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이어니어 금속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어니어 금속판은 1972년과 1973년에 발사된 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에 실려 외계 지적 생명체에게 인류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 이 금속판은 6061-T6 금도금 양극산화처리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었으며, 수소 원자의 초미세 천이, 남녀의 모습, 탐사선의 외형, 은하계 중심과 펄서에 대한 태양의 상대 위치, 태양계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그러나 메시지의 인간 중심성, 성차별적 묘사, 지구 위치 노출 문제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임캡슐 - 1970년 세계 박람회
    1970년 일본 오사카에서 '인류의 진보와 조화'를 주제로 개최된 엑스포 '70은 단게 겐조의 마스터플랜, 오카모토 타로의 주제관, 각국의 파빌리온, 첨단 기술 시연 등으로 6,421만 명의 방문객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박람회였으며, 현재는 만국박람회기념공원으로 재개발되었다.
  • 타임캡슐 - 보이저 금제 음반
    보이저 금제 음반은 외계 문명에게 지구와 인류를 알리기 위해 보이저 1, 2호에 실린 타임 캡슐로, 다양한 언어의 인사말, 자연의 소리, 음악, 메시지 등이 담긴 금 도금 구리 디스크이다.
  • 파이어니어 계획 - 파이어니어 0호
    파이어니어 0호는 미국의 초기 달 탐사선으로, 1958년 발사 직후 토르 미사일 결함으로 폭발하여 실패했지만, 초기 우주 개발의 어려움과 교훈을 남겼다.
  • 파이어니어 계획 - 파이어니어 10호
    파이어니어 10호는 NASA에서 발사한 외태양계 탐사선으로, 소행성대를 통과하여 목성을 탐사했으며 외계 지적 생명체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담은 금속판이 부착되어 있고 태양계 밖으로 나간 최초의 인공물이다.
  • 외계의 지적생명탐사 - 프랭크 드레이크
    프랭크 드레이크는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의 선구자로서 오즈마 계획을 수행하고 드레이크 방정식을 고안했으며, 대학교 교수 및 천문대 소장, 파이오니어 판과 보이저 황금 레코드 개발 참여 등 우주 생명체 탐색과 인류의 메시지 전송에 기여한 미국의 천문학자이자 천체물리학자이다.
  • 외계의 지적생명탐사 - 보이저 금제 음반
    보이저 금제 음반은 외계 문명에게 지구와 인류를 알리기 위해 보이저 1, 2호에 실린 타임 캡슐로, 다양한 언어의 인사말, 자연의 소리, 음악, 메시지 등이 담긴 금 도금 구리 디스크이다.
파이어니어 금속판
개요
파이어니어 금속판
파이어니어 금속판 그림
설명파이어니어 10호파이어니어 11호 탐사선에 실린 인류에 대한 그림 메시지
상세 내용
제작칼 세이건프랭크 드레이크가 설계
목적외계 지적 생명체에게 인류의 존재와 지구의 위치를 알리기 위함
특징금도금 알루미늄 합금 재질
가로 23cm, 세로 15cm 크기
탐사선 안테나 지지대에 부착
도안남녀의 모습
수소 원자의 초미세 구조 전이
태양계 위치
파이어니어 탐사선의 궤적
논란여성의 성기가 묘사되지 않음
인종적 편견 논란
과학적 정보
수소 원자가장 흔한 원소
초미세 구조 전이를 이용한 시간 및 길이 측정 기준 제시
태양계 지도14개의 펄사 위치 표시
펄사 주기를 이진수로 표현
지구 위치 특정
인간남성의 키: 수소 원자 파장의 14배
여성의 키: 남성보다 약간 작게 묘사
손을 들어 인사하는 모습
탐사선탐사선 크기를 인간과 비교 가능하도록 묘사

2. 역사

탐사선에 인류의 메시지를 싣는다는 아이디어는 원래 과학 평론가이자 저널리스트인 에릭 버지스가 매리너 9호 임무가 진행되던 당시 캘리포니아주 파사데나의 제트 추진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처음 언급되었다. 그는 우주 과학 작가 리처드 C. 호글랜드와 함께 칼 세이건을 만났다. 세이건은 이전에 크림 자치 공화국에서 열린 회의에서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에 대해 강연을 했다.

