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네시아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네시아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말라카 해협에서 사용되던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발전했으며, 1928년 청년의 맹세가 국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인도네시아가 독립한 후 교육, 정치 등에서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2억 명 이상이 사용한다. 인도네시아어는 다양한 방언과 어휘를 가지며,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네덜란드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티모르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동티모르의 언어 - 우압메토어
우압메토어는 파열음, 비음, 마찰음 등의 자음과 전설 모음, 후설 모음 등의 모음 체계를 가지며, 오스트로네시아어 기본 어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어휘를 확인할 수 있고 숫자 체계도 존재한다. - 인도네시아어 - 청년의 맹세
1928년 인도네시아 청년들이 발표한 청년의 맹세는 하나의 조국, 민족, 언어를 옹호하며 인도네시아 독립운동의 전환점이자 국가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여 국경일로 기념된다. - 인도네시아어 - 누산타라 (용어)
- 표준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표준어 - 현대 표준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는 중동, 북아프리카 등에서 사용되는 문어체 표준 아랍어로, 고전 아랍어를 기반으로 나흐다 시대를 거치며 변화했으며, 구어체 아랍어와 구분되는 디글로시아 현상을 보인다.
인도네시아어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인도네시아어 |
로마자 표기 | Bahasa Indonesia |
발음 | /baˈhasa in.doˈne.si.ja/ |
사용 국가 | 인도네시아 |
사용 지역 | 인도네시아 (공식 언어),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싱가포르, 사우디 아라비아, 오스트레일리아, 타이완, 네덜란드, 일본, 대한민국, 기타 해외 인도네시아인 |
모국어 화자 | 7197만 1184명 (2020년 인구 조사) |
제2언어 화자 | 1억 7653만 610명 (2020년 인구 조사) |
총 화자 | 2억 4850만 1974명 (2020년 인구 조사)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하위 어족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하위 어군 | 말레이어군 |
기원 | 고대 말레이어 |
조상 언어 | 클래식 말레이어 (리아우 말레이어) |
이전 형태 | 네덜란드령 동인도 말레이어 (발라이 푸스타카 말레이어) |
문자 | 로마자 (인도네시아어 철자법), 인도네시아어 점자 |
공용 국가 | 인도네시아 |
소수 언어 국가 | 동티모르 (인도네시아어는 업무 및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언어로 사용) |
언어 기관 | 언어 개발 및 진흥 기관 (Badan Pengembangan dan Pembinaan Bahasa) |
ISO 639-1 | id |
ISO 639-2 | ind |
ISO 639-3 | ind |
Linguasphere | 33-AFA-ac |
Glottolog | indo1316 |
Glottolog 참조 | 인도네시아어 |
표준어 | 표준 인도네시아어 |
방언 | 인도네시아어 속어 (특히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어 속어) |
수화 | SIBI (수동 코딩 인도네시아어) |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 | |
표기 | Bahasa Indonesia |
관련 정보 | |
헌법 | 인도네시아 공화국 헌법 제36조 |
참고 문헌 | https://books.google.com/books?id=Es4T018diPIC https://dukcapil.kemendagri.go.id/blog/read/mendagri-tito-karnavian-peran-dukcapil-sangat-penting-bagi-bangsa-indonesia#:~:text=Data%20penduduk%20Indonesia%20yang%20paling,mata,%22%20Mendagri%20rinci%20menjelaskan.(id) https://www.bps.go.id/en/publication/2023/01/27/ffb5939b4393e5b1146a9b91/the-result-of-long-form-population-census-2020.html(id) http://www.thejakartapost.com/news/2013/10/28/indigenous-language-policy-a-national-cultural-strategy.html http://aclweb.org/anthology/I/I08/I08-7014.pdf http://www.hawaii.edu/sealit/Downloads/The%20Indonesian%20Language.doc(미국 하와이 대학교) http://www.easttimorgovernment.com/languages.htm https://books.google.com/books?id=6EQ4DwAAQBAJ http://www.thejakartapost.com/news/2012/04/20/timor-leste-tetum-portuguese-bahasa-indonesia-or-english.html https://books.google.com/books?id=4DR-AgAAQBAJ https://www.jstor.org/stable/27868068 https://books.google.com/books?id=i4g1AQAAIAAJ |
추가 정보 | 위키백과:인도네시아어 언어:인도네시아어 |
다른 언어 표기 | |
일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인도네시아어 |
로마자 표기 | Bahasa Indonesia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사용 지역 | 동남아시아 |
화자 수 | 모국어 화자 2300만 명, 총 화자 수 1억 6500만 명 |
문자 | 라틴 문자 |
언어 기관 | 언어 육성 진흥국 |
ISO 639-1 | id |
ISO 639-2 | ind |
ISO 639-3 | ind |
한국어 정보 | |
언어 이름 | 인도네시아어 |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 |
로마자 표기 | Bahasa Indonesia |
사용 국가 | , |
사용 지역 | , , , |
화자 수 | 모국어: 1700만 ~ 3000만여 명, 전체: 1억 4천만 ~ 2억 2천만여 명 |
순위 | 56위 |
문자 | 로마자 |
계통 1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계통 2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계통 3 | 핵심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계통 4 | 말레이숨바와어군 |
계통 5 | 말레이어군 |
계통 6 | 말레이어 |
표준 | 푸삿 바하사(언어 기관) |
ISO 639-1 | id |
ISO 639-2 | ind |
ISO 639-3 | ind |
2. 역사
