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이어니어 1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어니어 10호는 1972년 발사된 NASA의 외행성 탐사선으로, 보이저 계획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소행성대를 최초로 통과하고 목성을 탐사하여 근접 촬영 이미지를 전송했으며, 태양계 탈출 궤도에 진입하여 심우주 탐사를 시작했다. 1997년 공식 임무가 종료된 후에도 신호 추적이 이어졌으나, 2006년 마지막 교신 이후 연락이 두절되었다. 현재 파이어니어 10호는 태양계 밖으로 이동 중이며, 약 2백만 년 후 알데바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발사한 우주선 - 아폴로 16호
    아폴로 16호는 1972년 4월 16일에 발사되어 데카르트 고원에 착륙, 3일간 달 표면을 탐사하고 다량의 표본을 채취했으며, 월면차 최고 속도 기록을 세우고 달 궤도에 위성을 배치하는 등 다양한 과학 관측을 수행한 아폴로 계획의 다섯 번째 유인 달 착륙 임무이다.
  • 1972년 발사한 우주선 - 아폴로 17호
    아폴로 17호는 1972년 12월 유진 서넌, 로널드 에반스, 해리슨 슈미트가 참여하여 타우루스-리트로 계곡을 탐사하고 110.52kg의 월석을 채취하는 등 지질학적 성과를 거둔 마지막 유인 달 착륙 임무이다.
  • 1972년 3월 -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카메룬에서 개최되어 콩고 공화국이 말리를 꺾고 우승했으며, 판타마디 케이타가 득점왕을 차지한 8번째 대회이다.
  • 1972년 3월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72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72는 1972년 3월 25일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개최된 17번째 대회로, 모나코가 우승했으나 재정 문제로 BBC가 대신 주최했으며 룩셈부르크 대표 비키 레안드로스가 우승했고, BBC가 런던 외곽에서 처음 개최한 대회이자 스코틀랜드에서 개최된 유일한 대회이다.
  • 파이어니어 계획 - 파이어니어 0호
    파이어니어 0호는 미국의 초기 달 탐사선으로, 1958년 발사 직후 토르 미사일 결함으로 폭발하여 실패했지만, 초기 우주 개발의 어려움과 교훈을 남겼다.
  • 파이어니어 계획 - 파이어니어 H
    파이어니어 H는 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의 예비 부품으로 제작되었으나 NASA의 승인 실패로 발사되지 못하고 현재는 파이어니어 10호 복제품으로 박물관에 전시된, 태양 관측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던 우주 탐사선이다.
파이어니어 10호
개요
파이어니어 우주선의 상상도
성간 공간으로 향하는 파이어니어 10호 우주선의 상상도
임무 정보
임무 유형행성/태양권 탐사
운영 기관NASA / 에임스
웹사이트science.nasa.gov
COSPAR ID1972-012A
SATCAT5860
임무 기간1972년 3월 2일 - 2003년 1월 23일
우주선 종류해당 사항 없음
제조사TRW
건조 질량해당 사항 없음
발사 질량258 kg
전력155 와트 (발사 시)
발사 정보
발사 일시1972년 3월 3일, 01:49:04 UTC
발사 로켓아틀라스 SLV-3C 센타우르-D 스타-37E
발사 장소케이프 커내버럴 LC-36A
발사 계약자해당 사항 없음
폐기 정보
폐기 유형임무 종료
임무 종료 선언일1997년 3월 31일
마지막 교신2002년 4월 27일 (마지막 텔레메트리)
마지막 신호 수신2003년 1월 23일
행성 간 비행 정보
유형플라이바이
대상목성
거리132,252 km
도착 일자1973년 12월 3일
기호
파이어니어 10, 11 미션 패치
파이어니어 미션 패치
탑재 장비
HMV헬륨 벡터 자기력계
-쿼드리스페리컬 플라스마 분석기
CPI대전 입자 측정기
CRT우주선 망원경
GTT가이거 튜브 망원경
TRD포획 방사선 감지기
-유성체 감지기
AMD소행성/유성체 감지기
-자외선 광도계
IPP이미징 광도계
-적외선 방사계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파이어니어 계획
이전 임무파이어니어 6 ~ 9호
다음 임무파이어니어 11

