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다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다사자는 2003년 이전까지 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된 해양 포유류이다. 동해, 특히 일본 열도와 한반도 해안에서 주로 서식했으며, 수컷은 450~560kg, 암컷은 120kg 정도로 캘리포니아바다사자보다 컸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남획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멸종되었으며, 독도가 주요 서식지 중 하나였다. 멸종 이후 복원 시도가 있었으며, 문화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멸종한 동물 - 일본늑대
    일본늑대는 규슈, 시코쿠, 혼슈에 서식했던 개과의 멸종 동물로, 회색늑대의 아종 또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되며, 일본 민속에서 신성시되었으나 광견병 유행과 서식지 감소로 1905년 멸종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이후 목격담과 복원 시도에 대한 논의가 있다.
  • 일본의 멸종한 동물 - 후쿠이티탄
    후쿠이티탄은 일본 후쿠이현에서 발견된 전기 백악기 시대의 거대 용각류 공룡으로, 2010년에 *Fukuititan nipponensis*라는 학명으로 명명되었으며, 후쿠이역 공룡 광장에는 실물 크기 복원 모형이 설치되어 있다.
  • 바다사자아과 - 갈라파고스바다사자
    갈라파고스바다사자는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며 캘리포니아바다사자와 유사하지만 더 작고 성적 이형성을 보이는 강치과의 동물로, 엘니뇨 현상, 포식자, 인간 활동 등으로 위협받고 있지만 보호받고 있다.
  • 바다사자아과 - 뉴질랜드바다사자
    뉴질랜드바다사자는 뉴질랜드 남극해에 서식하며 성적 이형성을 띠는 뉴질랜드 동물 중 가장 큰 종으로, 인간의 사냥으로 절멸 위기에 놓였다가 남섬 해안에서 번식을 재개했지만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해 서식지 파괴, 질병, 혼획 등의 위협을 받고 있다.
바다사자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1934년 독도에서 촬영된 일본바다사자
1934년 독도에서 촬영된 Zalophus japonicus
학명Zalophus japonicus
명명자Peters, 1866
이명Z. lobatus Fredericus Anna Jentink, 1892
한국어 이름강치, 바다사자
일본어 이름니혼아시카 (ニホンアシカ)
로마자 표기Nihon ashika
영어 이름Japanese sea lion
멸종 시기1970년대
분류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아목개아목
상과기각상과
물개과
아과바다사자아과
바다사자속
멸종 상태
IUCNEX
환경부멸종
일본EX
추가 정보
웹사이트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2. 아종

2003년 이전까지 바다사자는 캘리포니아바다사자아종으로 생각되어 학명을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la라 했다. 그러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어 Zalophus japonicusla라 한다.[82][1] 일부 분류학자들은 여전히 바다사자를 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아종으로 생각하고 있다. 바다사자, 캘리포니아바다사자, 갈라파고스바다사자는 그 서식지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행동 양태의 차이점이 뚜렷하여 별개의 종으로 재분류되었다.

8,000년 전의 바다사자 화석


2007년 DNA 분석에 따르면 두 바다사자의 분기점은 약 2(mya) 초기 플라이스토세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4] 1950년 오쿠시리 섬에서 발굴된 두개골을 이용한 비교를 통해, 크기가 크고 치열이 다르다는 점에서 1985년 독립종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7] 유적에서 발굴된 사지 뼈의 DNA 분자 계통 분석 결과, 캘리포니아 바다사자와는 220만 년 전에 분기한 것으로 추정된다.[29]

일본에는 박제 표본이 여러 점 있으며,[5] 네덜란드 라이덴의 국립 자연사 박물관에는 필립 프란츠 폰 지볼트가 구입한 표본이 있다. 영국 박물관에는 가죽과 네 개의 두개골 표본이 소장되어 있다.[6]

3. 특징

수컷 바다사자는 털가죽 색깔은 어두운 회색에 몸무게는 450 ~ 560 kg, 몸길이는 2.3 ~ 2.5 m로 캘리포니아바다사자 수컷보다 컸다. 암컷은 몸길이 1.64 m로 훨씬 작았고 털가죽은 수컷보다 밝은 색깔이었다.[85] 수컷 평균 몸길이는 240센티미터, 암컷은 180센티미터이며[29][30], 수컷 평균 몸무게는 494킬로그램, 암컷은 120킬로그램이다.[29][30]

한국독도바다사자 박제. 일본 오사카 텐노지 동물원.


