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르투갈 백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투갈 백국은 868년 비마라 페레스가 포르투스를 레콩키스타한 후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알폰소 3세에 의해 백작으로 임명되면서 시작되었다. 1071년 누노 멘데스가 사망하면서 폐지되었고, 이후 1096년 부르고뉴의 헨리가 포르투갈과 코임브라를 넘겨받아 제2 백국이 시작되었다. 헨리의 사후 그의 아내 테레사가 섭정으로 통치했으며, 아들 아폰수 엔히케스가 1139년 왕으로 선포된 후 1143년 레온 왕국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아 포르투갈 왕국으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백국 - 라마르슈 백국
    라마르슈 백국은 프랑스의 옛 백국으로, 여러 가문에 의해 통치되다가 프랑스 왕실에 합병되었으며 현재는 오를레앙 가문에서 명목상의 작위로 사용된다.
  • 레콩키스타 - 톨레도 왕국
    톨레도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에 존재했던 무슬림 왕국으로, 알폰소 6세에게 정복되어 카스티야 왕국에 합병된 후 레온-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수도가 되었으며, 여러 사건을 거쳐 스페인의 영토 재편 과정에서 폐지되었다.
  • 레콩키스타 -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1212년 7월 16일 스페인에서 벌어진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는 기독교 연합군이 무와히드 왕조를 격파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 쇠퇴를 가속화시킨 결정적인 전투이다.
  • 레온 왕국 - 알폰소 7세
    알폰소 7세는 레온과 카스티야를 통합하고 "스페인 황제"를 자처하며 레콩키스타를 추진, 알모라비드 왕조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알모하드 왕조의 부상과 왕국 분할 상속으로 내분을 겪고 레콩키스타 진전이 주춤하는 결과를 낳았다.
  • 레온 왕국 - 알폰소 9세
    알폰소 9세는 레온 왕국의 왕으로, 카스티야 왕국과의 갈등 속에서 코르테스 소집, 살라망카 대학교 설립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사후 그의 아들 페르난도 3세가 레온과 카스티야 왕국을 통합했다.
포르투갈 백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포르투갈 백국
현지 이름comtato de Portugalle (고대 갈리시아어)
Comitatus Portugalliæ (라틴어)
통칭포르투갈리아
위치포르투갈 및 스페인
포르투갈 제2 백국 지도
포르투갈 제2 백국
역사
존속 기간868년 – 1071년
1096년 – 1139년
건국868년
멸망1139년
주요 사건오리케 전투
이전 국가아스투리아스 왕국
갈리시아 왕국
레온 왕국
코임브라 백국
후계 국가포르투갈 왕국
중세 포르투갈
정치
정치 체제봉건 군주제
수도기마랑이스 (868년–1131년)
코임브라 (1131년–1139년)
주요 지도자비마라 페레스 (초대 백작, 비마라 가문)
누누 2세 멘데스 (비마라 가문 마지막 백작, 갈리시아 왕국에 합병)
엔리케 (제2 백국 초대 백작, 부르고뉴 가문)
아폰수 엔리케스 (제2 백국 마지막 백작)
직함포르투갈 백작
인구
민족포르투갈인
언어 및 종교
공용어갈리시아-포르투갈어
모사라베어
안달루시아 아랍어
종교칼케돈 기독교 (1054년까지 공식)
로마 가톨릭교회 (1054년 이후 공식)
이슬람
유대교
국기 및 문장
1095–1248년 포르투갈 국기
국기
포르투갈 백작 엔히크의 문장
포르투갈 백작 엔리케의 문장

2. 역사적 배경

포르투갈 백국의 역사는 868년 비마라 페레스가 포르투스 칼레(포르투)를 되찾은 시점부터 시작된다고 본다.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알폰소 3세는 비마라 페레스를 백작으로 임명하고 리미아 강과 도우루 강 사이의 변경 지역을 관리하도록 했다. 도우루 강 남쪽에는 코임브라 백국이 형성되었으나, 알만조르에 의해 코임브라가 다시 점령되면서 포르투갈 백국의 영역은 레온 왕국의 남쪽 경계 부근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레온과 카스티야의 페르디난드 1세 통치 기간에 라메고(1057년), 비세우(1058년), 코임브라(1064년)가 다시 정복되었다.