인도네시아어는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교역을 위해 사용되던 해협 말레이어였다.[129]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 통용어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열린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에서 청년의 맹세를 통해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 그리고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를 선언하면서 민족 언어로 받아들여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았던 자와족의 언어인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자와 우선주의는 배척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141]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지정되었고 초등학교에서 국어 교육이 시작되었으며 관청에서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것도 이 언어 보급에 큰 영향을 주었다. 원래 인도네시아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적었지만, 네덜란드 식민 시대, 민족주의 운동 시기, 독립 이후를 거치면서 점차 늘어났다.
하지만 인도네시아어가 공용어가 되었다고 해서 지방어들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자와 지역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끼리는 자와어로 이야기한다. 이처럼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 곳곳에서 '공식적인 말'인 인도네시아어와 '자신의 말'인 지방어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지금도 공용어와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미낭카바우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가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어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구는 6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인도네시아어는 "리아우 말레이어"의 표준어이다.[23][24] 19세기와 20세기 초 리아우-링가 술탄국에서 사용된 고전 말레이어를 가리킨다. 고전 말레이어는 말라카 해협 양쪽의 왕실, 조호르 술탄국과 말라카 술탄국 등에서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다.[25][26][27] 원래 수마트라 북동부에서 사용되었던[28] 말레이어는 500년 동안 인도네시아 군도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케두칸 부킷 비석은 스리비자야 제국의 언어인 고대 말레이어의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29] 7세기 이후, 고대 말레이어는 누산타라 (군도)(인도네시아 군도)에서 사용되었으며, 소조메르토 비석 등 해안 지역 비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29]
2. 1. 기원과 초기 발전
인도네시아어는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교역 목적으로 사용되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다.[129]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에서 통용되는 언어로 만들고자 이 언어의 보급에 힘썼다.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의 청년의 맹세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를 선언한 것은 인도네시아어가 인도네시아 민족의 민족 언어로서 수용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자와족의 언어, 즉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그러한 자와 우선주의는 거부되었다. 그 후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141]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으며 초등학교 과정에 국어 교육이 도입되고 관청에서의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인도네시아어 사용도 이 언어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원래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인구는 적었지만, 네덜란드 식민기, 민족주의 운동기, 독립 후의 과정을 거쳐 서서히 많아졌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어라는 공용어에 대한 지방어의 지위가 쇠약해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자와 지방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행해지지만, 학생들 간에는 자와어로 이야기한다.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 전반에서 "공식적인 말"인 인도네시아어와 "자신의 말"인 지방어의 사용 구분을 볼 수 있다. 지금도 공용어와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미낭카바우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가 병존하여 인도네시아어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구는 6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인도네시아어는 "리아우 말레이어"의 표준어이다.[23][24] 일반적인 이름과는 달리, 이는 리아우 제도의 구어 말레이어 방언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 19세기와 20세기 초 리아우-링가 술탄국에서 사용된 형태의 고전 말레이어를 나타낸다. 고전 말레이어는 말라카 해협 양쪽 해안을 따라 위치한 왕실 법정, 조호르 술탄국과 말라카 술탄국을 포함한 곳에서 문학 언어로 등장했다.[25][26][27] 원래 수마트라 북동부에서 사용되었던[28] 말레이어는 500년 동안 인도네시아 군도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이는 그 조상인 고대 말레이어(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 때문일 것이다. 케두칸 부킷 비석은 스리비자야 제국의 언어인 고대 말레이어의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29] 7세기 이후, 고대 말레이어는 누산타라 (군도)(인도네시아 군도)에서 사용되었는데, 이는 스리비자야 비석과 해안 지역의 다른 비석들, 예를 들어 소조메르토 비석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29]
당시 다양한 민족 집단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진 무역 접촉은 상인들 사이의 주요 의사소통 수단이었던 고대 말레이어의 확산을 위한 주요 매개체였다. 궁극적으로 고대 말레이어는 공용어가 되어 제도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31][32]
인도네시아어(표준어)는 본질적으로 말레이 표준어와 동일한 기본 바탕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중 중심 말레이어의 한 변종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발음과 어휘에서 차이가 있는 등 몇 가지 면에서 말레이시아 말레이어와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인도네시아어에 대한 네덜란드어와 자바어의 영향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어는 식민지 시대 제도의 공용어였던 Melayu pasar (시장 말레이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따라서 간접적으로 섬의 다른 구어의 영향도 받았다.
