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천군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포천군 전역을 관할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가평군, 연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포천군·가평군·연천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서정희, 윤성순, 김영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천시의 정치 - 포천시·가평군
포천시·가평군은 포천시와 가평군 전역을 관할하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조정으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포천시의 정치 - 포천시장 선거
포천시장 선거는 경기도 포천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부터 민선 군수를, 2006년부터는 민선 시장을 선출하고 있으며, 보수정당과 무소속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지만 2018년에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기도 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포천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포천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기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포천군·가평군·연천군 |
의원 수 | 1인 |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천군 전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국민주당 서정희 후보가,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윤성순 후보가 당선되었다. 제3대 국회의원 선거와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윤성순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었다.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김영구 후보가 당선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가평군, 연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포천군·가평군·연천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각 선거별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선거명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제헌 선거 서정희 한국민주당 8,270 31.70% 제2대 선거 윤성순 무소속 6,008 25.83% 제3대 선거 윤성순 자유당 10,481 41.61% 제4대 선거 윤성순 자유당 34,537 42.03% 제5대 선거 김영구 민주당 10,328 24.33%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경기도 포천군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서정희 | 한국민주당 | 8,270 | 31.70 | |
이해진 | 무소속 | 7,364 | 28.22 | |
이희종 | 조선법학회 | 5,938 | 22.76 | |
윤주순 | 무소속 | 2,141 | 8.20 | |
문진교 | 무소속 | 1,051 | 4.02 | |
이동백 | 무소속 | 713 | 2.73 | |
이기정 |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 | 610 | 2.33 | |
총 득표수 | 26,087 | 100 |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성순 | 무소속 | 6,008 | 25.83% |
이범영 | 무소속 | 4,144 | 17.82% |
이활 | 대한국민당 | 3,604 | 15.49% |
서정희 | 민주국민당 | 2,080 | 8.94% |
김윤수 | 무소속 | 2,023 | 8.69% |
이규창 | 신강회 | 1,234 | 5.30% |
이규웅 | 무소속 | 1,097 | 4.71% |
이동백 | 무소속 | 942 | 4.05% |
문진교 | 대한국민당 | 851 | 3.65% |
이용호 | 유도회 | 453 | 1.94% |
김대언 | 무소속 | 428 | 1.84% |
이종협 | 대한국민당 | 390 | 1.67% |
이사윤 | 무소속 | 0 | 0% |
신응호 | 무소속 | 0 | 0% |
정흥룡 | 무소속 | 0 | 0% |
이기춘 | 무소속 | 0 | 0% |
이기인 | 무소속 | 0 | 0% |
권일중 | 무소속 | 0 | 0% |
김중민 | 사회당 | 0 | 0% |
장석화 | 무소속 | 0 | 0% |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윤성순 후보가 재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성순 | 자유당 | 10,481 | 41.61 |
황학성 | 무소속 | 3,974 | 15.78 |
임대순 | 무소속 | 3,000 | 11.91 |
김인봉 | 민주국민당1949 | 2,045 | 8.12 |
이해진 | 무소속 | 2,014 | 7.99 |
이규웅 | 무소속 | 1,137 | 4.51 |
서희석 | 무소속 | 855 | 3.39 |
문진모 | 무소속 | 742 | 2.94 |
장윤우 | 무소속 | 495 | 1.96 |
이근오 | 무소속 | 440 | 1.74 |
합계 | 25,183 | 100 |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윤성순 후보가 3선에 성공하였다. 민주당 김영구 후보는 경쟁하였으나 낙선하였다.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김영구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구 | 민주당 | 10,328 | 24.33% |
임대순 | 무소속 | 7,446 | 17.54% |
김영묵 | 무소속 | 6,406 | 15.09% |
이기우 | 민주당 | 5,229 | 12.31% |
이근오 | 민주당 | 3,171 | 7.47% |
문진교 | 무소속 | 2,292 | 5.39% |
백용기 | 무소속 | 2,231 | 5.25% |
이시찬 | 한국독립당 | 2,225 | 5.24% |
이해성 | 무소속 | 2,141 | 5.04% |
원봉운 | 무소속 | 980 | 2.30% |
합계 | 42,449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