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네시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네시아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네시아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말라카 해협에서 사용되던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발전했으며, 1928년 청년의 맹세가 국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인도네시아가 독립한 후 교육, 정치 등에서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2억 명 이상이 사용한다. 인도네시아어는 다양한 방언과 어휘를 가지며,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네덜란드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티모르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동티모르의 언어 - 우압메토어
    우압메토어는 파열음, 비음, 마찰음 등의 자음과 전설 모음, 후설 모음 등의 모음 체계를 가지며, 오스트로네시아어 기본 어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어휘를 확인할 수 있고 숫자 체계도 존재한다.
  • 인도네시아어 - 청년의 맹세
    1928년 인도네시아 청년들이 발표한 청년의 맹세는 하나의 조국, 민족, 언어를 옹호하며 인도네시아 독립운동의 전환점이자 국가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여 국경일로 기념된다.
  • 인도네시아어 - 누산타라 (용어)
  • 표준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표준어 - 현대 표준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는 중동, 북아프리카 등에서 사용되는 문어체 표준 아랍어로, 고전 아랍어를 기반으로 나흐다 시대를 거치며 변화했으며, 구어체 아랍어와 구분되는 디글로시아 현상을 보인다.
인도네시아어
지도
기본 정보
언어 이름인도네시아어
로마자 표기Bahasa Indonesia
발음/baˈhasa in.doˈne.si.ja/
사용 국가인도네시아
사용 지역인도네시아 (공식 언어),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싱가포르, 사우디 아라비아, 오스트레일리아, 타이완, 네덜란드, 일본, 대한민국, 기타 해외 인도네시아인
모국어 화자7197만 1184명 (2020년 인구 조사)
제2언어 화자1억 7653만 610명 (2020년 인구 조사)
총 화자2억 4850만 1974명 (2020년 인구 조사)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하위 어족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하위 어군말레이어군
기원고대 말레이어
조상 언어클래식 말레이어 (리아우 말레이어)
이전 형태네덜란드령 동인도 말레이어 (발라이 푸스타카 말레이어)
문자로마자 (인도네시아어 철자법), 인도네시아어 점자
공용 국가인도네시아
소수 언어 국가동티모르 (인도네시아어는 업무 및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언어로 사용)
언어 기관언어 개발 및 진흥 기관 (Badan Pengembangan dan Pembinaan Bahasa)
ISO 639-1id
ISO 639-2ind
ISO 639-3ind
Linguasphere33-AFA-ac
Glottologindo1316
Glottolog 참조인도네시아어
표준어표준 인도네시아어
방언인도네시아어 속어 (특히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어 속어)
수화SIBI (수동 코딩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
표기Bahasa Indonesia
관련 정보
헌법인도네시아 공화국 헌법 제36조
참고 문헌https://books.google.com/books?id=Es4T018diPIC
https://dukcapil.kemendagri.go.id/blog/read/mendagri-tito-karnavian-peran-dukcapil-sangat-penting-bagi-bangsa-indonesia#:~:text=Data%20penduduk%20Indonesia%20yang%20paling,mata,%22%20Mendagri%20rinci%20menjelaskan.(id)
https://www.bps.go.id/en/publication/2023/01/27/ffb5939b4393e5b1146a9b91/the-result-of-long-form-population-census-2020.html(id)
http://www.thejakartapost.com/news/2013/10/28/indigenous-language-policy-a-national-cultural-strategy.html
http://aclweb.org/anthology/I/I08/I08-7014.pdf
http://www.hawaii.edu/sealit/Downloads/The%20Indonesian%20Language.doc(미국 하와이 대학교)
http://www.easttimorgovernment.com/languages.htm
https://books.google.com/books?id=6EQ4DwAAQBAJ
http://www.thejakartapost.com/news/2012/04/20/timor-leste-tetum-portuguese-bahasa-indonesia-or-english.html
https://books.google.com/books?id=4DR-AgAAQBAJ
https://www.jstor.org/stable/27868068
https://books.google.com/books?id=i4g1AQAAIAAJ
추가 정보위키백과:인도네시아어
언어:인도네시아어
다른 언어 표기
일본어 정보
언어 이름인도네시아어
로마자 표기Bahasa Indonesia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사용 지역동남아시아
화자 수모국어 화자 2300만 명, 총 화자 수 1억 6500만 명
문자라틴 문자
언어 기관언어 육성 진흥국
ISO 639-1id
ISO 639-2ind
ISO 639-3ind
한국어 정보
언어 이름인도네시아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
로마자 표기Bahasa Indonesia
사용 국가,
사용 지역, , ,
화자 수모국어: 1700만 ~ 3000만여 명, 전체: 1억 4천만 ~ 2억 2천만여 명
순위56위
문자로마자
계통 1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통 2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계통 3핵심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계통 4말레이숨바와어군
계통 5말레이어군
계통 6말레이어
표준푸삿 바하사(언어 기관)
ISO 639-1id
ISO 639-2ind
ISO 639-3ind

2. 역사

인도네시아어는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교역을 위해 사용되던 해협 말레이어였다.[129]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 통용어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열린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에서 청년의 맹세를 통해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 그리고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를 선언하면서 민족 언어로 받아들여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자와섬의 언어 분포도. 흰색은 자와어 사용 지역이며, 서쪽에는 순다어, 동쪽에는 마두라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있다.


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았던 자와족의 언어인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자와 우선주의는 배척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141]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지정되었고 초등학교에서 국어 교육이 시작되었으며 관청에서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것도 이 언어 보급에 큰 영향을 주었다. 원래 인도네시아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적었지만, 네덜란드 식민 시대, 민족주의 운동 시기, 독립 이후를 거치면서 점차 늘어났다.

하지만 인도네시아어가 공용어가 되었다고 해서 지방어들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자와 지역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끼리는 자와어로 이야기한다. 이처럼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 곳곳에서 '공식적인 말'인 인도네시아어와 '자신의 말'인 지방어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지금도 공용어와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미낭카바우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가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어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구는 6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르콩 문자, 중부 및 남부 수마트라에서 발견된 고유 문자 시스템.


케두칸 부킷 비석, 팔라바 문자로 쓰여진, 가장 오래된 고대 말레이어 유물.


인도네시아어는 "리아우 말레이어"의 표준어이다.[23][24] 19세기와 20세기 초 리아우-링가 술탄국에서 사용된 고전 말레이어를 가리킨다. 고전 말레이어는 말라카 해협 양쪽의 왕실, 조호르 술탄국과 말라카 술탄국 등에서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다.[25][26][27] 원래 수마트라 북동부에서 사용되었던[28] 말레이어는 500년 동안 인도네시아 군도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케두칸 부킷 비석은 스리비자야 제국의 언어인 고대 말레이어의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29] 7세기 이후, 고대 말레이어는 누산타라 (군도)(인도네시아 군도)에서 사용되었으며, 소조메르토 비석 등 해안 지역 비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29]

2. 1. 기원과 초기 발전

인도네시아어는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교역 목적으로 사용되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다.[129]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에서 통용되는 언어로 만들고자 이 언어의 보급에 힘썼다.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의 청년의 맹세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를 선언한 것은 인도네시아어가 인도네시아 민족의 민족 언어로서 수용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자와족의 언어, 즉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그러한 자와 우선주의는 거부되었다. 그 후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141]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으며 초등학교 과정에 국어 교육이 도입되고 관청에서의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인도네시아어 사용도 이 언어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원래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인구는 적었지만, 네덜란드 식민기, 민족주의 운동기, 독립 후의 과정을 거쳐 서서히 많아졌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어라는 공용어에 대한 지방어의 지위가 쇠약해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자와 지방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행해지지만, 학생들 간에는 자와어로 이야기한다.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 전반에서 "공식적인 말"인 인도네시아어와 "자신의 말"인 지방어의 사용 구분을 볼 수 있다. 지금도 공용어와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미낭카바우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가 병존하여 인도네시아어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구는 6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인도네시아어는 "리아우 말레이어"의 표준어이다.[23][24] 일반적인 이름과는 달리, 이는 리아우 제도의 구어 말레이어 방언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 19세기와 20세기 초 리아우-링가 술탄국에서 사용된 형태의 고전 말레이어를 나타낸다. 고전 말레이어는 말라카 해협 양쪽 해안을 따라 위치한 왕실 법정, 조호르 술탄국과 말라카 술탄국을 포함한 곳에서 문학 언어로 등장했다.[25][26][27] 원래 수마트라 북동부에서 사용되었던[28] 말레이어는 500년 동안 인도네시아 군도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이는 그 조상인 고대 말레이어(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 때문일 것이다. 케두칸 부킷 비석은 스리비자야 제국의 언어인 고대 말레이어의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29] 7세기 이후, 고대 말레이어는 누산타라 (군도)(인도네시아 군도)에서 사용되었는데, 이는 스리비자야 비석과 해안 지역의 다른 비석들, 예를 들어 소조메르토 비석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29]

224x224px


당시 다양한 민족 집단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진 무역 접촉은 상인들 사이의 주요 의사소통 수단이었던 고대 말레이어의 확산을 위한 주요 매개체였다. 궁극적으로 고대 말레이어는 공용어가 되어 제도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31][32]

인도네시아어(표준어)는 본질적으로 말레이 표준어와 동일한 기본 바탕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중 중심 말레이어의 한 변종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발음과 어휘에서 차이가 있는 등 몇 가지 면에서 말레이시아 말레이어와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인도네시아어에 대한 네덜란드어와 자바어의 영향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어는 식민지 시대 제도의 공용어였던 Melayu pasar (시장 말레이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따라서 간접적으로 섬의 다른 구어의 영향도 받았다.

말레이시아 말레이어는 어휘와 구문에서 영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세기의 고전 말레이어에 더 가깝다고 주장한다. 고말레이어(궁정 말레이어) 또는 저말레이어(바자르 말레이어)가 인도네시아어의 진정한 어원인지에 대한 질문은 아직 논쟁 중이다. 고말레이어는 조호르 술탄국의 궁정에서 사용된 공식 언어였으며 네덜란드가 통치하던 리아우-링가 지역에서도 계속 사용되었지만, 저말레이어는 제도의 시장과 항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인도네시아어의 기반을 형성한 것이 더 일반적인 저말레이어라고 주장한다.[33]

2. 2. 네덜란드 식민 시대와 민족주의 운동

기술한 바와 같이, 원래 인도네시아어는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사용되던 교역 목적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다. 말레이어는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에 비해 익히기 쉬웠기 때문에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에서 통용되는 언어로 만들고자 기획하여 이 언어의 보급에 힘썼다. 이런 상황에서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가 인도네시아 민족의 민족 언어로서 수용된 경위에는 네덜란드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한 민족주의 운동기에 1928년 10월 27일부터 10월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의 청년의 맹세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를 선언한 것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자와족의 언어, 즉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이 청년의 맹세로 인해 그러한 자와 우선주의는 거부되었다. 그 후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130]

2. 3.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어는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사용되던 교역 목적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다.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 통용어로 만들고자 보급에 힘썼다.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의 청년의 맹세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가 선언되며, 이는 독립을 요구한 민족주의 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28년 10월, 네덜란드령 동인도 바타비아에서 개최된 제2차 청년 의회의 결과로 청년 선서가 탄생했다. 마지막 선서에는 인도네시아어를 전국을 통일하는 언어로 채택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자와족의 언어인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자와 우선주의는 거부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으며 초등학교 과정에 국어 교육이 도입되고 관청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141]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인도네시아어 사용도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본래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인구는 적었지만, 네덜란드 식민기, 민족주의 운동기, 독립 후의 과정을 거쳐 서서히 증가했다.

인도네시아어를 국가어로 채택한 것은 다른 대부분의 후식민지 국가들과 대조적이다. 가장 많은 원어민 화자를 보유한 자와어나 이전 유럽 식민 지배국인 네덜란드어가 채택되지 않았다. 대신, 원어민 화자가 훨씬 적은 지역 언어가 선택되었다.

1945년 인도네시아가 독립을 선언했을 때, 인도네시아어는 인구의 약 5%만이 모국어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국가어로 선포되었다.[9] 민족주의, 정치, 그리고 실용주의적 고려 사항이 결합되어 인도네시아어를 국가어로 성공적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1945년 당시 자와어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두드러진 언어였지만, 다양한 인도네시아 인구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은 부족했다. 1945년 당시 인도네시아어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었으며,[41] 상업여행의 주요 언어였다. 또한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이슬람의 전파에 사용된 언어였으며, 기독교로 개종시키려고 했던 포르투갈과 네덜란드 선교사들이 사용한 교육 언어이기도 했다.[42]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이후 53년 동안, 인도네시아의 초대 대통령인 수카르노수하르토는 인도네시아어에 담긴 국가 통합의식을 끊임없이 키워왔으며, 이 언어는 인도네시아 정체성의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 있다. 인도네시아어를 정치, 교육, 그리고 일반적인 국가 건설의 언어로 만든 언어 계획 프로그램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법률상'' 및 ''사실상'' 공식 언어가 된 소수의 성공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43]

3. 현황

인도네시아어는 모국어이자 국가 언어로 사용되며, 2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다양한 수준으로 인도네시아어를 정기적으로 사용한다. 700개가 넘는 토착 언어와 광범위한 민족 집단이 있는 인도네시아에서 인도네시아어는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5세 이상 인구 중 19.94%만이 주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다고 답했지만, 언론, 정부 기관, 학교, 대학교, 직장, 상류층이나 귀족 구성원들 사이, 그리고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인도네시아어가 활발하게 사용된다.[44]

표준 인도네시아어는 서적, 신문, 텔레비전/라디오 뉴스 방송에서 사용되지만, 대부분 공식적인 환경에 국한되어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구어체 인도네시아어는 자와어, 순다어, 발리어 등 지역 언어의 여러 요소를 결합하여 다양한 방언이 나타난다.[45] 특히 도시에서는 인도네시아 속어 사용으로 이러한 현상이 더 커졌으며, 구어체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어는 비공식 언어의 사실상 표준으로 군도 전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21] 인도네시아에서는 도시화보다는 민족적 다양성 때문에 다른 언어에서 인도네시아어로의 제1언어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46]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구어체 인도네시아어는 자카르타의 말레이 기반 크리올어인 베타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인도네시아 대중 문화에서의 인기와 자카르타의 수도로서의 지위가 더해졌다. 인도네시아어가 국어로 제정된 건국 당시 인도네시아어를 모어로 하는 인구는 5%로 매우 적었으며, 많은 국민에게 인도네시아어는 제2언어였다. 이는 현재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자와섬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은 자와어로 이야기하는 등, “공용어”인 인도네시아어와 “나의 언어”인 지역어를 구분하는 것은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인의 삶의 모든 면에서 볼 수 있다.[132] 자와인은 일상에서 자와어를, 순다인순다어를 사용하는 등, 공용어와 수백 개의 지역어가 공존하고 있다. 하지만 자카르타 등 대도시에서는 인도네시아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이 점차 늘고 있다.

