 문제로 취소된 사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모르어군 - 우압메토어
    우압메토어는 파열음, 비음, 마찰음 등의 자음과 전설 모음, 후설 모음 등의 모음 체계를 가지며, 오스트로네시아어 기본 어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어휘를 확인할 수 있고 숫자 체계도 존재한다.
  • 동티모르의 언어 -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는 해협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발전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20세기 초 네덜란드 식민지배 하에서 보급이 추진되어 1928년 인도네시아의 국어로 채택되었으며, 독립 후 정부의 지원으로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2억 명 이상의 화자를 보유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 동티모르의 언어 - 우압메토어
    우압메토어는 파열음, 비음, 마찰음 등의 자음과 전설 모음, 후설 모음 등의 모음 체계를 가지며, 오스트로네시아어 기본 어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어휘를 확인할 수 있고 숫자 체계도 존재한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테툼어
지도 정보
테툼어 테릭 방언 분포
동티모르 내 테툼 벨루(서부)와 테툼 테릭(남동부) 분포. 서티모르에 거주하는 대다수의 테툼어 사용자는 표시되지 않음.
테툼 프라사 모어 화자 분포
동티모르 내 테툼 프라사 모어 화자 분포
언어 정보
이름테툼어
다른 이름
테툼 프라사
고유 이름Tetun
사용 국가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사용자 수463,500명 (주로 인도네시아)
385,000명 (동티모르 모어 화자)
570,000명 (동티모르 제2언어 화자)
사용 시기2010-2011년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티모르바바르어군
테툼어군
방언벨루어 (Tetun Belu)
테릭어 (Tetun Terik)
공용 국가동티모르
소수 언어 국가인도네시아 (동누사틍가라주)
문자라틴 문자 (테툼 문자)
표준 기관동티모르 국립언어학연구소
ISO 639-2tet
ISO 639-3tet, tdt
글롯로그tetu1245, tetu1246
글롯로그 참조테툼, 테툼딜리
테툼어 (테툼)
추가 정보
테툼 딜리테툼 프라사

2. 명칭

영어식 표기인 'Tetum'은 현대 테투름어가 아닌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일부 사람들은 'Tetun'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4] 이는 인도네시아어에서 선호하는 형태와 일치하고, 'm'이 포함된 변형이 영어에서 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Tetun'은 조제 라무스-호르타와 카를루스 필리페 시메네스 벨루와 같은 포르투갈어 교육을 받은 일부 동티모르 사람들에 의해서도 사용되었다.

스와힐리어/키스와힐리어펀자브어/펀자비어와 같이 다른 언어의 명칭에 대해서도 유사한 명명법상의 의견 불일치가 나타났다.

3. 역사와 방언

티모르 섬의 언어들. 테툼어는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언어학자 제프리 헐(Geoffrey Hull)에 따르면, 테툼어에는 네 가지 방언이 있다.[5]

  • 테툰-딜리 (테툰-프라사): 수도 딜리와 그 주변, 즉 국가 북부에서 사용된다.
  • 테툰-테리크: 남부와 남서부 해안 지역에서 사용된다.
  • 테툰-벨루: 옴바이 해협에서 티모르해까지 티모르 섬 중앙 지역에서 사용되며, 동티모르서티모르에 걸쳐 사용된다.
  • 나나에크: 딜리와 마나투토 사이 해안 도로에 있는 메티나로 마을에서 사용된다.


테툰-벨루와 테툰-테리크는 자국 영토 밖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테툰-프라사는 동티모르 전역에서 사용되는 테툼어의 형태이다. 1975년까지 포르투갈령 티모르의 공식 언어는 포르투갈어였지만, 테툰-프라사는 항상 섬 동부 지역의 주요 lingua franca였다.

