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의 향토유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천시 향토유적은 선사 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유적을 포함하며, 포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준다. 선사 시대의 지석묘를 시작으로 삼국 시대의 산성, 고려 시대의 석조물, 조선 시대의 묘, 서원, 정문, 그리고 근현대의 공적비와 농악 등 다양한 유형의 유적이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중 일부는 경기도 기념물로 승격되어 향토유적에서 해제되기도 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은 선사 시대부터 조선 시대,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적 특징을 보여준다.
1987년 2월 12일 해제,
2. 포천시 향토유적의 역사적 분류
선사 시대 유적으로는 자작동 지석묘(2호)와 수입리 지석묘(33호)가 있다.
삼국 시대에는 보가산성지(36호), 운악산성(49호)이 축조되었으며, 고려 시대 유물로는 태봉 석조물(30호)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왕실 관련 유적으로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1호), 인흥군 묘 및 신도비(28호)가 조성되었다. 또한, 이경여선생 묘 및 신도비(8호), 심통원 선생 묘 및 신도비(16호), 박순 선생 묘 및 신도비(47호), 성여완 선생 묘(21호), 성석린 선생 묘(22호), 정기안 선생 묘(11호), 류경선 선생 묘(13호), 정만석 선생 묘(14호), 김중행 선생 묘(27호), 김흥근 선생 묘(31호), 양사언 선생 묘(32호), 이국주 선생 묘(37호), 이사검 선생 묘(38호), 조경 선생 묘(42호), 이벽 선생 묘(48호) 등 많은 인물의 묘가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유교 관련 유적으로는 옥병서원(26호), 운담영당(46호), 효자 오백주 정문(3호), 유인선 효우비(4호), 효자 신급 정문(9호), 권종 충신문(40호), 조득남 장군 정려(44호), 청해사(25호), 길명사(45호)가 있다. 불교 유적으로는 구읍리 석불 입상(5호), 구읍리 미륵불상(6호), 흥룡사 청암부도(35호), 동음사(34호)가 있다.
방어 시설로는 군내면 선정비군(7호), 영평리 선정비(39호), 태봉산성지(29호), 독산 봉수지(51호)가 있으며, 금수정(17호), 창옥병 암각문(41호)과 같은 건축물 및 암각문도 존재한다.
근대에는 이규채 선생 행적비(10호), 이범영 선생 공적비(12호), 최면식 선생 공적비(20호), 조영원 선생 공적비(24호) 등 공적비가 건립되었다. 송우리 태봉(18호), 만세교리 태봉(23호), 화현 분청사기 요지(52호), 오가리 가노농악(50호)도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한편, 충목단(15호), 인평대군묘(19호), 고모리산성(43호)은 경기도 기념물로 승격되면서 포천시 향토유적에서 해제되었다.
2. 1. 선사시대
2. 1. 1. 지석묘
자작동 지석묘와 수입리 지석묘는 청동기 시대의 묘제와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2. 2. 고려시대
2. 2. 1. 석불 입상
구읍리 석불 입상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교 조각상이다. 포천시 구읍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는 받침돌과 불상만 남아있다.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 2. 2. 미륵불상
구읍리 미륵불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민간 신앙의 형태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2. 3. 조선시대
포천시의 향토유적 중 조선시대 유적은 다음과 같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1호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는 포천시 삼육사로2111번길 75에 있으며, 소유자는 이우영이다.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8호 이경여 선생 묘 및 신도비는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 산31-3에 있으며, 소유자는 이인수이다.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16호 심통원 선생 묘 및 신도비는 묘의 경우 포천시 소흘읍 이곡리 산21, 신도비는 470-1에 있으며, 소유자는 이윤래이다.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28호 인흥군 묘 및 신도비는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 산18-6에 있으며, 소유자는 전주이씨인흥군파종회이다.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47호 박순 선생 묘 및 신도비는 포천시 창수면 옥수로327번길 231에 위치하며, 소유자는 전주이씨파종회이다. 2012년 9월 10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 향토유적 제3호 효자 오백주 정문은 포천시 정문동1길 38에 위치하며, 오화식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1986년 4월 9일 지정되었다.
포천시 향토유적 제4호 유인선 효우비는 포천시 자작동 153에 위치하며, 유재만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1986년 4월 9일 지정되었다.
포천시 향토유적 제9호 효자 신급 정문은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 734-2에 위치하며, 신윤철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1986년 4월 9일 지정되었다.
포천시 향토유적 제40호 권종 충신문은 포천시 소흘읍 한성1길 34에 위치하며, 권순묵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1986년 4월 9일 지정되었다.
포천시 향토유적 제44호 조득남 장군 정려는 포천시 가산면 마산리 583-3에 위치하며, 한양조씨종중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6년 4월 5일 지정되었다.