말레이시아 말레이어는 어휘와 구문에서 영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세기의 고전 말레이어에 더 가깝다고 주장한다. 고말레이어(궁정 말레이어) 또는 저말레이어(바자르 말레이어)가 인도네시아어의 진정한 어원인지에 대한 질문은 아직 논쟁 중이다. 고말레이어는 조호르 술탄국의 궁정에서 사용된 공식 언어였으며 네덜란드가 통치하던 리아우-링가 지역에서도 계속 사용되었지만, 저말레이어는 제도의 시장과 항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인도네시아어의 기반을 형성한 것이 더 일반적인 저말레이어라고 주장한다.[33]
2. 2. 네덜란드 식민 시대와 민족주의 운동
기술한 바와 같이, 원래 인도네시아어는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사용되던 교역 목적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다. 말레이어는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에 비해 익히기 쉬웠기 때문에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에서 통용되는 언어로 만들고자 기획하여 이 언어의 보급에 힘썼다. 이런 상황에서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가 인도네시아 민족의 민족 언어로서 수용된 경위에는 네덜란드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한 민족주의 운동기에 1928년 10월 27일부터 10월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의 청년의 맹세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를 선언한 것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자와족의 언어, 즉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이 청년의 맹세로 인해 그러한 자와 우선주의는 거부되었다. 그 후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130]
2. 3.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어는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사용되던 교역 목적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다.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 통용어로 만들고자 보급에 힘썼다.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의 청년의 맹세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가 선언되며, 이는 독립을 요구한 민족주의 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자와족의 언어인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자와 우선주의는 거부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으며 초등학교 과정에 국어 교육이 도입되고 관청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141]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인도네시아어 사용도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본래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인구는 적었지만, 네덜란드 식민기, 민족주의 운동기, 독립 후의 과정을 거쳐 서서히 증가했다.
인도네시아어를 국가어로 채택한 것은 다른 대부분의 후식민지 국가들과 대조적이다. 가장 많은 원어민 화자를 보유한 자와어나 이전 유럽 식민 지배국인 네덜란드어가 채택되지 않았다. 대신, 원어민 화자가 훨씬 적은 지역 언어가 선택되었다.
