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푼착자야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푼착자야산은 인도네시아 파푸아에 위치한 산으로, '영광스러운 봉우리'라는 뜻의 푼착 자야(Puncak Jaya) 외에 카르스텐스 피라미드 등으로도 불린다. 1623년 네덜란드 탐험가 얀 카르스텐손에 의해 빙하가 처음 목격되었으며, 1962년 하인리히 하러가 이끄는 원정대에 의해 처음 등반되었다. 푼착자야산은 세계 7대륙 최고봉 중 하나이지만, 접근의 어려움과 높은 등반 난이도로 인해 등반이 쉽지 않다. 1995년부터 인도네시아 정부의 규제로 일반인의 입산이 제한되고 있으며, 등반 허가를 받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파푸아주의 지형 - 츤드라와시만
    인도네시아 파푸아주 북서부에 위치한 츤드라와시만은 새의 머리 반도와 맘베라모 강 하구 사이에 있는 큰 만으로, 서쪽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산호초와 해양 생물을 보호하며 어업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고, 역사적으로 티도레 술탄국과 관계를 맺어 바간 어업이 행해진다.
  • 인도네시아의 산 - 켈루트산
    켈루트산은 인도네시아의 활화산으로 잦은 폭발적인 분화와 인명 피해를 야기했으며, 특히 1586년과 1919년 분화는 큰 피해를 초래했고, 2014년 분화는 자바섬에 화산재 피해와 항공 교통 마비 등 사회 경제적 영향을 미쳤다.
  • 인도네시아의 산 - 두코노산
  • 칠대륙 최고봉 - 에베레스트산
    에베레스트산은 해발 8,848m의 세계 최고봉으로, 네팔과 티베트에서 각각 사가르마타, 초모랑마로 불리며, 1953년 힐러리와 텐징에 의해 초등되었으나 험준한 지형과 기후, 상업 등반으로 인한 안전 및 환경 문제가 남아있는 셰르파족에게 신성한 산이다.
  • 칠대륙 최고봉 - 디날리산
    디날리산은 북아메리카 최고봉으로 해발 6,190m의 알래스카 산맥에 위치하며, 화강암 산체는 지각 융기로 형성되었고 아타바스칸족은 '데날리'라 불렀으며 2015년 공식 명칭으로 복원되었다.
푼착자야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푼착자야산
다른 이름카르스텐즈 피라미드
네망카위 닝곡
로마자 표기Puncak Jaya
영어 이름Mount Carstensz
Carstensz Pyramid
높이4884 미터
참고1971–73년 호주 대학교 탐험대가 측정한 값을 기반으로 하며, 칠대륙 최고봉 당국과 최신 고해상도 레이더 데이터에서 지지한다.
오래된 높이(오래된 값)
솟아오름4884 미터
솟아오름 순위9위
산맥수디르만 산맥
목록칠대륙 최고봉
여덟 대륙 최고봉
국가 최고점
울트라 돌출봉
리부
위치중앙파푸아 주, 인도네시아
등반 정보
첫 등반1936년 콜린, 도지, 위셀스
1962년 하인리히 하러, 템플, 키팩스, 후이젠가
가장 쉬운 등반 경로암벽/눈/얼음 등반
산 정보
표고4884
주석5030 m라고 쓰이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1936년에 추정된 응가풀루의 표고이다. 현재 고해상도 레이더 데이터는 Seven Summits의 저자가 제시한 4884 m가 정확함을 보여준다.
소재지・중앙파푸아 주
산계수디르만 산맥
초등하인리히 하러, 1962년
추가 정보
지역중앙파푸아 주
산맥마오케산맥

2. 명칭

아무нг메(Amungme) 원주민 언어로 이 산의 이름은 Nemangkawi Ninggok|네망카위 닝고크und로, '흰 화살의 봉우리'라는 뜻이다. 푼착 자야(Puncak Jaya|푼착 자야id)는 '영광스러운 봉우리'라는 뜻의 인도네시아어이다. 카르스텐스 피라미드(Carstensz Pyramid|카르스텐스 피라미드영어), 자야위자야 산(Mount Jayawijaya|자야위자야 산영어), 또는 카르스텐스 산(Mount Carstensz|카르스텐스 산영어)으로도 알려져 있다.