세이건은 파이오니아 탐사선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그들의 생각에 열중했다. NASA는 이 계획을 승인했고, 세이건에게 메시지를 준비할 기간으로 3주를 주었다. 세이건은 프랭크 드레이크와 함께 금속판을 디자인했고, 거기에 그려질 도판은 당시 세이건의 아내 린다 살츠만 세이건이 준비했다. (후년에 호글랜드가 이 금속판의 실제 디자인 고안자로서 자신의 이름을 크레딧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이 주장은 세이건과 드레이크 양쪽으로부터 강하게 거부되었다. 그들은 호글랜드의 기여는 탐사선에 뭔가를 싣는다는 아이디어 부분뿐이라고 주장했다.)

첫 번째 금속판은 1972년 3월 2일파이어니어 10호와 함께 발사되었고, 두 번째 금속판은 1973년 4월 5일파이어니어 11호로 발사되었다. 이 두 대의 탐사선은 1980년대에 태양계를 탈출했다.

2. 1. 제작 배경

탐사선에 인류의 메시지를 싣는다는 아이디어는 과학 평론가이자 저널리스트인 에릭 버지스가 매리너 9호 임무가 진행되던 당시 제트 추진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처음 언급되었다. 그는 우주 과학 작가 리처드 C. 호글랜드와 함께 칼 세이건에게 이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크림 자치 공화국에서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에 대해 강연한 적이 있던 세이건은 이 아이디어에 적극 동의했다.

NASA는 이 계획을 승인하고 세이건에게 메시지를 준비할 3주를 주었다. 세이건은 프랭크 드레이크와 함께 금속판을 디자인하였고, 금속판에 새겨진 남녀 그림을 포함한 삽화는 당시 세이건의 아내였던 린다 살츠만 세이건이 준비했다. 이후 호글랜드가 자신이 금속판 디자인의 고안자라고 주장했지만, 세이건과 드레이크는 호글랜드의 기여는 탐사선에 메시지를 싣는다는 아이디어뿐이었다고 반박했다.

최초의 금속판은 1972년 3월 2일파이어니어 10호와 함께 발사되었으며, 1973년 4월 5일에 발사된 파이어니어 11호에도 두 번째 금속판이 실렸다. 두 탐사선은 모두 1980년대에 태양계를 탈출했다. 금속판은 캘리포니아주 샌카를로스의 Precision Engravers에서 제작되었다.[1]

2. 2. 제작 및 발사

탐사선에 인류의 메시지를 싣는 아이디어는 에릭 버지스(Eric Burgess)가 매리너 9호 임무 당시 제트 추진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처음 언급되었다. 그는 리처드 C. 호글랜드와 함께 칼 세이건에게 이 아이디어를 제안했고, 세이건은 크림 자치 공화국에서 열린 회의에서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에 대해 강연한 적이 있었다.

칼 세이건은 이 아이디어에 동의했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이 계획을 승인하여 세이건에게 3주 동안 메시지를 준비할 시간을 주었다. 세이건은 프랭크 드레이크와 함께 금속판을 디자인했으며, 당시 세이건의 아내였던 린다 살츠만 세이건(Linda Salzman Sagan)이 그림을 준비했다. 존 롬버그(Jon Lomberg)도 예술적으로 기여했다.[2]

금속판은 캘리포니아주 샌카를로스의 Precision Engravers에서 제작되었다.[1] 1972년 3월 2일 파이어니어 10호에 첫 번째 금속판이 실려 발사되었고, 1973년 4월 5일 파이어니어 11호에 두 번째 금속판이 실려 발사되었다. 이 두 탐사선은 1980년대에 태양계를 탈출했다.

3. 사양

실제 파이어니어 금속판


파이어니어 금속판은 6061-T6 금도금 양극산화처리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었다. 폭은 229mm, 높이는 152mm, 두께는 1.27mm이다. 조각의 평균 깊이는 0.381mm이다.

4. 금속판에 새겨진 내용

4. 1. 중성수소의 초미세 천이



금속판 왼쪽 위에는 우주에서 가장 많은 수소 원자의 초미세 천이 개념도가 있다. 이 기호 아래의 짧은 세로선은 이진법으로 1을 나타낸다. 수소 원자 궤도 전자의 스핀이 위쪽(평행)에서 아래쪽(반평행)으로 바뀔 때 방출되는 전자기파(21cm선)의 파장(21 cm)과 진동수(1420 MHz)를 각각 길이와 시간 단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 그림에서도 이 두 가지가 단위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소 원자 전자의 스핀-플립 전이는 약 1420.405 MHz의 주파수를 가지며, 이는 0.704 ns의 주기에 해당한다. 이 주파수의 빛은 21.106 cm의 진공 파장을 갖는다.