1945년 인도네시아가 독립을 선언했을 때, 인도네시아어는 인구의 약 5%만이 모국어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국가어로 선포되었다.[9] 민족주의, 정치, 그리고 실용주의적 고려 사항이 결합되어 인도네시아어를 국가어로 성공적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1945년 당시 자와어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두드러진 언어였지만, 다양한 인도네시아 인구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은 부족했다. 1945년 당시 인도네시아어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었으며,[41] 상업과 여행의 주요 언어였다. 또한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이슬람의 전파에 사용된 언어였으며, 기독교로 개종시키려고 했던 포르투갈과 네덜란드 선교사들이 사용한 교육 언어이기도 했다.[42]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이후 53년 동안, 인도네시아의 초대 대통령인 수카르노와 수하르토는 인도네시아어에 담긴 국가 통합의식을 끊임없이 키워왔으며, 이 언어는 인도네시아 정체성의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 있다. 인도네시아어를 정치, 교육, 그리고 일반적인 국가 건설의 언어로 만든 언어 계획 프로그램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법률상'' 및 ''사실상'' 공식 언어가 된 소수의 성공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43]
3. 현황
인도네시아어는 모국어이자 국가 언어로 사용되며, 2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다양한 수준으로 인도네시아어를 정기적으로 사용한다. 700개가 넘는 토착 언어와 광범위한 민족 집단이 있는 인도네시아에서 인도네시아어는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5세 이상 인구 중 19.94%만이 주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다고 답했지만, 언론, 정부 기관, 학교, 대학교, 직장, 상류층이나 귀족 구성원들 사이, 그리고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인도네시아어가 활발하게 사용된다.[44]
표준 인도네시아어는 서적, 신문, 텔레비전/라디오 뉴스 방송에서 사용되지만, 대부분 공식적인 환경에 국한되어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구어체 인도네시아어는 자와어, 순다어, 발리어 등 지역 언어의 여러 요소를 결합하여 다양한 방언이 나타난다.[45] 특히 도시에서는 인도네시아 속어 사용으로 이러한 현상이 더 커졌으며, 구어체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어는 비공식 언어의 사실상 표준으로 군도 전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21] 인도네시아에서는 도시화보다는 민족적 다양성 때문에 다른 언어에서 인도네시아어로의 제1언어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46]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구어체 인도네시아어는 자카르타의 말레이 기반 크리올어인 베타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인도네시아 대중 문화에서의 인기와 자카르타의 수도로서의 지위가 더해졌다. 인도네시아어가 국어로 제정된 건국 당시 인도네시아어를 모어로 하는 인구는 5%로 매우 적었으며, 많은 국민에게 인도네시아어는 제2언어였다. 이는 현재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자와섬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은 자와어로 이야기하는 등, “공용어”인 인도네시아어와 “나의 언어”인 지역어를 구분하는 것은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인의 삶의 모든 면에서 볼 수 있다.[132] 자와인은 일상에서 자와어를, 순다인은 순다어를 사용하는 등, 공용어와 수백 개의 지역어가 공존하고 있다. 하지만 자카르타 등 대도시에서는 인도네시아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이 점차 늘고 있다.
3. 1. 사용 인구 및 지역
인도네시아어는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교역 목적으로 사용되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다. 말레이어는 배우기 쉬웠기 때문에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 통용어로 만들고자 했다.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의 청년의 맹세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가 선언되면서, 인도네시아어가 인도네시아 민족의 민족 언어로 수용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거부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고, 초등학교 과정에 국어 교육이 도입되었으며 관청에서의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141]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인도네시아어 사용도 이 언어의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원래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인구는 적었지만, 네덜란드 식민기, 민족주의 운동기, 독립 후의 과정을 거쳐 서서히 많아졌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어라는 공용어에 대한 지방어의 지위도 쇠약해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자와 지방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 간에는 자와어로 이야기한다.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에서는 공용어와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미낭카바우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가 병존하여 인도네시아어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구는 6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동티모르는 민족 언어로 테툼어가 있지만, 인도네시아 통치 시기의 인도네시아어 교육으로 인해 지금까지도 인도네시아어가 통용된다. 다만 동티모르의 공용어는 테툼어와 포르투갈어이다.



인도네시아어는 모국어이자 국가 언어로 사용된다. 2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다양한 수준으로 국가 언어를 정기적으로 사용한다. 700개가 넘는 토착 언어와 광범위한 민족 집단의 고향인 이 나라에서 인도네시아어는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5세 이상 인구 중 19.94%만이 주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다고 밝혔지만, 언론, 정부 기관, 학교, 대학교, 직장, 상류층이나 귀족 구성원들 사이 그리고 공식적인 상황에서 국가 언어의 사용은 활발하다.[44]
표준 인도네시아어는 서적, 신문, 텔레비전/라디오 뉴스 방송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표준 방언은 대부분 공식적인 환경에 국한되어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구어체 인도네시아어는 자기 지역 언어(예: 자바어, 순다어, 발리어)의 여러 측면을 인도네시아어와 결합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언이 생겨났다.[45] 이러한 현상은 특히 도시에서 인도네시아 속어의 사용으로 더욱 증폭된다. 구어체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어는 비공식 언어의 사실상 표준으로 기능하며 군도 전역에 걸쳐 영향력 있는 근원이다.[21] 인도네시아에서는 도시화보다는 민족적 다양성 때문에 다른 언어에서 인도네시아어로의 제1언어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46]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구어체 인도네시아어는 자카르타의 말레이 기반 크리올어인 베타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인도네시아 대중 문화에서의 인기와 자카르타의 수도로서의 지위가 더해졌다. 인도네시아어가 국어로 제정된 건국 당시 인도네시아어를 모어(母語)로 하는 인구는 5%로 매우 적었다. 많은 국민에게 인도네시아어는 제2언어였으며, 이는 현재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자바의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은 자바어로 이야기하는 등, “공용어”인 인도네시아어와 “나의 언어”인 지역어의 구분은 학교 교육에 국한되지 않고 인도네시아인의 삶의 모든 면에서 볼 수 있다.[132] 자바인의 일상에서는 자바어가, 순다인의 일상에서는 순다어가 각각 사용되는 등, 공용어와 수백 개의 지역어가 공존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자카르타 등 대도시에서는 인도네시아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이 확실히 늘고 있다.