3. 역사

푼착자야산과 그 주변 고지대는 유럽인 접촉 이전부터 아문칼족 등이 거주했으며, 이들은 산 정상을 '네망카위'라고 불렀다. 17세기 네덜란드 탐험가 얀 카르스텐손이 처음으로 산 정상의 빙하를 목격하여 유럽에 알려졌으며, 이후 20세기 초 헨드릭 알베르트 로렌츠 등의 탐험을 통해 주변 지역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로렌츠 국립공원 지정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3. 1. 초기 역사와 유럽인의 발견

정상 주변 고지대는 유럽인 접촉 이전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정상은 아문칼어로 '''네망카위'''로 알려져 있다.

3. 2. 네덜란드 탐험

자야봉은 1623년 맑은 날 산 정상의 빙하를 처음 목격한 네덜란드 탐험가 얀 카르스텐손의 이름을 따서 "카르스텐스 피라미드"라고 불렸다.[4] 그러나 이 목격 사실은 2세기 넘게 확인되지 않았고, 카르스텐손은 적도 근처에서 눈을 보았다고 주장했다가 유럽에서 조롱을 받기도 했다. 당시 지도에는 Sneeberghnl라고 표기되었다.[5]

1850년부터 2003년까지 카르스텐스 산맥 빙하의 범위를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지도.


트리코라봉의 눈밭은 자야봉에서 동쪽으로 170km 떨어진 곳에 있는데, 1909년 네덜란드 탐험가 헨드릭 알베르트 로렌츠가 보르네오 아포 카얀에서 모집한 6명의 다약족 케냐족 짐꾼들과 함께 도달했다.[6] 카르스텐스 산맥을 포함하는 로렌츠 국립공원의 전신은 이 탐험을 바탕으로 1919년에 설립되었다.

4. 지질

푼착자야산은 중앙 산맥의 최고봉이며, 후기 마이오세에 일어난 멜라네시아 조산 운동[7]의 결과로 형성되었다. 이 과정은 오스트레일리아 판과 태평양 판이 비스듬히 충돌하면서 발생했으며, 산의 주요 구성 암석은 중기 마이오세 시기의 석회암이다.[8]

5. 기후 및 빙하

푼착자야산 정상은 빙하가 없지만, 경사면에는 카르스텐츠 빙하(Carstensz Glacier), 서쪽 및 동쪽 북벽 빙원(Northwall Firn) 등 여러 빙하가 존재한다. 과거에는 메렌 빙하(Meren Glacier)도 있었으나 소멸했다.[9][25] 적도 지역에 위치하여 연평균 기온 변화는 약 0.5°C 정도로 매우 적으며, 빙하는 계절에 따라 약간만 변동한다.

그러나 역사적 기록 분석 결과, 이 희귀한 적도 빙하들은 소빙하기가 정점이었던 1850년대 이후 크게 후퇴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적 기온 상승 추세를 반영한다.[10] 1970년대 이후 위성 영상은 빙하의 급속한 후퇴를 보여주며,[9] 일부 빙하는 이미 완전히 사라졌다.[27] 최근 연구들은 남아있는 주요 빙하들도 가까운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11][12][28][29]

5. 1. 기후

wikitext

푼착 자야 산의 월별 평균 기온[13]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C)-0.1°C0°C0.1°C0.1°C0.3°C-0.2°C-0.3°C-0.5°C-0.4°C-0.3°C0°C0.1°C
최저 기온 (°C)-0.5°C-0.5°C-0.5°C-0.4°C-0.2°C-0.6°C-0.8°C-1.1°C-1°C-0.8°C-0.5°C-0.4°C



푼착 자야 빙하의 소멸, 1984–2020

5. 2. 빙하의 감소

1936년 푼착자야산 빙관


1972년 푼착자야산 빙관. 상당 부분 녹아 사라졌다.


푼착자야산 정상 자체에는 빙하가 없지만, 산의 경사면에는 카르스텐츠 빙하(Carstensz Glacier), 서쪽 북벽 빙원(West Northwall Firn), 동쪽 북벽 빙원(East Northwall Firn) 등 여러 빙하가 존재한다. 과거에는 메렌 계곡(Meren|메렌nl, 네덜란드어로 "호수"를 의미)에 있던 메렌 빙하(Meren Glacier)도 있었으나 최근 사라졌다.[9][25]

적도 부근에 위치한 탓에 연평균 기온 변화는 약 0.5°C 정도로 매우 적고, 빙하의 크기는 계절에 따라 약간만 변동한다. 하지만 역사 기록을 통해 이 희귀한 적도 빙하의 면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소빙하기가 절정이었던 1850년대 이후 빙하가 상당히 후퇴했음이 밝혀졌다. 이는 1850년부터 1972년까지 100년당 약 0.6°C의 지역적 기온 상승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온난화의 영향은 주변에서도 나타나는데, 같은 마오케 산맥에 위치한 푼차크 트리코라의 빙하는 1939년과 1962년 사이에 완전히 사라졌다.[10][26]

