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DX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스코DX는 1989년에 설립되어 2000년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이다. 2010년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2023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사업 분야에 대한 정보는 문서에 아직 기재되어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스코그룹 -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967년 대우실업으로 설립되어 2000년 (주)대우 무역 부문에서 분할된 대한민국의 종합상사로, 섬유, 철강 무역에서 시작해 플랜트, 자원 개발, 에너지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2010년 포스코 그룹에 편입, 2023년 포스코에너지와 합병하여 글로벌 친환경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성장 중이나, 미얀마 가스전 사업, 파푸아뉴기니 팜유 사업 등으로 논란이 있다. - 포스코그룹 - 포항제철고등학교
포항제철고등학교는 1981년 개교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전국 단위 학생 모집 및 운동부 운영을 하며 2023년 2월 기준 14,496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1989년 설립된 기업 -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은 기술보증기금법에 따라 기술보증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기관으로,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 지원 및 기술 혁신 촉진을 주요 역할로 한다. - 1989년 설립된 기업 - 시공사
199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출판사 ㈜시공사는 인문, 사회, 문학, 예술, 아동 등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출판하며, 여러 임프린트 브랜드를 운영하고, 다양한 시리즈를 출간하며, 잡지 발행과 마블 공식 스토어 인수 등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 소프트웨어에 관한 - 크래프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시리즈의 성공을 기반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기업이자 지주회사로, 여러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게임을 개발 및 서비스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 소프트웨어에 관한 - 넷마블
넷마블은 2000년 방준혁 의장이 설립하여 게임 서비스 사업으로 성장, CJ그룹 편입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거쳐 '리니지2 레볼루션' 성공과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이루었으나, 최근 메타버스 사업 실패 및 구조조정 등의 어려움 속에서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며 향후 행보가 주목되는 대한민국의 게임 기업이다.
| 포스코DX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회사 정보 | |
| 이름 | 주식회사 포스코디엑스 |
| 원어 | POSCO DX COMPANY LTD. |
| 종류 | 주식회사 |
| 창립일 | 1989년 11월 27일 |
| 시장 정보 | (2000.11.28 상장) |
| 장소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동로 68 (호동) |
| 인물 | 정덕균 (대표이사) |
| 산업 |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배전반 및 전기자동제어반 제조업 |
| 제품 | Smart Factory, IT Service, EIC Engineering, Smart Logistics, lndustrial Robot |
| 자본금 | 76,017백만원 (2022) |
| 매출액 | 1,152,680백만원 (2022) |
| 영업이익 | 64,668백만원 (2022) |
| 당기순이익 | 45,851백만원 (2022) |
| 자산 총액 | 851,594백만원 (2022) |
| 주주 | 주식회사 포스코 외 특수관계인: 66.28% |
| 모기업 | 포스코 |
| 웹사이트 | 포스코디엑스 공식 웹사이트 |
2. 기업 정보
POSCO DX영어는 1989년 11월 27일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 11월에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2022년 기준으로 자본금은 760억원이며, 임직원 수는 2,100명이다. 대표이사는 정덕균이며, 사업장은 판교, 서울, 포항, 광양에 위치해 있다.
2010년 1월 '(주)포스코아이씨티(포스코ICT)'로 사명을 변경하였고,[1] 2023년 3월 현재의 사명인 '(주)포스코디엑스(포스코DX)'로 다시 변경하였다.
주주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주주명 | 주식수(주) | 지분율(%) |
|---|---|---|
| ㈜포스코 | 99,403,282 | 72.54 |
| 포스텍 | 1,319,074 | 0.96 |
| 자사주 | 235,065 | 0.17 |
| 우리사주 | 42,890 | 0.03 |
| 개인 | 28,151,599 | 20.55 |
| 국내기관 | 6,318,696 | 4.61 |
| 외국인 | 1,564,123 | 1.14 |
| 합계 | 137,034,729 | 100.00 |
2. 1. 개요
POSCO DX영어는 1989년 11월 27일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 11월에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2022년 기준으로 자본금은 760억원이며, 임직원 수는 2,100명이다. 대표이사는 정덕균이며, 사업장은 판교, 서울, 포항, 광양에 위치해 있다.2. 2. 연혁
- 2010년 1월: '(주)포스코아이씨티(포스코ICT)'로 사명 변경[1]
- 2010년 2월: 지식경제부 주관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 참여
- 2010년 3월: 포스코건설과 전기차 충전시스템 공동 개발 및 특허 출원
- 2010년 4월: 신울진 원전 1, 2호기 원전 안전등급제어기기 공급 계약
- 2010년 4월: 포스코파워(주)에 연료전지사업 영업 양도
- 2010년 7월: 미국 Xtreme Power社의 지분 투자 및 사업협력 체결[2]
- 2010년 9월: 한국거래소 SRI(사회책임투자)지수 편입[3]
- 2010년 9월: (주)포스코엘이디 법인 설립[4]
- 2010년 9월: 원전제어 핵심기술(원전 안전등급 제어기기) 개발 완료[5]
- 2010년 12월: PRT(Personal Rapid Transit) 전문업체 Vectus社 인수
- 2011년 1월: 포스코 광양제철소 4열연 신설사업 열연설비 EIC 공급 계약[6]
- 2011년 6월: 인도네시아 PT.KITech社와 철강분야 기술 협력 및 상호협력 협약 체결[7]
- 2011년 7월: 한화S&C와 사업협력 협약 체결[8]
- 2011년 7월: 포스코 첫 해외 제철소인 인도네시아 제철소 후판 EIC EP 계약[9]
- 2011년 8월: (주)포뉴텍 법인 설립[10]
- 2023년 3월: '(주)포스코디엑스 (포스코DX)'로 사명 변경
2. 3. 주주 현황
| 주주명 | 주식수(주) | 지분율(%) |
|---|---|---|
| ㈜포스코 | 99,403,282 | 72.54 |
| 포스텍 | 1,319,074 | 0.96 |
| 자사주 | 235,065 | 0.17 |
| 우리사주 | 42,890 | 0.03 |
| 개인 | 28,151,599 | 20.55 |
| 국내기관 | 6,318,696 | 4.61 |
| 외국인 | 1,564,123 | 1.14 |
| 합계 | 137,034,729 | 100.00 |
2. 4. 자회사
포스코DX의 자회사에 대해서는 현재 알려진 바가 없다.참조
[1]
웹인용
포스데이타-포스콘 통합법인 공식 출범
http://www.ebn.co.kr[...]
[2]
웹인용
포스코 ICT “신사업으로 매출 부진 만회”
http://www.etnews.co[...]
[3]
웹인용
동아제약•현대건설, SRI지수에 신규편입
http://www.etnews.co[...]
[4]
웹인용
포스코, LED조명사업 법인 출범
http://www.hani.co.k[...]
[5]
웹인용
원전 제어 핵심기술, MMIS 개발성공
https://news.naver.c[...]
[6]
웹인용
포스코ICT, 광양 4열연 설비공급 계약
http://www.ebn.co.kr[...]
[7]
웹인용
포스코ICT,印尼 철강분야 IT사업 확대 업무협약 맺어
http://www.fnnews.co[...]
[8]
웹인용
포스코ICT-한화S&C, 사업 협력 MOU
http://economy.donga[...]
[9]
웹인용
포스코아이씨티, 387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http://www.ajnews.co[...]
[10]
웹인용
포스코ICT, 원전사업 위해 신규법인 설립
http://biz.chosu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