15세기, 포르투갈인이 도착하기 전에 테툼어는 당시 섬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이었던 벨루네스어를 사용하는 웨할리 왕국의 주도하에 중앙부와 동부 티모르로 퍼져나갔다. 포르투갈인들은 다완어가 사용되는 서부에 대부분의 정착지를 두었고, 1769년 수도가 리파우(오쿠시)에서 딜리로 옮겨지면서 식민지에서 테툼어를 지역 간 언어로 장려하기 시작했다. 티모르는 포르투갈어가 아닌 현지 언어가 lingua franca가 된 몇 안 되는 포르투갈 식민지 중 하나였다. 이는 포르투갈의 지배가 직접적인 지배가 아니라 간접적인 지배였기 때문이다. 유럽인들은 가톨릭을 받아들이고 포르투갈 국왕의 봉신이 된 현지 왕들을 통해 통치했다.[10]

1974년 포르투갈의 카네이션 혁명 이후,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를 침공하여 "공화국의 27번째 주"로 선포했다. 포르투갈어 사용이 금지되었고, 인도네시아어가 유일한 공식 언어로 선포되었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는 테툼어를 예배 언어로 채택하여 문화적, 국가적 정체성의 중심으로 만들었다.[11] 1999년 동티모르 유엔 과도행정부(UNTAET)가 통치를 맡은 후, 2002년 동티모르가 독립을 얻었을 때 테툼어와 포르투갈어가 공식 언어로 선포되었다.[12]

3. 1. 테툰-딜리 (테툰-프라사)

테툰-딜리(Tetun-Dili) 또는 테툰-프라사(Tetun-Prasa)는 수도 딜리와 그 주변, 즉 국가 북부에서 사용되는 테툼어 방언이다. '도시 테툼'으로 직역되는 테툰-프라사는 다른 테툰 변종보다 문법이 간단하고, 포르투갈어 차용어가 많으며, 크리올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Ethnologue''와 일부 연구자들은 테툰-프라사를 테툰 기반의 크리올어로 분류하기도 한다.[3][6][7] 그러나 테툰-딜리가 간단한 문법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크리올어라고 단정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9]

''Ethnologue''에 따르면, 2004년 동티모르에는 5만 명의 테툰-딜리 원어민 화자가 있었고, 37만 4천 명의 제2언어 사용자가 있었다.[3]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총 인구 1,053,971명 중 테툼 프라사 원어민 화자가 385,269명으로, 2000년대 동안 테툼 프라사/딜리 원어민 화자의 비율이 36.6%로 증가했다.[13]

1975년까지 포르투갈령 티모르의 공식 언어는 포르투갈어였지만, 테툰-프라사는 섬 동부 지역의 주요 lingua franca였다. 1974년 포르투갈의 카네이션 혁명 이후,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를 침공하여 포르투갈어 사용을 금지하고 인도네시아어를 유일한 공식 언어로 선포했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는 테툼어를 예배 언어로 채택하여 문화적, 국가적 정체성의 중심으로 만들었다.[11] 1999년 동티모르 유엔 과도행정부(UNTAET) 통치 이후, 테툰(딜리)어는 국가 공식 언어로 선포되었고,[12] 2002년 동티모르 독립 이후에는 테툼어와 포르투갈어가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동티모르의 테툼어 지역 변종 외에도, 포르투갈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하는 동티모르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테툼어는 인도네시아어 교육을 받지 않은 화자가 많기 때문에 포르투갈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3. 2. 테툰-테리크

언어학자 제프리 헐(Geoffrey Hull)에 따르면 테툼어에는 네 가지 방언이 있으며, 그중 하나가 테툰-테리크이다.[5] 테툰-테리크는 남부와 남서부 해안 지역에서 사용된다. ''Ethnologue''에 따르면, 1995년 동티모르에는 5만 명의 테툰-테리크 화자가 있었다.[5]

테툰-벨루와 테툰-테리크는 자국 영토 밖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3. 3. 테툰-벨루

옴바이 해협에서 티모르해에 걸쳐 있는 티모르섬 중부의 방언으로, 동티모르서티모르의 경계 부근에서 사용된다. 서티모르에서는 공식 지위는 없지만 bahasa daerah|지역 언어id로 간주되며, 아탐부아의 교구에서 로마 가톨릭 의식에 사용된다.[5]