4. 2. 남녀의 모습

남녀의 모습


금속판의 오른쪽에는 탐사선 그림 앞에 남성과 여성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여성의 머리끝과 발끝 옆에 있는 2개의 수평선 사이에는 이진법으로 8이 적혀있는데, 이는 수소선 파장(21cm)을 단위로 여성의 키가 168cm임을 나타낸다.

남성은 우호의 표시로 오른손을 들고 있다. 이 그림은 인간이 맞선 엄지를 보일수 있고 사지를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성의 성기는 치구만 간략하게 묘사되었다. 이는 금속판 완성 시간이 부족했고, 너무 상세한 묘사는 NASA의 승인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칼 세이건의 판단 때문이었다. 원래 디자인에는 여성의 외음부를 나타내는 짧은 선이 있었으나, NASA의 존 노글이 금속판 탑재 승인 조건으로 삭제를 요구했다.

4. 3. 탐사선의 외형

남녀 모습의 배경에는 파이어니어 탐사선의 외형이 그려져 있다. 이 그림은 인간과 같은 축척으로 그려지고 있어 탐사선의 실물크기를 바탕으로 해 인간의 크기를 추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4. 4. 은하계 중심과 14개 펄서에 대한 태양의 상대 위치

금속판의 왼쪽에는 방사형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15개의 선이 같은 원점에서 뻗어 나오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14개의 선에는 긴 이진수가 쓰여 있으며, 이는 21cm 수소선의 진동수(역수)를 단위로 한 펄서의 주기를 나타낸다. 펄서의 펄스 주기는 시간에 따라 변하므로, 이를 통해 탐사선의 발사 시기를 계산할 수 있다.

각 선의 길이는 태양에서 각 펄서까지의 상대 거리를 나타내며, 선 끝의 눈금은 은하 평면에 수직인 Z축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만약 금속판이 발견된다면, 발견된 장소에서는 표시된 펄서 중 일부만 관측 가능할 수 있다. 14개의 펄서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그중 일부만으로도 삼각측량을 통해 태양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의 15번째 선은 오른쪽으로 뻗어 있으며, 태양에서 은하 중심까지의 상대 거리와 방향을 나타낸다.

펄서 지도와 수소 원자 다이어그램은 보이저 골든 레코드와 공유된다.

4. 5. 태양계

금속판의 아래쪽에는 태양계의 개념도가 그려져 있으며, 탐사선의 작은 그림과 함께 목성을 통과해 태양계를 탈출하는 궤도가 나타나 있다. 태양계를 구별하기 위한 힌트로 토성의 고리가 그려져 있지만, 발사 당시 확인되지 않았던 목성, 천왕성, 해왕성의 고리는 그려져 있지 않다.

각 행성(발사 당시에는 명왕성도 행성으로 분류되었으므로 9개[4])의 상하에 쓰여 있는 이진수는 각각의 행성과 태양 사이의 상대 거리를 나타내며, 거리의 단위는 수성 궤도 반경 1/10이 이용되었다. ''파이어니어 10''과 ''11''은 동일한 금속판을 가지고 있지만, 발사 후 ''파이어니어 11''은 토성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태양계를 벗어났기 때문에 ''파이어니어 11'' 금속판은 궤적에 있어서는 정확하지 않다.

명왕성은 금속판 설계 당시에는 행성으로 여겨졌지만, 2006년 IAU는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재분류했다.

5. 비평

비평가들은 이 금속판에 대해, 이것에 그려진 메시지는 너무나 인간 중심주의적이라서 금속판을 해독할 외계생명체가 이해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비판했다. 이 금속판 메시지는 쉽게 읽을 수 있다는 것보다는 최소한의 공간에 최대한의 정보를 담는다는 의도 아래 설계된 것이지만, 이 메시지를 본 연구원 중에서 메시지를 모두 읽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인류와 같은 지식을 공유하고 있지 않은 지구 밖 지적 생명체가 이것을 해독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된다. 만약 이 금속판이 지구 밖에 존재하는 지적 생명체에 의해서 발견되면, 우리가 이집트의 상형 문자를 해독하는데 몇세기나 걸린 것과 같이, 발견자가 메시지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수세대를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

이 금속판에 대한 다른 비평으로서 악의를 가진 지구 밖에 존재하는 지적 생명체가 이 메시지의 정보를 사용해 지구를 발견·공격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탐사기의 고향을 이러한 방법으로 나타내 보이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는, 비판도 있다. 이것에 대해서 세이건은, 이 메시지가 가까운 장래에 발견될 가능성은 매우 적은 일이며, 또 지구는 수십 년간에 걸쳐서 라디오·텔레비전 방송의 전파를 광속으로 지구 밖으로 계속 방사하고 있어(라디오 방송은 1930년대에 실용화되었으므로, 계획 실시 시점에서 이미 40년), 이미 지구의 존재는 은하계 내에 선전되고 있다는 것을 들어 이러한 견해에 반대했다.