캘리포니아 바다사자와 외형 및 체색으로 구별하기는 어렵지만[36], 상악의 협치가 각각 한 개씩 더 많은 경향이 있다.[36][37] 수컷은 온몸이 암갈색이며, 정수리가 융기하고 털이 백화한다.[29][30] 암컷은 회갈색이며[30], 등은 암회색이다.[29]

4. 서식지

바다사자는 동해 바다, 특히 일본 열도[86] 한반도의 해안선 일대에서 주로 서식하였다.[87] 탁 트인 모래밭에서 주로 번식했으나, 때로는 암석 지대나 동굴에서 번식하기도 하였다.[13]

북쪽은 캄차카반도(カムチャツカ半島) 남부에서 남쪽은 미야자키현(宮崎県) 오요도가와(大淀川) 하구에 이르렀다.[29] 홋카이도(北海道)·혼슈(本州)·시코쿠(四国)·큐슈(九州) 연안 지역, 이즈 제도(伊豆諸島), 구로쿠시마(久六島)·니시노시마(西ノ島)·다케시마 등의 일본해(日本海) 도서, 칠레섬(千島列島), 사할린(樺太|남사할린(南樺太)), 대한민국(울릉도) 등지에 분포하였다.[29][30] 또한, 오래된 조선반도(朝鮮半島) 상의 기록에 따르면 보하이만(渤海 (海域)|渤海)와 황해(黄海)에서 동해안을 포함한 광범위하게 서식했다고 한다.[32] 부산 동삼동 패총에서는 기원전 3500년~2000년 사이의 ''Z. japonicus'' 뼈가 발견되었다.[11] 유전적 증거는 독도에 ''Z. japonicus''가 과거에 서식했음을 확인해 준다.[12]

수영하는 자세의 일본바다사자 그림


일본 연안과 주변 섬에서 번식하며, 특히 아오모리현(青森県) 구로쿠시마(久六島), 이즈 제도(伊豆諸島) 각지(니이지마(新島)[33], 우도네섬(鵜渡根島) 주변, 온치섬(恩馳島), 신쿠시마(神津島)), 쇼나이 평야(庄内平野) 연안[34], 아시카섬(アシカ島)(도쿄만(東京湾)), 이라코미사키(伊良湖岬), 오요도가와(大淀川) 하구(히유가나다(日向灘)) 등도 서식지였다. 미우라반도(三浦半島), 이즈반도(伊豆半島)(이토, 토다·이다), 고젠자키(御前崎) 등에도 과거 서식을 짐작케 하는 지명이 남아있다.[35]

죠몬시대(縄文時代) 이후의 홋카이도(北海道)·혼슈(本州)·시코쿠(四国) 유적에서 뼈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최근까지 일본 전국의 연안에 분포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36]

일본 연안에는 바다사자나 물범과 관련된 지명이 많이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치바현초시시의 이누보곶(犬吠埼) ("犬"은 바다사자를 의미한다.), 조시전철의 해구섬역(あしかじまえき), 우라가수도 중앙(도쿄만)에 있는 해달섬(うみうしじま), 가모가와마쓰시마(かもがわまつしま)의 해달섬, 유라정 시라사키해안 앞바다의 해구암(あしかいわ) 등이 있다.[76][77]

5. 생태

바다사자는 해안에서 20km 이내의 연안 지역에 서식했다.[29]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북쪽바다표범이나 다른 바다사자와 비교하면 대규모 이동은 하지 않았다.[31] 멸치와 같은 어류, 반딧불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를 먹었던 것으로 추정된다.[29][30] 포식자인 범고래와 상어류가 천적이었다.[31]