3. 1. 사용 인구 및 지역

인도네시아어는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교역 목적으로 사용되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다. 말레이어는 배우기 쉬웠기 때문에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 통용어로 만들고자 했다.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의 청년의 맹세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가 선언되면서, 인도네시아어가 인도네시아 민족의 민족 언어로 수용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거부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고, 초등학교 과정에 국어 교육이 도입되었으며 관청에서의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141]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인도네시아어 사용도 이 언어의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원래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인구는 적었지만, 네덜란드 식민기, 민족주의 운동기, 독립 후의 과정을 거쳐 서서히 많아졌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어라는 공용어에 대한 지방어의 지위도 쇠약해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자와 지방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 간에는 자와어로 이야기한다.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에서는 공용어와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미낭카바우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가 병존하여 인도네시아어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구는 6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동티모르는 민족 언어로 테툼어가 있지만, 인도네시아 통치 시기의 인도네시아어 교육으로 인해 지금까지도 인도네시아어가 통용된다. 다만 동티모르의 공용어는 테툼어와 포르투갈어이다.

공항 터미널의 도로 표지판


발리의 유료 도로 게이트


코파자 버스 광고에 사용된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는 모국어이자 국가 언어로 사용된다. 2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다양한 수준으로 국가 언어를 정기적으로 사용한다. 700개가 넘는 토착 언어와 광범위한 민족 집단의 고향인 이 나라에서 인도네시아어는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5세 이상 인구 중 19.94%만이 주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다고 밝혔지만, 언론, 정부 기관, 학교, 대학교, 직장, 상류층이나 귀족 구성원들 사이 그리고 공식적인 상황에서 국가 언어의 사용은 활발하다.[44]

표준 인도네시아어는 서적, 신문, 텔레비전/라디오 뉴스 방송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표준 방언은 대부분 공식적인 환경에 국한되어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구어체 인도네시아어는 자기 지역 언어(예: 자바어, 순다어, 발리어)의 여러 측면을 인도네시아어와 결합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언이 생겨났다.[45] 이러한 현상은 특히 도시에서 인도네시아 속어의 사용으로 더욱 증폭된다. 구어체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어는 비공식 언어의 사실상 표준으로 기능하며 군도 전역에 걸쳐 영향력 있는 근원이다.[21] 인도네시아에서는 도시화보다는 민족적 다양성 때문에 다른 언어에서 인도네시아어로의 제1언어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46]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구어체 인도네시아어는 자카르타의 말레이 기반 크리올어인 베타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인도네시아 대중 문화에서의 인기와 자카르타의 수도로서의 지위가 더해졌다. 인도네시아어가 국어로 제정된 건국 당시 인도네시아어를 모어(母語)로 하는 인구는 5%로 매우 적었다. 많은 국민에게 인도네시아어는 제2언어였으며, 이는 현재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자바의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은 자바어로 이야기하는 등, “공용어”인 인도네시아어와 “나의 언어”인 지역어의 구분은 학교 교육에 국한되지 않고 인도네시아인의 삶의 모든 면에서 볼 수 있다.[132] 자바인의 일상에서는 자바어가, 순다인의 일상에서는 순다어가 각각 사용되는 등, 공용어와 수백 개의 지역어가 공존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자카르타 등 대도시에서는 인도네시아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이 확실히 늘고 있다.

3. 2. 공용어 및 국어로서의 지위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에서 채택된 청년의 맹세는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 그리고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를 선언함으로써, 인도네시아어가 인도네시아 민족의 민족 언어로서 수용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41]

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자와족의 언어, 즉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그러한 자와 우선주의는 거부되었다. 그 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으며, 초등학교 과정에 국어 교육이 도입되고 관청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141] 또한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인도네시아어 사용도 이 언어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래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인구는 적었지만, 네덜란드 식민 통치 시기, 민족주의 운동 시기, 그리고 독립 이후 점차 그 수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어라는 공용어에 대한 지방어의 지위가 약화된 것은 결코 아니었다. 예를 들어, 자와 지방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 간에는 자와어로 이야기한다. 이처럼 '공식적인 말'인 인도네시아어와 '자신의 말'인 지방어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은 학교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 전반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현재도 공용어와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가 공존하고 있으며, 가정에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의 약 6분의 1에 불과하다.

3. 3. 지역어와의 관계

인도네시아어는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교역 목적으로 사용되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다.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 통용어로 만들기 위해 보급에 힘썼다. 1928년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에서 청년의 맹세를 통해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가 선언되면서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게 되었다.

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거부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고 초등학교 과정에 도입되었으며 관청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141]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사용도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어라는 공용어에 대한 지방어의 지위도 쇠약해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자와섬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 간에는 자와어로 이야기한다. 이처럼 "공식적인 말"인 인도네시아어와 "자신의 말"인 지방어의 사용 구분은 학교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 전반에서 나타난다. 지금도 공용어와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미낭카바우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가 병존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어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구는 6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동티모르에서는 민족 언어로 테툼어가 있지만, 인도네시아 통치 시기의 인도네시아어 교육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인도네시아어가 통용된다. 다만 동티모르의 공용어는 테툼어와 포르투갈어이다.

인도네시아어(표준어)는 말레이 표준어와 기본 바탕은 같지만, 발음과 어휘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주로 인도네시아어에 대한 네덜란드어와 자바어의 영향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어를 국가어로 채택한 것은 다른 대부분의 후식민지 국가들과 대조적이다. 가장 많은 원어민 화자를 보유한 자바어나 이전 유럽 식민 지배국인 네덜란드어가 아닌, 원어민 화자가 훨씬 적은 지역 언어가 선택되었다.

1945년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당시, 인도네시아어는 인구의 약 5%만이 모국어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국가어로 선포되었다.[9] 민족주의, 정치, 실용주의적 고려 사항이 결합되어 인도네시아어를 국가어로 성공적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인도네시아어는 상업여행의 주요 언어였으며, 이슬람 전파와 기독교 선교에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대부분의 인구가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언어였기 때문에 국가어로 쉽게 채택될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이후, 수카르노수하르토는 인도네시아어에 담긴 국가 통합 의식을 키워왔으며, 이 언어는 인도네시아 정체성의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 있다. 인도네시아어는 정치, 교육, 국가 건설의 언어로 사용되면서 ''법률상'' 및 ''사실상'' 공식 언어가 된 성공적인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43]

4. 문자와 음성

인도네시아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발음 구별 기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인도네시아어의 알파벳 발음 규칙이 대부분 1자-1음 체제이기 때문이다.

기본 자음은 총 23개인데, 말레이어 고유의 음은 이 중 19개이다. 'p', 't', 'k'는 무기음(한글에서 'ㅃ', 'ㄸ', 'ㄲ'에 가깝다)이다.[145] 'f', 'q', 'x', 'v', 'z'는 거의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특히 'q'와 'z'는 주로 아랍어 차용어, 'v'는 네덜란드어 차용어에 쓰인다.

두 글자로 표현되는 자음은 'kh', 'ng', 'ny', 'sy' 네 개이다. 'ng'은 영어와 달리 독립적인 자음으로, 음절 처음에도 올 수 있다. 'sy'는 주로 아랍어 차용어에 쓰인다.

위치에 따라 소리값이 변하는 자음도 있다. 'b'는 차용어의 어말에서 /p/로 바뀐다.[146] 'k'는 'bapak(아버지)'처럼 음절 끝에서 성문 파열음으로 실현되기도 한다. /b/, /tʃ/, /d/, /g/, /ʃ/, /ɲ/는 음절 처음에만 나타난다.[148]

마찰 순치음 /f/는 주로 외래어에 쓰이는데, 인도네시아인들은 대부분 /p/로 발음한다.[149] 강세는 대개 단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오지만, 억양은 다양하며 강조하고 싶은 단어에 강세를 준다.

음절은 다음 아홉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C: 자음, V: 모음)

# V

# VC

# CV

# CVC

# CCV

# CCVC

# CVCC

# CCCV

# CCCVC

이 중 1, 2, 3, 4번 형식이 가장 많이 쓰이며, 인도네시아어 음절 형식의 기본이다.[150]

인도네시아어 문자 및 발음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문자ABCDEFGHIJKKHLMNNGNYOPQRSSYTUVWXYZ
대응기본음운/a//b//tʃ//d//ə/, /e//v/, /f//ɡ//h//i//dʒ//k//x//l//m//n//ŋ//ɲ//o//p//k//r//s//ʃ//t//u//f/, /v//w//j//z/
문자 이름/a//be//tʃe//de//e//ef//ɡe//ha//i//dʒe//ka//x//el//em//en//ŋ//ɲ//o//pe//ki//er//es//ʃ//te//u//fe//we//eks//je//zet/
한글 표기에르에스엑스


4. 1. 문자

인도네시아어는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전통 시대에는 아랍 문자를 변형한 자위 문자를 사용했지만,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현재는 로마자를 사용한다. 발음 구별 기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인도네시아어의 알파벳 발음 규칙이 거의 1자-1음 체제이기 때문이다.[134]

네덜란드어 철자법을 기반으로 했으며, 여전히 네덜란드어 철자법과 유사한 점이 있다. 자음은 이탈리아어와 유사하게 표기되지만, 'c'는 항상 (영어 'ch'와 같음), 'g'는 항상 ("경음"), 'j'는 영어와 같이 를 나타낸다. 또한, 'ny'는 경구개 비음 를, 'ng'는 연구개 비음 (어두에 올 수 있음)을, 'sy'는 (영어 'sh')를, 'kh'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 를 나타낸다. 와 는 모두 'e'로 표기된다.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언어에서 발생한 철자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음소구식 철자현대 철자
oeu
tjc
djj
jy
njny
sjsy
chkh



1901년에 도입된 ''van Ophuijsen'' 체계는 로마자 표기의 최초 표준화였다. 당시의 네덜란드어 철자 체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고, 조호르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방언을 기반으로 했다.[106] 1947년, 철자는 ''공화국 철자법'' 또는 ''Soewandi 철자법''으로 변경되었다. 이 철자는 이전에 ''oe''로 표기되었던 것을 ''u''로 변경했다. 다른 모든 변경 사항은 1972년에 공식적으로 의무화된 철자 개혁인 완성된 철자법의 일부였다. 네덜란드어 표기법에서 유래한 일부 구식 철자는 고유 명사에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 전 대통령의 이름은 여전히 ​​때때로 ''Soeharto''로 쓰여지며, 중부 자바의 도시 Yogyakarta는 때때로 ''Jogjakarta''로 쓰여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철자 체계가 더욱 업데이트되었으며, 인도네시아 철자 체계의 최신 업데이트는 2022년 8월 16일 언어 개발 및 육성 기관장령 제0424/I/BS.00.01/2022호에 따라 발표되었다.[89]

인도네시아 알파벳은 ISO 기본 라틴 알파벳과 정확히 같다.

대문자 형태
ABCDEFGHIJKLMNOPQRSTUVWXYZ
소문자 형태
abcdefghijklmnopqrstuvwxyz



인도네시아어는 네덜란드어 알파벳의 철자 이름을 따르며, 음소적 철자법을 가지고 있어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단어가 발음되는 방식대로 철자를 쓴다. Q, V, X는 주로 외래어를 쓸 때 사용되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문자이름 (IPA)소리 (IPA)영어에 해당하는 발음
Aaa (/a/)a in father
Bbbe (/be/)b in bed
Ccce (/t͡ʃe/)ch in check
Ddde (/de/)d in day
Eee (/e/)e in red
Ffef (/ef/)f in effort
Ggge (/ge/)g in gain
Hhha (/ha/)h in harm
Iii (/i/)ee in see
Jjje (/d͡ʒe/)j in jam
Kkka (/ka/)k in karma
Llel (/el/)l in else
Mmem (/em/)m in empty
Nnen (/en/)n in energy
Ooo (/o/)o in owe
Pppe (/pe/)p in pet
Qqqi or qiu (/ki/ or /kiu̯/)q in queue
Rrer (/er/)스페인어 rr in perro
Sses (/es/)s in establish
Ttte (/te/)t in text
Uuu (/u/)oo in pool
Vvve (/fe/)v in vest
Ww we (/we/)w in wet
Xx ex (/eks/)x in ex
Yy ye (/je/)y in yes
Zzzet (/zet/)z in zebra



또한, 알파벳의 별개 문자로 간주되지 않는 이중자음이 있다.[107]

이중자음소리영어에 해당하는 발음
aiuy in buy
auou in ouch
oioy in boy
eiey in survey
gh또는네덜란드어와 독일어 ch와 유사하지만 유성음
khch in loch
ngng in sing
ny스페인어 ñ; 비음으로 발음되는 canyon의 ny와 유사
sysh in shoe



1972년에 현행 표기법이 제정되었고, 이때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언어위원회에 의해 양국에서 표기법이 통일되었다. 1977년 이후로는 국내 인쇄물 등은 모두 이 표기법을 따르고 있다. 단, 인명의 경우 일부 표기가 혼재되는 경우가 있다 (Sukarnoid와 Soekarnoid 등).

