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락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락은 2000년에 개봉한 영화로,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화가 잭슨 폴락의 삶을 다루고 있다. 영화는 1940년대 잭슨 폴락이 뉴욕에서 리 크래스너를 만나 예술적 성장을 이루는 과정을 그린다. 폴락은 알코올 중독과 예술적 압박감에 시달리며, 1956년 음주 운전 사고로 사망한다. 에드 해리스가 잭슨 폴락 역을, 마르시아 게이 하든이 리 크래스너 역을 맡았으며, 해리스는 이 영화의 연출과 제작에도 참여했다. 영화는 비평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마르시아 게이 하든은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6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남아있는 나날 (영화)
영화 《남아있는 나날》은 완벽주의적인 집사인 스티븐스가 과거 가정부였던 켄턴 양을 만나기 위해 여행을 떠나면서, 과거의 선택과 억눌린 감정, 잃어버린 시간에 대한 성찰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1956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마릴린 먼로와 함께한 일주일
2011년 개봉한 영국 영화 《마릴린 먼로와 함께한 일주일》은 1956년 영화 촬영 당시 마릴린 먼로와 젊은 조감독이 특별한 일주일을 보내는 이야기를 그린 전기 드라마로, 미셸 윌리엄스, 에디 레드메인, 케네스 브래너 등이 출연했으며 콜린 클라크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미셸 윌리엄스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 - 1949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겟 온 업
《겟 온 업》은 채드윅 보스먼 주연으로 제임스 브라운의 삶을 비선형적으로 묘사한 2014년 미국 전기 드라마 영화로, 그의 가난한 어린 시절부터 펑크 음악의 선구자로서 성공과 여러 어려움을 겪는 복잡한 삶을 음악과 사회적 메시지로 담아냈으며, 비평가들의 호평에도 불구하고 흥행에는 미치지 못했다. - 1949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암살 (2015년 영화)
암살은 1933년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친일파 암살 작전을 그린 2015년 개봉한 한국 영화이며, 독립군, 임시 정부, 청부살인업자 등의 인물들이 암살 작전을 수행하며 배신과 갈등을 겪는 내용을 담고, 흥행에 성공하여 2015년 한국 영화 흥행 1위를 기록했다.
폴락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Pollock |
감독 | 에드 해리스 |
제작 | 제임스 프랜시스 트레자 |
각본 | 바바라 터너 |
원작 | 스티븐 나이페와 그레고리 화이트 스미스의 잭슨 폴락: 아메리칸 사가 |
출연 | 에드 해리스 |
음악 | 제프 빌 |
촬영 | 리사 린즐러 |
편집 | 캐스린 히모프 |
제작사 | 지크 필름스 |
배급사 |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
개봉일 | 2000년 9월 6일 (베네치아 영화제) |
상영 시간 | 122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6,000,000 달러 |
흥행 수입 | 1050만 달러 |
일본 정보 | |
일본어 제목 | ポロック 2人だけのアトリエ |
일본 개봉일 | 2003년 11월 1일 |
일본 배급사 |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
일본 흥행 수입 | 8,596,900 달러 (미국) |
한국 정보 | |
한국어 제목 | 폴락 |
한국 감독 | 에드 해리스 |
한국 출연 | 에드 해리스, 마샤 게이 하든, 에이미 메디건 |
2. 줄거리
1940년대, 추상표현주의 화가 잭슨 폴락은 뉴욕에서 형 샌디와 함께 살며 가끔 단체 미술 전시회에 그림을 출품한다. 폴락은 동료 화가 리 크래스너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그녀의 헌신적인 지원을 받으며 매니저 역할을 맡는다. 폴락은 부유한 미술품 수집가 페기 구겐하임의 후원을 받아 전시회 계약과 타운하우스 벽화를 의뢰받지만, 첫 전시는 실패한다.
=== 주요 인물 ===
리 크래스너와 결혼 후, 폴락 부부는 롱아일랜드로 이주하여 자연 속에서 창작 활동에 몰두한다. 폴락은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비평에 반발하며 자신의 스타일을 고수하고, 드리핑 기법 등 혁신적인 작품을 발표한다. ''라이프'' 지에 소개되며 대중적인 명성을 얻지만, 예술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과 복잡한 여성 관계로 갈등은 심화된다.