짝짓기 방식은 일부다처제였다.[29] 5~6월에 교미를 하고, 독도에서는 4~5월에 모여 7~8월에 흩어졌다.[29]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았던 것으로 추정된다.[29] 서식 환경으로는 암초해식동이 있었다.[38]

6. 인간과의 관계

일본 조몬 시대패총들에서 많은 바다사자 뼈가 발견되었다.[90][91][92] 18세기의 백과사전인 《화한삼재도회》에 따르면 바다사자 고기는 맛이 없으며 호롱불을 밝히기 위한 기름을 짤 때나 썼다고 한다.[93] 피부와 내부 장기에서 뽑아낸 기름은 한약재로 사용되었고, 수염과 가죽은 각기 담뱃대 소제기와 피혁 제품을 만드는 데 쓰였다. 20세기 들어서는 서커스에서 부려먹기 위해 잡아갔다.[82]

별명으로 아지카(アジカ), 아시카이오(アシカイオ), 우미오소(ウミオソ) 등이 있다.[31] 에도 시대에는 금렵이었으나,[30][36] 메이지 시대의 정치적 혼란으로 포획 및 구제가 방치되었다.[30] 예를 들어 키이한에서는 초대 번주 도쿠가와 요리노부에 의해 금령이 내려졌고, 타카사키한에서는 번주에 의해 조시에서의 포획이 금지되었다.[36] 메이지 신정부에 의해 포획이 금지되거나 보호책이 에도 시대부터 계승된 곳도 있었지만, 철저하지는 않았다.[36]

1879년 가나가와현 미우라시 해안에서 포획된 암컷 바다사자를 그린 그림이 『박물관 사생』(도쿄 국립박물관 소장)에 남아 있다. 적어도 1900년대까지 일본 각지에 서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많은 서식지에서 어획이나 구제가 행해졌고, 메이지 40년대에는 조시 이남에서 이즈반도 지역에서 보이지 않게 되었으며, 1909년 기록에는 도쿄만 연안에서도 모습을 감추고, 사가미만, 미카와만 주변, 세토나이카이의 나루토 해협 등 일본 각지에 서식하던 개체군도 20세기 초에는 멸종으로 몰리고, 그 서식역은 독도 등 일부 지역에 좁혀져 갔다.

7. 멸종

1934년 일본 어부들에 의한 독도에서의 바다사자 포획


독도는 과거 바다사자의 주요 번식지 중 하나였으며, '가제바위' 등 관련 지명이 남아 있다.[46][45] 1905년 일본 시마네 현이 독도를 무단 편입한 이후, 일본인들의 어획이 시작되었다.[46][45] 1900년대 초 일본제국의 상업적 어획 기록에 따르면 세기 전환기에 3,200마리 정도의 바다사자가 포획되었으나, 남획으로 인해 1915년에는 300마리, 1930년대에는 수십 마리로 포획량이 급감했다.[18] 일본의 저인망 어선들은 16,500 마리 이상의 바다사자를 포획하여 멸종에 기여했다.[95][96]

1950년대 독도의용수비대에 의해 20~30마리씩 무리 지어 헤엄치는 바다사자가 목격되기도 했다.[55] 1952년에는 독도의용수비대가 부산에서 물개를 팔아 권총과 소총을 구입했다.[52][53] 1953년에는 시마네현립 오키 고등학교 수산과(현 시마네현립 오키 수산고등학교) 당시 지도교관 등이 독도 주변에서 일본 물개를 목격했다.[44]

제2차 세계 대전 중 잠수함 작전 역시 바다사자의 서식지 파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19][20] 독도에서의 대규모 물개 어업은 멸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68]

7. 1. 독도와 일본바다사자



독도는 과거 바다사자의 주요 번식지 중 하나였으며, '가제바위' 등 관련 지명이 남아 있다.[46][45] 1905년 일본 시마네 현이 독도를 무단 편입한 이후, 일본인들의 어획이 시작되었다.[46][45] 1900년대 초 일본제국의 상업적 어획 기록에 따르면 세기 전환기에 3,200마리 정도의 바다사자가 포획되었으나, 남획으로 인해 1915년에는 300마리, 1930년대에는 수십 마리로 포획량이 급감했다.[18] 일본의 저인망 어선들은 16,500 마리 이상의 바다사자를 포획하여 멸종에 기여했다.[95][96]