2. 역사적 배경

1960년대, NASA 제트 추진 연구소의 게리 플랜드로는 외행성들의 희귀한 정렬을 이용하는 행성 대탐사 임무를 구상했다. 이는 1970년대 후반 보이저 계획 탐사선들에 의해 수행되었지만, NASA는 1964년에 외태양계에 두 쌍의 탐사선을 발사하는 실험을 하기로 결정했다. 제임스 A. 밴 앨런이 의장을 맡은 단체는 외행성 탐험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했다.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는 소행성대를 통과하여 목성을 방문하는 "은하계 목성 탐사선" 제안을 만들었다. 탐사선은 1972년과 1973년의 유리한 기간에 발사될 예정이었다. 1969년 2월 NASA의 승인을 받은 이 쌍둥이 우주선은 발사 전 ''파이오니어 F''와 ''파이오니어 G''로 지정되었고, 이후 ''파이어니어 10호''와 ''파이어니어 11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들은 1958년과 1978년 사이에 발사된 파이어니어 계획의 일부였다.

초기 임무 목표는 화성 궤도 너머 행성 간 매체 탐사, 소행성대 연구 및 벨트 통과 위험 평가, 목성과 그 환경 탐사였다. 이후 개발 단계에서는 목성 주변 방사선이 우주선 장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탐사선이 목성에 접근하는 것이 목표에 포함되었다. 150개 이상의 과학 실험이 제안되었고, 1970년 초에 최종 실험이 결정되었다. 이 실험들은 목성과 위성들에 대한 이미징 및 편광 측정, 적외선 및 자외선 관측, 소행성과 유성 감지, 하전 입자 조성 결정, 자기장, 플라즈마, 우주선 및 황도광 측정을 포함했다.

NASA 에임스 연구 센터가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대신 파이어니어 계획의 일환으로 이 프로젝트를 관리하도록 선정되었다.

2. 1. 개발 과정

NASA는 TRW Inc.에 파이어니어 10호와 파이어니어 11호 제작을 맡겼으며, 총 3.8억달러의 계약을 체결했다.[1] B. J. O'Brien과 Herb Lassen이 TRW 팀을 이끌어 우주선을 조립했으며, 설계 및 제작에는 약 2,500만 인시가 소요되었다. TRW의 한 엔지니어는 "이 우주선은 2년간의 행성 간 비행을 보장합니다. 이 보증 기간 내에 구성 요소가 고장 나면 우주선을 저희 작업장으로 반환해 주시면 무상으로 수리해 드리겠습니다."라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1]

발사 시기는 통신 및 궤도 조건을 고려하여 1972년 2월 29일부터 3월 17일 사이로 결정되었다. 이는 심우주 네트워크 사용 시 다른 임무와의 충돌을 피하고, 지구와 목성이 태양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기간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파이어니어 10호의 조우 궤도는 목성 주변의 방사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얻을 수 있도록 선택되었으며, 행성 반경의 약 3배 이내로 접근하여 방사선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거리로 여겨졌다.

3. 구조

파이어니어 10호의 본체는 육각형 모양이며, 깊이는 36cm이고 각 패널의 길이는 76cm이다. 본체에는 탐사선의 방향을 제어하는 추진제와 11개의 과학 장비 중 8개가 탑재되어 있었다. 장비 구획은 유성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알루미늄 벌집 구조 내에 위치해 있었고, 알루미늄 처리된 마일러와 캡톤 담요로 구성된 단열층은 수동적인 열 제어를 제공했다. 열은 구획 내부의 전기 부품에서 발생하는 70~120 와트(W)의 열 소산으로 생성되었으며, 이 열 범위는 장비 작동 한계 내에서 장착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루버를 통해 유지되었다.

발사 당시 파이어니어 10호는 지름 42cm의 구형 탱크에 36kg의 액체 히드라진 단일 추진제를 탑재했다. 탐사선의 방향은 세 쌍으로 장착된 4.5 N의 히드라진 추력기 6개로 유지되었다.[2] 한 쌍은 4.8 rpm의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고, 다른 한 쌍은 전방 추력을 제어하며, 나머지 한 쌍은 자세를 제어했다. 자세를 제어하는 한 쌍은 지구 궤도를 추적하기 위한 원추 주사 기동에 사용되었다.[3] 방향 정보는 카노푸스를 참조할 수 있는 별 센서와 두 개의 태양 센서로도 제공되었다.