폴락은 알코올 중독과 여성 편력으로 리와의 관계가 악화되고, 십 대 추상 예술가 루스 클리그먼과 불륜을 시작한다. 1956년, 폴락은 음주 운전 사고로 자신과 동승자 에디스는 사망하고, 루스는 중상을 입는다.
3. 등장인물
=== 조연 ===3. 1. 주요 인물
3. 2. 조연
4. 제작
스티븐 네이페와 그레고리 화이트 스미스의 저서 ''잭슨 폴락: 아메리카 사가''를 원작으로 하여 바바라 터너와 수잔 엠슈윌러가 각색하였고, 에드 해리스가 감독을 맡았다.[3]
이 영화는 에드 해리스가 오랫동안 열정을 쏟은 프로젝트였다.[3] 그는 아버지로부터 폴락의 전기를 받은 후 각색을 생각하기 시작했고, 실제로 완성되기까지 거의 10년이 걸렸다.
촬영 기간은 50일이었으며, 40일 촬영 후 해리스가 13.6kg을 찌우고 수염을 기르기 위한 6주간의 휴식 기간이 있었다.[4]
해리스는 영화에 나오는 모든 그림을 직접 그렸다.[4]
5. 평가
''폴락''은 로튼 토마토에서 80%, 메타크리틱에서 77점을 받는 등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비평가들은 에드 해리스의 몰입감 있는 연기를 호평했다.[5][6]
5. 1. 비평
''폴락''은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11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0%의 점수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6.9/10이다. 비평가들은 "''폴락''은 관객에게 화가 개인의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창작 과정을 강력하게 묘사한다. 해리스는 역할에 몰입하여 설득력 있는 연기를 보여준다"는 의견을 제시했다.[5] 메타크리틱에서는 31명의 평론가들을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77점을 받았다.[6]5. 2. 수상 내역
시상식 | 부문 | 후보 | 결과 |
---|---|---|---|
아카데미상[7] | 남우주연상 | 에드 해리스 | 후보 |
여우조연상 | 마샤 게이 하든 | 수상 | |
어워드 서킷 커뮤니티 어워드 | 남우주연상 | 에드 해리스 | 후보 |
여우조연상 | 마샤 게이 하든 | 후보 | |
카메라 이미지 | 황금 개구리상 | 리사 린즐러 | 후보 |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8] | 여우조연상 | 마샤 게이 하든 | 후보 |
전미 비평가 협회상[9] | 여우조연상 | 마샤 게이 하든 | 3위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10] | 여우조연상 | 마샤 게이 하든 | 수상 |
온라인 영화 & 텔레비전 협회상[11] | 남우주연상 | 에드 해리스 | 후보 |
새틀라이트상[12] | 영화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 | 에드 해리스 | 후보 |
토론토 영화 비평가 협회상[13] | 최우수 남우 연기상 | 에드 해리스 | 수상 |
월드 사운드트랙 어워드[14] | 올해의 발견상 | 제프 빌 | 후보 |
6. 사운드트랙
영화 ''폴락''의 사운드트랙은 제프 빌이 작곡했으며, 2001년 2월 13일에 발매되었다.[16]
곡 제목 | 작곡가 | 재생 시간 |
---|---|---|
Alone in a Crowd (군중 속의 고독) | 제프 빌 | 2:14 |
Beauty from Pain (고통에서 얻는 아름다움) | 제프 빌 | 1:55 |
One Man Show (원맨 쇼) | 제프 빌 | 2:02 |
The Window (창문) | 제프 빌 | 1:37 |
Stroke of Genius (천재의 붓질) | 제프 빌 | 3:57 |
Plant Your Garden (당신의 정원을 가꾸세요) | 제프 빌 | 2:12 |
Stroke by Stroke (붓질마다) | 제프 빌 | 2:45 |
Breaking the Rules (규칙을 깨다) | 제프 빌 | 2:27 |
Art of This Century (이 세기의 예술) | 제프 빌 | 1:04 |
The Look (시선) | 제프 빌 | 2:45 |
A Life's Work (평생의 업) | 제프 빌 | 1:27 |
Empty (텅 빈) | 제프 빌 | 2:42 |
A Letter from Lee (리로부터의 편지) | 제프 빌 | 1:52 |