이 유적들은 조선시대 포천 지역의 충효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정문(旌門)은 충신, 효자, 열녀 등을 기리기 위해 그들이 살던 마을 입구나 집 앞에 세우던 붉은 문으로, 해당 인물의 행적을 널리 알리고 본받도록 하는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산2-4(청성문화체육공원 내)에 위치한 선정비군은 조선시대 지방관들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군이다. 1986년 4월 9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7호로 지정되었다. 포천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옥병서원은 1986년 4월 9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숙종 때 건립되어 이항복, 정경세, 이경석을 모셨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 훼철되지 않은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창수면 옥수로327번길 189에 위치한다.
청해사는 1986년 4월 9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25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인조 때 건립되었으며, 이성길과 그의 아들 이경직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창수면 포천로2721번길 18에 위치한다.
운담영당은 2006년 4월 5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4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후기 학자 이병연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일동면 화동로 1240에 위치한다.
길명사는 2006년 4월 5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45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숙종 때 문신 양사언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원래 양사언 묘 인근에 있었으나, 1970년대에 현 위치로 이전되었다. 일동면 영일로 645-50에 위치한다.
포천시의 산성은 국방 및 군사적 요충지로서 포천의 중요한 역할을 보여준다.
이 산성들은 포천 지역의 역사와 중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들이다. 특히 보가산성지와 운악산성은 한국 전쟁과 관련된 군사적 요충지였을 가능성이 높다.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 590에 위치한 독산 봉수지는 2012년 9월 10일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51호로 지정되었다. 독산 봉수지는 조선시대의 중요한 통신 체계 중 하나였다.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 687-1에 위치한 창옥병 암각문은 1994년 5월 2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4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문인들의 풍류를 엿볼 수 있는 유적이다.
포천시 향토유적 제52호인 화현 분청사기 요지는 포천시 화현면 화동로184번길 39에 위치하며, 2012년 9월 10일에 지정되었다. 소유자는 산림청이다. 이 요지는 조선 시대 분청사기 생산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2. 3. 1. 묘 및 신도비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1호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는 포천시 삼육사로2111번길 75에 있으며, 소유자는 이우영이다.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8호 이경여 선생 묘 및 신도비는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 산31-3에 있으며, 소유자는 이인수이다.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16호 심통원 선생 묘 및 신도비는 묘의 경우 포천시 소흘읍 이곡리 산21, 신도비는 470-1에 있으며, 소유자는 이윤래이다.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28호 인흥군 묘 및 신도비는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 산18-6에 있으며, 소유자는 전주이씨인흥군파종회이다.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47호 박순 선생 묘 및 신도비는 포천시 창수면 옥수로327번길 231에 위치하며, 소유자는 전주이씨파종회이다. 2012년 9월 10일에 지정되었다.
2. 3. 2. 정문 및 효우비
포천시 향토유적 제3호 효자 오백주 정문은 포천시 정문동1길 38에 위치하며, 오화식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1986년 4월 9일 지정되었다.
포천시 향토유적 제4호 유인선 효우비는 포천시 자작동 153에 위치하며, 유재만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1986년 4월 9일 지정되었다.
포천시 향토유적 제9호 효자 신급 정문은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 734-2에 위치하며, 신윤철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1986년 4월 9일 지정되었다.
포천시 향토유적 제40호 권종 충신문은 포천시 소흘읍 한성1길 34에 위치하며, 권순묵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1986년 4월 9일 지정되었다.
포천시 향토유적 제44호 조득남 장군 정려는 포천시 가산면 마산리 583-3에 위치하며, 한양조씨종중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6년 4월 5일 지정되었다.
이 유적들은 조선시대 포천 지역의 충효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정문(旌門)은 충신, 효자, 열녀 등을 기리기 위해 그들이 살던 마을 입구나 집 앞에 세우던 붉은 문으로, 해당 인물의 행적을 널리 알리고 본받도록 하는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2. 3. 3. 선정비군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산2-4(청성문화체육공원 내)에 위치한 선정비군은 조선시대 지방관들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군이다. 1986년 4월 9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7호로 지정되었다. 포천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2. 3. 4. 서원 및 사당
옥병서원은 1986년 4월 9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숙종 때 건립되어 이항복, 정경세, 이경석을 모셨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 훼철되지 않은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창수면 옥수로327번길 189에 위치한다.
청해사는 1986년 4월 9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25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인조 때 건립되었으며, 이성길과 그의 아들 이경직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창수면 포천로2721번길 18에 위치한다.
운담영당은 2006년 4월 5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4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후기 학자 이병연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일동면 화동로 1240에 위치한다.