파이어니어 10호는 4개의 SNAP-19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를 사용했다. RTG는 각각 3m 길이이고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 두 개의 3개 막대 트러스에 위치해 있었다. RTG는 발사 시 총 155W를 제공했으며, 목성으로 이동하는 동안 140W로 감소했다. 우주선은 모든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100W를 필요로 했다. 발전기는 플루토늄-238 방사성 동위원소 연료로 전력을 공급받았으며, 이는 흑연 방열판으로 보호되는 다층 캡슐에 보관되어 있었다. 플루토늄-238은 반감기가 87.74년이므로 29년 후 RTG에서 생성되는 방사선은 발사 시 강도의 80%에 달했다. 그러나 열전쌍 접합부의 지속적인 열화로 전기 에너지 생산이 더욱 빠르게 감소하여 2001년에는 총 전력 출력이 65W였다.

파이오니어 10호 모형의 연장 붐에 장착된 SNAP-19 RTG


우주 탐사선에는 좁은 빔, 고이득 안테나에 부착된 송수신기 1개와 무지향성 안테나 및 중간 이득 안테나에 부착된 송수신기 1개로 구성된 이중화된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 고이득 안테나의 파라볼라 반사경은 지름이 2.74m이고 알루미늄 벌집 샌드위치 재료로 만들어졌다. 우주선은 이 안테나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구를 향하도록 방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각 송수신기는 8W이며, 심우주 네트워크가 신호를 추적하여 지구로부터의 업링크에는 2110MHz, 지구로의 다운링크에는 2292MHz를 사용하여 S-band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했다. 전송될 데이터는 컨볼루션 코드를 통해 통과하므로 대부분의 통신 오류는 지구의 수신 장비에 의해 오류 감지 및 수정될 수 있었다.

칼 세이건의 제안으로 파이어니어 10호와 파이어니어 11호는 다른 행성계의 지적 생명체에 의해 발견될 경우를 대비하여 152by 크기의 금속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기념 명판을 탑재했다. 이 명판에는 우주선의 기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여러 기호와 함께 남녀의 나체 형상이 묘사되어 있다. 명판은 성간 먼지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안테나 지지대에 부착되었다.

파이어니어 명판

3. 1. 과학 장비

파이어니어 10호는 목성 및 우주 공간 탐사를 위해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했다.

헬륨 벡터 자력계(Helium Vector Magnetometer, HVM)
이 장비는 행성간 자기장의 미세 구조를 측정하고, 목성의 자기장을 지도화했으며, 목성과 태양풍의 상호 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자기장 측정을 제공했다. 자력계는 우주선의 자기장으로부터 장비를 부분적으로 격리하기 위해 6.6m 붐에 장착된 헬륨으로 채워진 셀로 구성되어 있다.
사구형 플라즈마 분석기
태양에서 기원하는 태양풍의 입자를 감지하기 위해 대형 접시 모양의 안테나의 구멍을 통해 관찰한다.[4]
하전 입자 장비 (CPI)
태양계의 우주선을 감지한다.[5]
우주선 망원경 (CRT)
우주선 입자의 구성과 에너지 범위를 수집한다.[6]
가이거 계수관 망원경 (GTT)
목성의 방사선 벨트를 통과하는 우주선의 경로를 따라 전자와 양성자의 강도, 에너지 스펙트럼 및 각도 분포를 조사한다.[7]
포획된 방사선 감지기 (TRD)
입자가 통과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는 비집속 체렌코프 계수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0.5~12 MeV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를 기록하고, 100~400 keV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를 위한 전자 산란 감지기, 그리고 최소 이온화 입자(<3 MeV)와 50~350 MeV 범위의 양성자를 측정하는 고체 다이오드로 구성된 최소 이온화 감지기를 포함한다.[8]
유성체 감지기
주 안테나 뒷면에 장착된 12개의 가압 셀 감지기 패널이 작은 유성체의 침투 충격을 기록한다.[9]
소행성/유성체 감지기 (AMD)
유성체-소행성 감지기는 먼지 조각부터 멀리 떨어진 큰 소행성까지 다양한 입자를 추적하기 위해 4개의 비이미징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찰한다.[10]
자외선 분광계
자외선은 공간 및 목성의 수소와 헬륨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감지된다.[11]
이미징 편광계 (IPP)
이 이미징 실험은 우주선의 회전을 이용하여 0.03도 폭의 좁은 스트립으로 작은 망원경이 행성을 가로질러 빨간색과 파란색 빛으로 행성을 관찰한다. 그런 다음 이 스트립을 처리하여 행성의 시각적 이미지를 구성했다.[12]
적외선 복사계
구름 온도와 목성에서 방출되는 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13]



이 외에도, 파이어니어 10호는 칼 세이건의 제안으로 외계 지적 생명체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담은 금속판을 탑재했다.