일본어 헤본식 로마자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 '''c''' - 외래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차치추체쵸와 같은 소리 이다. 예: cabe (차베) "고추", cinta (친타) "사랑".
  • '''e''' - '에' 발음인 경우와 애매모호한 모음인 경우가 있으며, 단어에 따라 결정된다. 사전이나 초보자를 위한 책처럼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에' 발음일 때 '''é'''로 표기한다.
  • '''f''', '''v''' - 모두 발음이 된다. 예: fiskal (피스칼) "출국세", visa (피사) "비자".
  • '''sy''' - 영어의 sh, 일본어의 샤・시・슈・셰・쇼와 같은 소리 이다.
  • '''w''' - 영어의 w와 같은 발음이 된다. 예: warna (왈르나) "색깔", wisata (위사타) "관광".
  • '''ng''' - 코에 걸리는 가행음 이다. 예를 들어 "바람"을 의미하는 angin 이라는 단어는, "아긴"의 "긴"을 코에 걸고 발음한다. 가 들어가 "안긴" 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h''' - 하히헤호와 같은 소리지만 모음 뒤에서는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 bolehkah (보레카) = 괜찮습니까?
  • '''ny''' - 일본어의 냐・니・뉴・녜・뇨와 같은 소리 이다.
  • '''kh''' - 독일어의 ch와 같은, 구강의 안쪽을 문지르며 내는 소리 이다. 현대에는 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 어말의 파열음은 분명하게 열리지 않고, 혀 또는 입술의 모양으로 끝난다. 즉, 폐쇄만으로 파열을 수반하지 않는 내파음이다.

알파벳 발음은 다음과 같다.

에프
ABCDEFGHIJKLM
에스더블유엑스와이
NOPQRSTUVWXYZ



'''C'''는,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약어의 경우, "세"라고 발음한다. 예: AC=아세=에어컨, WC=웨세=화장실

알파벳의 순서는 위와 같지만, 사전에 따라, 어두에 한정하여 Kh, Ng, Ny, Sy를 다른 문자로

: A B C D E F G H I J K ''Kh'' L M N ''Ng'' ''Ny'' O P Q R S ''Sy'' T U V W X Y Z

와 같이 배열하는 경우가 있다. 즉,

: '''n'''usuk→'''ng'''anga

: di'''ng'''in→di'''n'''ihari

4. 2. 모음

인도네시아어의 알파벳 발음 규칙에서 이중자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모음 예외는 'e'이다. 'e'는 단어에 따라 '/ə/'와 '/e/' 두 가지로 발음된다. 나머지 기본 모음은 'a', 'i', 'o', 'u' 4개이므로 인도네시아어의 기본 모음은 총 6개이다.

이중모음은 'ai', 'au', 'oi' 3개가 있다. 이중모음은 원칙적으로 그대로 읽지만, 때때로 'ai'와 'au'를 '/ɛi/'(한글로 쓰면 '애이'에 가깝다)와 '/ɔ/'(단순한 '/o/'보다 입을 더 크게 벌리고 발음한다)로 소리 내는 경우가 있어, 인도네시아어의 기본 모음은 6개에서 8개라고 할 수 있다.[144]

4. 3. 자음

인도네시아어의 자음 음소는 아래 표와 같다.[91][92]

인도네시아어 자음 음소
colspan=2|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파찰음무성음()
유성음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접근음
전동음



위 표에서 괄호 안에 표시된 음소는 주로 아랍어와 영어 차용어에서 나타나는 비원어적 자음이다. 일부 분석에서는 괄호로 표시되지 않은 18개의 기호와 성문 파열음 을 포함하여 인도네시아어의 "주요 자음"을 19개로 나열하기도 한다. 2차 자음 /f/, /v/, /z/, /ʃ/, /x/는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소수의 화자만이 차용어에서 /v/를 [v]로 발음하고 대부분은 [f]로 발음한다. /x/는 일부 화자에 의해 대부분 [h] 또는 [k]로 대체된다. /ʃ/는 때때로 /s/로 대체되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에서 /ʃ/의 대용으로 사용되었다. /f/는 드물게 대체되지만, 네덜란드어 koffie에서 온 "커피"를 뜻하는 kopi와 같이 오래된 차용어에서는 /p/가 /f/를 대체했다. /z/는 가끔 /s/ 또는 /d͡ʒ/로 대체될 수 있으며, [z]는 유성 자음 앞에서 /s/의 변이음이 될 수도 있다.[93][94]

일부 분석에 따르면, 후치경 파찰음 와 는 인도네시아어에서 경구개음 와 이다.[95]

인도네시아어의 자음은 인도네시아 역사상 중요한 다른 언어들의 영향을 받았다. 발리어, 마두라어, 순다어, 특히 자바어와 같은 인도네시아 지역 언어와 아랍어, 네덜란드어와 같은 외국어의 영향으로 여러 변화가 있었다.[88]
철자법상 주의 사항:


  • 는 로 표기한다.
  • 는 로 표기한다.
  • 성문 폐쇄음 는 음절 끝에서 /k/ 또는 /ɡ/의 변이음이므로 를 사용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 는 로 표기한다.
  • 는 로 표기한다.
  • 는 로 표기한다.
  • 는 로 표기한다.
  • 는 로 표기한다.


인도네시아 알파벳은 ISO 기본 라틴 알파벳과 정확히 같다.

대문자 형태
ABCDEFGHIJKLMNOPQRSTUVWXYZ
소문자 형태
abcdefghijklmnopqrstuvwxyz



인도네시아어는 네덜란드어 알파벳의 철자 이름을 따르며,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단어가 발음되는 방식대로 철자를 쓰는 음소적 철자법을 가지고 있다. Q, V, X는 주로 외래어를 쓸 때 사용된다.

문자이름 (IPA)소리 (IPA)영어에 해당하는 발음
Aaa (/a/)a in father
Bbbe (/be/)b in bed
Ccce (/t͡ʃe/)ch in check
Ddde (/de/)d in day
Eee (/e/)e in red
Ffef (/ef/)f in effort
Ggge (/ge/)g in gain
Hhha (/ha/)h in harm
Iii (/i/)ee in see
Jjje (/d͡ʒe/)j in jam
Kkka (/ka/)k in karma
Llel (/el/)l in else
Mmem (/em/)m in empty
Nnen (/en/)n in energy
Ooo (/o/)o in owe
Pppe (/pe/)p in pet
Qqqi or qiu (/ki/ or /kiu̯/)q in queue
Rrer (/er/)스페인어 rr in perro
Sses (/es/)s in establish
Ttte (/te/)t in text
Uuu (/u/)oo in pool
Vvve (/fe/)v in vest
Ww we (/we/)w in wet
Xx ex (/eks/)x in ex
Yy ye (/je/)y in yes
Zzzet (/zet/)z in zebra


4. 4. 철자법의 변천

인도네시아어는 전통적으로 아랍 문자를 변형한 자위 문자를 사용했지만,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현재는 로마자를 사용한다. 발음 구별 기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인도네시아어 알파벳 발음 규칙이 대부분 1자-1음 체제이기 때문이다.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한 최초의 라틴 문자 철자법은 네덜란드 식민 정부가 지정한 것을 개정한 '''수완디'''(Soewandi)였다. 이 철자법은 네덜란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말레이시아는 영국식 철자법인 '''자아바'''(Za'aba)를 사용했기 때문에 양국 간 불편함이 있었다. 1972년, 독립 후 양국 간 조율을 거쳐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한 수정 철자법(EYD; Ejaan Yang Disempurnakan)이 합의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구 철자법(네덜란드식 표기법)과 신 철자법(현대 인도네시아어 철자법) 간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구 철자법신 철자법발음
oeu< u >
tjc< tʃ >
djj< dʒ >
jy< j >
njny< ɲ >
sjsy< ʃ >
chkh< x >



oe는 1947년에 u로 변경되었다. 현재도 구 철자법이 종종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전 대통령 Sukarno를 Soekarno로 표기하거나, 지명 Yogyakarta를 Jogjakarta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인도네시아어 철자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음소구식 철자현대 철자
oeu
tjc
djj
jy
njny
sjsy
chkh



1901년에 도입된 ''van Ophuijsen'' 체계는 로마자 표기의 최초 표준화였다. 당시의 네덜란드어 철자 체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고, 조호르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방언을 기반으로 했다.[106] 1947년, 철자는 ''공화국 철자법'' 또는 ''Soewandi 철자법''으로 변경되었다. 이 철자는 이전에 ''oe''로 표기되었던 것을 ''u''로 변경했다. 다른 모든 변경 사항은 1972년에 공식적으로 의무화된 철자 개혁인 완성된 철자법의 일부였다. 네덜란드어 표기법에서 유래한 일부 구식 철자는 고유 명사에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 전 대통령의 이름은 여전히 때때로 ''Soeharto''로 쓰여지며, 중부 자바의 도시 Yogyakarta는 때때로 ''Jogjakarta''로 쓰여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철자 체계가 더욱 업데이트되었으며, 인도네시아 철자 체계의 최신 업데이트는 2022년 8월 16일 언어 개발 및 육성 기관장령 제0424/I/BS.00.01/2022호에 따라 발표되었다.[89]

1972년에 현행 표기법이 제정되었고, 이때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언어위원회에 의해 양국에서 표기법이 통일되었다. 1977년 이후로는 국내 인쇄물 등은 모두 이 표기법을 따르고 있다. 단, 인명의 경우 일부 표기가 혼재되는 경우가 있다 (Sukarnoid와 Soekarnoid 등).

문자는 라틴 문자(로마자)를 사용하며, 다이악리틱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134]

5. 문법

인도네시아어는 인도유럽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법적 수(數)·성(性)의 구별이 없으므로, 의미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어형 변화는 없다. 인도네시아어의 자음은 인도네시아 역사상 중요한 다른 언어들의 영향을 받았는데, 발리어, 마두라어, 순다어, 특히 자바어와 같은 인도네시아의 지역 언어와 아랍어, 네덜란드어와 같은 외국어의 영향이 있었다.[88]

인도네시아어 자음 음소
colspan=2|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ɲŋ
파열음/파찰음무성음pt͡ʃk(ʔ)
유성음bdd͡ʒɡ
마찰음무성음(f)s(ʃ)(x)h
유성음(v)(z)
유음wlj
떨림음r



위 표는 인도네시아어의 자음들을 보여준다.[91][92] 주로 아랍어와 영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비원어적 자음은 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다. 어떤 분석에서는 표에서 괄호로 표시되지 않은 18개의 기호와 성문 폐쇄음 [ʔ]을 포함하여 인도네시아어의 "주요 자음"을 19개로 나열한다. 2차 자음 /f/, /v/, /z/, /ʃ/, /x/는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소수의 화자만이 차용어에서 /v/를 [v]로 발음하고 대부분은 [f]로 발음한다. 마찬가지로 /x/는 일부 화자에 의해 대부분 [h] 또는 [k]로 대체된다. /ʃ/는 때때로 /s/로 대체되는데, 이것은 전통적으로 산스크리트어에서 차용된 오래된 차용어에서 /ʃ/의 대용어로 사용되었다. /f/는 드물게 대체되지만, 네덜란드어 koffie에서 온 "커피"라는 뜻의 kopi와 같이 오래된 차용어에서는 /p/가 /f/를 대체했다. /z/는 가끔 /s/ 또는 /d͡ʒ/로 대체될 수 있다. [z]는 유성 자음 앞에서 /s/의 이음이 될 수도 있다.[93][94]
철자법상 주의 사항: 음소는 기호로 표기되지만,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다.


  • ɲ는 ny로 표기된다.
  • ŋ는 ng로 표기된다.
  • 성문 폐쇄음 [ʔ]는 최종 k로 표기되거나 (음절 말에서 /k/ 또는 /ɡ/의 이음이기 때문에 k를 사용) 생략될 수 있다.
  • t͡ʃ는 c로 표기된다.
  • d͡ʒ는 j로 표기된다.
  • ʃ는 sy로 표기된다.
  • x는 kh로 표기된다.
  • j는 y로 표기된다.


인도네시아어는 지역 변이와 단어 내에 있는 중립모음(ə)의 유무에 따라 마지막 음절이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놓이는 가벼운 강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이 중립모음(ə)이 아니라면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놓인다.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이 중립모음(ə)이라면 강세는 보통 마지막 음절로 이동한다.[96] 하지만 인도네시아어의 강세가 음운론적(예측 불가능한)인지에 대해서는 언어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며, 일부 분석에서는 인도네시아어에 기저 강세가 없다고 제시하고 있다.[92][97][98]

인도네시아어의 어순은 일반적으로 주어-동사-목적어(SVO)이며, 대부분의 현대 유럽 언어와 영어와 유사하다. 그러나 일본어한국어와 같이 항상 문장 끝에 동사가 오는 언어와는 달리, 어순에 상당한 유연성이 존재한다. 인도네시아어는 비교적 유연한 어순을 허용하지만, 문법적 격을 표시하지 않으며, 문법적 성도 사용하지 않는다.