10세기 말, 포르투갈 백국의 지도자들은 권력의 절정에 달했다. 곤살루 메넨데스 백작은 ''magnus dux portucalensium'' ("포르투갈의 대공")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을 수 있으며, 그의 아들 메넨두 곤살레스는 ''dux magnus'' (대공) 칭호를 사용했다. 곤살루 백작은 산초 1세를 독살했다는 의혹을 받지만,[2] 모든 역사가들이 이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960년대 후반, 곤살루의 영토는 바이킹에게 유린당했고, 968년에는 레온의 라미로 3세와 불화를 겪기도 했다. 메넨두 곤살레스는 레온의 베르무도 2세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그의 아들 레온의 알폰소 5세의 섭정을 맡기도 했다.

백국은 레온 왕국 내에서 다양한 수준의 자치권을 유지했으며, 갈리시아 왕국에 속하기도 했다. 1071년, 누노 멘데스 (백작) 백작이 페드로소 전투에서 갈리시아의 가르시아 2세에게 패배하면서 백국은 폐지되고 갈리시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이후 갈리시아 왕국은 다시 레온 왕국에 통합되었다.

1096년, 알폰소 6세는 포르투갈 백국을 갈리시아에서 분리하여 사위인 부르고뉴의 헨리에게 넘겨주었다. 헨리는 기마랑이스를 중심지로 삼고 포르투갈 백국을 통치했다. 헨리 사후, 그의 아내 테레사가 아들 아폰수 엔리케스()를 대신하여 섭정을 맡았으나, 1128년 상 마메데 전투에서 아폰수 엔리케스에게 패배했다. 아폰수 엔리케스는 1139년 우리케 전투에서 승리한 후 포르투갈의 왕으로 선포되었고, 1143년 사모라 조약을 통해 레온과 카스티야의 알폰소 7세로부터 포르투갈의 독립을 인정받았다.

2. 1. 초기 포르투갈 백국 (제1 백국)

868년 비마라 페레스가 포르투스 칼레(포르투)를 되찾고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알폰소 3세에게서 백작으로 임명되면서 포르투갈 백국이 시작되었다. 알폰소 3세는 리미아 강과 도우루 강 사이 변경 지역을 관리하게 했다. 이후 에르메네질두 구티에레스가 무어인에게서 코임브라를 정복해 코임브라 백국을 세웠으나, 987년 알만조르가 코임브라를 다시 점령하면서 백국 영역은 변화를 겪었다.

곤살루 메넨데스 백작은 ''magnus dux portucalensium'' ("포르투갈의 대공") 칭호를, 메넨두 곤살레스는 ''dux magnus'' (대공) 칭호를 사용했다. 산초 1세 암살 사건에 곤살루 메넨데스가 연루되었다는 역사적 논쟁이 있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의 진실 규명을 주장한다. 960년대 후반 바이킹의 침략과 레온의 라미로 3세와의 갈등도 있었다.

메넨두 곤살레스는 레온의 베르무도 2세와 긴밀한 관계였고, 레온의 알폰소 5세의 섭정을 맡기도 했다. 포르투갈 백국은 레온 왕국 안에서 자치권을 유지했으나, 1071년 누노 멘데스 (백작) 사망으로 백국은 폐지되고 갈리시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2. 2. 제2 포르투갈 백국

1093년, 알폰소 6세는 사위인 부르고뉴의 레이몽을 갈리시아 백작으로 임명했다. 당시 갈리시아는 코임브라 남쪽까지의 현대 포르투갈을 포함했지만, 알폰소 6세는 같은 영토에 대한 '왕'의 칭호를 유지했다. 그러나 레이몽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우려하여 1096년 알폰소 6세는 포르투갈과 코임브라를 갈리시아에서 분리하여 또 다른 사위인 부르고뉴의 헨리(엔히크)에게 넘겨주었다. 헨리는 알폰소 6세의 사생아 딸 테레사와 결혼했다.[5][6] 헨리는 기마랑이스를 중심지로 선택했고, ''콘다두 포르투칼렌세''(Condado Portucalense)는 레온 왕국에 의해 1143년에 독립을 인정받을 때까지 지속되었다. 그 영토는 미뉴 강과 테주 강 사이의 현재 포르투갈 영토의 상당 부분을 포함했다.