1950년대 독도의용수비대에 의해 20~30마리씩 무리 지어 헤엄치는 바다사자가 목격되기도 했다.[55] 1952년에는 독도의용수비대가 부산에서 물개를 팔아 권총과 소총을 구입했다.[52][53] 1953년에는 시마네현립 오키 고등학교 수산과(현 시마네현립 오키 수산고등학교) 당시 지도교관 등이 독도 주변에서 일본 물개를 목격했다.[44]

제2차 세계 대전 중 잠수함 작전 역시 바다사자의 서식지 파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19][20] 독도에서의 대규모 물개 어업은 멸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68]

8. 멸종 이후

1970년대 이후 공식적인 발견 기록은 없으나, 2003년 7월 돗토리현 이와미와 2016년 3월 고시키지마 제도에서 종이 불분명한 바다사자 한 마리씩이 목격되었다는 보고가 있다.[25][26][27] 두 동물 모두 사진을 통해 바다사자과(Otariidae)로 확인되었지만, 종은 불분명하다.

9. 복원 시도

2007년 대한민국 환경부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러시아, 중국이 협력하여 동해에 바다사자를 복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98][23] 이 프로젝트의 실행가능성 조사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에 위임되었다.[99][24] 만약 살아있는 바다사자가 발견되지 않으면, 대한민국 정부는 미국에서 캘리포니아 바다사자를 들여올 예정이었다.[96][20]

대한민국 정부는 바다사자 복원을 통해 독도를 둘러싼 국가적, 민족적 상징성에 더하여 생태관광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95][19]

10. 보존 상태

11. 문화 속 바다사자

11. 1. 지명


  • 이누보사키/犬吠埼일본어 - "犬"은 바다사자를 의미한다. 치바현초시시의 곶이다.
  • 아시카지마에키/海獺島駅일본어 - 초시시내를 달리는 조시전철의 역이다.
  • 해달섬(うみうしじま) - 가나가와현, 우라가 수도 중앙(도쿄만)에 있는 작은 섬으로, 옛날부터 바다사자의 휴식처였던 것으로 보인다.
  • 가모가와마쓰시마/鴨川松島일본어 - 치바현, 해달섬이 있다. 쇼와 중기 무렵까지 현지 주민들은 우기(雨期)에 활발해지는 바다사자의 울음소리를 점으로 이용했다고 한다.[76]
  • 스리테이와/摺手岩일본어 - 칠섬열도, 해달섬을 포함한 암초
  • 아시카이와/海獺岩일본어 - 와카야마현, 유라정의 시라사키 해안 앞바다에 있는 암초로, 상당수가 포획된 기록이 남아 있다.[77]
  • 아시카이와(あしかいわ) - 이라고곶 부근
  • 아시카타테하나(あしかたてはな) - 시키네섬 남서부
  • 우미우마지마/海馬島일본어 및 작은 바다사자 - 아오모리현후카우라정 앞바다에 있는 작은 섬들. 근처에 구로시마/黒島일본어이 있다.

11. 2. 속담

바다사자는 많은 개체가 무리를 지어 잠을 자는데, 그중 한 마리가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는 것에서 유래하여, 불침번이나 교대로 잠을 자는 모습을 '바다사자의 밤샘'이라고 부른다.[78] 바다사자는 문어나 오징어를 좋아하기 때문에, 어부들이 먹잇감을 찾는 척도로 삼는다는 '바다사자는 문어 떼를 따라다닌다'라는 속담도 있다. 이는 하코다테 반도 지방의 속담이다.[78] '미치의 잠자는 물살'에서 '''미치'''는 바다사자를 말하며, 바다사자가 해류에 몸을 맡기고 유영하는 것을 가리킨다.[78] 미치라는 표기는 일본서기에도 등장하며, 오토타치바나 히메가 자결할 때 이것의 무두질한 가죽을 사용했다고 한다.[78]

