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초라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초라강은 러시아 북부에 위치한 강으로, 길이는 1,809km이며 유역 면적은 322,000km²이다. 우랄 산맥에서 발원하여 북극해의 바렌츠해로 흘러들어가며, 볼가강, 다뉴브강에 이어 유럽에서 세 번째로 유출량이 많은 강이다. 페초라강은 코미 공화국 남동부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와 도시를 지나며, 과거에는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되었고, 페초라-카마 운하 건설 계획이 논의되기도 했다. 또한, 러시아 문학 작품인 '우리 시대의 영웅'의 주인공, 페초린의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미 공화국의 강 - 빔강
    빔강은 [주요 주제]이다.
  • 코미 공화국의 강 - 보르쿠타강
    보르쿠타강은 정보가 부족하여 정의를 내릴 수 없는 강이다.
페초라강
지도 정보
페초라 강 유역 및 지류
페초라 강 유역 및 지류
페초라 강둑 (약샤)
페초라 강둑 (약샤)
이름
한국어페초라 강
러시아어Печо́ра (페초라)
코미어Печӧра (페초라)
네네츠어Санэроˮ яха (사네로 야하)
어원강의 러시아어 이름은 옛 현지 네네츠 방언의 두 단어 "pe"와 "chora"의 조합임. 문자 그대로 "숲 거주자"를 의미함.
일반 정보
위치러시아
위치 상세한티만시 자치구, 코미 공화국, 네네츠 자치구
도시나리얀마르, 페초라, 우스치치라마
길이1,809 km
유역 면적322,000 km²
수문 정보
하구 평균 방류량 (연간)바렌츠 해 (하구 근처, 1993–2021년): 150 km³/년
하구 평균 방류량 (연간)바렌츠 해 (하구 근처, 1984–2018년): 159 km³/년
하구 평균 방류량 (연간)바렌츠 해 (하구 근처, 1971–2000년): 4,853.8 m³/s
옥시노 지점 평균 방류량(1971–2015년): 4,823 m³/s
옥시노 지점 평균 방류량(1981–1993년): 4,533 m³/s
옥시노 지점 최소 방류량643 m³/s
옥시노 지점 최대 방류량17,182 m³/s
지리 정보
발원지우랄 산맥
발원지 위치냑심볼 근처, 한티만시 자치구
발원지 좌표62°12′ N 59°26′ E
발원지 고도630 m
하구북극해, 페초라 해 / 바렌츠 해
하구 위치페초르스카야 구바, 네네츠 자치구
하구 좌표68°18′ N 54°25′ E
하구 고도0 m
수계
수계페초라 강
지류 (좌안)
지류 (좌안)운야 강
북부 밀바 강
벨류 강
레뮤 강
코주바 강
리자 강
이지마 강
네리차 강
피즈마 강
치리스마 강
술라 강
지류 (우안)
지류 (우안)일리치 강
포드체리에 강
슈고르 강
우사 강
라야 강
요르사 강
소즈바 강
샤프키나 강
쿠야 강

2. 지리

페초라강은 길이가 1809km (Columbia River영어보다 약간 짧음)이고 유역 면적은 322000km2핀란드와 거의 같은 크기이다. 연평균 유출량으로 볼 때 볼가강, 다뉴브강에 이어 유럽에서 세 번째로 큰 강이다.[10] 유출량은 다뉴브강의 약 3/4이며, 자매강인 북드비나강보다 약간 더 많고, 뉴기니를 제외하고 유역에 댐이 없는 강 중 가장 큰 강이다.[10]

페초라강, 밝은 색의 우랄 산맥과 오브강의 일부


하류 서쪽에는 티만 구릉이 있다. 우랄산맥 서쪽 측면을 따라 유역 동쪽에는 유기드 바 국립공원이 있다. 또한 유역에는 유럽에서 가장 큰 원시림인 코미 처녀림이 있다. 유역의 최북동쪽, 우사강에는 대규모 석탄 중심지인 보르쿠타가 있다. 이 강은 한때 중요한 교통로였으며, 특히 시베리아 북서부로 여행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늘날에는 보르쿠타에서 모스크바까지 남서쪽으로 철도가 놓여있다.