1970년대 이후 촬영된 위성 영상은 푼착자야산 빙하가 빠르게 후퇴하고 있음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특히 메렌 빙하는 1994년과 2000년 사이에 완전히 녹아 없어졌다.[9][27] 고기후학자 론니 톰슨(Lonnie Thompson)이 이끈 2010년 탐험대의 조사에 따르면, 빙하는 매년 7m 두께로 얇아지고 있으며, 2020년대에는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었다.[11][12] 또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카르스텐츠 빙하와 동쪽 북벽 빙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관측 연구에서는, 이 두 주요 빙하 역시 2019년 이후 10년 안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되었다.[28][29]

6. 등반

푼착자야산은 세계 7대륙 최고봉 중 하나이지만, 고도가 가장 낮음에도 기술적으로는 가장 어려운 등반 중 하나로 꼽힌다. 표준 등반 루트는 북쪽 면을 따라 오르는 암벽 등반이다.[14] 산으로의 접근 자체가 매우 어렵고, 열대 우림을 통과하는 정글 트레킹, 불안정한 현지 상황(등반 포터 파업 등), 예측하기 어려운 기상 조건, 기술적 난이도 등 여러 어려움이 따른다.

1936년 네덜란드 카르스텐스 원정대의 첫 등반 시도가 있었고, 현재 최고봉인 카르스텐스 피라미드는 1962년 오스트리아 등반가 하인리히 하러가 이끈 다국적 원정대에 의해 처음 등정되었다.[16] 인도네시아가 이 지역을 통치하게 된 1963년 이후, 봉우리 이름은 당시 대통령 수카르노를 기려 '푼착 수카르노'로 명명되었다가, 이후 탈수카르노화 과정에서 현재의 '푼착 자야'로 변경되었다. '푼착'은 봉우리를, '자야'는 승리 또는 영광을 의미한다. 등반가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카르스텐스 피라미드'라는 이름도 널리 사용된다.[17]

정상 등반을 위해서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허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1995년부터 2005년까지는 산이 폐쇄되었으나, 2006년부터 일부 모험 관광 기관을 통해 제한적으로 접근이 가능해졌다.[18] 하지만 여전히 인근 그라스베르크 광산 문제와 현지 정세 등으로 인해 허가 취득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다.[31][32] 외딴 위치와 기술적 어려움 때문에 등반에는 철저한 사전 계획, 고산 적응, 등반 기술 및 전문적인 지원 서비스가 요구된다.[19]

6. 1. 등반의 어려움

2005년 고지대 지역. 전경에는 그라스베르크 광산이 보이며, 정상은 중앙 능선의 멀리 끝에 위치한다.


푼착자야산은 세계 7대륙 최고봉 중 하나이지만, 고도가 가장 낮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으로 가장 어려운 등반 중 하나로 꼽힌다. 다른 7대륙 최고봉들과 비교했을 때 난이도 등급은 가장 높지만, 체력적으로 가장 힘든 산은 아니다.[14]

등반의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산에 접근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인근에 대규모 그라스베르크 광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등산객이나 일반 대중이 접근하기는 매우 힘들다. 2013년 기준으로 베이스캠프에 가려면, 먼저 가장 가까운 공항이 있는 팀카로 비행기를 타고 가야 한다. 그 다음 소형 항공기를 이용해 산맥을 넘어 정상에서 멀리 떨어진 외딴 마을의 비포장 활주로에 내린다. 여기서부터 베이스캠프까지는 매우 빽빽한 열대 우림 속을 5일 동안 걸어가야 하는데, 비가 자주 내리고 길이 미끄러워 매우 힘든 여정이다. 이 접근 경로는 7대륙 최고봉 중에서도 가장 고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왕복하는 동안 거의 매일 비를 맞는 경우도 흔하다. 다른 7대륙 최고봉과 달리, 이곳에서는 접근 중에 다치더라도 헬리콥터를 이용한 구조가 거의 불가능하다. 부상자는 어렵고 미끄러운 길을 직접 걸어서 내려와야 한다.

베이스캠프에서 하산하는 데에도 3~4일이 걸릴 수 있다. 경험적으로 볼 때, 하산 중에 탈진하거나 젖고 미끄러운 지형에서 속도를 조절하지 못해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또 다른 어려움으로는 등반 포터들의 잦은 파업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더 높은 임금을 요구하며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가 있으며,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등반이 지연되기도 한다.