길명사는 2006년 4월 5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45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숙종 때 문신 양사언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원래 양사언 묘 인근에 있었으나, 1970년대에 현 위치로 이전되었다. 일동면 영일로 645-50에 위치한다.
2. 3. 5. 산성
포천시의 산성은 국방 및 군사적 요충지로서 포천의 중요한 역할을 보여준다.
이 산성들은 포천 지역의 역사와 중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들이다. 특히 보가산성지와 운악산성은 한국 전쟁과 관련된 군사적 요충지였을 가능성이 높다.
2. 3. 6. 봉수지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 590에 위치한 독산 봉수지는 2012년 9월 10일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51호로 지정되었다. 독산 봉수지는 조선시대의 중요한 통신 체계 중 하나였다.
2. 3. 7. 암각문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 687-1에 위치한 창옥병 암각문은 1994년 5월 2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4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문인들의 풍류를 엿볼 수 있는 유적이다.
2. 3. 8. 분청사기 요지
포천시 향토유적 제52호인 화현 분청사기 요지는 포천시 화현면 화동로184번길 39에 위치하며, 2012년 9월 10일에 지정되었다. 소유자는 산림청이다. 이 요지는 조선 시대 분청사기 생산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2. 4. 근현대
'''근현대''' 시기 포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유적은 다음과 같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중 공적비는 다음과 같다.
조득남 장군 정려는 포천시 가산면 마산리 583-3에 위치하며, 2006년 4월 5일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44호로 지정되었다. 이 정려는 조선시대 무신이었던 조득남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한양조씨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18호 송우리 태봉은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 산28-3에 위치하며,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23호 만세교리 태봉은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 산8-3에 위치하며,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이인호가 소유하고 있다.
이 두 태봉은 왕실과 관련된 유적으로 추정된다.
포천시 창수면 오가리에서 전승되는 오가리 가노농악은 2012년 9월 10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50호로 지정되었다. 가노농악은 농사철에 두레를 짜서 농사일을 할 때 연주하던 농악을 말하며, 특히 오가리 가노농악은 포천 지역의 전통문화를 잘 보여주는 무형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금수정(포천시 창수면 오가리 546)은 1986년 4월 9일에 포천시 향토유적 제17호로 지정되었다. 김광도가 관리하고 있다.
태봉 석조물(포천시 영중면 호국로 3140)은 1986년 4월 9일에 포천시 향토유적 제30호로 지정되었다. 양재웅이 관리하고 있다.
동음사(포천시 이동면 화동로 1760)는 1986년 4월 9일에 포천시 향토유적 제34호로 지정되었다. 김영빈이 관리하고 있다.
2. 4. 1. 공적비
포천시의 향토유적 중 공적비는 다음과 같다.2. 4. 2. 정려
조득남 장군 정려는 포천시 가산면 마산리 583-3에 위치하며, 2006년 4월 5일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44호로 지정되었다. 이 정려는 조선시대 무신이었던 조득남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한양조씨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 4. 3. 태봉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18호 송우리 태봉은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 산28-3에 위치하며,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포천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23호 만세교리 태봉은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 산8-3에 위치하며, 1986년 4월 9일에 지정되었다. 이인호가 소유하고 있다.
이 두 태봉은 왕실과 관련된 유적으로 추정된다.
2. 4. 4. 무형 유산
포천시 창수면 오가리에서 전승되는 오가리 가노농악은 2012년 9월 10일 포천시 향토유적 제50호로 지정되었다. 가노농악은 농사철에 두레를 짜서 농사일을 할 때 연주하던 농악을 말하며, 특히 오가리 가노농악은 포천 지역의 전통문화를 잘 보여주는 무형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2. 4. 5. 기타
금수정(포천시 창수면 오가리 546)은 1986년 4월 9일에 포천시 향토유적 제17호로 지정되었다. 김광도가 관리하고 있다.
송우리 태봉(포천시 소흘읍 송우리 산28-3)은 1986년 4월 9일에 포천시 향토유적 제18호로 지정되었다. 포천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태봉 석조물(포천시 영중면 호국로 3140)은 1986년 4월 9일에 포천시 향토유적 제30호로 지정되었다. 양재웅이 관리하고 있다.
동음사(포천시 이동면 화동로 1760)는 1986년 4월 9일에 포천시 향토유적 제34호로 지정되었다. 김영빈이 관리하고 있다.
3. 지정 해제 및 승격 유적
경기 기념물 제102호로 승격19호인평대군묘1986년 4월 9일 지정,
1992년 6월 5일 해제,
경기 기념물 제130호로 승격43호고모리산성1994년 5월 2일 지정,
2002년 9월 16일 해제,
경기 기념물 제185호로 승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