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르뮴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뮴 동위 원소는 원자 번호 100번인 페르뮴의 여러 핵종을 의미하며, 질량수가 241부터 260까지 다양하다. 대부분 알파 붕괴를 통해 칼리포늄 동위 원소로 붕괴하거나 자발 핵분열을 한다. 페르뮴 동위 원소는 반감기가 수 마이크로초에서 수백 일까지 다양하며, 257Fm이 가장 안정적이고 258Fm이 가장 짧은 반감기를 가진다. 일부 동위 원소는 핵 이성질체를 갖는다.

2. 페르뮴 동위 원소 목록

페르뮴은 양성자를 100개 가진 동위 원소로, 현재까지 241Fm부터 260Fm까지 알려져 있다. 이 중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는 257Fm이며, 반감기는 100.5일이다.

페르뮴 동위 원소는 대부분 알파 붕괴를 통해 칼리포늄 동위 원소로 붕괴하거나, 자발 핵분열을 일으킨다. 일부는 β+ 붕괴를 통해 아인슈타이늄 동위 원소가 되기도 한다.

'표준 동위 원소 표' 하위 섹션에 각 동위 원소의 자세한 정보가 표로 정리되어 있으며, '동위 원소 발견 연대기' 하위 섹션에는 발견 연도와 핵반응식이 표 형태로 제시되어 있다.

2. 1. 표준 동위 원소 표

핵종Z(양성자)N(중성자)동위 원소 질량 (u)반감기붕괴 방식붕괴 생성물핵 스핀
241Fm100141241.07421(32)#730(60) µsSF (>78%)
α (<14%)
다양
237Cf
5/2#+
242Fm100142242.07343(43)#0.8(2) msSF
α (드묾)
다양
238Cf
0+
243Fm100143243.07447(23)#231(9) msα (91%)
SF (9%)
β+ (드묾)
239Cf
다양
243Es
7/2-#
244Fm100144244.07404(22)#3.12(8) msSF (99%)
α (1%)
다양
240Cf
0+
245Fm100145245.07535(21)#4.2(13) sα (95.7%)
β+ (4.2%)
SF (0.13%)
241Cf
245Es
다양
1/2+#
246Fm100146246.075350(17)1.54(4) sα (85%)
β+ (10%)
β+, SF (10%)
SF (4.5%)
242Cf
246Es
다양
다양
0+
247Fm100147247.07695(12)#31(1) sα (>50%)
β+ (<50%)
243Cf
247Es
(7/2+)
248Fm100148248.077186(9)35.1(8) sα (93%)
β+ (7%)
SF (0.10%)
244Cf
248Es
다양
0+
249Fm100149249.078928(7)1.6(1) minβ+ (85%)
α (15%)
249Es
245Cf
(7/2+)#
250Fm100150250.079521(9)30.4(15) minα (90%)
ε (10%)
SF (6.9E-3%)
246Cf
250Es
다양
0+
250mFm1199.2(10) keV1.92(5) sIT250Fm(8-)
251Fm100151251.081540(16)5.30(8) hβ+ (98.2%)
α (1.8%)
251Es
247Cf
(9/2-)
251mFm200.09(11) keV21.1(16) µs(5/2+)
252Fm100152252.082467(6)25.39(4) hα (99.99%)
SF (0.0023%)
β+β+ (드묾)
248Cf
다양
252Cf
0+
253Fm100153253.085185(4)3.00(12) dε (88%)
α (12%)
253Es
249Cf
(1/2)+
254Fm100154254.0868544(30)3.240(2) hα (99.94%)
SF (0.0592%)
250Cf
다양
0+
255Fm100155255.089964(5)20.07(7) hα
SF (2.4E-5%)
251Cf
다양
7/2+
256Fm100156256.091774(8)157.6(13) minSF (91.9%)
α (8.1%)
다양
252Cf
0+
257Fm100157257.095106(7)100.5(2) dα (99.79%)
SF (0.21%)
253Cf
다양
(9/2+)
258Fm100158258.09708(22)#370(14) µsSF다양0+
259Fm100159259.1006(3)#1.5(3) sSF다양3/2+#
260Fm100160260.10281(55)#1# min0+


  • #으로 표시된 값은 순수하게 실험값으로 산출된 것이 아니라, 일부 체계적인 경향에서 유도된 추정값을 포함하고 있다.
  • 수치의 마지막에 괄호로 표기된 것은 해당 값의 오차를 나타낸다.
  • 동위 원소 번호에 붙어 있는 "m"은 해당 핵 이성체를 의미한다.