11. 3. 신구

이즈모타이샤의 치가타메 신지(歯固神事) 등의 중요한 의식에서는, 일본물개(ニホンアシカ) 가죽 위에 토기 등을 놓는 전통이 있다.[79]

11. 4. 그림책

2013년 2월, 오키노시마정에 거주하는 전직 초등학교 교사가 과거 독도에서 어업을 생업으로 삼았던 지역 주민들로부터 이야기를 듣고 직접 쓴 그림책이 자비 출판되었다.[80] 이 그림책에는 독도가 풍요로운 어장이었던 것과 함께 데려온 강치(메치)와 섬 아이들과의 교류가 그려져 있다. 이후 이 그림책은 2017년 산인추오신포사에서 출판되었다.[81]

참조

[1] IUCN Zalophus japonicus 2021-11-12
[2] MSW3
[3] 웹사이트 울릉도에 강치 서식…현대과학으로 입증 https://www.kyongbuk[...] 2020-11-29
[4] 논문 Ancient DNA analysis of the Japanese sea lion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 Peters, 1866): preliminary results using mitochondrial control-region sequences
[5] 웹사이트 天王寺動物園で「絶滅の危機にある動物展」を開催します http://www.city.osak[...] 2007-11-26
[6] 웹사이트 http://museum-databa[...] Shimane University Museum 2017-08-22
[7] 웹사이트 アザラシ目 アシカ科 絶滅危惧IA類(CR) (CR) http://www.biodic.go[...] Japan Integrated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8] 서적 Marine Mammals of the World: Systematics and Distribution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9]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Academic Press
[10] 논문 Pinniped records on the neighbouring waters of the Korean Peninsula: Japanese sea lions and larga seals recorded in the ancient literature of Korea
[11] 논문 Isotopic evidence for diet in the Middle Chulmun period: a case study from the Tongsamdong shell midden, Korea 2010-02-02
[12] 논문 The First Molecular Evidence of Korean Zalophus japonicus (Otariidae: Sea Lions) from the Archaeological Site of Dokdo Island, Korea 2019-09-00
[13] 웹사이트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 (EX) http://www1.pref.shi[...] 2011-07-19
[14] 웹사이트 The Jomon people in the northern Island http://www.rekihaku.[...] 2007-10-26
[15] 웹사이트 The Sannai Maruyama Site-Food http://sannaimaruyam[...] 2006-09-28
[16] 논문 Sea Mammal Hunting of the Jomon Culture in Hokkaido http://ci.nii.ac.jp/[...] 1990-12-28
[17] 서적 Wakan Sansai Zue 1712-00-00
[18] 뉴스 http://dokdocenter.o[...] Dokdocenter.org 2007-03-05
[19] 뉴스 http://dokdo.kcg.go.[...] The Kukmin Daily 2006-02-02
[20] 뉴스 Extinct Sea Lions to Bring Back to Korea https://koreatimes.c[...] The Korea Times 2007-09-05
[21]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2] 서적 The Empty Ocean https://books.google[...] Island Press
[23] 웹사이트 Zalophus japonicus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Request for Research on Feasibility of Reintroducing Dokdo Sea Lions http://www.me.go.kr/[...] 2006-01-09
[25] 웹사이트 鳥取県岩美町でアシカ?目視 http://svrsh1.kahaku[...]
[26] 웹사이트 <1889>鹿児島県薩摩川内市で種不明アシカ出現 http://svrsh1.kahaku[...]
[27] 웹사이트 【動画】どこから来た?鹿児島近海でアシカ発見 http://news.ktstv.ne[...]