인도네시아어 단어는 어근 또는 어근과 파생 접사로 구성된다. 어근은 단어의 주요 어휘 단위이며 일반적으로 이음절(CV(C)CV(C) 형태)이다. 접사는 명사 또는 동사인 어근에 "붙여져" 주어진 어근과 관련된 기본 의미를 변경하거나 확장하여 새로운 단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masakid (요리하다)는 memasakid (요리하는), memasakkanid (…을 위해 요리하다), dimasakid (요리되다), pemasakid (요리사), masakanid (음식, 요리), termasakid (우연히 요리되다)가 될 수 있다. 접사에는 접두사(awalanid), 접미사(akhiranid), 접중접사(apitanid) 및 삽입접사(sisipanid)의 네 가지 유형이 있다. 접사는 명사, 동사 및 형용사 접사로 분류된다. 많은 초기 자음은 접두사가 있을 때 변화한다. sapuid (쓸다)는 menyapuid (쓸고 있다)가 되고, panggilid (부르다)는 memanggilid (부르고 있다)가 되며, tapisid (체에 거르다)는 menapisid (체에 거르고 있다)가 된다.

5. 1. 어순

인도네시아어에는 영어와 같은 주어가 없다. 자동사 문장에서는 명사가 동사 앞에 온다. 작용자와 목적어가 모두 있는 경우, 이들은 동사로 구분되며(OVA 또는 AVO), 동사의 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 OVA는 일반적으로 부정확하게 "수동태"라고 불리지만, 기본적이고 가장 흔한 어순이다.[96]

작용자 또는 목적어, 또는 둘 다 생략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다음 두 가지 경우에 사용된다.

;1) 진술이나 질문에 정중함과 존경심을 더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점의 점원은 대명사를 생략하고 "Bisa ''dibantu?''"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까? / (제가) 도와드릴까요?)라고 질문할 수 있다.

;2) 작용자 또는 목적어가 알 수 없거나, 중요하지 않거나, 문맥에서 이해되는 경우:

예를 들어, 친구가 부동산 구매 시점을 물을 때, "''Rumah ini '''dibeli''' lima tahun yang lalu''" (이 집은 5년 전에 구매되었다)와 같이 대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태의 선택과 어순은 작용자와 피행위자 사이의 선택이며, 언어 스타일과 문맥에 크게 의존한다. 어순은 종종 강조를 위해 변경되며, 강조되는 단어는 보통 절의 앞에 놓이고 약간의 멈춤(억양의 변화)이 뒤따른다.

  • ''Saya pergi ke pasar kemarin'' (어제 시장에 갔습니다) – 중립적이거나 주어에 초점을 맞춘 경우.
  • ''Kemarin, saya pergi ke pasar'' (어제, 저는 시장에 갔습니다) – '어제'를 강조.
  • ''Ke pasar, saya pergi kemarin'' (시장에, 저는 어제 갔습니다) – '어제 제가 간 곳'을 강조.
  • ''Pergi ke pasar, saya, kemarin'' (시장에 가는 것, 저는, 어제) – '시장에 가는 과정'을 강조.


마지막 두 문장은 글보다 말에서 더 자주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어는 오랫동안 교역어(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되어 간편한 표현이 많고, 문법이 비교적 간단한 편이다. 회화에서는 상대방이 알고 있는 내용은 생략해도 된다는 암묵적인 합의가 있어, 다른 언어에 비해 말이 단축되기 쉽다. 미묘한 발음 차이로 구분되는 것도 없어 입문, 초급 수준에서는 배우기 쉬운 언어이다.

  • Saya makan nasi.id (나는 밥을 먹습니다): 문장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영어와 같은 S(Saya 나) - V(makan 먹다) - O(nasi 밥)이다. 다만 일본어처럼 "격"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 명사·인칭대명사에는 격에 따른 변화가 없다. 또한 동사는 주어의 인칭이나 수, 시제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
  • Saya orang Jepang.id (나는 일본 사람입니다): 영어의 be동사에 해당하는 말이 없다. S(Saya 나) - C(orang Jepang 일본 사람)로 충분하다. 명사 및 명사구로 이루어진 문장을 명사문이라고 한다.
  • Saya tamu.id 와 tamu sayaid: 수식·피수식 관계는 수식되는 말 뒤에 수식하는 말을 둔다. Saya tamu.id는 saya(나) + tamu(손님)으로 "나는 손님이다"라는 명사문, tamu sayaid는 피수식어 + 수식어로 "나의 손님"이라는 명사구이다. orang Jepangid는 "일본 사람", orang-hutanid(오랑우탄)은 orang(사람) + hutan(숲)으로 "숲의 사람"을 의미한다.
  • 예외적으로, 수를 나타내는 말과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말은 앞에 둔다. dua jamid는 dua(기수의 2) + jam(시간)으로 "2시간", jam duaid는 "2시"를 의미한다.
  • Silakan duduk.id (앉으세요): 명령문의 예. Minta kopi.id (커피를 주세요), Mari kita makan.id (먹자, Let's ''do''에 해당) 등도 있다.

5. 2. 접사

인도네시아어는 주로 접두사접미사를 통해 의미 변화를 수반하는 어형 변화를 보인다. 어간은 원칙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사 어간 makanid (먹다)은 makananid (음식), pemakanid (먹는 사람)으로 파생되며, minumid (마시다)은 minumanid (음료), peminumid (마시는 사람)으로 파생된다.[135]

인도네시아어 형태소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된다.[135]

  • 접두사, 삽입사, 접미사가 붙은 어:
  • 예: menggetar (접두사 me + 어근 getar) {진동하다}, getaran (어근 getar + 접미사 an) {진동}, gemetar (삽입사 em + 어근 getar) {떨다}
  • 단어 반복으로 만들어진 어 (중복어):

1. 어근 반복: 예: gunung-gunung (어근 gunung) {산들}

2. 접사가 붙은 어근 반복: 예: keputih-putihan (접두사 ke, 어근 putih, 접미사 an) {하얀 빛을 띤}

3. 자음이나 모음이 변하는 어근 반복: 예: gerak-gerik (어근 gerak) {행동/움직임}

  • 합성어:
  • 예: makan pagi (makan={먹다}, pagi={아침}) {아침 식사}


어형 변화는 규칙적이다. 타동사가 목적어를 명확히 나타내는 문장(명령문 제외)에서는 동사 어두에 me-id를 붙이는 것이 대표적인 어형 변화이다. 어간 첫소리에 따라 me-id가 men-id, meng-id으로 변하거나, 사이에 끼어든 자음이 비음화하는 등 규칙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인칭대명사가 접두사나 접미사로 앞뒤에 붙기도 한다. (meng는 접두어가 모음이나 k로 시작할 때, men은 t로 시작할 때, mem은 p로 시작할 때, 그 외에는 me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인 법칙이다.)

특정 접두사가 어간에 붙으면 어간의 어두 자음이 규칙적으로 비음화하는 경우가 있다. 구어에서는 접두사가 붙어 어간의 어두 자음이 비음화된 후 접두사가 생략되어 어두가 변화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5. 3. 명사

인도네시아어는 명사 파생 접사로 peng-/per-/juru- (행위자, 도구 또는 어근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사람), -an (집합체, 유사성, 사물, 장소, 도구), ke-...-an (추상 및 속성, 집합체), per-/peng-...-an (추상, 장소, 목표 또는 결과) 등이 있다.

인도네시아어 문법은 복수를 규칙적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단수 명사를 복수로 바꾸려면 단어를 반복하거나(동물일 경우) paraid를 단어 앞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murid-muridid 또는 para muridid로 표현할 수 있다. 비공식적인 대화에서는 복수형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중복(Reduplication)은 명사의 복수형을 표현하는 공식적인 방법으로 자주 언급되지만, 비공식적인 일상 대화에서는 "둘 이상"이라는 개념을 나타내는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중복은 단순히 복수뿐 아니라 다양성과 차이를 나타낼 수도 있다.[1]

중복은 복수를 강조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다른 많은 기능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orang-orangid은 "(모든) 사람들"을 의미하지만, orang-oranganid은 "허수아비"를 의미한다. hatiid는 "심장" 또는 "간"을 의미하지만, hati-hatiid는 "조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orang-oranganid("허수아비/허수아비들"), biri-biriid("양/양들"), kupu-kupuid("나비/나비들")처럼 모든 중복된 단어가 본질적으로 복수인 것은 아니다. sayur-mayurid("(모든 종류의) 채소들")에서 볼 수 있듯이, 어떤 중복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운율적인 경우도 있다.[1]

분포 접두사는 사실상 복수인 집합 명사를 파생시킨다. 예를 들면 pohonid "나무", pepohonanid "식물상, 나무들"; rumahid "집", perumahanid "주택, 집들"; gunungid "산", pegununganid "산맥, 산들"과 같다.[1]

수량사는 명사 앞에 온다. 예를 들면 seribu orangid "천 명", beberapa pegununganid "일련의 산맥들", beberapa kupu-kupuid "몇몇 나비들"과 같다.[1]

인도네시아어에서 복수는 문장에서 사물의 개수를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데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Ani membeli satu kilo manggaid (아니는 망고 1kg을 산다)와 같은 문장에서 "망고들"은 복수이지만 mangga-manggaid로 표현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1kg'''이라는 양은 하나의 망고가 아니라 둘 이상의 망고를 의미하므로 복수가 암시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논리적으로 단수를 복수로 바꿀 필요가 없으며, 유의어의 중복(인도네시아어로는 pemborosan kataid)으로 간주된다.[1]

5. 4. 대명사

(청자 제외)표준, 정중한saya1인칭 포괄적모두colspan=2 |kita우리
(청자 포함)2인칭친근한kamu, engkau, kaukalian너희들정중한AndaAnda sekalian3인칭친근한dia, ia그/그녀/것mereka그들정중한beliau그/그녀



인칭 대명사 체계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두 가지 형태의 "우리"인 kita|키타id (너와 나, 너와 우리)와 kami|카미id (우리, 너는 제외)의 구분이다. 이러한 구분은 구어체 인도네시아어에서는 항상 지켜지지는 않는다.

Saya|사야id와 aku|아쿠id는 "나"를 나타내는 두 가지 주요 형태이다. Saya|사야id는 보다 정중한 형태이고, aku|아쿠id는 가족, 친구, 연인 사이에서 사용된다. 구어체에서는 호키엔어에서 유래한 gue|구에id 또는 gua|구아id가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이것은 친한 친구들과 이야기할 때만 사용되며, 가족들에게는 예의에 어긋난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Sahaya|사하야id는 saya|사야id의 고어 또는 문어체 형태이다. Sa(ha)ya|사(하)야id는 "우리"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보통 sekalian|스칼리안id 또는 semua|스무아id "모두"와 함께 사용되며, 포괄적인 kami|카미id와 배타적인 kita|키타id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모호하다. hamba|함바id "종", hamba tuan, hamba datuk|함바 투안, 함바 다툭id (모두 극도로 겸손한 표현), beta|베타id (왕족이 자신을 지칭할 때 사용), patik|파틱id (평민이 왕족을 지칭할 때 사용), kami|카미id (왕족이나 편집자의 "우리"), kita|키타id, təman|터만id, 그리고 kawan|카완id 등은 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다.

"너"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형태로는 Anda|안다id (정중한 표현), kamu|카무id (친근한 표현), 그리고 "모두"를 의미하는 kalian|칼리안id (일반적으로 "너희들"의 복수형으로 사용되며, 약간 비격식적인 표현)이 있다. Anda|안다id는 낯선 사람, 최근에 알게 된 사람, 광고, 사업상의 상황, 거리를 두고 싶을 때 사용되며, kamu|카무id는 화자가 "나"를 나타낼 때 aku|아쿠id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구어체에서는 호키엔어에서 유래한 lu|루id가 "나"를 나타내는 gue|구에id 또는 gua|구아id와 마찬가지로 친한 친구들 사이에서 자주 사용된다. Anda sekalian|안다 스칼리안id은 정중한 복수 표현이다. 특히 대화에서는 "아버지"를 의미하는 Bapak/Pak|바팍/팍id (나이든 남성에게 사용), "어머니"를 의미하는 Ibu/Bu|이부/부id (나이든 여성에게 사용), 그리고 "선생님"을 의미하는 tuan|투안id과 같은 존칭이 대명사 대신 자주 사용된다.[103]

Engkau|응카우id (əngkau|엉카우id)는 일반적으로 kau|카우id로 줄여서 사용된다.

"그/그녀/그것"과 "그들"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단어는 목적격과 강조/초점 형태인 dia|디아id를 가지는 ia|이아id이다. Bəliau|벌리아우id "그/그녀의 존함"은 정중한 표현이다. "너"와 마찬가지로 이름과 친족어가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들"을 나타내는 표현으로는 Mereka|므레카id "누군가", mereka itu|므레카 이투id, 또는 orang itu|오랑 이투id "그 사람들"이 있다.

"나"와 "너"를 나타내는 다른 많은 단어들이 있으며, 이 중 많은 단어들은 지역 방언 또는 현지 언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Saudara|사우다라id "너"(남성)와 saudari|사우다리id (여성) (복수형 saudara-saudara|사우다라-사우다라id 또는 saudari-saudari|사우다리-사우다리id)는 최고의 존경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Daku|다쿠id "나"와 dikau|디카우id "너"는 시적이거나 로맨틱한 표현이다. 인도네시아어 속어인 ''gua'' "나"(호키엔어)와 ''lu'' "너"()는 속어이며 매우 비격식적인 표현이다.

aku|아쿠id, kamu|카무id, engkau|응카우id, ia|이아id, kami|카미id, 그리고 kita|키타id는 인도네시아어 고유의 대명사이다.

'나', '너', '그/그녀'는 짧은 소유격 첨어 형태를 갖는다. 다른 모든 대명사는 다른 명사처럼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며, 강조형 '그/그녀'도 마찬가지이다: '나의 책상, 우리의 책상, 너의 책상, 그의/그녀의 책상'.