헨리 백작은 서부 이베리아에서 ''레콩키스타''를 계속했고, 백국의 영토를 확장했다. 그는 또한 사촌 레이몽 및 처제인 카스티야의 우라카와 함께 레온 궁정 내부의 여러 음모에 연루되었는데, 포르투갈의 자치 또는 독립에 대한 약속을 대가로 레이몽의 즉위를 지지했다. 1111년 무슬림은 포르투갈의 산타렘을 정복했다. 헨리 백작이 1112년에 사망했을 때, 테레사는 어린 아들을 대신하여 정권을 잡았고, 언니인 우라카 여왕의 지배에 도전하기 위해 갈리시아 귀족과 동맹을 맺었으며, 잠시 여왕 칭호를 사용했다.[3][4] 그러나 그녀는 1121년에 우라카에게 패배했고, 레온 국가에 대한 봉건적 종속 지위를 받아들여야 했다.

그녀의 아들인 아폰수 엔리케스(아폰수 1세)는 1128년 기마랑이스 근처의 상 마메데 전투에서 어머니의 군대를 격파한 후 정부의 지휘권을 잡았다. 이 전투 이후, 그는 십자가와 "포르투갈"이라는 단어가 새겨진 인장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엔트르-도우루-에-미뉴(도루 강·미뉴 강 사이의 지역) 귀족들의 지원을 받으며 전투에서 승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128년에서 1139년 사이에는 그는 결코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지 않고, 오히려 ''프린켑스'' 또는 ''인판테''라는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사실상 그가 자신의 정치적 범주에 대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없었음을 의미한다. 즉, 그는 사실상 알폰소 6세의 합법적인 상속자인 레온과 카스티야의 알폰소 7세의 동의에 따라야 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했다. 또한 그는 레온과 카스티야의 왕에 대한 명백한 종속적 지위에 놓이게 될 "백작"이라는 칭호도 사용하지 않았다.

1139년 우리케 전투에서의 그의 승리는 그의 군대에 의해 포르투갈의 왕으로 선포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1143년, 그의 명목상 주군인 레온과 카스티야의 알폰소 7세는 사모라 조약에서 포르투갈의 ''사실상'' 독립을 인정했다.

3. 역대 백작



포르투갈 백국의 역대 통치자는 다음과 같다.

통치 기간인물비고
868년 - 873년비마라 페레스
873년 - ?루시디우 비마라네스
924년경 - 950년경에르메네길두 곤살레스
924년경 - 950년경무마도나 디아스
950년경 - 997년곤살루 메넨데스자칭 "포르투갈 대공"
997년 - 1008년메넨두 곤살레스
1008년 - 1015년알비투 누네스
1017년 - 1028년누누 알비테스
1017년 - 1028년일두아라 멘데스멘두 누네스의 섭정
1028년 - 1050년멘두 누네스
1050년 - 1071년누누 멘데스



제2 백국 시대의 백작은 헨리(1096년–1112년), 테레사(1112년 - 1128년, 아들 아폰수의 섭정), 아폰수 엔히크스(1112년 - 1139년)이다.

3. 1. 제1 백국 (비마라 가문)

통치 기간인물비고
868년 - 873년비마라 페레스
873년 - ?루시디우 비마라네스
924년경 - 950년경에르메네길두 곤살레스
924년경 - 950년경무마도나 디아스
950년경 - 997년곤살루 메넨데스
997년 - 1008년메넨두 곤살레스
1008년 - 1015년알비투 누네스
1017년 - 1028년누누 알비테스
1017년 - 1028년일두아라 멘데스아들 멘두 누네스의 섭정
1028년 - 1050년멘두 누네스
1050년 - 1071년누누 멘데스


3. 2. 제2 백국 (부르고뉴 가문)

헨리 (1096년–1112년)와 테레사 (1096년-1128년)는 1116년 교황 파스칼 2세에게 "포르투갈 여왕"으로 인정받았으나, 1121년 독립 주장을 포기하였다. 아폰수 (1112년/1128년–1143년)는 1139년 그의 군대에 의해 왕으로 선포되었고, 1143년 레온의 왕에 의해 독립을 인정받았다.

참조

[1] 서적 História de Portugal I – A Formação do Território QuidNovi
[2] 간행물 Christian States in Northern Spain During the Umayyad Period (138–366 A.H./A.D. 755–976): The Borders of those States, their kings, Internal Relations; Its Influence on their Relations and Motives for their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Muslims
[3] 웹사이트 Donation document of Soure Castle to the Knights Templar by Queen D.Teresa in 1126 ("Ego Regina Tarasia") http://digitarq.dgar[...] Arquivo Nacional da Torre do Tombo 1126
[4] 웹사이트 Donation document of the burg of Porto to Bishop Hugo by Queen D.Teresa in 1120 http://gisaweb.cm-po[...] Câmara Municipal do Porto
[5] 서적
[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