[28] IUCN Zalophus japonicus 2020-12-28
[29] 서적 ニホンアシカ ぎょうせい
[30] 서적 ニホンアシカ 東海大学出版会
[31] 서적 ニホンアシカ 環境庁自然保護局
[32] 논문 朝鮮半島周辺海域の鰭脚類: 朝鮮の古文献のニホンアシカとゴマフアザラシ https://doi.org/10.2[...] 「野生生物と社会」学会
[33] 서적 新島炉ばなし http://haraq.inumoar[...] 新島観光協会 1974-00-00
[34] 웹사이트 山形の絶滅種・絶滅危惧種データベース - ニホンアシカ http://db.yamagata-m[...] 2014-06-11
[35] 웹사이트 「悲劇の海獣」ニホンアシカの絶滅 http://haraq.inumoar[...] 2014-06-11
[36] 간행물 ニホンアシカは幻か 朝日新聞社 1992
[37] 논문 ニホンアシカ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 の頭骨の新資料について https://doi.org/10.1[...] 1985
[38] PDF レッドデータブックとっとり(動物) http://www.pref.tott[...]
[39] 웹사이트 アシカ Zalophus japonicus (Peters) http://www.pref.aich[...] 2009-11-13
[40] 논문 自由集会報告(日本哺乳類学会1994年度大会自由集会の報告),1994年度ニホンアシカ研究会の研究交流会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995
[41] 웹사이트 船舶遺跡縄文人の海獣狩猟の様子−日本人はるかな旅展 https://web.archive.[...] 2002-08-06
[42] 웹사이트 オホーツクの動物 - ヒグマと海獣 http://umdb.um.u-tok[...] 東京大学総合研究博物館 2023-08-30
[43] 서적 和漢三才図会 2010-03-28
[44] 웹사이트 杉原通信「郷土の歴史から学ぶ竹島問題」第11回 ニホンアシカと竹島 https://web.archive.[...] 2008-10-03
[45] 웹사이트 杉原通信「郷土の歴史から学ぶ竹島問題」第20回 竹島漁猟合資会社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09-08-13
[46] 논문 自由集会報告(日本哺乳類学会1995年度大会自由集会の報告),1995年度ニホンアシカ談話会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996
[47] 논문 珍禽異獣奇魚の古記録 https://koara.lib.ke[...] 慶應義塾大学日吉紀要刊行委員会 2005
[48] 웹사이트 人魚伝説 歴史探検隊江戸中期の鳴門に記録 http://www.topics.or[...] 2010-01-18
[49] 웹사이트 ニホンアシカ、100年ぶり再会 竹島の日PR http://www.media-clu[...] 中国新聞 2006-02-23
[50] 웹사이트 竹島資料室開設記念展示「明治以降の竹島渡航」 - 開催期間:平成19年4月19日(木)〜5月18日(金) https://web.archive.[...]
[51] 서적 世界絶滅危機動物図鑑 (第1集) 学習研究社 1997
[52] 뉴스 常習的に侵犯する日本人を決死阻止した独島義勇守備隊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12-08-19
[53] 뉴스 53년 결성된 민간 무장 조직 …무력으로 일본인의 상습 침범 결사 저지 https://web.archive.[...] 2012-08-19
[54] 뉴스 李ライン翌年竹島にニホンアシカ多数生息 https://megalodon.jp[...] 山陰中央新報 2007-05-10
[55] 웹사이트 독도에 바다사자 복원한다 http://dokdo.kcg.go.[...] 2006-02-02
[56] 서적 Swift as a Shadow: extinct and endangered animals Mariner Books
[57] 뉴스 竹島のニホンアシカ、絶滅は日韓どっちのせい? 両国で食い違う主張 https://www.huffingt[...] ハフポスト 2015-02-24
[58] 뉴스 동아일보 1976-08-18
[59] 논문 ニホンアシカ雑感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979
[60] 서적 生きていた!生きている? 境界線上の動物たち
[61] 서적 フィールドベスト図鑑12 日本の哺乳類 学習研究社 2002
[62] 서적 生きていた!生きている? 境界線上の動物たち
[63] 질문응답 1980年代に玉野市で発見されたニホンアシカについて資料はないか。 岡山県立図書館 2010-02-13
[64] 웹사이트 鳥取県岩美町でアシカ?目視 https://archive.is/2[...] 日本海新聞
[65] 웹사이트 鹿児島県薩摩川内市で種不明アシカ出現 http://svrsh1.kahaku[...]
[66] 뉴스 ジュゴン保護対象に/鳥獣保護法改正案 http://ryukyushimpo.[...] 琉球新報 2016-08-22
[67] 서적 生きていた!生きている? 境界線上の動物たち
[68] 뉴스 幻のニホンアシカ、保護へ http://www2.cc22.ne.[...] 読売新聞 2002-12-14