3. 2. 공용어 및 국어로서의 지위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에서 채택된 청년의 맹세는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 그리고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를 선언함으로써, 인도네시아어가 인도네시아 민족의 민족 언어로서 수용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41]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자와족의 언어, 즉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그러한 자와 우선주의는 거부되었다. 그 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으며, 초등학교 과정에 국어 교육이 도입되고 관청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141] 또한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인도네시아어 사용도 이 언어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래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인구는 적었지만, 네덜란드 식민 통치 시기, 민족주의 운동 시기, 그리고 독립 이후 점차 그 수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어라는 공용어에 대한 지방어의 지위가 약화된 것은 결코 아니었다. 예를 들어, 자와 지방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 간에는 자와어로 이야기한다. 이처럼 '공식적인 말'인 인도네시아어와 '자신의 말'인 지방어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은 학교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 전반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현재도 공용어와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가 공존하고 있으며, 가정에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의 약 6분의 1에 불과하다.
3. 3. 지역어와의 관계
인도네시아어는 원래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교역 목적으로 사용되던 언어(해협 말레이어)였다. 네덜란드 식민 지배층은 20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어를 현지 통용어로 만들기 위해 보급에 힘썼다. 1928년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에서 청년의 맹세를 통해 하나의 민족, 하나의 조국과 더불어 하나의 언어인 인도네시아어가 선언되면서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게 되었다.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자와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청년의 맹세로 인해 거부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고 초등학교 과정에 도입되었으며 관청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141]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사용도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어라는 공용어에 대한 지방어의 지위도 쇠약해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자와섬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진행되지만, 학생들 간에는 자와어로 이야기한다. 이처럼 "공식적인 말"인 인도네시아어와 "자신의 말"인 지방어의 사용 구분은 학교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 전반에서 나타난다. 지금도 공용어와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미낭카바우어 등 수백 개의 지방어가 병존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어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구는 6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동티모르에서는 민족 언어로 테툼어가 있지만, 인도네시아 통치 시기의 인도네시아어 교육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인도네시아어가 통용된다. 다만 동티모르의 공용어는 테툼어와 포르투갈어이다.
인도네시아어(표준어)는 말레이 표준어와 기본 바탕은 같지만, 발음과 어휘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주로 인도네시아어에 대한 네덜란드어와 자바어의 영향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어를 국가어로 채택한 것은 다른 대부분의 후식민지 국가들과 대조적이다. 가장 많은 원어민 화자를 보유한 자바어나 이전 유럽 식민 지배국인 네덜란드어가 아닌, 원어민 화자가 훨씬 적은 지역 언어가 선택되었다.
1945년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당시, 인도네시아어는 인구의 약 5%만이 모국어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국가어로 선포되었다.[9] 민족주의, 정치, 실용주의적 고려 사항이 결합되어 인도네시아어를 국가어로 성공적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인도네시아어는 상업과 여행의 주요 언어였으며, 이슬람 전파와 기독교 선교에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대부분의 인구가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언어였기 때문에 국가어로 쉽게 채택될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이후, 수카르노와 수하르토는 인도네시아어에 담긴 국가 통합 의식을 키워왔으며, 이 언어는 인도네시아 정체성의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 있다. 인도네시아어는 정치, 교육, 국가 건설의 언어로 사용되면서 ''법률상'' 및 ''사실상'' 공식 언어가 된 성공적인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43]
4. 문자와 음성
인도네시아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발음 구별 기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인도네시아어의 알파벳 발음 규칙이 대부분 1자-1음 체제이기 때문이다.