4. 탐사 일정

파이어니어 10호는 1972년 3월 3일에 발사되어 1973년 12월목성에 약 130000km까지 접근하여 사진을 전송했다.[26][27]

시간이벤트
1972년 3월 3일발사[26][27]
1972년 6월화성 궤도 통과
1972년 7월 15일소행성대 진입[26][27]
1972년 7월 15일목성 관찰 시작
1973년 12월 3일목성계 조우 시작[26][27]
1974년 1월 1일파이어니어 성간 탐사 시작[26][27]
1975년 2월 10일미국 우체국에서 기념 우표 제작 (보기)[26][27]
1983년 4월 25일명왕성 궤도 통과[26][27]
1983년 6월 13일해왕성 궤도 통과[26][27]
1997년 3월 31일탐사 종료, 텔레메트리 기록은 유지[26][27]
1998년 2월 17일보이저 1호가 69.419AU에서 파이어니어 10호 앞지름[26][27]
2002년 3월 2일텔레메트리 성공적으로 수신 완료 (79.83 AU)[26][27]
2002년 4월 27일마지막으로 텔레메트리 성공적으로 수신 완료 (80.22 AU)[26][27]
2003년 1월 23일마지막 신호 수신[26][27]
2003년 2월 7일우주선 접촉 실패[26][27]
2005년 12월 30일89.7AU에 도달 예상[26][27]
2009년 10월100AU에 도달, 27만 1000년후에 프록시마 센타우리 가까운 별에 도착[26][27]


4. 1. 발사 및 초기 궤도

1972년 3월 3일 01시 49분 00초 UTC(3월 2일 동부 표준시 오후 8시 49분), 파이어니어 10호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플로리다주 우주 발사 단지 36A에서 아틀라스-켄타우로스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1] 발사체는 3단계로 구성되었는데, 파이어니어 임무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고체 연료 스타-37E 단계(TE-M-364-4)가 사용되었다. 이 단계는 약 약 6803.88kg의 추력을 제공하며 우주선을 회전시켰다.

파이어니어 10호 발사


우주선의 초기 회전 속도는 30 rpm이었다. 발사 후 20분 만에 세 개의 붐이 펼쳐지면서 회전 속도는 4.8 rpm으로 감소했고, 이 속도는 항해 내내 유지되었다. 발사체는 17분 동안 가속하여 51682km/h의 속도에 도달했다.[1]

고이득 안테나와 접촉 후, 우주선이 지구 방사선 벨트를 통과하는 동안 여러 기기가 테스트를 위해 활성화되었다. 발사 90분 후, 우주선은 행성 간 공간에 도달했다.[1] 파이어니어 10호는 11시간 만에 달을 지나쳐[1] 당시 가장 빠른 인공 물체가 되었다.[1] 발사 이틀 후, 우주선 과학 기기가 켜졌으며, 우주선 망원경이 먼저 작동했다. 열흘 후, 모든 기기가 활성화되었다.[1]

여행 초기 7개월 동안, 우주선은 세 번의 궤도 수정을 거쳤다. 탑재된 기기는 점검을 받았으며, 광도계는 목성과 황도광을 관찰했고, 실험 패키지는 우주선, 자기장 및 태양풍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유일한 이상 현상은 카노푸스 센서의 고장이었으며, 이로 인해 우주선은 두 개의 태양 센서를 사용하여 방향을 유지해야 했다.[1]

4. 2. 소행성대 통과

1972년 7월 15일, 파이어니어 10호는 화성목성 궤도 사이에 위치한 소행성대에 진입한 최초의 우주선이 되었다. 프로젝트 기획자들은 소행성대를 안전하게 통과할 것으로 예상했고, 실제로 파이어니어 10호는 1973년 2월 15일경 소행성대를 무사히 통과했다.