프랭크 드레이크에 의하면, 이 금속판에 그려진 인간이 알몸인 것에 대하여 많은 부정적인 반응이 있었다(Sagan, 1978). 시카고 선타임스는 남녀의 그림의 성기를 숨기도록 화상을 수정해 게재했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NASA가 우주에 외설화를 보내기 위해서 납세자 돈을 낭비했다고 비난 하는 독자로부터의 항의 편지를 받았다.

파이어니어 금속판의 도표에서 인간이 이해하기 가장 쉬운 부분 중 하나가 잠재적인 외계인 발견자에게는 가장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바로 파이어니어의 궤적을 보여주는 화살표이다. 언스트 곰브리치는 화살표가 지구와 같은 수렵 채집 사회의 산물이기 때문에 화살표 사용을 비판했다.

미술 평론가 크레이그 오언스는 도표 속 남자가 외계인을 맞이하기 위해 손을 들어 올리는 제스처를 취하는 반면, 여자는 손을 옆에 두고 있는 결정에서 성적 편견이 드러난다고 말했다. 페미니스트 역시 같은 이유로 이 선택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러한 비판을 잠재우기 위해, 비슷한 커플의 두 번째 그림이 제공되었고, 여성은 대신 손을 들고 있었다.[2]

칼 세이건은 완성된 조각상 속 인물들이 범인종적으로 보이지 않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의도는 그랬지만, 최종 인물들은 지나치게 백인처럼 보인다는 비판을 받았다. 둘 다 넓고 평평한 코를 가지고 있었고, 여성은 동아시아인을 닮도록 눈꺼풀 주름을 갖게 되었다. 원래 그림에서 남자는 "아프로" 헤어스타일로 그려져 있었고, 인물을 더욱 범인종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남자에게 아프리카의 추가적인 신체적 특징이 포함될 예정이었지만, 그 세부 사항은 완성된 조각에서 "비아프리카 지중해 곱슬머리"로 변경되었다. 게다가 칼 세이건은 린다 세이건이 남자와 여자 모두 갈색 머리를 묘사하려 했지만, 머리카락이 윤곽만 그려지고 음영 처리가 되지 않아 금발처럼 보이게 되었다고 말했다. 다른 사람들은 인물들이 묘사하는 인종에 대해 다른 해석을 했다. 백인, 흑인, 동아시아인은 각자 인물들이 자신의 인종 집단과 닮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어떤 사람들은 자신의 인종이 모든 인류를 대표하도록 선택된 것처럼 보인다는 데 자부심을 느꼈지만, 다른 사람들은 다른 인종의 "명백한 배제" 때문에 그 인물들을 "끔찍하게 인종차별적"이라고 보았다.

린다 세이건은 모든 인류를 대표하기 위해 어떤 옷을 입혀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와 외계인에게 인체 해부학을 더 교육적으로 만들기 위해 인물들을 누드로 만들기로 결정했지만, 일부는 그들의 누드를 외설적인 것으로 보았다. 천문학자 프랭크 드레이크에 따르면, 인간이 벌거벗은 채로 묘사되었기 때문에 이 조각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최종 디자인의 이미지가 미국 신문에 게재되었을 때, 한 신문은 남자의 성기를 제거한 이미지를 게재했고, 다른 신문은 남자의 성기와 여자의 젖꼭지를 모두 제거한 이미지를 게재했다. 한 신문에 보낸 편지에서 한 사람은 이미지의 누드가 이미지를 외설적으로 느끼게 한다고 격분하여 썼다. 반대로, 같은 신문에 보낸 다른 편지에서 한 사람은 누드 묘사를 외설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의 고상함을 비판했다. }} 여성 인물의 성기 검열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과학자이자 예술가인 조 데이비스는 MIT 레이더 접시를 사용하여 질 탐지기의 녹음을 전송하는 자신의 "포에티카 바기날(Poetica Vaginal)" 프로젝트로 이 묘사에 항의했다.[3]