''meja|메자id''("책상")의 소유 형태
대명사첨어소유 형태
aku|아쿠id (나)-ku|쿠idmejaku|메자쿠id (나의 책상)
kamu|카무id (너)-mu|무idmejamu|메자무id (너의 책상)
ia|이아id (그/그녀)-nya|냐idmejanya|메자냐id (그의/그녀의/그들의 책상)



'나'(aku|아쿠id)의 접두사 형태인 'ku-|쿠-id'와 '너'(kau|카우id)의 접두사 형태인 'kau-|카우-id'도 있다. 이들은 대명사를 강조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Ku|쿠id'''dengar raja itu menderita penyakit kulit. '''Aku|아쿠id''' mengetahui ilmu kedokteran. '''Akulah|아쿨라id''' yang akan mengobati dia.''

:"왕이 피부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의학에 능숙하다. ''내가'' 그를 치료할 것이다."

여기서 'ku-|쿠-id' 동사는 일반적인 보고에 사용되고, 'aku|아쿠id' 동사는 사실적인 진술에 사용되며, 강조형 'aku-lah meng-|아쿠-라 멩-id' 동사(≈ "...하는 것은 바로 나이다")는 대명사에 초점을 맞출 때 사용된다.[104]

'-nya|냐id' 접미사는 특별한 경우이다. 이것은 정확성을 표시하거나, 소유 관계에 있는 두 명사를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소유격). 심지어 대명사와 이름에도 확장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용법은 때때로 비판을 받아왔다.[105]

인칭대명사는 영어와 같은 격변화가 없으며, 일본어처럼 조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anda|안다id는 공손한 표현이지만 상대방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아 대화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대부분 이름(상대가 윗사람이라면 경칭 포함)으로 부르거나, 성별과 나이를 고려하여 자신의 가족에 비유하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예: 자신의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남성에게 친근함이나 존경을 담아 bapak, pak|바팍, 팍id 등)

5. 5. 동사

인도네시아어 동사는 인칭이나 수에 따라 활용되지 않으며, 시제 또한 표시되지 않는다. 시제는 "어제"와 같은 시간 부사나 "이미"를 뜻하는 ''sudah'' 및 "아직…않다"를 뜻하는 ''belum''과 같은 다른 시제 표시어로 나타낸다. 반면에, 의미의 뉘앙스를 나타내고, 목소리 또는 의도적이고 우발적인 법을 나타내는 복잡한 동사 접사 체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접사 중 일부는 구어체에서는 무시된다.

예를 들어, 접두사 ''di-''(환자 중심, 전통적으로 "수동태"라고 하며, 3인칭에서는 OVA 어순, 1인칭 또는 2인칭에서는 OAV 어순을 사용), ''meng-''(행위자 중심, 전통적으로 "능동태"라고 하며, AVO 어순을 사용), ''memper-'' 및 ''diper-''(사동, 행위자 및 환자 중심), ''ber-''(상태 또는 습관적; 자동사 VS 어순), 그리고 ''ter-''(행위자 없는 동작, 예를 들어 비자발적, 갑작스러운, 상태적 또는 우발적인 동작, VA = VO 어순) 등이 있다. 접미사로는 ''-kan''(사동 또는 수여) 및 ''-i''(처소, 반복 또는 철저) 등이 있다. 그리고 둘러싸는 접사 ''ber-...-an''(복수 주어, 분산 동작) 및 ''ke-...-an''(의도하지 않은 또는 잠재적인 동작 또는 상태) 등이 있다.[1]

''ter-'' 및 ''ke-...-an'' 형태는 종종 영어의 형용사와 동등하다.[1]

인도네시아어에는 '''tidak''', '''bukan''', '''jangan''', '''belum''' 네 가지 부정어가 사용된다.[1]

인도네시아어의미 해석영어
aya tidak' tahu (Saya gak/ngga tahu(비격식))나는 아니다 안다나는 모른다
bu saya tidak' senang (Ibu saya gak/ngga senang(비격식))어머니 나 아니다 기쁘다내 어머니는 행복하지 않다
tu bukan' anjing saya저것 아니다 개 나의저것은 내 개가 아니다

[1]

인도네시아어에서 명령문을 부정하거나 특정 행동을 하지 말라고 충고할 때는 동사 앞에 'jangan'(하지 마라)라는 단어를 사용한다.[1]


:'''하지 마!''' 여기에 나를 두고 가지 마세요!
:'''하지 마!''' 그렇게 하지 마세요!
:'''하지 마!''' 그것은 당신에게 좋지 않습니다.

인도네시아어에는 동사의 시제에 따른 어형 변화가 없다.[1]

이 외에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내고 싶을 때는, 「내일 besokid」, 「어제 kemarinid」와 같은 시간을 나타내는 어휘를 덧붙여, 합리적으로 판단한다.[1]

5. 6. 형용사

인도네시아어에는 형용사가 존재한다. 술어 동사가 이러한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기도 한다. 형용사는 항상 수식하는 명사 뒤에 위치한다.[102]

인도네시아어의미 해석영어
Hutan hijau숲 녹색(The) green forest
Hutan itu hijau숲 그 녹색That/the forest is green
Kereta yang merah마차 ~하는 빨간(The) carriage which is red = the red carriage
Kereta merah마차 빨간Red carriage
Dia orang yang terkenal sekali그/그녀 사람 ~하는 유명한 매우He/she is a very famous person
Orang terkenal사람 유명한Famous person
Orang ini terkenal sekali사람 이 유명한 매우This person is very famous



어떤 것이 형용사 '이다'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지시어 "itu"와 "ini"("그것"과 "이것")가 종종 사용된다. 예를 들어, "anjing itu galak" 문장에서 "itu"의 사용은 "그/저 개는 사나워요"라는 의미를 주는 반면, "anjing ini galak"은 "이 개는 사나워요"라는 의미를 준다. 그러나 "itu" 또는 "ini"를 사용하지 않으면 "anjing galak"은 단순히 "사나운 개"를 의미하며, 어떠한 상태를 나타내는 의미도 없는 단순한 형용사가 된다. 다목적 지시어인 "yang"도 형용사 앞에 자주 사용되므로, "anjing yang galak" 또한 "사나운 개" 또는 더 직역하면 "사나운 개"를 의미한다. "yang"은 명확성을 위해 자주 사용된다. 따라서 "saya didekati oleh anjing galak"("나는 사나운 개에게 접근당했다")와 같은 문장에서는 형용사 "galak"의 사용이 전혀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

자주 사용되는 "ber-" 자동사 접두사 또는 "ter-" 상태 접두사는 "~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beda"는 "다른"을 의미하므로 "berbeda"는 "다르다"를 의미한다. "awan"은 "구름"을 의미하므로 "berawan"은 "흐린"을 의미한다. "ter-" 접두사를 사용하면 상태임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buka"는 "열다"를 의미하므로 "terbuka"는 "열려 있다"를 의미하고, "tutup"은 "닫다"를 의미하므로 "tertutup"은 "닫혀 있다"를 의미한다.[102]

6. 어휘

인도네시아어 어휘는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중국어 등으로부터 흡수된 외래어가 매우 많다.[153] 주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 교류하면서 자와어, 순다어, 미낭카바우어, 마두라어 등으로부터도 어휘를 광범위하게 받아들였다.

형용사 접사는 어근에 붙어 형용사를 만든다.

형용사 접사의 종류접사어근 예시파생어 예시
접두사tər-panas (뜨거운)terpanas (가장 뜨거운)
sə-baik (좋은)sebaik (좋은 만큼)
중간삽입 접사serak (흩어진)selerak (어지러운)
cerlang (밝게 빛나는)cemerlang (밝은, 훌륭한)
sabut (겉껍질)serabut (헝클어진)
둘러싸는 접사kə-...-anbarat (서쪽)kebaratan (서구화된)



이러한 접사 외에도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영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서 차용한 많은 접사가 있다. (예: ''maha-'', ''pasca-'', ''eka-'', ''bi-'', ''anti-'', ''pro-'')

인도네시아어는 측량사(classifiers, ''kata penggolong'')를 사용한다. 이는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태국어, 버마어, 벵골어 등 다른 아시아 언어와 유사하다.

측량사사용 용도직역예시
buah사물(일반적으로), 큰 사물, 추상 명사
집, 자동차, 배, 산; 책, 강, 의자, 일부 과일, 생각 등
'과일'dua buah meja (두 개의 테이블), lima buah rumah (다섯 채의 집)
ekor동물'꼬리'seekor ayam (닭 한 마리), tiga ekor kambing (염소 세 마리)
orang사람'사람'seorang laki-laki (한 남자), enam orang petani (농부 여섯 명), seratus orang murid (학생 백 명)
biji작고 둥근 물체
대부분의 과일, 컵, 견과류
'알갱이'sebiji/ sebutir telur (달걀 하나), sebutir/ butiran-butiran beras (쌀 또는 쌀들)
batang길고 단단한 것
나무, 지팡이, 연필
'줄기, 막대'sebatang tongkat (지팡이 하나)
həlai얇은 층이나 시트 형태의 것
종이, 천, 깃털, 머리카락
'잎'sepuluh helai pakaian (옷 열 벌)
kəping keping평평한 조각, 돌 조각, 나무 조각, 빵 조각, 땅, 동전, 종이'조각'sekeping uang logam (동전 하나)
pucuk편지, 총기, 바늘'싹'sepucuk senjata (무기 하나)
bilah길이 방향으로 자르고 더 두꺼운 것'날'sebilah kayu (나무 조각 하나)
bidanɡ정사각형 모양이거나 숫자로 측정할 수 있는 것'밭'sebidang tanah/lahan (한 구역의 땅)
potong잘린 것
'자른 것'sepotong roti (빵 한 조각)
utas그물, 끈, 리본'실'seutas tali (밧줄 하나)
carik종이처럼 쉽게 찢어지는 것'조각'secarik kertas (종이 한 장)



:''예시'': "새"라고 말하는 데 측량사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burung''은 "새, 새들"을 의미한다. ''se-''에 측량사를 더하는 것은 영어의 "하나" 또는 "어떤"에 더 가깝다.

:''Ada seekor burung yang bisa berbicara''

:"말할 수 있는 어떤 새가 있었다"

현대 말레이어의 변종인 인도네시아어는 네덜란드어, 영어, 그리스어(인도네시아라는 국가 이름의 어원), 아랍어, 중국어, 포르투갈어, 산스크리트어, 타밀어, 힌디어페르시아어를 포함한 다른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어 단어의 대부분은 오스트로네시아어(구 말레이어 포함)의 어근 어휘에서 유래한다.[43]

인도네시아어 어원과 차용어에 대한 연구는 그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무역 시대인 7세기의 초기 산스크리트어 차용어, 특히 이슬람교의 확립 시대의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차용어, 그리고 식민지 시대의 네덜란드어 차용어 등이 있다. 언어사와 문화사는 분명하게 연결되어 있다.[108]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어는 약어나 합성어 형태로 만들어진 신조어가 급증했다.

일반적인 약어로는 ABRIid (Angkatan Bersenjata Republik Indonesiaid '인도네시아 국군'), SIMid (surat izin mengemudiid '운전면허증'), SARAid (suku, agama, ras, antargolonganid '종족, 종교, 인종, 집단 간 [문제]', 지역 사회 갈등의 배경을 언급할 때 사용), HAMid (hak asasi manusiaid '인권') 등이 있다.

합성어는 공식 및 구어체 인도네시아어 모두에서 생산적인 단어 형성 도구가 되었다. 공식적인 용례의 예로는 부서 및 직책(예: Menluid < Mentri Luar Negeriid '외무장관', Kapoldaid < Kepala kepolisian daerahid '지방경찰청장') 또는 주 및 지역의 이름(Sulutid < Sulawesi Utaraid '북술라웨시', Jabarid < Jawa Baratid '서자바')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합성어로는 puskesmasid < pusat kesehatan masyarakatid '보건소', sembakoid < sembilan bahan pokokid '생필품'() 등이 있다.[117]

일본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같은 음을 반복하는 어휘(겹말)가 있다. 어휘 사이에 하이픈을 넣는다. 명사의 복수형을 나타내는 외에, 「다양함」, 「상호」, 「반복」, 「강조」 등을 나타낸다. 비격식적인 표기에서는 반복하지 않고 어미에 「2」를 붙여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예: sedikit-sedikit → sedikit2)



숫자의 순서는 11~19를 제외하고는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왼쪽 자릿수부터 오른쪽 자릿수로, 자릿수 이름을 끼워 넣으면서 읽는다. 단, 3자릿수마다 구분한다. 3자릿수마다 마침표(.)를 붙여 표기하기도 한다. 소수점은 쉼표(,)로 표기한다.

6. 1. 차용어

인도네시아어는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로부터 많은 단어를 빌려왔다.[153] 뿐만 아니라 자와어, 순다어, 미낭카바우어, 마두라어 등 주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와도 교류하며 어휘를 광범위하게 받아들였다. 현대 인도네시아어에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약 750개, 아랍어에서 1,000개, 포르투갈어(및 스페인어, 이탈리아어)에서 125개, 네덜란드어에서 10,000개 정도의 외래어가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153]

인도네시아어에서 외래어는 기본적인 생활 어휘에까지 깊숙이 침투해 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에서 일요일을 'hari Minggu'라고 부르는 것은 포르투갈어 'domingo(도밍구)'에서 받아들인 것이며, 을 'buku'라고 부르는 것은 네덜란드어 'boek(북)'에서 받아들인 것이다.