하루 만에 정상에 오르는 시도는 암벽 등반 경험이 부족한 사람에게는 기술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정상 부근은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정도로 매우 춥고, 때때로 정상으로 가는 길이나 정상 바로 아래 티롤리안 트래버스의 로프에 눈이 쌓여 있기도 한다. 표준 등반 루트는 북쪽 면을 따라 오르는 길이며, 전체가 암벽 구간이다.

인근의 거대한 그라스베르크 광산의 존재 역시 등반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악화되는 현지 상황을 이유로 인도네시아 정부는 1995년 11월부터 일반인의 입산을 통제하고 있다.[30] 산에 오르려면 정부의 허가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현재로서는 허가를 받기가 매우 어렵다.[31] 허가를 받는 데 보통 수개월이 걸린다.[32]

6. 2. 등반 역사

왼쪽부터: 안톤 콜린, 프리츠 위셀, 장 자크 도지 (1936년 카르스텐스 원정 당시)


1936년, 세 봉우리 중 어느 것이 가장 높은지 확실히 알 수 없었던 네덜란드의 카르스텐스 원정대는 각 봉우리 등반을 시도했다. 안톤 콜린, 장 자크 도지, 프리츠 위셀은 12월 5일에 빙하로 덮인 동쪽 카르스텐스와 응가 풀루 봉우리에 모두 도달했지만, 악천후로 인해 맨 봉우리인 카르스텐스 피라미드 등반에는 실패했다. 광범위한 눈 녹음으로 인해 응가 풀루는 4862m의 보조봉이 되었지만, 1936년 당시(빙하가 산의 13km2를 덮고 있었음) 응가 풀루는 실제로 4900m가 넘는 가장 높은 봉우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5]

현재 가장 높은 봉우리인 카르스텐스 피라미드는 1962년까지 등반되지 못했다. 1962년 오스트리아 등반가 하인리히 하러, 뉴질랜드 등반가 필립 템플, 호주 암벽 등반가 러셀 킵팍스, 네덜란드 순찰대원 알베르투스 (버트) 후이젠가가 이끄는 원정대가 처음으로 등반에 성공했다. 템플은 이전에 이 지역으로 원정을 이끌고 산으로 가는 접근로를 개척한 바 있다.[16]

인도네시아가 1963년 이 지역을 장악했을 때, 봉우리 이름은 당시 인도네시아 대통령 수카르노의 이름을 따서 Puncak Sukarno|푼착 수카르노ind 또는 수카르노 봉우리로 바뀌었다. 이후 탈수카르노화 과정에서 푼짝 자야로 다시 변경되었다. Puncak|푼착ind은 봉우리 또는 산을 의미하고 Jaya|자야ind는 '승리', '승리의', 또는 '영광스러운'을 뜻한다. 카르스텐스 피라미드라는 이름은 여전히 등반가들 사이에서 사용된다.[17]

6. 3. 등반 허가 및 사고

푼착자야산 정상에 오르려면 인도네시아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다. 이 산은 1995년부터 2005년까지 관광객과 등반객에게 폐쇄되었으나, 2006년부터는 여러 모험 관광 기관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18] 하지만 인근의 대규모 그라스베르크 광산과 불안정한 현지 정세 때문에 등산객이나 일반인의 접근은 여전히 쉽지 않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1995년 11월부터 일반인의 입산을 규제하고 있으며[30], 입산 허가를 받는 것은 현재 쉽지 않고[31] 일반적으로 수개월이 걸린다.[32]

푼착자야산은 세계 7대륙 최고봉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하지만, 외딴 위치와 가파른 석회암 절벽 때문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등반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광범위한 사전 계획, 고산 지대 적응 훈련, 등반 기술 및 전문적인 지원 서비스가 필수적이다.[19] 표준 등반 루트는 북쪽 면을 따라 정상까지 오르는 길이며, 전체가 암석 지대이다. 높은 수준의 등반 기술이 요구되지만, 체력적으로 가장 힘든 등반은 아니다. 산이 파푸아 중앙의 고립된 지역에 위치해 주변에 편의 시설이 전혀 없으므로, 등반가들은 헬리콥터를 이용해 베이스캠프까지 이동한 뒤 3~4일 만에 정상에 오르거나, 가장 가까운 마을인 수가파(Sugapa)에서 베이스캠프까지 4~5일 동안 걸어서 이동해야 한다.