The World Keeps Turning (세상은 계속 돌아간다) | 제프 빌 / 캐슬린 브레넌 / 톰 웨이츠 | 4:14 |
Unfinished (미완성) | 제프 빌 | 4:08 |
The Mural Goes on and On (벽화는 계속 이어진다) | 제프 빌 | 2:41 |
She Played the Banjo (그녀는 밴조를 연주했다) | 제프 빌 | 4:31 |
7. 한국어 더빙
金尾 哲夫|가나오 데쓰오일본어가 에드 해리스를, 戸田 恵子|도다 게이코일본어가 마샤 게이 하든의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1]
배역 | 배우 | 한국어 더빙 |
---|---|---|
잭슨 폴락 | 에드 해리스 | 金尾 哲夫|가나오 데쓰오일본어 |
리 크래스너 | 마샤 게이 하든 | 戸田 恵子|도다 게이코일본어 |
페기 구겐하임 | 에이미 매디건 | 宮寺 智子|미야데라 도모코일본어 |
루스 크리그먼 | 제니퍼 코넬리 | 小林 沙苗|고바야시 사나에일본어 |
빌럼 데 쿠닝 | 발 킬머 | 新垣 樽助|신가키 다루스케일본어 |
토니 스미스 | 존 허드 | |
클레멘트 그린버그 | 제프리 탬버 | 志摩 暎|시마 카유일본어 |
댄 밀러 | 톰 바우어 |
더빙판 기타 출연 성우:[1]
大滝 寛|오타키 히로시일본어, 水内 清光|미즈우치 기요미쓰일본어, 村松 康雄|무라마쓰 야스오일본어, 小形 満|고가타 만일본어, 石住 昭彦|이시즈미 아키히코일본어, 与野 ひかり|요노 히카리일본어, 細野 雅世|호소노 마사요일본어, 中川 和恵|나가카와 가즈에일본어, 요시다 코지, 浦山 迅|우라야마 준일본어, 田村 聖子|다무라 세이코일본어, 前田 ゆきえ|마에다 유키에일본어, 宮島 岳史|미야지마 다케시일본어
일본어판 제작 스태프:[1]
- 연출: 木村 絵理子|기무라 에리코일본어
- 번역: 다케모토 히로코
- 녹음・조정: 요시다 가요코
- 프로듀스: 오자와 준코
- 제작 담당: 이나카키 다카마사 (東北新社|도호쿠신샤일본어)
- 제작: 東北新社|도호쿠신샤일본어
참조
[1]
웹사이트
Pollock (2000)
https://catalog.afi.[...]
2024-03-10
[2]
웹사이트
Pollock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6-08-30
[3]
웹사이트
Pollock
http://www.sonypictu[...]
2006-12-04
[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Ed Harris
https://www.dvdtalk.[...]
[5]
웹사이트
Pollock (2000)
https://www.rottento[...]
[6]
웹사이트
Pollock
http://www.metacriti[...]
[7]
웹사이트
The 73rd Academy Awards (2001) Nominees and Winners
https://www.oscars.o[...]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8]
웹사이트
36 Years of Nominees and Winners
https://s3.amazonaws[...]
2021-08-13
[9]
웹사이트
Past Awards
https://nationalsoci[...]
2009-12-19
[10]
웹사이트
2000 New York Film Critics Circle Awards
https://www.nyfcc.co[...]
2021-07-05
[11]
웹사이트
5th Annual Film Awards (2000)
http://www.oftaaward[...]
2021-05-15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Press Academy website – 2001 5th Annual SATELLITE Awards
http://www.pressacad[...]
[13]
웹사이트
TFCA Awards 2001
http://torontofilmcr[...]
torontofilmcritics.com
[14]
웹사이트
World Soundtrack Awards
https://www.worldsou[...]
World Soundtrack Awards
2021-12-18
[15]
웹사이트
Pollock Soundtrack
https://www.allmusic[...]
2014-02-01
[16]
웹사이트
Pollock Soundtrack
https://www.allmusic[...]
201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