교육문화부 산하 언어개발 및 출판 기관(Badan Pengembangan Bahasa dan Perbukuan)에서 발표한 인도네시아어 차용어 목록은 다음과 같다:[109]

언어 기원단어 수
네덜란드어3,280
영어1,610
아랍어1,495
산스크리트어677
중국어290
포르투갈어131
타밀어131
페르시아어63
힌디어7



이 목록은 외국어만 나열하며, 자와어, 순다어, 베타위어 등 인도네시아의 여러 지역 언어는 생략되었다.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은 고대부터 인도와의 접촉에서 비롯되었다. 단어들은 인도에서 직접 차용되거나 고대 자바어를 통해 차용되었다. 힌두교불교가 더 이상 인도네시아의 주요 종교가 아니지만, 산스크리트어는 여전히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영어 및 기타 서유럽 언어에서 라틴어와 비슷한 지위를 가진다. 산스크리트어는 신조어의 주요 원천이기도 하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차용된 단어는 종교, 예술 및 일상생활의 많은 측면을 포함한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단어로는 स्वर्ग ''surga'' (천국), भाषा ''bahasa'' (언어), काच ''kaca'' (유리, 거울), राज- ''raja'' (왕), मनुष्य ''manusia'' (인류), चिन्ता ''cinta'' (사랑), भूमि ''bumi'' (지구), भुवन ''buana'' (세계), आगम ''agama'' (종교), स्त्री ''Istri'' (아내/여자), जय ''Jaya'' (승리/승리의), पुर ''Pura'' (도시/사원/장소) राक्षस ''라크샤사'' (거인/괴물), धर्म ''다르마'' (규칙/규정), मन्त्र ''만트라'' (말/시/영적 기도), क्षत्रिय ''Satria'' (전사/용감한/병사), विजय ''Wijaya'' (대승리/큰 승리) 등이 있다.

인도네시아 국가경찰과 인도네시아 국군의 이름, 직함 및 모토에도 산스크리트어 단어와 문장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Bhayangkara'', ''락사마나'', ''자타유'', ''가루다'', ''Dharmakerta Marga Reksyaka'', ''Jalesveva Jayamahe'', ''Kartika Eka Paksi'', ''Swa Bhuwana Paksa'', ''Rastra Sewakottama'', ''Yudha Siaga'' 등이 있다.

인도네시아 국가경찰, 인도네시아 공군, 인도네시아 육군 및 인도네시아 해군의 모토는 모두 산스크리트어로 된 ''Rastra Sewakottama'', ''Swa Bhuwana Paksa'', ''Kartika Eka Paksi'', ''Jalesveva Jayamahe''이다.

산스크리트어 차용어는 인도네시아어의 기본 어휘에 깊이 들어와 많은 사람들에게 더 이상 외래어로 인식되지 않는다.
중국어 차용어7세기부터 중국 상인들이 리아우, 서부 칼리만탄, 동부 칼리만탄, 말루쿠주 북부 등 여러 지역에서 무역을 하면서 중국과의 관계가 시작되었다. 스리비자야 왕국이 번영함에 따라 중국은 무역과 항해를 확보하기 위해 왕국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11세기부터 수십만 명의 중국 이민자들이 중국 본토를 떠나 누산타라(현재 인도네시아)의 여러 지역에 정착했다.

중국어 차용어는 일반적으로 요리, 무역 또는 중국 고유의 것들과 관련이 있다. 중국어에서 유래한 단어(여기서는 호키엔어/만다린어 발음 유도어와 번체 및 간체를 함께 제시)에는 ''loteng''(樓/層|lóu/céng중국어 – 위층/층), ''mie''(麵 > 面|mī중국어 – 국수), ''룬피아''(潤餅|lūn-piáⁿ중국어 – 춘권), ''cawan''(茶碗|cháwǎn중국어 – 찻잔), ''teko''(茶壺 > 茶壶|cháhú중국어 [만다린어], teh-ko|중국어 [호키엔어] – 찻주전자), ''kuli''(苦力|kǔ lì중국어 – 쿨리) 그리고 널리 사용되는 속어 ''gua''와 ''lu''(호키엔어 'goa' 我와 'lu/li' 汝에서 유래 – '나/저'와 '너'를 의미) 등이 있다.
아랍어 차용어아라비아 반도의 아랍인, 페르시아인, 그리고 많은 무슬림이 거주했던 인도 서부 구자라트 상인들에 의해 많은 아랍어 단어가 유입되었다.[110] 특히 12세기 후반부터 구말레이어는 아랍어의 영향을 크게 받아 샤이르(Syair), 바바드(Babad), 히카야트(Hikayat), 술룩(Suluk)과 같은 문학 작품들을 탄생시켰다.[110]

아랍어에서 유래한 외래어는 주로 이슬람과 관련이 있으며, "selamat" (سلامة|salāmaar = 건강, 무사함)[111] 와 같은 인사말에도 사용된다. 아랍어에서 유래한 단어에는 ''dunia'' (دنيا|dunyāar = 현세), 요일 이름(‘’Minggu’’ 제외), 예를 들어 ''Sabtu'' (سبت|sabt-uar = 토요일), ''iklan'' (آعلان|iʻlanar = 광고), ''kabar'' (خبر|khabarar = 뉴스), ''Kursi'' (كرسي|kursīar = 의자), ''ijazah'' (إجازة|ijāzaar = 허가, 권한 증서, 예: 졸업장), ''kitab'' (كتاب|kitābar = 책), ''tertib'' (ترتيب|tartībar = 질서/정리), 그리고 ''kamus'' (قاموس|qāmūsar = 사전) 등이 있다.

알라 (الله|Allahar)는 기독교 성경 번역에서도 하나님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초기 성경 번역자들은 생소한 히브리어 단어를 만나면 아랍어 동족어를 사용하였다. 최근 번역에서는 그리스어 이름을 사용하거나 원래 히브리어 단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예수라는 이름은 처음에는 '''Isa'' (عيسى|Isaar)로 번역되었지만, 이제는 ''Yesus''로 표기된다.

아랍어에서 유래한 여러 교회 용어들이 인도네시아어에 여전히 존재한다. 인도네시아어로 ''주교''는 ''uskup'' (أسقف|usqufar = 주교)이다. 이는 인도네시아어로 대주교를 ''uskup agung''으로 만드는데, 이는 아랍어 단어와 구자바어 단어를 결합한 것이다. ''imam'' (إمام|imāmar = 지도자, 이맘)이라는 단어는 가톨릭 사제를 번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일부 개신교 교파는 그들의 교회를 ''jemaat'' (جماعة|jamāʻaar = 집단, 공동체)라고 부른다. 인도네시아어로 번역된 성경의 이름도 ''Alkitab'' (الكتاب|al-kitābar = 책)이다.
포르투갈어 차용어

인도네시아어 단어 "''Gereja''"(교회)는 포르투갈어 "''Igreja''"에서 유래. 간판에는 "''Gereja & Candi Hati Kudus Tuhan Yesus Ganjuran Keuskupan Agung Semarang''" (예수 성심의 교회와 사원 간주란 세마랑 대교구)라고 쓰여 있음.


말레이어와 함께 포르투갈어는 16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군도 전역의 무역을 위한 공용어였다. 포르투갈인들은 "향신료 제도"로 동쪽으로 항해한 최초의 서구인들 중 하나였다.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한 외래어는 주로 초기 유럽 상인과 탐험가들이 동남아시아에 가져온 물품과 관련이 있다.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한 인도네시아어에는 meja|메자id (mesa|메자pt = 테이블), bangku|방쿠id (banco|방쿠pt = 벤치), lemari/almari|레마리/알마리id (armário|아르마리우pt = 옷장), boneka|보네카id (boneca|보네카pt = 인형), jendela|젠델라id (janela|자넬라pt = 창문), gereja|게레자id (igreja|이그레자pt = 교회), misa|미사id (missa|미사pt = 미사), Natal|나탈id (Natal|나탈pt = 크리스마스), Paskah|파스카id (Páscoa|파스코아pt = 부활절), pesta|페스타id (festa|페스타pt = 파티), dansa|단사id (dança|단사pt = 춤), pesiar|페시아르id (passear|파세아르pt = 유람), bendera|벤데라id (bandeira|반데이라pt = 깃발), sepatu|세파투id (sapato|사파투pt = 신발), garpu|가르푸id (garfo|가르푸pt = 포크), kemeja|케메자id (camisa|카미자pt = 셔츠), kereta|케레타id (carreta|카헤타pt = 마차), pompa|폼파id (bomba hidráulica|봄바 이드라울리카pt = 펌프), pigura|피구라id (figura|피구라pt = 그림), roda|로다id (roda|호다pt = 바퀴), nona|노나id (dona|도나pt = 젊은 여성), sekolah|세콜라id (escola|에스콜라pt = 학교), lentera|렌테라id (lanterna|란테르나pt = 랜턴), paderi|파데리id (padre|파드르pt = 사제), Santo, Santa|산토, 산타id (Santo, Santa|산투, 산타pt = 성인), puisi|푸이시id (poesia|포에지아pt = 시), keju|케주id (queijo|케이주pt = 치즈), mentega|멘테가id (manteiga|만테이가pt = 버터), serdadu|세르다두id (soldado|솔다두pt = 군인), meski|메스키id (mas que|마스 케pt = 비록 ~일지라도), kamar|카마르id (câmara|카마라pt = 방), laguna|라구나id (laguna|라구나pt = 석호), lelang|렐랑id (leilão|레일랑pt = 경매), persero|페르세루id (parceiro|파르세이루pt = 회사), markisa|마르키사id (maracujá|마라쿠자pt = 패션프루트), limau|리마우id (limão|리망pt = 레몬), kartu|카르투id (cartão|카르탕pt = 카드), Inggris|잉그리스id (inglês|잉글레스pt = 영어), Sabtu|삽투id (sábado|사바두pt = 토요일), Minggu|밍구id (domingo|도밍구pt = 일요일) 등이 있다.[112]
네덜란드어 차용어
인도네시아어 는 네덜란드어 (영화관)에서 유래.


전 식민지 지배국인 네덜란드는 polisi|폴리시id(politie|폴리티nl = 경찰), kualitas|콸리타스id(kwaliteit|크발리테이트nl = 품질), aktual|악투알id(actueel|악튀얼nl = 현재의), rokok|로콕id(roken|로컨nl = 담배 피우다), korupsi|코룹시id(corruptie|코륍티nl = 부패), kantor|칸토르id(kantoor|칸토르nl = 사무실), resleting|레슬레팅id(ritssluiting|릿슬라위팅nl = 지퍼), pelopor|펠로포르id(voorloper|포를로퍼르nl = 선구자), persneling|페르스넬링id(versnelling|페르스넬링nl = 변속기어), setrum|세트룸id(stroom|스트롬nl = 전류), maskapai|마스카파이id(maatschappij|마트스하페이nl = 회사), apotek|아포텍id(apotheek|아포테이크nl = 약국), handuk|한둑id(handdoek|한둑nl = 수건), setrika|세트리카id(strijkijzer|스트레이크에이저르nl = 다리미), bioskop|비오스콥id(bioscoop|비오스콥nl = 영화관), spanduk|스판둑id(spandoeken|스판두컨nl = 현수막), korsleting|코르슬레팅id(kortsluiting|코르트슬라위팅nl = 단락 회로), om|옴id(oom|옴nl = 삼촌), tante|탄테id(tante|탄터nl = 이모), traktir|트락티르id(trakteer|트락테이르nl = 대접하다) 및 gratis|그라티스id(gratis|흐라티스nl = 무료)와 같은 단어를 남겼다. 몇몇 네덜란드어 차용어는 여러 자음이 뭉쳐 있어 인도네시아어 화자에게 어려움을 준다. 이 문제는 슈와를 삽입하여 해결된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어 schroef|스크루프nl > sekrup|세크루프id (나사)이다. 어떤 학자는 인도네시아어 단어의 20%가 네덜란드어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한다.[113]

언어 표준화 이전에는 많은 인도네시아어 단어가 모음 "u"에 대한 "oe" 또는 자음 "j" [dʒ]에 대한 "dj"와 같이 표준 네덜란드어 알파벳과 발음을 따랐다.
영어 차용어많은 영어 단어들이 세계화를 통해 인도네시아어에 통합되었다. 그러나 많은 인도네시아인들은 이미 네덜란드어에서 차용된 단어들을 영어에서 빌려온 단어로 잘못 알고 있다. 인도네시아어는 영어 단어를 표준화하여 채택한다.[114] 예를 들어, accessory|액세서리영어에서 유래한 aksesori|악세소리id가 있다.[115][116] 그러나 영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 표준화 없이 직접 차용된 단어들도 여러 개 있는데, "bus", "data", "domain", "detail", "internet", "film", "golf", "lift", "monitor", "radio", "radar", "unit", "safari", "sonar", "video", 그리고 "riil (real)" 등이 있다.[116]
기타 차용어세계 여러 언어에서 직접 차용한 단어들도 있다. 예를 들어, 일본어 カラオケ|가라오케일본어에서 유래한 karaoke|카라오케id와 말린 새우를 뜻하는 일본어 えび|에비일본어에서 유래한 ebi|에비id가 있다. 원래 네덜란드어를 통해 수용된 많은 단어들이 오늘날에는 두 언어의 게르만어적 특성의 유사성으로 인해 영어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어떤 경우에는 세계화를 통해 영어 단어로 대체되기도 한다. arbei|아르베이id (aardbei|아르트베이nl)는 인도네시아어로 딸기를 뜻하지만, 오늘날에는 stroberi|스트로베리id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리스어 단어인 demokrasi|데모크라시id (δημοκρατία|디모크라티아el에서 유래), filosofi|필로소피id, filsafat|필사팟id (둘 다 φιλοσοφία|필로소피아el에서 유래), mitos|미토스id (μῦθος|미토스el에서 유래)는 각각 네덜란드어, 아랍어, 포르투갈어를 통해 유입되었다.

인도네시아어와 말레이시아어에 모두 존재하는 차용어 중 일부는 어원이 다르기 때문에 철자와 발음이 다릅니다. 말레이시아어는 (이전 식민 지배국인 영국이 사용한) 영어 용법을 반영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반면, 인도네시아어는 라틴어 형태를 사용합니다 (예: aktiviti|악티비티zsm (말레이시아어) 대 aktivitas|악티비타스id (인도네시아어), universiti|우니베르시티zsm (말레이시아어) 대 universitas|우니베르시타스id (인도네시아어)).