2. 2. 동위 원소 발견 연대기

페르뮴 동위 원소 발견 연대기
동위 원소발견 연도핵반응
241Fm2008년204Pb(40Ar,3n)
242Fm1975년204Pb(40Ar,2n), 206Pb(40Ar,4n)
243Fm1981년206Pb(40Ar,3n)
244Fm1967년233U(16O,5n)
245Fm1967년233U(16O,4n)
246Fm1966년235U(16O,5n)
247Fm1967년239Pu(12C,4n)
248Fm1958년240Pu(12C,4n)
249Fm1960년238U(16O,5n)
250Fm1954년238U(16O,4n)
251Fm1957년249Cf(α,2n)
252Fm1956년249Cf(α,n)
253Fm1957년252Cf(α,3n)
254Fm1954년중성자 포획
255Fm1954년중성자 포획
256Fm1955년중성자 포획
257Fm1964년중성자 포획
258Fm1971년257Fm(d,p)
259Fm1980년257Fm(t,p)
260Fm1992년?254Es+18O, 22Ne — 이동 (260Md의 EC)

260Fm은 1997년에 확인되지 않았다.

3. 페르뮴 동위 원소의 특징

페르뮴(Fm)은 원자 번호 100번의 초우라늄 원소로, 자연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인공적으로 합성된 동위 원소들만 존재한다. 페르뮴 동위 원소들은 다양한 붕괴 방식과 반감기를 가진다.

페르뮴 동위 원소들은 주로 알파 붕괴자발 핵분열을 통해 붕괴하며, 일부는 β+(양전자 방출) 또는 ε을 통해 에시타이늄(Es) 동위 원소로 붕괴하기도 한다.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는 257Fm으로 반감기가 100.5일이며,[8] 가장 짧은 반감기를 갖는 동위 원소는 258Fm으로 370 마이크로초이다.

몇몇 페르뮴 동위 원소는 핵 이성질체를 갖는다. 예를 들어 250mFm은 1199.2(10) keV의 들뜬 에너지를 가지며 1.92(5) 초의 반감기로 이성질체 전이(IT)를 통해 250Fm으로 붕괴한다.[6][7]

3. 1. 붕괴 방식

페르뮴 동위 원소는 주로 알파 붕괴자발 핵분열을 통해 붕괴한다. 일부 동위 원소는 β+ (양전자 방출) 또는 ε을 통해 에시타이늄(Es) 동위 원소로 붕괴하기도 한다.

핵종붕괴 방식붕괴 생성물
241FmSF (>78%), α (<14%)다양, 237Cf
242FmSF, α (드묾)다양, 238Cf
243Fmα (91%), SF (9%), β+ (드묾)239Cf, 다양, 243Es
244FmSF (99%), α (1%)다양, 240Cf
245Fmα (95.7%), β+ (4.2%), SF (0.13%)241Cf, 245Es, 다양
246Fmα (85%), β+ (10%), β+ 및 SF (10%), SF (4.5%)242Cf, 246Es, 다양, 다양
247Fmα (>50%), β+ (<50%)243Cf, 247Es
248Fmα (93%), β+ (7%), SF (0.10%)244Cf, 248Es, 다양
249Fmβ+ (85%), α (15%)249Es, 245Cf
250Fmα (90%), ε (10%), SF (6.9×10−3%)246Cf, 250Es, 다양
250mFmIT250Fm
251Fmβ+ (98.2%), α (1.8%)251Es, 247Cf
252Fmα (99.99%), SF (0.0023%), β+β+ (드묾)248Cf, 다양, 252Cf
253Fmε (88%), α (12%)253Es, 249Cf
254Fmα (99.94%), SF (0.0592%)250Cf, 다양
255Fmα, SF (2.4×10−5%)251Cf, 다양
256FmSF (91.9%), α (8.1%)다양, 252Cf
257Fmα (99.79%), SF (0.21%)253Cf, 다양
258FmSF다양
259FmSF다양
260FmSF다양