파이어니어 10호는 소행성대를 통과하면서 탑재된 실험 장비를 통해 소행성대의 먼지 입자 밀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 지구 근처와 비교하여 마이크로미터 (μm) 미만의 입자는 적었고, 10~100 μm 사이의 먼지 입자 밀도는 지구에서 소행성대 바깥쪽 가장자리까지 이동하는 동안 크게 변하지 않았다. 직경이 100 μm에서 1.0 mm 사이의 입자는 소행성대에서 밀도가 3배 증가했지만, 밀리미터보다 큰 파편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소행성대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4. 3. 목성 탐사

1973년 11월부터 파이어니어 10호는 목성 사진 촬영을 시작했다. 12월 2일까지 500장 이상의 사진을 촬영했으며, 이 사진들은 지구에서 실시간으로 공개되어 큰 관심을 받았다. 파이어니어 프로그램은 이 공로로 에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17] 12월 4일에는 목성에 약 20만 km까지 접근하여 근접 탐사를 수행했다.[17]

이 과정에서 목성의 강력한 방사선으로 인해 탐사선에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다. 예상보다 10배나 강한 방사선으로 인해 일부 데이터가 손실되고, 이오와 목성의 근접 사진 일부를 잃기도 했다. 하지만 가니메데유로파의 이미지는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탐사 결과, 이오의 전리층 밀도와 수소 구름의 존재 등 예상치 못한 사실들이 밝혀졌다. 또한, 목성이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보다 더 많은 열을 방출한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17]

4. 3. 1. 목성 접근 타임라인

시간이벤트
1973년 12월 3일목성계 조우 시작
12시 26분 00초칼리스토 접근 통과 (1392300km)
13시 56분 00초가니메데 접근 통과 (446250km)
19시 26분 00초유로파 접근 통과 (321000km)
22시 56분 00초이오 접근 통과 (357000km)
1973년 12월 4일
02시 26분 00초목성 최접근 (200000km)


4. 4. 심우주 탐사

1973년 목성 탐사 이후, 파이어니어 10호는 태양계 탈출 궤도에 진입하여 심우주 탐사를 계속하였다.[17] 1976년 토성 궤도, 1979년 천왕성 궤도를 통과했다.[24] 1983년 6월 13일에는 해왕성 궤도를 횡단했는데, 이는 인류가 만든 물체 중 최초로 태양계 주요 행성 근처를 벗어난 것이다.[24] 이후 보이저 1호가 이 기록을 갱신하기 전까지 파이어니어 10호는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인공물이었다. 파이어니어 10호는 보이저나 파이어니어 11호와는 정반대 방향, 즉 태양계의 진행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향했다.

1997년 3월 31일, 파이어니어 10호는 태양으로부터 67AU 떨어진 거리에 도달했지만, 공식 임무는 종료되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심우주 네트워크는 비행 관제사 훈련을 위해 파이어니어 10호의 미약한 신호를 계속 추적했다. 고등 개념 연구소는 희미해져 가는 신호에서 유의미한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카오스 이론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원격 측정 데이터의 마지막 성공적인 수신은 2002년 4월 27일에 이루어졌으며, 이후 신호는 매우 약해져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했다.[14] 2003년 1월 23일, 지구로부터 12e9km 떨어진 곳에서 마지막으로 매우 약한 신호가 수신되었다.[14] 이후 NASA는 송신기 작동에 필요한 전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더 이상의 접촉 시도를 중단했다.[25]

1999년경, 약 9x10-8 cm/s2의 감속 현상(파이어니어 변칙)이 확인되었지만, 이는 태양계 바깥을 향하는 모든 탐사선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그 원인은 오랫동안 밝혀지지 않았다.[20] 그러나 2012년, 탐사선에 탑재된 원자력 전지의 방열 불균형으로 인한 열복사가 예상치 못한 추진력을 발생시킨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21]

5. 파이어니어 변칙

1980년 파이어니어 10호가 천왕성 궤도를 넘은 부근(태양에서 20천문 단위 부근)에서 이론적으로 예측된 것보다 아주 약간 "감속"하는 현상(태양 쪽으로 가속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20] 이후 파이어니어 11호와 다른 태양계 외곽으로 향한 탐사선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견되어, 이를 "파이어니어 이상 현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1999년경에는 약 9-8 cm/s2의 감속이 확인되었지만, 이는 태양계 바깥을 향하는 모든 탐사선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이 감속의 원인은 오랫동안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외부에서 작용하는 미지의 힘, 탐사선 내부 요인, 궤도 분석 프로그램의 오류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2012년에 탐사선에 탑재된 원자력 전지의 방열에 편향이 발생하여, 열복사로 인해 예상하지 못한 추진력이 발생한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21]

6. 현재 상태와 미래

Pioneer 10영어는 2024년 6월 현재 지구에서 약 137.3AU, 태양에서 약 136.3AU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황소자리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햇빛이 Pioneer 10영어에 도달하는 데 18.9시간이 걸리며, 우주선에서 본 태양의 밝기는 -16.0등급이다.