기본 자음은 총 23개인데, 말레이어 고유의 음은 이 중 19개이다. 'p', 't', 'k'는 무기음(한글에서 'ㅃ', 'ㄸ', 'ㄲ'에 가깝다)이다.[145] 'f', 'q', 'x', 'v', 'z'는 거의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특히 'q'와 'z'는 주로 아랍어 차용어, 'v'는 네덜란드어 차용어에 쓰인다.
두 글자로 표현되는 자음은 'kh', 'ng', 'ny', 'sy' 네 개이다. 'ng'은 영어와 달리 독립적인 자음으로, 음절 처음에도 올 수 있다. 'sy'는 주로 아랍어 차용어에 쓰인다.
위치에 따라 소리값이 변하는 자음도 있다. 'b'는 차용어의 어말에서 /p/로 바뀐다.[146] 'k'는 'bapak(아버지)'처럼 음절 끝에서 성문 파열음으로 실현되기도 한다. /b/, /tʃ/, /d/, /g/, /ʃ/, /ɲ/는 음절 처음에만 나타난다.[148]
마찰 순치음 /f/는 주로 외래어에 쓰이는데, 인도네시아인들은 대부분 /p/로 발음한다.[149] 강세는 대개 단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오지만, 억양은 다양하며 강조하고 싶은 단어에 강세를 준다.
음절은 다음 아홉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C: 자음, V: 모음)
# V
# VC
# CV
# CVC
# CCV
# CCVC
# CVCC
# CCCV
# CCCVC
이 중 1, 2, 3, 4번 형식이 가장 많이 쓰이며, 인도네시아어 음절 형식의 기본이다.[150]
인도네시아어 문자 및 발음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문자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KH | L | M | N | NG | NY | O | P | Q | R | S | SY | T | U | V | W | X | Y | Z |
---|---|---|---|---|---|---|---|---|---|---|---|---|---|---|---|---|---|---|---|---|---|---|---|---|---|---|---|---|---|---|
대응기본음운 | /a/ | /b/ | /tʃ/ | /d/ | /ə/, /e/ | /v/, /f/ | /ɡ/ | /h/ | /i/ | /dʒ/ | /k/ | /x/ | /l/ | /m/ | /n/ | /ŋ/ | /ɲ/ | /o/ | /p/ | /k/ | /r/ | /s/ | /ʃ/ | /t/ | /u/ | /f/, /v/ | /w/ | /j/ | /z/ | |
문자 이름 | /a/ | /be/ | /tʃe/ | /de/ | /e/ | /ef/ | /ɡe/ | /ha/ | /i/ | /dʒe/ | /ka/ | /x/ | /el/ | /em/ | /en/ | /ŋ/ | /ɲ/ | /o/ | /pe/ | /ki/ | /er/ | /es/ | /ʃ/ | /te/ | /u/ | /fe/ | /we/ | /eks/ | /je/ | /zet/ |
한글 표기 | 아 | 베 | 체 | 데 | 에 | 엡 | 게 | 하 | 이 | 제 | 카 | 엘 | 엠 | 엔 | 오 | 페 | 키 | 에르 | 에스 | 테 | 우 | 페 | 웨 | 엑스 | 예 | 젯 |
4. 1. 문자
인도네시아어는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전통 시대에는 아랍 문자를 변형한 자위 문자를 사용했지만,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현재는 로마자를 사용한다. 발음 구별 기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인도네시아어의 알파벳 발음 규칙이 거의 1자-1음 체제이기 때문이다.[134]네덜란드어 철자법을 기반으로 했으며, 여전히 네덜란드어 철자법과 유사한 점이 있다. 자음은 이탈리아어와 유사하게 표기되지만, 'c'는 항상 (영어 'ch'와 같음), 'g'는 항상 ("경음"), 'j'는 영어와 같이 를 나타낸다. 또한, 'ny'는 경구개 비음 를, 'ng'는 연구개 비음 (어두에 올 수 있음)을, 'sy'는 (영어 'sh')를, 'kh'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 를 나타낸다. 와 는 모두 'e'로 표기된다.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언어에서 발생한 철자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음소 | 구식 철자 | 현대 철자 |
---|---|---|
oe | u | |
tj | c | |
dj | j | |
j | y | |
nj | ny | |
sj | sy | |
ch | kh |
1901년에 도입된 ''van Ophuijsen'' 체계는 로마자 표기의 최초 표준화였다. 당시의 네덜란드어 철자 체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고, 조호르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방언을 기반으로 했다.[106] 1947년, 철자는 ''공화국 철자법'' 또는 ''Soewandi 철자법''으로 변경되었다. 이 철자는 이전에 ''oe''로 표기되었던 것을 ''u''로 변경했다. 다른 모든 변경 사항은 1972년에 공식적으로 의무화된 철자 개혁인 완성된 철자법의 일부였다. 네덜란드어 표기법에서 유래한 일부 구식 철자는 고유 명사에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 전 대통령의 이름은 여전히 때때로 ''Soeharto''로 쓰여지며, 중부 자바의 도시 Yogyakarta는 때때로 ''Jogjakarta''로 쓰여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철자 체계가 더욱 업데이트되었으며, 인도네시아 철자 체계의 최신 업데이트는 2022년 8월 16일 언어 개발 및 육성 기관장령 제0424/I/BS.00.01/2022호에 따라 발표되었다.[89]
인도네시아 알파벳은 ISO 기본 라틴 알파벳과 정확히 같다.