6. 2. 요일 및 월

인도네시아어의 요일과 월 이름은 다음과 같다.

영어인도네시아어IPA
월요일Senin|세닌id
화요일Selasa|슬라사id
수요일Rabu|라부id
목요일Kamis|카미스id
금요일Jumat|주맛id
토요일Sabtu|삽투id
일요일Minggu|밍구id



영어인도네시아어IPA
1월Januari|자누아리id
2월Februari|페브루아리id
3월Maret|마렛id
4월April|아프릴id
5월Mei|메이id
6월Juni|주니id
7월Juli|줄리id
8월Agustus|아구스투스id
9월September|셉템베르id
10월Oktober|옥토베르id
11월November|노벰베르id
12월Desember|데셈베르id



인도네시아어 달력

7. 사용 국가

인도네시아어는 인도네시아의 공용어이다.[141]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교역 목적으로 사용되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으며,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이 20세기 초부터 현지 통용어로 만들기 위해 보급에 힘썼다. 1928년 청년의 맹세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가 선언되면서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 독립 후 국어로 지정되었고, 교육, 행정,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며 보급되었다.

인도네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적지만, 식민지 시기, 민족주의 운동기, 독립 이후 과정을 거치며 사용 인구가 증가했다. 그러나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가정에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1/6 정도에 불과하다.

동티모르에서는 민족 언어로 테툼어가 있지만, 인도네시아 통치 시기의 영향으로 인도네시아어가 통용되기도 한다. 다만 동티모르의 공용어는 테툼어와 포르투갈어이다.

인도네시아 외에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필리핀, 파푸아뉴기니 등에서 일부 사용되며,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의 인도네시아계 이주자들도 사용한다. 오스트레일리아, 네덜란드, 일본, 대한민국, 동티모르, 베트남, 타이완, 미국, 영국 등 여러 국가의 교육 기관에서 외국어로 가르치기도 한다.[67][68][69][70][71][72][73][74][75][76]

인도네시아어에는 두 가지 지시대명사가 있다. ''ini''는 "이것", ''itu''는 "저것"을 의미한다. 단수와 복수의 구별은 없지만, 명사를 반복하고 ''ini'' 또는 ''itu''를 붙여 복수를 표현할 수 있다. ''yang''은 "which"를 의미하며, 지시대명사 앞에 놓여 강조나 확실성을 부여한다.

대명사인도네시아어영어
inibuku iniThis book, these books, the book(s)
buku-buku iniThese books, (all) the books
itukucing ituThat cat, those cats, the cat(s)
kucing-kucing ituThose cats, the (various) cats



대명사 + yang예문영어 의미
Yang iniQ: Anda mau membeli buku yang mana?Q: Which book do you wish to purchase?
Yang ituQ: Kucing mana yang memakan tikusmu?Q: Which cat ate your mouse?


8. 계통 분류

인도네시아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하위 분류인 핵심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의 일부이며, 다시 그 하위 분류인 말레이숨바와어군의 일부이다. 자와어와는 여기서 갈라진다. 그리고 말레이어군으로 내려가는데, 순다어마두라어와는 여기서 갈라진다. 여기에 말레이인도네시아어와 미낭카바우어가 함께 속하게 된다. 에스놀로그에 의하면 고대에 말레이어의 원형은 수마트라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52]

말레이 역사언어학자들은 말레이어의 고향이 보르네오 서부일 가능성에 동의한다.[47] 기원전 1000년경에는 프로토 말레이어(Proto-Malay language)라는 형태의 언어가 보르네오에서 사용되었으며, 이는 이후 모든 말레이어(Malayan languages)의 조상 언어였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그 조상어인 프로토 말레이-폴리네시아어(Proto-Malayo-Polynesian)는 프로토 오스트로네시아어(Proto-Austronesian language)의 후손으로, 기원전 2000년경 이전에 분화하기 시작했는데, 아마도 오스트로네시아인(Austronesian peoples)이 타이완 섬에서 해양 동남아시아(Maritime Southeast Asia)로 남쪽으로 확장된 결과일 것이다.[48]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인도네시아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Austronesian languages)에 속하는데, 이 어족에는 동남아시아(Southeast Asia), 태평양(Pacific Ocean), 마다가스카르(Madagascar)의 언어들이 포함되며, 대륙 아시아(Asia)에도 소수의 언어가 있다.

인도양(Indian Ocean)의 마다가스카르(Madagascar)에서 사용되는 말라가시어(Malagasy language), 필리핀의 국어인 필리핀어(Filipino language), 타이완 원주민의 포르모사어(Formosan language), 뉴질랜드마오리어(Māori language)도 이 어족에 속한다. 이 어족의 각 언어는 서로 상호 이해 불가능하지만, 그 유사성은 매우 두드러진다. 많은 어근들이 공통 조상인 프로토 오스트로네시아어(Proto-Austronesian language)에서 거의 변하지 않은 채로 전해져 왔다. 친족 관계, 건강, 신체 부위, 일반적인 동물에 대한 단어에서 많은 동족어(cognate)가 발견된다. 특히 숫자는 놀라울 정도로 유사성을 보인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숫자
언어12345678910
프로토 오스트로네시아어(PAN)isaDuSateluSepatlimaenempituwaluSiwapuluq
말레이어(Malay)/인도네시아어satu|사투msdua|두아mstiga|티가msempat|음팟mslima|리마msenam|으남mstujuh|투주msdelapan|델라판idsembilan|슴빌란mssepuluh|스풀루ms
아미스어(Amis language)cecay|쩌짜이amitusa|뚜사amitulu|뚤루amisepat|스팟amilima|리마amienem|으넘amipitu|삐뚜amifalu|빨루amisiwa|시와amipulu'|뿔루ami
순다어(Sundanese Language)hiji|히지sudua|두아sutilu|띨루suopat|오빳sulima|리마sugenep|그늡sutujuh|뚜주sudalapan|달라빤susalapan|살라빤susapuluh|사뿔루su
초우어(Tsou language)coni|쪼니tsuyuso|유소tsutuyu|뚜유tsusʉptʉ|숩뜨tsueimo|으이모tsunomʉ|노므tsupitu|삐뚜tsuvoyu|보유tsusio|시오tsumaskʉ|마스끄tsu
타갈로그어(Tagalog language)isá|이사tldalawá|달라와tltatló|따뜰로tlápat|아빳tllimá|리마tlánim|아님tlpitó|삐또tlwaló|왈로tlsiyám|시얌tlsampu|삼뿌tl
일로카노어(Ilocano language)maysá|마이사ilodua|두아ilotalló|딸로ilouppát|웁빳ilolimá|리마iloinném|인넴ilopitó|삐또ilowaló|왈로ilosiam|시암ilosangapúlo|상아뿔로ilo
세부아노어(Cebuano language)usá|우사cebduhá|두하cebtuló|뚤로cebupat|우빳ceblimá|리마cebunom|우놈cebpitó|삐또cebwaló|왈로cebsiyám|시얌cebnapulu|나뿔루ceb
힐리가이논어(Hiligaynon language)isá|이사hilduwá|두와hiltatló|따뜰로hilapat|아빳hillimá|리마hilanom|아놈hilpitó|삐또hilwaló|왈로hilsiyám|시얌hilpulo|뿔로hil
차모로어(Chamorro language)maisa/håcha|마이사/하차chhugua|후과chtulu|뚤루chfatfat|팟팟chlima|리마chgunum|구눔chfiti|삐띠chguålu|괄루chsigua|시과chmånot/fulu|마놋/풀루ch
말라가시어(Malagasy language)iray/isa|이라이/이사mgroa|루아mgtelo|뗄루mgefatra|에파트라mgdimy|디미mgenina|에니나mgfito|삐뚜mgvalo|발루mgsivy|시비mgfolo|폴루mg
참어(Cham language)saduaklaupaklimânamtajuhdalipanthalipanpluh
토바 바탁어(Toba Batak language)sada|사다bbcdua|두아bbctolu|똘루bbcopat|오빳bbclima|리마bbconom|오놈bbcpitu|삐뚜bbcualu|우알루bbcsia|시아bbcsampulu|삼뿔루bbc
미낭카바우어(Minangkabau language)ciek|찌엑minduo|두오mintigo|띠고minampek|암뻭minlimo|리모minanam|아남mintujuah|뚜주아minsalapan|살라빤minsambilan|삼빌란minsapuluah|사뿔루아min
레장어(Rejang language)[51]do|도rejduai|두아이rejtlau|뜰라우rejpat|빳rejlêmo|르모rejnum|눔rejtujuak|뚜주악rejdêlapên|들라픈rejsêmbilan|슴빌란rejsêpuluak|스뿔루악rej
자와어(Javanese language)siji|시지jvloro|로로jvtelu|뜰루jvpapat|빠빳jvlima|리마jvnem|늠jvpitu|삐뚜jvwolu|올루jvsanga|상아jvsepuluh|스뿔루jv
테툼어(Tetum language)ida|이다tetrua|루아tettolu|똘루tethat|핫tetlima|리마tetnen|넨tethitu|히뚜tetualu|우알루tetsia|시아tetsanulu|사눌루tet
비악어(Biak language)eser/oser|에세르/오세르bhwsuru|수루bhwkyor|꾜르bhwfyak|뺘끄bhwrim|림bhwwonem|오넴bhwfik|삒bhwwar|와르bhwsiw|시우bhwsamfur|삼푸르bhw
피지어(Fijian language)dua|두아fjrua|루아fjtolu|똘루fjvā|바fjlima|리마fjono|오노fjvitu|비뚜fjwalu|왈루fjciwa|찌와fjtini|띠니fj
키리바시어(Gilbertese language)teuana|떼우아나키리바시어uoua|우오우아키리바시어teniua|떼니우아키리바시어aua|아우아키리바시어nimaua|니마우아키리바시어onoua|오노우아키리바시어itiua|이띠우아키리바시어waniua|와니우아키리바시어ruaiua|루아이우아키리바시어tebuina|떼부이나키리바시어
사모아어(Samoan language)tasi|따시사모아어lua|루아사모아어tolu|똘루사모아어fā|빠사모아어lima|리마사모아어ono|오노사모아어fitu|삐뚜사모아어valu|발루사모아어iva|이바사모아어sefulu|세풀루사모아어
하와이어(Hawaiian language)kahi|카히hawlua|루아hawkolu|콜루hawhā|하hawlima|리마hawono|오노hawhiku|히쿠hawwalu|왈루hawiwa|이와haw-'umi|우미haw



인도네시아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며, 타갈로그어(필리핀어)와도 유사점이 많이 보인다. 형태론적으로는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로 분류된다.

9. 관련 문서

10. 학습 자료

외국인을 위한 인도네시아어 학습서인 ''BIPA ()'' 교재


최근 비인도네시아인들 사이에서 인도네시아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22] 여러 대학교와 인도네시아-호주 언어 재단(Indonesia Australia Language Foundation), Lembaga Indonesia Amerikaid 같은 사립 교육기관에서 비인도네시아인을 위한 인도네시아어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1988년부터 인도네시아어 교사들은 표준화된 Bahasa Indonesia bagi Penutur Asingid(BIPA, 외국인을 위한 인도네시아어) 교재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2001년 제4회 외국어 사용자 대상 인도네시아어 교육 국제 학술대회에서 이러한 필요성이 더 분명해졌다.[123]

2013년부터 필리핀 주재 인도네시아 대사관은 필리핀 학생 16개 그룹과 필리핀군 구성원에게 기초 인도네시아어 과정을 제공했다. 학생들의 수요 증가로 대사관은 연말에 중급 과정을 개설할 예정이다. 필리핀 교육부 장관 아르민 루이스트로(Armin Luistro)[124]는 필리핀어와 관련 있는 인도네시아어나 말레이어를 정부가 장려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공립학교에서 선택 과목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워싱턴 D.C. 주재 인도네시아 대사관도 초급 및 중급 수준의 무료 인도네시아어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125]

10. 1. 사전

현재 비교적 구입하기 쉬운 대표적인 사전은 다음과 같다.