3. 4. 나나에크

딜리와 마나투토 사이 해안 도로에 있는 메티나로 마을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5]

3. 5. 역사적 변천

15세기, 포르투갈의 식민지화가 시작되기 전, 테툼어는 티모르 섬 중부와 동부에서 피진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당시 테툼어는 티모르 섬에서 가장 큰 권위를 가진 웨할리 왕국의 보호 아래 있었다. 웨할리 왕국은 테툰-벨루 방언을 사용했다.[5]

1556년부터 포르투갈이 우아브 메토어(Uab Meto language)를 사용하는 서티모르에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1769년 현재 동티모르의 외딴 지역인 오에쿠시-암베노에서 현재의 수도 딜리로 수도를 옮기고, 식민지 내 공용어로 테툼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지역 언어가 링구아 프랑카가 된 몇 안 되는 포르투갈 식민지 중 하나였다. 이는 포르투갈의 식민지 통치가 직접적이라기보다는 간접적이었기 때문이며, 포르투갈은 가톨릭 사상에 따라 토착 왕을 통해 통치하고 포르투갈 왕국의 속국으로 삼았다.[10]

1975년부터 1999년까지 인도네시아령 동티모르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 정부는 동티모르를 "27번째 주"로 선포하고 포르투갈어 사용을 금지하며, 인도네시아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삼았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 교회는 테툼어를 예배 언어로 채택하였고, 이것이 동티모르의 국가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11] 2002년 독립 이후, 테툼어와 포르투갈어를 공용어로 하는 법령이 공포되었다.[13]

동티모르 유엔 과도행정부(UNTAET)가 통치를 맡은 1999년 당시에는 원주민 인구의 약 8%만이 테툼어를 사용했고, 엘리트(20~30가구)는 포르투갈어를 사용했으며,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인도네시아어로 교육을 받았다.[12] 그러나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테툼 프라사(딜리) 원어민 화자는 385,269명으로, 2000년대 동안 테툼 프라사/딜리 원어민 화자의 비율이 36.6%로 증가했다.[13]

동티모르의 테툼어 지역 변종 외에도, 포르투갈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하는 동티모르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테툼어는 인도네시아어 교육을 받지 않은 화자가 많기 때문에 포르투갈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4. 음운론

테툼어는 포르투갈어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음운론에 변화가 있었다.

테툼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테툼어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align=center|align=center|
중모음align=center|align=center|
저모음align=center|



테툼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테툼어 자음
입술소리잇몸소리센입천장소리여린입천장소리목청소리
콧소리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
터짐소리width=20px style="border-right: 0;"width=20px style="border-left: 0;"|colspan="2"|colspan="2"|width=20px style="border-right: 0;"width=20px style="border-left: 0;"|colspan="2"|
마찰소리colspan="2"|width=20px style="border-right: 0;"width=20px style="border-left: 0;"|width=20px style="border-right: 0;"width=20px style="border-left: 0;"|colspan="2"|colspan="2"|
접근음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
탄음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


4. 1. 모음

테툼어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align=center|align=center|
중모음align=center|align=center|
저모음align=center|



테툼어에서 , 및 는 비교적 고정된 소리를 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와 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데, 예를 들어 앞의 음절이 또는 인 경우 소리가 약간 더 높아진다.[16]

4. 2. 자음

테툼어 자음
입술소리잇몸소리센입천장소리여린입천장소리목청소리
콧소리colspan="2" |colspan="2" |()()colspan="2" |
터짐소리()style="border-left: 0;" |style="border-right: 0;" |style="border-left: 0;" |colspan="2" |width="20px" style="border-right: 0;" |()colspan="2" |
마찰소리style="border-right: 0;" |()style="border-right: 0;" |()()()colspan="2" |colspan="2" |
흐름소리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
옆소리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
떨림소리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
진동소리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


  • 괄호 안에 있는 자음은 외래어에서만 사용된다.
  • 파열음: 테툼어의 모든 파열음은 숨을 내쉬는 것이 없는 무기음(무기성)이다. 반대로 영어의 파열음인 'p', 't', 'k'는 일반적으로 숨을 내쉬는 유기음(유기성)이다.
  • 마찰음: 는 불안정한 유성 순치 마찰음이며 와 번갈아 사용되거나 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 는 '조부모'를 의미한다.[14]

5. 어휘

테툼어 어휘는 크게 고유어, 말레이어 차용어, 포르투갈어 차용어로 나뉜다. 말레이 제국과의 교류,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 등을 통해 다양한 언어의 어휘가 유입되었다.