등반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 2016년: 에릭 에어랑가(Erik Airlangga)가 극심한 악천후 속에서 정상 등반을 시도하다가 저체온증으로 사망했다.[20]
  • 2017년: 아마드 하디(Ahmad Hadi)가 정상 등반 중 저산소증으로 사망했다.[21]
  • 2024년: 등반 시즌 동안 두 명의 등반가가 사망했다. 9월 29일, 한 등반가가 심장마비로 추정되는 원인으로 사망했으며, 중국인 등반가 동페이(Dong Fei)는 하산 도중 추락하여 사망했다.[22]

참조

[1] 웹사이트 Australian Universities' Expedition http://www.papuaweb.[...]
[2] 서적 Amungme : tradition and change in the highlands of Papua http://worldcat.org/[...] Freeport Indonesia 2008-04-28
[3] 서적 Greater Atlas of the World Mladinska knjiga 1986
[4] 서적 Twentieth-Century Indonesia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Wilhelm and Johan Blaeu, India quae orientalis dicitur, et insulae adiacentes, Amsterdam, 1664 https://nla.gov.au/n[...] 2022-04-16
[6] 서적 Zwarte Menschen – Witte Bergen: Verhaal van den Tocht naar het Sneeuwgebergte van Nieuw-Guinea Brill Publishers 1910
[7] 학술지 Late Tertiary to Quaternary Tectonics of Irian Jaya
[8] 학술지 Pliocene-Pleistocene asymmetric unroofing of the Irian fold belt, Irian Jaya, Indonesia: Apatite fission-track thermochronology
[9] 간행물 Retreat of the Irian Jaya Glaciers from 2000 to 2002 as Measured from IKONOS Satellite Images https://www.easterns[...] 2011-11-03
[10] 웹사이트 Glaciers of Irian Jaya, Indonesia and New Zealand http://pubs.usgs.gov[...] 2018-09-06
[11] 뉴스 Papua Glacier's Secrets Dripping Away: Scientists http://www.thejakart[...] 2010-07-03
[12] 학술지 State and fate of the remaining tropical mountain glaciers in australasia using satellite imagery 2018-03-01
[13] 웹사이트 Carstensz Pyramid (Puncak Jaya) Snow History https://www.snow-for[...] 2023-08-17
[14] 웹사이트 The most technical of the 7 summits http://xtremesport4u[...] 2016-06-13
[15]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ean Jacques Dozy http://www.knag.nl/i[...] 2002
[16] 웹사이트 Account of first ascent http://climbcarstens[...] 2021-01-07
[17] 서적 Die Trying: One Man's Quest to Conquer the Seven Summits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18] 웹사이트 Cartensz Pyramid http://7summits.com/[...] 7summits.com 2006-07-07
[19] 웹사이트 Puncak Jaya (Carstensz Pyramid): The 7th Summit is a tough climb https://summits.com/[...] 2023-05-28
[20] 뉴스 Freeport employee dies on Carstensz Peak https://www.thejakar[...] 2024-10-29
[21] 뉴스 Dead climber airlifted from Carstensz Pyramid https://www.thejakar[...] 2024-10-29
[22] 뉴스 A Climber's Death Mars the Long-Awaited Opening of Carstensz Pyramid https://explorersweb[...] 2024-10-29
[23] 웹사이트 Seven Summits 1936
[24] 웹사이트 Seven Summits, Nanga Parbat, Sumantri 1623
[25] 웹사이트 Meren Glacier 2000
[26] 웹사이트 Glaciers of Irian Jaya, Indonesia and New Zealand http://pubs.usgs.gov[...] 2007-01-03
[27] 간행물 Retreat of the Irian Jaya Glaciers from 2000 to 2002 as Measured from IKONOS Satellite Images http://www.easternsn[...] 2007-01-03
[28] 학술지 Disappearance of the last tropical glaciers in the Western Pacific Warm Pool (Papua, Indonesia) appears imminent https://www.pnas.org[...] 2019-12-04
[29] 뉴스 熱帯の国インドネシアに存在する氷河、10年後には消失の可能性 研究 https://www.afpbb.co[...] 2019-12-18
[30] 웹사이트 What It Costs To Climb The Carstensz Pyramid http://outdoors.what[...] 2011-06-20
[31] 웹사이트 Seven Summits Page http://7summits.com/[...] 2007-04-15
[32] 웹사이트 What It Costs To Climb The Carstensz Pyramid http://outdoors.what[...] 2011-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