[69] 데이터베이스 ニホンアシカ 剝製標本 ''Zalophus japonicus'' http://museum-databa[...]
[71] 웹사이트 保存番組リスト http://www.city.tott[...] 鳥取市 2010-04-07
[72] 웹사이트 日本ニュース 戦後編大117号 チャプター (6) 淀川にアシカ現る <時の話題>(1948年(昭和23年)4月6日) https://www2.nhk.or.[...] 日本放送協会(NHK) 戦後証言アーカイブス 2020-05-01
[73] 웹사이트 九大キャンパスで発見された100年前のニホンアシカの剥製 : 忘れ去られた悲劇の海獣を追う(前編)環境・自然・生物 文化 歴史 https://www.nippon.c[...] 日本ドットコム 2023-07-06
[74] 웹사이트 Zalophus japonicus http://www.petermaas[...] 2024-12-10
[75] 뉴스 Extinct Sea Lions to Bring Back to Korea https://koreatimes.c[...] コリアタイムス 2007-09-05
[76] 서적 日本地名大辞典 角川書店
[77] 서적 和歌山県の地名
[78] 서적 列島縦断地名逍遥
[79] 간행물 出雲大社教布教師養成講習会 出雲大社教教務本庁 1989-09
[80] 뉴스 「竹島絵本」読み聞かせ 島根県松江 https://www.hiroshim[...] 中国新聞 2013-07-25
[81] 서적 絵本 メチのいた島 山陰中央新報社 2017-08
[82] IUCN Zalophus japonicus 2009-01-07
[83] 서적 ニホンアシカ ぎょうせい
[84] 웹인용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https://www.nibr.go.[...] 2017-02-16
[85] 웹사이트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 (CR) http://www.biodic.go[...] Ministry of the Environment (Japan)
[86] 웹사이트 ニホンアシカ剥製標本 http://www.kisuiiki.[...]
[87] 논문 Pinniped records on the neighbouring waters of the Korean Peninsula: Japanese sea lions and larga seals recorded in the ancient literature of Korea http://ci.nii.ac.jp/[...] 2001-07-31
[88] 웹사이트 天王寺動物園で「絶滅の危機にある動物展」を開催します http://www.city.osak[...] 오사카 Tennoji Zoo
[89] 웹사이트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 (EX) http://www.pref.tott[...] Tottori Prefecture, Japan
[90] 웹사이트 The Jomon people in the northern Island http://www.rekihaku.[...]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91] 웹사이트 The Sannai Maruyama Site-Food http://sannaimaruyam[...] 아오모리 현
[92] 논문 Sea Mammal Hunting of the Jomon Culture in Hokkaido http://ci.nii.ac.jp/[...] 도쿄 대학교 1990-12-28
[93] 서적 Wakan Sansai Zue http://kindai.ndl.go[...]
[94] 뉴스 일본어부에 의해 멸종당한 독도 강치 http://dokdocenter.o[...] Dokdocenter.org 2007-09-20
[95] 뉴스 독도에 바다사자 복원한다 http://dokdo.kcg.go.[...] The Kukmin Daily 2008-07-18
[96] 뉴스 Extinct Sea Lions to Bring Back to Korea http://www.koreatime[...] Korea Times 2007-09-06
[97]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second edition http://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1-05-23
[98] 웹인용 The Extinction Website: Zalophus japonicus http://www.petermaas[...] 2016-05-20
[99] 웹사이트 독도 바다사자(강치) 복원에 대한 조사 및 타당성 검토요청 (Request for Research on Feasibility of Reintroducing Dokdo Sea Lions) http://www.me.go.kr/[...] South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06-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