5. 1. 메시지의 인간 중심성

비평가들은 이 금속판에 그려진 메시지가 너무나 인간 중심적이어서 금속판을 해독할 외계 생명체가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금속판 메시지는 쉽게 읽을 수 있다는 것보다는 최소한의 공간에 최대한의 정보를 담는다는 의도 아래 설계된 것이지만, 이 메시지를 본 연구원 중에서 메시지를 모두 읽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인류와 같은 지식을 공유하고 있지 않은 지구 밖 지적 생명체가 이것을 해독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금속판의 도표에서 인간이 이해하기 가장 쉬운 부분 중 하나가 잠재적인 외계인 발견자에게는 가장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바로 파이어니어의 궤적을 보여주는 화살표이다. 언스트 곰브리치는 화살표가 지구와 같은 수렵 채집 사회의 산물이기 때문에 화살표 사용을 비판했다.

칼 세이건은 완성된 조각상 속 인물들이 범인종적으로 보이지 않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원래 그림에서 남자는 "아프로" 헤어스타일로 그려져 있었고, 인물을 더욱 범인종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남자에게 아프리카의 추가적인 신체적 특징이 포함될 예정이었지만, 그 세부 사항은 완성된 조각에서 "비아프리카 지중해 곱슬머리"로 변경되었다.

프랭크 드레이크에 의하면, 이 금속판에 그려진 인간이 알몸인 것에 대하여 많은 부정적인 반응이 있었다. 시카고 선타임스는 남녀 그림의 성기를 숨기도록 화상을 수정해 게재했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NASA가 우주에 외설화를 보내기 위해서 납세자 돈을 낭비했다고 비난하는 독자로부터의 항의 편지를 받았다.

5. 2. 성차별 및 인종 대표성 문제

파이어니어 금속판의 그림은 남성이 능동적이고 여성이 수동적으로 묘사되었다는 점에서 성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2] 크레이그 오언스는 그림 속 남자가 외계인을 향해 손을 들어 인사하는 모습으로 묘사된 반면, 여성은 손을 옆에 두고 가만히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 것에 대해 성적 편견이 드러난다고 지적했다. 페미니스트들 역시 같은 이유로 이 장면에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그림 속 인물들이 백인 중심적으로 묘사되어 인종적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칼 세이건은 완성된 조각상 속 인물들이 범인종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안타까워했다. 원래 의도와는 달리, 최종 인물들은 지나치게 백인처럼 보인다는 비판을 받았다.

여성의 성기 묘사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린다 세이건은 모든 인류를 대표하기 위해 인물들을 나체로 묘사했지만, 일부에서는 이를 외설적이라고 비판했다. 프랭크 드레이크는 인간이 벌거벗은 채로 묘사되었기 때문에 이 조각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다고 언급했다. 조 데이비스는 여성의 성기가 검열된 것에 대해 비판하며, 자신의 프로젝트를 통해 이에 항의했다.[3]

5. 3. 지구의 위치 노출 문제

이 금속판의 메시지는 최소한의 공간에 최대한의 정보를 담도록 설계되었지만, 인간 연구자들조차 모두 해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인류와 지식을 공유하지 않는 외계 생명체에게는 해독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는 비판이 있었다. 만약 외계 지적 생명체가 금속판을 발견한다면,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처럼 수 세대가 걸릴 수도 있다.

악의적인 외계 생명체가 금속판의 정보를 이용해 지구를 공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칼 세이건은 메시지가 가까운 미래에 발견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며, 지구는 이미 수십 년간 라디오와 텔레비전 전파를 통해 지구의 존재를 알려왔다고 반박했다.

또한, 금속판에 그려진 인간이 나체라는 점에 대해서도 많은 비판이 있었다. 시카고 선타임스는 남녀의 성기를 가린 이미지를 게재했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는 NASA가 외설적인 그림을 보내기 위해 세금을 낭비했다는 항의 편지가 실렸다.

5. 4. 기타

일부 언론에서는 파이어니어 금속판에 묘사된 남녀의 성기를 문제 삼아 이미지를 수정하여 보도하기도 했다.[3] 시카고 선타임스는 남녀 그림의 성기를 가린 이미지를 게재했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NASA가 외설적인 그림을 보내기 위해 세금을 낭비했다는 독자들의 항의 편지를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Plaque Engraving, Sign Engraving - Precision Engravers, San Carlos http://www.precision[...] 2020-06-29
[2] 서적 The Vinyl Frontier: The Story of NASA's Interstellar Mixtap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03-21
[3] 논문
[4] 문서 パイオニア10号・11号が打ち上げられた当時、冥王星は「第9惑星」であ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