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엘리아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엘리아아과는 벼과의 아과로, 구아두엘라족과 푸엘리아족을 포함한다. 아프리카 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구아두엘라속과 푸엘리아속을 각각 포함한다. 벼과의 계통 분류는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으며, BOP 분지군과 PACMAD 분지군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엘리아아과 - 구아두엘라속
구아두엘라속은 기장과의 한 속으로, Guaduella densiflora 등 여러 종을 포함하며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에 분포한다. - 푸엘리아아과 - 푸엘리아속
푸엘리아속은 아프리카 지역에 분포하는 벼과 식물 속으로, Puelia coriacea, Puelia dewevrei, Puelia olyriformis, Puelia schumanniana 등의 여러해살이 풀을 포함하며, 과거 푸엘리아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알테르난테라속으로 재분류된 종도 존재한다. - 2000년 기재된 식물 - 클리난투스족
클리난투스족은 남아메리카 원산의 아마릴리스과에 속하는 족으로, 파미안테속과 파라몽가이아속을 포함하며 히메노칼리스족과 자매 관계를 이룬다. - 2000년 기재된 식물 - 타미이아속
브루나이와 말레이시아가 원산지인 타미이아속은 건조한 토양과 그늘진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로, 방사형 꽃차례와 흰색, 분홍색, 빨간색의 5개 꽃잎을 가지며 가짜 줄기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고 잎은 도란형인 것이 특징이며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한 식물이다.
푸엘리아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Puelioideae |
명명자 | L.G.Clark, M.Kobay., S.Mathews, Spangler & E.A.Kellogg (2000) |
![]() | |
하위 분류 | |
계급 | 족 |
하위 분류 | 아트락토카르페아에족 (Atractocarpeae) 과두엘레아에족 (Guaduelleae) |
2. 하위 분류
푸엘리아아과는 구아두엘라족과 푸엘리아족 2개의 족을 포함한다.
2. 1. 구아두엘라족 (Guaduelleae)
구아두엘라족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벼과의 한 족이다.[5] 구아두엘라속을 포함한다.2. 2. 푸엘리아족 (Puelieae)
아프리카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벼과의 한 족이다.[5] 푸엘리아속(''Puelia'' Franch.)을 포함한다.3. 계통 분류
벼과는 크게 BOP 분지군과 PACMAD 분지군 두 개의 주요 분지군으로 나뉜다.[6] 푸엘리아아과는 아노모클로아아과, 파루스아과와 함께 벼과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계통군 중 하나이다.
3. 1. 주요 분지군
벼과는 크게 BOP 분지군과 PACMAD 분지군 두 개의 주요 분지군으로 나뉜다.[6]3. 1. 1. BOP 분지군
벼아과(110), 대나무아과(1450), 포아풀아과(3850) 등을 포함한다. 대부분 C3 광합성 식물이다.[6]3. 1. 2. PACMAD 분지군
기장아과 '''C3''' & '''C4''' (3250), 나도바랭이아과 '''C3''' & '''C4''' (1600) 등을 포함한다. C3 및 C4 광합성 식물이 섞여 있다.[6]3. 2. 상세 계통도
벼과의 상세 계통도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의 숫자는 추정되는 종의 수이다.[6]{| class="wikitable"
|-
! 벼과
|-
|
{| class="wikitable"
|-
| 아노모클로아아과 '''C3''' (4)
|-
|
{| class="wikitable"
|-
| 파루스아과 '''C3''' (13)
|-
|
{| class="wikitable"
|-
| 푸엘리아아과 '''C3''' (11)
|-
|
{| class="wikitable"
|-
! BOP 분지군
|-
|
{| class="wikitable"
|-
| 벼아과 '''C3''' (110)
|-
|
대나무아과 C3 (1450) |
포아풀아과 C3 (3850) |
|}
|}
|-
! PACMAD 분지군
|-
|
{| class="wikitable"
|-
| 아리스티다아과 '''C3''' & '''C4''' (350)
|-
|
{| class="wikitable"
|-
| 기장아과 '''C3''' & '''C4''' (3250)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참조
[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2]
논문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3]
저널
The Puelioideae, A New Subfamily of Poaceae
2000
[4]
저널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5]
서적
Grass Systematics and Evolution
[6]
저널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