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카라나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카라나과는 설치류의 한 과이다. 디노미스아과, 에우메가미아과, 포타마르쿠스아과의 세 아과와 불확실한 분류군으로 분류되는 속을 포함한다. 디노미스아과에는 현존하는 파카라나속과 멸종된 텔로돈토미스속이 속하며, 에우메가미아과는 멸종된 여러 속들을 포함한다. 포타마르쿠스아과 역시 멸종된 속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이비디오도무스와 아그노미스는 불확실한 분류군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파카라나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과 정보
''Josephoartigasia''
Josephoartigasia
학명Dinomyidae
명명자Peters, 1873
아분류 계급
화석 범위초기 마이오세 - 현세
하위 분류

2. 하위 분류


  • † ''사이비디오도무스(Pseudodiodomus)'' ''incertae sedis''
  • † ''아그노미스(Agnomys)'' ''incertae sedis''
  • 에우메가미아과(Eumegamyinae)
  • * † ''되엘로미스(Doellomys)''
  • * † ''기리아브루스(Gyriabrus)''
  • * † ''브리아로미스(Briaromys)''
  • * † ''테트라스틸루스(Tetrastylus)''
  • * † ''포베로미스(Phoberomys)''
  • * † ''콜포스템마(Colpostemma)''
  • * † ''오르토미스(Orthomys)''
  • * † ''에우메가미스(Eumegamys)''
  • * † ''사이비시그모미스(Pseudosigmomys)''
  • * † ''펜타스티로돈(Pentastylodon)''
  • * † ''에우메가미솝스(Eumegamysops)''
  • * † ''텔리코미스(Telicomys)''
  • * † ''페루미스(Perumys)''
  • * † ''요세포아르티가시아(Josephoartigasia)''[7]
  • 포타마르쿠스아과(Potamarchinae)
  • * † ''스클레로미스(Scleromys)''
  • * † ''올레놉시스(Olenopsis)''
  • * † ''심플리무스(Simplimus)''
  • * † ''에우시그모미스(Eusigmomys)''
  • * † ''포타마르쿠스(Potamarchus)''
  • 디노미스아과(Dinomyinae)
  • * 파카라나속 (''Dinomys'') - 파카라나
  • * † ''텔로돈토미스(Telodontomys)''

2. 1. 디노미스아과 (Dinomyinae)

파카라나속(''Dinomys'')은 현존하는 유일한 속으로 파카라나를 포함한다.[7] 멸종된 속인 ''텔로돈토미스(Telodontomys)''가 있다.

2. 2. †에우메가미아과 (Eumegamyinae)

에우메가미아과(Eumegamyinae)는 멸종된 설치류 과의 일종이다.[7] 에우메가미아과에는 ''되엘로미스''(Doellomys), ''기리아브루스''(Gyriabrus), ''브리아로미스''(Briaromys), ''테트라스틸루스''(Tetrastylus), ''포베로미스''(Phoberomys), ''콜포스템마''(Colpostemma), ''오르토미스''(Orthomys), ''에우메가미스''(Eumegamys), ''사이비시그모미스''(Pseudosigmomys), ''펜타스티로돈''(Pentastylodon), ''에우메가미솝스''(Eumegamysops), ''텔리코미스''(Telicomys), ''페루미스''(Perumys), ''요세포아르티가시아''(Josephoartigasia) 등의 속이 포함되어 있다.[7]

추가적으로 ''아라자미스''(Arazamys)[4], ''이소스티로미스''(Isostylomys)[5] 등의 속도 포함되어있다.

2. 3. †포타마르쿠스아과 (Potamarchinae)

† ''스클레로미스''(Scleromys)


† ''올레놉시스''(Olenopsis)


† ''심플리무스''(Simplimus)


† ''에우시그모미스''(Eusigmomys)


† ''포타마르쿠스''(Potamarchus)

2. 4. 속 불명 (incertae sedis)

† ''사이비디오도무스(Pseudodiodomus)''와 † ''아그노미스(Agnomys)''는 incertae sedis으로 분류된다.[7]

참조

[1] 논문 The largest fossil rodent 2008-01-15
[2] 논문 "''Artigasia magna'' n. g., n. sp. (Eumegamyinae), un roedor gigantesco de la época Pliocena Superior de las Barrancas de San Gregorio, Departamento de San José, República Oriental del Uruguay"
[3] 서적 History of Terrestrial Mammals in South America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4] 논문 New genus of giant Dinomyidae (Rodentia: Hystricognathi: Caviomorpha) from the late Miocene of Uruguay
[5] 논문 Making a giant rodent: cranial anatomy and ontogenetic development in the genus ''Isostylomys'' (Mammalia, Hystricognathi, Dinomyidae) https://www.tandfonl[...] 2023-11-25
[6] 논문 "''Josephoartigasia'', Nuevo nombre para Artigasia Francis & Mones, 1966 (Rodentia, Dinomyidae), non Artigasia Christie, 1934 (Nematoda, Thelastomatidae)"
[7] 저널인용 "''Josephoartigasia'', Nuevo nombre para Artigasia Francis & Mones, 1966 (Rodentia, Dinomyidae), non Artigasia Christie, 1934 (Nematoda, Thelastomatid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