인도네시아어는 네덜란드어 알파벳의 철자 이름을 따르며, 음소적 철자법을 가지고 있어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단어가 발음되는 방식대로 철자를 쓴다. Q, V, X는 주로 외래어를 쓸 때 사용되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문자 | 이름 (IPA) | 소리 (IPA) | 영어에 해당하는 발음 |
---|---|---|---|
Aa | a (/a/) | a in father | |
Bb | be (/be/) | b in bed | |
Cc | ce (/t͡ʃe/) | ch in check | |
Dd | de (/de/) | d in day | |
Ee | e (/e/) | e in red | |
Ff | ef (/ef/) | f in effort | |
Gg | ge (/ge/) | g in gain | |
Hh | ha (/ha/) | h in harm | |
Ii | i (/i/) | ee in see | |
Jj | je (/d͡ʒe/) | j in jam | |
Kk | ka (/ka/) | k in karma | |
Ll | el (/el/) | l in else | |
Mm | em (/em/) | m in empty | |
Nn | en (/en/) | n in energy | |
Oo | o (/o/) | o in owe | |
Pp | pe (/pe/) | p in pet | |
qi or qiu (/ki/ or /kiu̯/) | q in queue | ||
Rr | er (/er/) | 스페인어 rr in perro | |
Ss | es (/es/) | s in establish | |
Tt | te (/te/) | t in text | |
Uu | u (/u/) | oo in pool | |
Vv | ve (/fe/) | v in vest | |
Ww | we (/we/) | w in wet | |
Xx | ex (/eks/) | x in ex | |
Yy | ye (/je/) | y in yes | |
Zz | zet (/zet/) | z in zebra |
또한, 알파벳의 별개 문자로 간주되지 않는 이중자음이 있다.[107]
이중자음 | 소리 | 영어에 해당하는 발음 |
---|---|---|
ai | uy in buy | |
au | ou in ouch | |
oi | oy in boy | |
ei | ey in survey | |
gh | 또는 | 네덜란드어와 독일어 ch와 유사하지만 유성음 |
kh | ch in loch | |
ng | ng in sing | |
ny | 스페인어 ñ; 비음으로 발음되는 canyon의 ny와 유사 | |
sy | sh in shoe |
1972년에 현행 표기법이 제정되었고, 이때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언어위원회에 의해 양국에서 표기법이 통일되었다. 1977년 이후로는 국내 인쇄물 등은 모두 이 표기법을 따르고 있다. 단, 인명의 경우 일부 표기가 혼재되는 경우가 있다 (Sukarnoid와 Soekarnoid 등).
일본어 헤본식 로마자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 '''c''' - 외래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차치추체쵸와 같은 소리 이다. 예: cabe (차베) "고추", cinta (친타) "사랑".
- '''e''' - '에' 발음인 경우와 애매모호한 모음인 경우가 있으며, 단어에 따라 결정된다. 사전이나 초보자를 위한 책처럼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에' 발음일 때 '''é'''로 표기한다.
- '''f''', '''v''' - 모두 발음이 된다. 예: fiskal (피스칼) "출국세", visa (피사) "비자".
- '''sy''' - 영어의 sh, 일본어의 샤・시・슈・셰・쇼와 같은 소리 이다.
- '''w''' - 영어의 w와 같은 발음이 된다. 예: warna (왈르나) "색깔", wisata (위사타) "관광".