5. 1. 고유어

동티모르의 테투름어 이름은 Timór Lorosa'etet이며, '떠오르는 태양의 티모르' 또는 좀 더 시적으로 표현하면 '동티모르'를 의미한다. lorosa'etet는 lorotet '태양'과 sa'etet '떠오르다, 올라가다'에서 유래했다. '단어'는 liafuantet이며, liatet '목소리'와 fuantet '열매'에서 유래했다.

테투름어의 고유어 단어는 다음과 같다.

테투름어의미
aastet높은
aattet나쁜
aitet나무
ai-fuantet과일
ai-manastet향신료
beetet
beluntet친구
boottet
di'aktet좋은
domintet사랑
ematet사람들
fatintet장소
fetotet여자
fohotet
fulantet달/월
funutet전쟁
hamlahatet배고픈
haantet먹다
hahántet음식
hemutet마시다
hotutet모든
idatet하나
kalantet
ki'iktet작은
kraiktet낮은
labariktet아이
lafaektet악어
laistet빠른
lalenoktet거울
larantet안쪽
liatet언어
liafuantet단어 (liantet 목소리와 fuantet 열매에서 유래)
liantet목소리, 언어
loostet참된
lorontet
lokraiktet오후
tauktet신성한
manetet남자
maromaktet
moristet생명
raintet국가
tasitet바다
tinantet
tebestet매우
teentet
toostet단단한
uluktet첫 번째
uluntet머리


5. 2. 포르투갈어 차용어

테툼어에는 포르투갈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많다. 다음은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한 단어의 예시이다.

테툼어포르투갈어의미
adeustet안녕
ajudatet도움
aprendetetaprenderpt배우다
demaistet너무 많은
desizauntetdecisãopt결정
edukasaunteteducaçãopt교육
envezdetetem vez dept대신에
entauntetentãopt그래서, 자 그럼
eskolatetescolapt학교
governutetgovernopt정부
igrejatet교회
istóriatethistóriapt역사
jerasauntetgeraçãopt세대
keijutetqueijopt치즈
komprendetetcompreenderpt이해하다
menustetmenospt적은
obrigadu/atetobrigado/apt감사합니다
pauntetpãopt
povutetpovopt사람들
profesórtetprofessorpt선생님
relijiauntetreligiãopt종교
semanatet
serbisutetserviçopt
servejatetcervejapt맥주
tenketettem quept해야 한다
xefetetchefept우두머리
ideiatet생각
múzikatetmúsicapt음악
esperiénsiatetexperiênciapt경험
teknolojiatettecnologiapt기술
forsatetforçapt
eletrisidadetetelectricidadept전기
terrorizmutetterrorismopt테러
embaixadatet대사관
organizasauntetorganizaçãopt조직
arkiteturatetarquiteturapt건축
kafétetcafépt커피
ekipamentutetequipamentopt장비
prezidentetetpresidentept대통령
froñastetfronhaspt베갯잇
aviauntetaviãopt비행기
kompañiatetcompanhiapt회사
televizauntettelevisãopt텔레비전
enjeñariatetengenhariapt공학
korrupsauntetcorrupçãopt부패
polísiatetpolíciapt경찰
fízikatetfísicapt물리학
profisauntetprofissãopt직업
imposiveltetimpossívelpt불가능한
gitarristatetguitarristapt기타리스트
pasaportetetpassaportept여권
mensajentetmensagempt메시지
NatáltetNatalpt크리스마스



이처럼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를 통해 종교 용어(예: igreja|이그레이자|교회tet)나 근대적 어휘(예: kafé|카페|커피tet), 추상적 개념(예: imposivel|임포시벨|불가능tet)을 나타내는 단어가 유입되었다.