2023년 7월 18일, 보이저 2호가 Pioneer 10영어를 추월하여, Pioneer 10영어보이저 1호보이저 2호 다음으로 태양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우주선이 되었다.[15][16]

아무런 방해 없이 진행된다면, Pioneer 10영어알데바란 방향으로 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별에 도달하는 데 2백만 년 이상이 걸릴 것이다. 그보다 훨씬 전인 약 9만 년 후, Pioneer 10영어는 HIP 117795로부터 약 0.23pc 떨어진 곳을 지나갈 것이다. 이는 태양계를 벗어나는 모든 우주선 중 향후 수백만 년 동안 가장 가까운 별과의 근접 비행이 될 것이다.

7. 대중문화

영화 ''스타 트렉 V: 최후의 결전''에서 클링온 버드 오브 프레이가 표적 연습 삼아 파이어니어 10호를 파괴한다.

연속적인 추측성 픽션 멀티미디어 내러티브 ''17776''에서 주요 등장인물 중 하나는 지각 능력이 있는 파이어니어 10호이다.

참조

[1] 잡지 PIONEER BEAT 'WARRANTY' http://aviationweek.[...] 2017-09-15
[2] 백과사전 Pioneer 10-11 http://astronautix.c[...] 2011-02-08
[3] 웹사이트 Weebau Spaceflight Encyclopedia http://weebau.com/sa[...] 2012-01-12
[4] 웹사이트 Quadrispherical Plasma Analyzer https://nssdc.gsfc.n[...]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5] 웹사이트 Charged Particle Instrument (CPI) https://nssdc.gsfc.n[...]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6] 웹사이트 Cosmic-Ray Spectra https://nssdc.gsfc.n[...]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7] 웹사이트 Geiger Tube Telescope (GTT) https://nssdc.gsfc.n[...]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8] 웹사이트 Jovian Trapped Radiation https://nssdc.gsfc.n[...]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9] 웹사이트 Meteoroid Detectors https://nssdc.gsfc.n[...]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10] 웹사이트 Asteroid/Meteoroid Astronomy https://nssdc.gsfc.n[...]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11] 웹사이트 Ultraviolet Photometry https://nssdc.gsfc.n[...]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12] 웹사이트 Imaging Photopolarimeter (IPP) https://nssdc.gsfc.n[...]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13] 웹사이트 Infrared Radiometers https://nssdc.gsfc.n[...]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14] 잡지 This Month in History 2003-06-01
[15] 웹사이트 Distance between the Sun and Voyager 2 https://ssd.jpl.nasa[...]
[16] 웹사이트 Distance between the Sun and Pioneer 10 https://ssd.jpl.nasa[...]
[17] 웹사이트 NSSDC ID: 1972-012A https://nssdc.gsfc.n[...] 미국항공우주국 2011-06-14
[18] 웹사이트 50 Years Ago: Pioneer 10 Launches to Explore Jupiter https://www.nasa.gov[...] 2022-12-10
[19] 웹사이트 Spacecraft Escaping the Solar System http://www.heavens-a[...] 2010-04-10
[20] 웹사이트 30年来の謎、パイオニア・アノマリーの原因がついに判明か https://www.astroart[...] 2017-04-19
[21] 웹사이트 Support for the thermal origin of the Pioneer anomaly https://arxiv.org/ab[...] 2020-06-13
[22] 웹사이트 Pioneer 10, 11 Quicklook - JPL Solar System Simulator - NASA https://space.jpl.na[...] NASA 2018-11-16
[23] 서적 SP-349/396 PIONEER ODYSSEY https://history.nasa[...] NASA-Ames Research Center 2011-01-09
[24] 잡지 This Month in History 2003-06-01
[25] 웹인용 The final attempt to contact Pioneer 10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11-06-07
[26] 웹인용 Pioneer 10 Mission Information http://starbrite.jpl[...] 2011-01-23
[27] 웹인용 Pioneer 10 Full Mission Timeline http://www.dmuller.n[...] Daniel Muller 2011-01-09
[28] 웹인용 Spacecraft escaping the Solar System http://www.heavens-a[...] Heavens-Above 2012-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