전전기 남방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오늘날의 인도네시아어와 기원을 같이하는 말레이어(マレー語) (말레이어) 사전이 널리 이용되었다. 그러한 일본어-말레이어 대역 사전의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10. 2. 기타 자료

참조

[1] 웹사이트 Hasil Long Form Sensus Penduduk 2020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cs Indonesia 2024-08-27
[2] 웹사이트 Hasil Long Form Sensus Penduduk 2020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cs Indonesia 2024-08-27
[3] 웹사이트 Hasil Long Form Sensus Penduduk 2020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cs Indonesia 2024-08-27
[4] 서적 Communicating with Asia: The Future of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5] 웹사이트 Bahasa dan dialek https://web.archive.[...] Republic of Indonesia Embassy in Astana 2013-05-01
[6] 웹사이트 Bahasa Melayu Riau dan Bahasa Nasional https://web.archive.[...] Melayu Online 2011-11-22
[7] 웹사이트 East Timor Languages https://web.archive.[...] 2016-03-04
[8] 웹사이트 Dialect: Colloquial Jakarta Indonesian https://glottolog.or[...] 2023-06-19
[9] 위키소스 Article 36 of The 1945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10] 서적 Grammatical Borrowing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08
[11] 웹사이트 Indonesia's full-year population in 2023 https://web.archive.[...] 2024-06-23
[12] 웹사이트 Long Form Census 2020 https://www.bps.go.i[...]
[13] 서적 The Indonesian Language: Its History and Role in Modern Society UNSW Press 2004
[14] 뉴스 Indigenous language policy as a national cultural strategy https://web.archive.[...] 2013-10-28
[15] 웹사이트 Resources Report on Languages of Indonesia https://web.archive.[...] 2008
[16] 웹사이트 The Indonesian Language https://web.archive.[...] 2010-12-25
[17] 웹사이트 East Timor Languages https://web.archive.[...] 2016-03-04
[18] 서적 East Timor's Independence, Indonesia and ASEA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10-01
[19] 뉴스 Timor Leste, Tetum, Portuguese, Bahasa Indonesia or English? http://www.thejakart[...] 2012-04-20
[20] 서적 The World's Major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
[21] 학술지 Diglossia in Indonesian 2003
[22] 서적 The Indonesian language: its history and role in modern society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Press 2003
[23] 웹사이트 Bahasa dan dialek https://web.archive.[...] Republic of Indonesia Embassy in Astana 2013-05-01
[24] 웹사이트 Bahasa Melayu Riau dan Bahasa Nasional https://web.archive.[...] Melayu Online 2011-11-22
[25] 서적 Indonesian as a Unifying Language of Wider Communication : A Historical and Sociolinguistic Perspective https://web.archive.[...] Pacific Linguistics 2020-09-26
[26] 서적 The Indonesian Language: Its History and Role in Modern Society 2003
[27]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2009
[28]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s://web.archive.[...] 2007-12-27
[29] 웹사이트 BUKU PROFIL KEPAKSIAN.pdf - Google Drive https://drive.google[...] 2022-08-07
[30] 웹사이트 Southeast Asia Digital Library: About Malay https://archive.toda[...] 2007-06-16
[31] 웹사이트 Sriwijaya dalam Tela'ah https://web.archive.[...] Melayu Online 2012-10-22
[32] 웹사이트 Risen Up Maritime Nation! https://web.archive.[...] Melayu Online 2012-10-22
[33] 웹사이트 Bahasa Indonesia: Memasyarakatkan Kembali 'Bahasa Pasar'? https://web.archive.[...] Melayu Online 2012-06-30
[34] 학술지 Strategies for a successful national language policy: the Indonesian case 1998
[35] 웹사이트 Bahasa Indonesia: The Indonesian Language https://web.archive.[...] 2005-05-08
[36] 논문 The standardisation of the Indonesian language and its consequences for Islamic communities https://www.cambridg[...]
[37] 웹사이트 Mohammad Tabrani https://web.archive.[...] 2017-11-27
[38] 서적 Communicating with Asia: The Future of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39] 서적 Indonesian language for Higher Education (eng) https://books.google[...] Aksara Timur 2020-12-30
[4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ndonesian Language Congress I: Inaugurating The United Language (eng) https://tirto.id/sej[...] Tirto 2020-12-28
[41] 백과사전 Indonesia: language situation
[42] 서적 Words of the World Polity 2001
[43] 논문 One Land, One Nation, One Language: An Analysis of Indonesia's National Language Policy http://www.rochester[...] 2014-12-18
[44] 웹사이트 Publication Name https://web.archive.[...] 2018-12-04
[45] 뉴스 Why no-one speaks Indonesia's language http://www.bbc.com/t[...] BBC 2018-07-04
[46] 논문 Urbanization, ethnic diversity, and language shift in Indonesia https://www.tandfonl[...] 2022-03-24
[47] 논문 Where does Malay come from? Twenty years of discussions about homeland, migrations and classifications http://minerva-acces[...]
[48] 논문 The Search for the 'Origins' of Melayu http://sabrizain.org[...] 2019-10-13
[49]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3-07
[50] 웹사이트 Indonesian-Malay mutual intelligibility? https://www.thejakar[...] 2019-12-06
[51] 서적 Kamus Lengkap Indonesia-Rejang, Rejang-Indonesia Pusat Pembinaan dan Pengembangan Bahasa, Departemen Pendidikan dan Kebudayaan
[52] 웹사이트 The Indonesian Language (James N Sneddon) – book review http://dannyreviews.[...] 2019-10-13
[53] 웹사이트 The Dutch East Indies in photographs, 1860–1940 – Memory of the Netherlands http://www.geheugenv[...] 2019-10-13
[54] 논문 On the history of Indonesian
[55] 웹사이트 Language interference: Indonesian and English http://www.macmillan[...] 2019-10-13
[56] 위키토크 English loanwords from Malay or Indonesian? Talk:Indonesian lang[...]
[57] 웹사이트 amok Search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21-07-06
[58] 웹사이트 Indonesian (Bahasa Indonesia) – About World Languages http://aboutworldlan[...] 2019-10-13
[59] 웹사이트 History of Indonesian http://ipll.manoa.ha[...] 2019-10-13
[60] 논문 The Existence of Indonesian Language: Pidgin or Creole http://e-journal.iai[...] 2019-03-01
[61] 웹사이트 Hasil Long Form Sensus Penduduk 2020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cs Indonesia 2024-08-27
[62] 웹사이트 Hasil Long Form Sensus Penduduk 2020 https://www.bps.go.i[...] Budan Pusat Statistics Indonesia 2024-08-27
[63] 뉴스 Voice of America Bahasa Indonesia http://www.voaindone[...] Voice of America 2012-04-01
[64] 뉴스 Languages: News and Analysis in your Language http://www.bbc.co.uk[...] BBC World Service 2012-04-01
[65] 보고서 Building an Asia-literate Australia: an Australian strategy for Asian language proficiency https://web.archive.[...] Australian Policy Online 2009-06-10
[66] 웹사이트 Indonesian http://www.australia[...]
[67] 웹사이트 Indonesian Language Officially Taught at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22-07-19
[68] 웹사이트 Indonesian, Thai, and Spanish language versions of the 'Marugoto (A1) Japanese Online Course' are now available https://web.archive.[...] Japanese-Language Institute, Kansai 2021-09-13
[69] 웹사이트 The Indonesian, Vietnamese and Thai Language Courses https://web.archive.[...] Center fo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Teaching and Research, Asia University 2021-09-13
[70] 웹사이트 Bahasa Indonesia (Indonesian language) https://sas.fas.harv[...] Harvard University: Faculty of Arts and Sciences
[71] 웹사이트 Cambridge IGCSE Indonesian - Foreign Language https://web.arch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ssessment 2021-09-13
[72] 웹사이트 Indonesian Studies https://arts.adelaid[...] The University of Adelaide, Australia
[73] 웹사이트 Indonesia's geographic proximity and strategic importance to Australia make it vital to understand its peoples, politics, history, languages and cultures https://arts.unimelb[...] 2023-05-22
[74] 웹사이트 Indonesian studies https://www.monash.e[...] Monash University, Australia
[75] 웹사이트 Teaching Indonesian in Australian Schools https://pursuit.unim[...] 2021-03-18
[76] 웹사이트 Department of Indonesian Studies https://www.sydney.e[...] The University of Sydney, Australia
[77] 법률 Undang-undang Republik Indonesia Nomor 24 Tahun 2009 2009 Tentang Bendera, Bahasa, dan Lambang Negara, serta Lagu Kebangsaan https://peraturan.bp[...] 2009
[78] 웹사이트 Indonesian, A language of Indonesia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2-07-10
[79] 웹사이트 Who is Malay? https://web.archive.[...] 2005-07
[80] 웹사이트 Indonesian Becomes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UNESCO General Conference https://www.kompas.i[...] 2023-11-29
[81] 논문 Recognition of Bahasa Indonesia as an official language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UNESCO https://unesdoc.unes[...] UNESCO 2023-11-20
[82] 웹사이트 Inilah 14 Ranah Wajib Bahasa Indonesia https://bbaceh.kemdi[...] 2023-01-18
[83] 웹사이트 Indonesian language in contracts - a strict requirement https://www.hfw.com/[...] 2023-01-18
[84] 웹사이트 Update on Indonesian Language Requirements for Contracts with Indonesian Parties https://www.herberts[...] 2023-01-18
[85] 서적 Tata Bahasa Baku Bahasa Indonesia Badan Pengembangan dan Pembinaan Bahasa
[86] 논문 Antara EYD dan PUEBI: Suatu Analisis Komparatif http://journal.lppmu[...] 2016-12-05
[87] 서적 The Indonesian Sound System Penerbit Fajar Bakti Sdn. Bhd
[88] 서적 Javanese influence on Indonesian https://openresearch[...] Pacific Linguistics
[89] Language Center Decree Keputusan Kepala Badan Pengembangan dan Pembinaan Bahasa Kementerian Pendidikan, Kebudayaan, Riset, dan Teknologi Republik Indonesia Nomor 0424/I/BS.00.01/2022 Tentang Ejaan Bahasa Indonesia Yang Disempurnakan https://badanbahasa.[...] 2022
[90] 논문 On the Proto-Austronesian 'diphthongs'
[91] 논문 Indonesian
[92] 논문 Standard Malay (Brunei)
[93] 서적 Ensiklopedia Bahasa Melayu Dewan Bahasa dan Pustaka
[94] 서적 The Indonesian Sound System Penerbit Fajar Bakti Sdn. Bhd
[95] 논문 To Tap or Not To Tap: A Preliminary Acoustic Description of American English Alveolar Tap Productions by Indonesian Bilingual Adults https://etd.ohiolink[...]
[96] 논문 Indonesian 2008
[97] 논문 How words can be misleading: A study of syllable timing and 'stress' in Malay https://www.linguist[...] 2019-10-13
[98] 웹사이트 A Typology of Stress, And Where Malay/Indonesian Fits In https://web.archive.[...] 2012-03-25
[99] 서적 Linguistic Controversies Edward Arnold
[100] 논문 Measurements of the rhythm of Malay http://www.ubd.edu.b[...] Proceedings of the 1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Hong Kong
[101] 논문 The Ka- Passive Form in Balinese
[102] 기타
[103] 웹사이트 "You" in Indonesian https://web.archive.[...] 2021-08-04
[104] 서적 Teach Yourself Indonesian
[105] 웹사이트 Hati-Hati dalam Menggunakan Imbuhan -nya pada Suatu Kalimat http://bahasyuk.blog[...] 2023-02-24
[106] 서적 The Indonesian Language: Its History and Role in Modern Society
[107] 웹사이트 Malay language, alphabets and pronunciation http://www.omniglot.[...] 2019-10-13
[108] 웹사이트 Loan-words in Indonesian and Malay http://aseasuk.org.u[...] ASEASUK,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Studies in the United Kingdom 2012-07-21
[109] 웹사이트 Badan Pengembangan dan Pembinaan Bahasa – Kementerian Pendidikan dan Kebudayaan http://badanbahasa.k[...] 2016-03-14
[110] 서적 Shifting Languages: Interaction and Identity in Javanese Indonesia http://catdir.loc.go[...]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11] 웹사이트 Etymology of "selamat" in ''Asalkata.com'' http://asalkata.com/[...] 2019-10-13
[112]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MacMillan
[113] 학술지 A Hidden Language – Dutch in Indonesia http://repositories.[...] 2005-02-08
[114] 웹사이트 Imbuhan -(a)si dan -(i)tas dalam Bahasa Indonesia https://balaibahasaj[...] Balai Bahasa Jawa Tengah 2010-07-28
[115] 웹사이트 A. Penulisan Unsur Serapan Umum https://ejaan.kemdik[...]
[116] 웹사이트 Kata Serapan dan Kata Non-Serapan dalam Orang Asing dan Sang Pemberontak: Sebuah Kajian Semantis http://lib.ui.ac.id/[...] University of Indonesia 2011
[117] 서적 The Indonesian Language: Its History and Role in Modern Society USNW Press
[118] 웹사이트 Indonesian Literature http://www.resourcef[...] 2019-10-13
[119] 웹사이트 Recent Writers in Indonesia http://www.accu.or.j[...]
[120] 학술지 A new introduction to modern Indonesian literature
[121] 뉴스 Must-read Indonesian classic novels http://www.thejakart[...] 2016-08-20
[122] 서적 Lentera Indonesia 1 Department Pendidikan Nasional
[123] 웹사이트 Conference Report: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Indonesian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http://www.ialf.edu/[...]
[124] 뉴스 Bahasa in schools? DepEd eyes 2nd foreign language http://www.philstar.[...] 2013-03-22
[125] 웹사이트 Indonesian Language Classes https://www.embassyo[...]
[126] 웹사이트 OHCHR - http://www.ohchr.org[...] 2016-08-16
[127] 웹사이트 OHCHR - http://www.ohchr.org[...] 2016-08-16
[128] 웹사이트 OHCHR - http://www.ohchr.org[...] 2016-08-16
[129] 일반
[130] 서적 인도네시아 민족 의식의 형성 도쿄대학 출판회
[131] 학술지 類別詞言語と非類別詞言語に関する一考察: 英語とインドネシア語を例に
[132] 서적 신판 인도네시아어 NTT 출판
[133] 일반
[134] 일반
[135] 학술지 LangLAB상에서의 인도네시아어 문법 시작
[136] 일반
[137] 웹사이트 최신 인도네시아어 소사전|정본 추천 사전의 매력을 철저 해부! https://www.samsul.c[...] 2023-06-21
[138] 일반
[139] 웹사이트 2월에 인도네시아어 사전 발간 주타 교수 등 학습에서 비즈니스까지 폭넓게 대응 https://mainichi.jp/[...] 매일신문 2018-03-30
[140] 뉴스 「말은 생물이니까」80세, 8년 걸쳐 인도네시아어 사전을 출판 https://www.asahi.co[...] 아사히신문 2023-05-22
[141] 서적 작가의 망명 후마니타스
[144] 서적 입에서 톡 인도네시아어 회화 첫걸음 문예림
[145] 서적 입에서 톡 인도네시아어 회화 첫걸음 문예림
[146] 서적 알기쉬운 말레이어의 세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48] 서적 알기쉬운 말레이어의 세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49] 서적 알기쉬운 말레이어의 세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50] 서적 알기쉬운 말레이어의 세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52] 웹사이트 에스놀로그 인도네시아어 자료 http://www.ethnologu[...]
[153] 기타 # 연구 내용이므로 특정 타입을 지정하기 어려움. 필요시 더 세분화된 type 추가 가능. J.W. 더 프리스 교수의 연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