3. 2. 반감기

페르뮴은 원자번호 100번의 초우라늄 원소로, 자연에는 존재하지 않고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동위 원소들만 존재한다. 페르뮴 동위 원소들의 반감기는 매우 짧은 것부터 비교적 긴 것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페르뮴 동위 원소의 반감기
핵종반감기붕괴 방식비고
241Fm730(60) µsSF (>78%), α (<14%)
242Fm0.8(2) msSF
243Fm231(9) msα (91%), SF (9%)
244Fm3.12(8) msSF (99%), α (1%)
245Fm4.2(13) sα (95.7%), β+ (4.2%), SF (0.13%)
246Fm1.54(4) sα (85%), β+ (10%), β+ 및 SF (10%), SF (4.5%)
247Fm31(1) sα (>50%), β+ (<50%)
248Fm35.1(8) sα (93%), β+ (7%), SF (0.10%)
249Fm1.6(1) minβ+ (85%), α (15%)
250Fm30.4(15) minα (90%), ε (10%), SF (6.9×10−3%)
250mFm1.92(5) sIT
251Fm5.30(8) hβ+ (98.2%), α (1.8%)
251mFm21.1(16) µs
252Fm25.39(4) hα (99.99%), SF (0.0023%)
253Fm3.00(12) dε (88%), α (12%)
254Fm3.240(2) hα (99.94%), SF (0.0592%)
255Fm20.07(7) hα, SF (2.4×10−5%)
256Fm157.6(13) minSF (91.9%), α (8.1%)
257Fm100.5(2) dα (99.79%), SF (0.21%)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8]
258Fm370(14) µsSF가장 짧은 반감기
259Fm1.5(3) sSF
260Fm1# min[9][10]


  •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는 257Fm으로, 반감기는 100.5일이다.[8]
  • 가장 짧은 반감기를 갖는 동위 원소는 258Fm으로, 반감기는 370 마이크로초이다.
  • 대부분의 페르뮴 동위 원소는 알파 붕괴자발 핵분열을 통해 붕괴한다.

3. 3. 핵 이성질체

페르뮴 동위 원소 중에서는 몇몇 핵 이성질체가 알려져 있다. 핵 이성질체란 원자핵의 들뜬 상태가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되는 현상을 말한다.

  • 250mFm: 들뜬 에너지는 1199.2(10) keV이며, 반감기는 1.92(5) 초이다. 이성질체 전이(IT)를 통해 250Fm으로 붕괴한다. 핵 스핀은 (8-)이다.[6][7]
  • 251mFm: 들뜬 에너지는 200.09(11) keV이며, 반감기는 21.1(16) µs이다. 핵 스핀은 (5/2+)이다.[6][7]
  • 253mFm: 들뜬 에너지는 351(6) keV이며, 반감기는 0.56(6) µs이다. 이성질체 전이(IT)를 통해 253Fm으로 붕괴한다. 핵 스핀은 (11/2-)이다.[6][7]

4. 페르뮴의 생성

페르뮴은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인공적인 핵반응을 통해 합성된다. 다른 원소에 입자를 충돌시켜 핵반응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4. 1. 핵반응

페르뮴은 다른 원소에 입자를 충돌시켜 핵반응을 일으켜 생성할 수 있다. 다음은 페르뮴 동위 원소를 생성하는 핵반응의 예시이다.

동위 원소발견 연도핵반응
241Fm2008년204Pb(40Ar,3n)
242Fm1975년204Pb(40Ar,2n), 206Pb(40Ar,4n)
243Fm1981년206Pb(40Ar,3n)
244Fm1967년233U(16O,5n)
245Fm1967년233U(16O,4n)
246Fm1966년235U(16O,5n)
247Fm1967년239Pu(12C,4n)
248Fm1958년240Pu(12C,4n)
249Fm1960년238U(16O,5n)
250Fm1954년238U(16O,4n)
251Fm1957년249Cf(α,2n)
252Fm1956년249Cf(α,n)
253Fm1957년252Cf(α,3n)
254Fm1954년중성자 포획
255Fm1954년중성자 포획
256Fm1955년중성자 포획
257Fm1964년중성자 포획
258Fm1971년257Fm(d,p)
259Fm1980년257Fm(t,p)
260Fm?1992년?254Es+18O, 22Ne — 이동 (260Md의 EC)

260Fm은 1997년에 확인되지 않았다.

5. 페르뮴의 이용

페르뮴은 현재까지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기초 과학 연구에 활용된다.

참조

[1] 논문 α decay of Fm 243 143 and Fm 245 145 , and of their daughter nuclei https://journals.aps[...] 2020-10-12
[2] 논문 Study of the production and decay properties of neutron-deficient nobelium isotopes https://link.springe[...] 2022-03-24
[3] 문서 Heaviest nuclide produced via neutron capture
[4] 문서 Discovery of this isotope is unconfirmed
[5] 문서 Not directly synthesized, occurs as decay product of 260Md
[6] 웹사이트 http://www.nucleonic[...]
[7] 문서 약자:
ε: 전자 포획
IT: 이성질핵 전이
SF: 자발 핵분열

[8] 문서 중성자 포획을 통해 붕괴하는 가장 무거운 핵종이다.
[9] 문서 아직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다.
[10] 문서 직접 합성되지는 않고 260멘델레븀의 붕괴 생성물로 존재할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