5. 3. 말레이어 차용어

바자르 말레이어가 지역 공용어였고 인도네시아어가 공용어였던 결과로, 많은 단어들이 말레이어에서 유래되었다.

테툼어말레이어의미
atus|아투스tetratus|라투스ms
barak|바락tetbanyak|바냑ms많은
bele|벨레tetboleh|볼레ms할 수 있다
besi|베시tetbesi|브시ms
udan|우단tethujan|후잔ms
dalan|달란tetjalan|잘란ms길, 도로
fatu(k)|파투(크)tetbatu|바투ms
fulan|풀란tetbulan|불란ms달, 월
malae|말라에tetmelayu|믈라유ms외국인 (말레이인에서 유래)
manas|마나스tetpanas|파나스ms뜨거운
rihun|리훈tetribu|리부ms
sala|살라tetsalah|살라ms틀린
tulun|툴룬tettolong|톨롱ms도움
dapur|다푸르tetdapur|다푸르ms부엌
uma|우마tetrumah|루마ms



또한, 인도네시아 지배의 유산으로 인도네시아어를 통해 말레이어 기원의 다른 단어들이 테툼어에 유입되었다. 동티모르는 말레이 세계에 속했으며, 말레이 지역의 공용어로 말레이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어휘가 존재한다. 인도네시아 지배의 영향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유입된 말레이어도 많이 존재한다.

5. 4. 수사

테툼어의 수사는 고유어를 사용하지만, ualu|우알루|tet '여덟'은 자바어의 wolu|월루|jw가 어원이다. 1000 이상의 숫자는 말레이어포르투갈어를 사용한다.

} || 하나

|-

| 2 || rua|루아|tet || 둘

|-

| 3 || tolu|똘루|tet || 셋

|-

| 4 || haat|하앗|tet || 넷

|-

| 5 || lima|리마|tet || 다섯

|-

| 6 || neen|네엔|tet || 여섯

|-

| 7 || hitu|히뚜|tet || 일곱

|-

| 8 || ualu|우알루|tet || 여덟

|-

| 9 || sia|시아|tet || 아홉

|-

| 10 || sanulu|사눌루|tet || 열

|-

| 20 || ruanulu|루아눌루|tet || 스물

|}

하지만, 테툼어 화자들은 특히 1000 이상의 숫자에 대해 ualu|우알루|tet 대신 delapan|델라빤|id 또는 oito|오이뚜|pt '여덟'과 같이 인도네시아어 또는 포르투갈어 숫자를 자주 사용한다.

5. 5. 복합어

테툼어에는 토착어와 포르투갈어를 결합하여 만든 혼성어가 많다. 이러한 단어들은 종종 토착 테툼어 동사에 포르투갈어 접미사 '-dór'('-er'와 유사)가 붙는 형태를 띤다.

  • han|한tet ('먹다') handór|한도르tet – 폭식가
  • hemu|헤무tet ('마시다') hemudór|헤무도르tet – 술고래
  • hateten|하테텐tet ('말하다') hatetendór|하테텐도르tet – 수다쟁이, 말 많은 사람
  • sisi|시시tet ('잔소리하다, 괴롭히다') sisidór|시시도르tet – 잔소리꾼, 괴롭히는 사람

6. 문법

테툼어는 동사 형태 변화 없이 부사나 특정 단어를 추가하여 시제를 표현한다. 진행 시상은 동사 뒤에 '머무르다'라는 뜻의 hela|헬라tet를 붙여 표현할 수 있다.

:Sira serbisu hela.|시라 세르비수 헬라.tet – '그들은 (여전히) 일하고 있다.'