2. 1. 페초라강의 경로

페초라강은 코미 공화국 남동부 구역의 우랄산맥에서 발원한다. 이 지역은 페초라-일리치 자연보호구역의 일부이다. 우랄산맥 반대편에는 세베르나야 소스와강의 발원지가 있다. 강은 남쪽으로 흐르다가 서쪽으로 흐르고, 소형 선박의 항해 기점인 야크샤 근처에서 북쪽으로 방향을 튼다. 육로를 통해 남쪽으로 가면 카마강 유역으로 이어진다. 동쪽으로는 비체그다강 상류가 있는데, 이 강은 북드비나강의 지류이다. 페초라강은 콤소몰스크나페초레를 지나 우스티리치로 흐르고, 이곳에서 일리치강이 동쪽에서 합류한다. 그 후 북서쪽으로 흘러 트로이츠코페초르스크(하구에서 1359km)를 지나 북쪽으로 복틸과 우스트슈추게르로 흐르며, 이곳에서 슈추고르강이 동쪽에서 합류한다. 강은 다시 북쪽으로 흘러 페초라 (도시)를 지나는데, 이곳에서 보르쿠타에서 오는 철도가 교차하며, 그 후 북쪽으로 우스티우사로 흘러간다. 여기에서 우사강이 동쪽에서 합류한다(우사강은 한때 베르호투리예에서 시베리아로 가는 중요한 강길이었다). 그 후 페초라강은 북서쪽, 서쪽, 그리고 서남서쪽으로 굽이쳐 흐른다. 이즈마강이 남쪽에서 합류한다. 그런 다음 서쪽으로 더 흘러 우스티칠마(하구에서 425km)로 가는데, 여기에서 피즈마강이 남서쪽에서, 칠마강이 서쪽에서 합류한다. 현대 이전에는 사람들이 칠마강을 거슬러 올라가 표자강으로 육로를 통해 이동하여 백해에 도달했다. 그 후 페초라강은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극 북극권네네츠 자치구의 경계를 지나 푸스토지오르스크, 나랸마르, 네네츠의 수도이자 페초라 삼각주의 기점에 있는 항구, 페초라만, 페초라해, 그리고 마지막으로 바렌츠해를 지난다.

2. 2. 지류

우랄산맥에서 발원하여 코미 공화국 남동부 구역을 흐른다. 이 지역은 페초라-일리치 자연보호구역의 일부이다. 우랄산맥 반대편에는 세베르나야 소스와강의 발원지가 있다. 페초라강은 남쪽으로 흐르다가 서쪽으로 흐르고, 소형 선박의 항해 기점인 야크샤 근처에서 북쪽으로 방향을 튼다. 동쪽으로는 비체그다강 상류가 있는데, 이 강은 북드비나강의 지류이다.

페초라강은 콤소몰스크나페초레를 지나 우스티리치로 흐르고, 이곳에서 일리치강이 동쪽에서 합류한다. 그 후 북서쪽으로 흘러 트로이츠코페초르스크를 지나 북쪽으로 복틸과 우스트슈추게르로 흐르며, 이곳에서 슈추고르강이 동쪽에서 합류한다. 강은 다시 북쪽으로 흘러 페초라 (도시)를 지나는데, 이곳에서 보르쿠타에서 오는 철도가 교차하며, 그 후 북쪽으로 우스티우사로 흘러간다. 여기서 우사강이 동쪽에서 합류한다. 그 후 페초라강은 북서쪽, 서쪽, 그리고 서남서쪽으로 굽이쳐 흐른다. 이즈마강이 남쪽에서 합류한다. 그런 다음 서쪽으로 더 흘러 우스티칠마로 가는데, 여기에서 피즈마강이 남서쪽에서, 칠마강이 서쪽에서 합류한다.

3. 수문

1981년부터 1993년까지 페초라강 하구에서 141km 상류에 있는 옥시노 마을에서 이 강의 월평균 방류량을 기록했다. 측정값은 m3/s 단위이다.[5]

방류량 (m3/s)
1월926
2월743
3월643
4월778
5월11829
6월17182
7월7530
8월3543
9월4303
10월3670
11월1972
12월1277


4. 운하 건설 계획

페초라 강에 철도가 부설되기 전에는 카마 강 유역의 체르딘에서 페초라 강 유역의 약샤까지 운반로를 이용하는 것이 이 지역으로 가는 중요한 방법이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같은 경로를 따라 페초라-카마 운하 건설 계획이 광범위하게 논의되었다. 이는 운송 목적보다는 북부 강물 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페초라 강 물의 일부를 카마 강으로 돌리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제안된 운하 노선에서는 1971년에 600m 이상의 크레이터를 파낸 3중 핵폭발을 제외하고는 건설 작업이 수행되지 않았다.[1]

5. 문학적 언급

미하일 레르몬토프의 소설 ''우리 시대의 영웅'' 주인공인 페초린의 이름은 페초라강에서 유래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ru:Печора http://dic.academic.[...] Географиче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2012-03-31
[2] 논문 Structure and variability of the Pechora plume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Barents Sea
[3] 논문 Recent changes to Arctic river discharge https://www.nature.c[...] 2021
[4] 웹사이트 Northern Europe https://www.riversne[...]
[5] 웹사이트 Pechora River at Oksino http://www.r-arcticn[...] ArcticNet 2012-03-31
[6] 웹사이트 Pechora River at Oksino http://www.r-arcticn[...] ArcticNet 2012-03-31
[7] 논문 Changing freshwater contributions to the Arctic https://online.ucpre[...]
[8] 웹사이트 Pechora River at Oksino http://www.r-arcticn[...] ArcticNet 2012-03-31
[9] 웹사이트 Pechora River at Oksino http://www.r-arcticn[...] ArcticNet 2012-03-31
[10] 웹사이트 Fragmentation and Flow Regulation of the World's Large River Systems http://www.gwsp.org/[...] 2011-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