부사는 형용사나 명사를 겹쳐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di'ak|디악tet (좋은) → didi'ak|디디악tet (잘)
  • foun|포운tet (새로운, 최근의) → foufoun|포우포운tet (새롭게, 최근에)
  • kalan|칼란tet (밤) → kalakalan|칼라칼란tet (밤마다)
  • lais|라이스tet (빠른) → lailais|라일라이스tet (빨리)
  • loron|로론tet (낮) → loroloron|로롤로론tet (매일)


테툼어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전치사는 동사 iha|이하tet('있다', '소유하다', '특정 위치')와 baa/ba|바/바아tet('가다', '~로', '~을 위해')이다. 영어의 대부분의 전치사 개념은 iha|이하tet, 목적어, 그리고 위치(명사로 표현)를 사용하여 형성된 명사구로 표현되며, 소유격 nia|니아tet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iha uma (nia) '''laran'''|이하 우마 (니아) 라란tet — '집 ''안쪽에'''’
  • iha foho (nia) '''tutun'''|이하 포호 (니아) 투툰tet — '산 ''꼭대기에'''’
  • iha meza '''leten'''|이하 메자 레뗀tet — '탁자 ''위에'''’
  • iha kadeira '''okos'''|이하 카데이라 오코스tet — '의자 ''밑에'''’
  • iha rai '''li'ur'''|이하 라이 리우르tet — '국가 ''밖에'''’
  • iha ema (nia) '''leet'''|이하 에마 (니아) 렛tet — '사람들 ''사이에'''’

6. 1. 시제

테툼어에서 시제는 동사 형태 변화 없이 부사나 특정 단어를 추가하여 표현한다. 진행 시상은 동사 뒤에 '머무르다'라는 뜻의 hela|헬라tet를 붙여 표현할 수 있다.

:Sira serbisu hela.|시라 세르비수 헬라.tet – '그들은 (여전히) 일하고 있다.'

6. 1. 1. 과거

가능한 경우, 과거 시제는 문맥에서 추론된다. 예를 들어, "Horisehik ha'u han etutet"는 '어제 저는 밥을 먹었습니다.'를 의미한다.

하지만, 문장 끝에 부사 onatet ('이미')를 붙여 표현할 수도 있다.

:Ha'u han etu onatet – '저는 (이미) 밥을 먹었습니다.'

onatet가 latet ('아니')와 함께 사용되면 '더 이상 ~하지 않는다'를 의미하며, '~하지 않았다'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Ha'u la han etu onatet – '저는 더 이상 밥을 먹지 않습니다.'

어떤 행위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전달하려면, seidauktet ('아직 ~하지 않다')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Ha'u seidauk han etutet – '저는 아직 밥을 먹지 않았습니다.'

과거에 발생한 행위를 이야기할 때, 동사와 함께 tihatet ('마침내' 또는 '정말로')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Ha'u han tiha etutet – '저는 밥을 먹었습니다.'

완료 시상은 tiha onatet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Ha'u han etu tiha onatet – '나는 밥을 먹었다.'

부정될 때, tiha onatet는 어떤 행위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Ha'u la han etu tiha onatet – '나는 더 이상 밥을 먹지 않았다.'

과거 행위가 일어나지 않았거나 결코 일어나지 않았음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ladauktet('아직 ~하지 않다' 또는 '결코 ~하지 않다')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Ha'u ladauk han etutet – '나는 밥을 먹지 않았다.'

6. 1. 2. 미래

미래 시제는 동사 앞에 sei|세이tet('will')를 붙여서 만든다.

:Ha'u|하우tet sei|세이tet fó hahán ba sira|포 하한 바 시라tet – '나는 그들에게 음식을 줄 것이다.'

부정형은 sei|세이tet와 동사 사이에 la|라tet('not')를 추가하여 만든다.

:Ha'u|하우tet sei la|세이 라tet fó hahán ba sira|포 하한 바 시라tet – '나는 그들에게 음식을 주지 않을 것이다.'

6. 2. 기타 문법 요소

부사는 형용사나 명사를 겹쳐서 만들 수 있다.

  • di'aktet '좋은' → didi'aktet '잘'
  • fountet '새로운, 최근의' → foufountet '새롭게, 최근에'
  • kalantet '밤' → kalakalantet '밤마다'
  • laistet '빠른' → lailaistet '빨리'
  • lorontet '낮' → lorolorontet '매일'


테툼어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전치사는 동사 ihatet('있다', '소유하다', '특정 위치')와 baa/batet('가다', '~로', '~을 위해')이다. 영어의 대부분의 전치사 개념은 ihatet, 목적어, 그리고 위치(명사로 표현)를 사용하여 형성된 명사구로 표현되며, 소유격 niatet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iha uma (nia) '''laran'''tet — '집 ''안쪽에'''’
  • iha foho (nia) '''tutun'''tet — '산 ''꼭대기에'''’
  • iha meza '''leten'''tet — '탁자 ''위에'''’
  • iha kadeira '''okos'''tet — '의자 ''밑에'''’
  • iha rai '''li'ur'''tet — '국가 ''밖에'''’
  • iha ema (nia) '''leet'''tet — '사람들 ''사이에'''’

7. 대한민국과의 관계

2004년 1월 10일, 경북대학교는 당시 동티모르 대통령 샤나나 구즈망의 부인 커스티 소드 구즈망에게 한글로 테툼어를 표기하는 것을 제안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하지만 나흘 뒤, 경북대학교는 실제로 그런 제안을 하지 않았으며, 외교 마찰이 우려되어 해당 사안을 진행하지 않겠다고 해명했다.[18]

8. 기본 회화


  • Bondiatet – '좋은 아침'(포르투갈어 Bom diams에서 유래)
  • Di'ak ka lae?tet – '어떻게 지내세요?' (직역: '잘 지내세요, 아니면 아니세요?')
  • Ha'u di'aktet – '잘 지냅니다.'
  • Obrigadu/Obrigadatet – '감사합니다', 남성/여성이 사용(포르투갈어 Obrigado/Obrigadams에서 유래).
  • Ita bele ko'alia Tetun?tet – '테툼어를 하세요?'
  • Loostet – '네'
  • Laetet – '아니요.'
  • Ha'utet [latet] komprendetet – '저는 [이해하지 못합니다]' (포르투갈어 compreenderms에서 유래).

참조

[1] 서적 Timor-Lest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http://www.statistic[...] Timor-Leste Ministry of Finance
[2]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3] 용어
[4] 웹사이트 A Traveller's Dictionary in Tetun-English and English-Tetun https://www.gnu.org/[...] 2018-06-13
[5] 서적 Tetum, A Language For Everyone: Tetun, Lian Ida Ba Ema Hotu-Hotu https://books.google[...] Mondial 2019-07-01
[6] 서적 A Guide to the People and Languages of Nusa Tenggara https://web.archive.[...] Artha Wacana Press 2019-11-12
[7] 서적
[8] 서적 Tetun Language Course Peace Corps East Timor
[9] 학술지 Tetun Dili And Creoles: Another Look http://ling.hawaii.e[...]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2015
[10] 웹사이트 The Languages of East Timor: Some Basic Facts https://web.archive.[...] 2004-08-24
[11] 웹사이트 Tetum and Other Languages of East Timor http://geo.ya.com/tr[...]
[12] 백과사전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3] 서적 Volume 2: Population Distribution by Administrative Areas,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Timor-Leste http://www.mof.gov.t[...] Timor-Leste Ministry of Finance
[14] 서적 Tetun Dili: A grammar of an East Timorese language http://sealang.net/a[...] Pacific Linguistic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2
[15] 학술지 Patterns of address in Dili Tetum, East Timor https://benjamins.co[...] 2006
[16] 서적 Tetum, Language Manual for East Timor Academy of East Timor Studies, Faculty of Education & Languages,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Macathur
[17] 웹사이트 Governo Decreto no. 1/2004 de 14 de Abril "O Padrão Ortográfico da Língua Tétum" http://www.mj.gov.tl[...]
[18] 뉴스 ‘동티모르에 한글 수출’해프닝 결론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4-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숫자테툼어표기
1{{lang|tet|ida|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