- '''ng''' - 코에 걸리는 가행음 이다. 예를 들어 "바람"을 의미하는 angin 이라는 단어는, "아긴"의 "긴"을 코에 걸고 발음한다. 가 들어가 "안긴" 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h''' - 하히헤호와 같은 소리지만 모음 뒤에서는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 bolehkah (보레카) = 괜찮습니까?
- '''ny''' - 일본어의 냐・니・뉴・녜・뇨와 같은 소리 이다.
- '''kh''' - 독일어의 ch와 같은, 구강의 안쪽을 문지르며 내는 소리 이다. 현대에는 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 어말의 파열음은 분명하게 열리지 않고, 혀 또는 입술의 모양으로 끝난다. 즉, 폐쇄만으로 파열을 수반하지 않는 내파음이다.
알파벳 발음은 다음과 같다.
아 | 베 | 체 | 데 | 에 | 에프 | 게 | 하 | 이 | 제 | 카 | 엘 | 엠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
엔 | 오 | 페 | 큐 | 알 | 에스 | 테 | 우 | 베 | 더블유 | 엑스 | 와이 | 젯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
'''C'''는,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약어의 경우, "세"라고 발음한다. 예: AC=아세=에어컨, WC=웨세=화장실
알파벳의 순서는 위와 같지만, 사전에 따라, 어두에 한정하여 Kh, Ng, Ny, Sy를 다른 문자로
: A B C D E F G H I J K ''Kh'' L M N ''Ng'' ''Ny'' O P Q R S ''Sy'' T U V W X Y Z
와 같이 배열하는 경우가 있다. 즉,
: '''n'''usuk→'''ng'''anga
: di'''ng'''in→di'''n'''ihari
4. 2. 모음
인도네시아어의 알파벳 발음 규칙에서 이중자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모음 예외는 'e'이다. 'e'는 단어에 따라 '/ə/'와 '/e/' 두 가지로 발음된다. 나머지 기본 모음은 'a', 'i', 'o', 'u' 4개이므로 인도네시아어의 기본 모음은 총 6개이다.이중모음은 'ai', 'au', 'oi' 3개가 있다. 이중모음은 원칙적으로 그대로 읽지만, 때때로 'ai'와 'au'를 '/ɛi/'(한글로 쓰면 '애이'에 가깝다)와 '/ɔ/'(단순한 '/o/'보다 입을 더 크게 벌리고 발음한다)로 소리 내는 경우가 있어, 인도네시아어의 기본 모음은 6개에서 8개라고 할 수 있다.[144]
4. 3. 자음
인도네시아어의 자음 음소는 아래 표와 같다.[91][92]colspan=2| | 순음 | 치음/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
파열음/파찰음 | 무성음 | () | ||||
유성음 | ||||||
마찰음 | 무성음 | () | () | () | ||
유성음 | () | () | ||||
접근음 | ||||||
전동음 |
위 표에서 괄호 안에 표시된 음소는 주로 아랍어와 영어 차용어에서 나타나는 비원어적 자음이다. 일부 분석에서는 괄호로 표시되지 않은 18개의 기호와 성문 파열음 을 포함하여 인도네시아어의 "주요 자음"을 19개로 나열하기도 한다. 2차 자음 /f/, /v/, /z/, /ʃ/, /x/는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소수의 화자만이 차용어에서 /v/를 [v]로 발음하고 대부분은 [f]로 발음한다. /x/는 일부 화자에 의해 대부분 [h] 또는 [k]로 대체된다. /ʃ/는 때때로 /s/로 대체되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에서 /ʃ/의 대용으로 사용되었다. /f/는 드물게 대체되지만, 네덜란드어 koffie에서 온 "커피"를 뜻하는 kopi와 같이 오래된 차용어에서는 /p/가 /f/를 대체했다. /z/는 가끔 /s/ 또는 /d͡ʒ/로 대체될 수 있으며, [z]는 유성 자음 앞에서 /s/의 변이음이 될 수도 있다.[93][94]
일부 분석에 따르면, 후치경 파찰음 와 는 인도네시아어에서 경구개음 와 이다.[95]
인도네시아어의 자음은 인도네시아 역사상 중요한 다른 언어들의 영향을 받았다. 발리어, 마두라어, 순다어, 특히 자바어와 같은 인도네시아 지역 언어와 아랍어, 네덜란드어와 같은 외국어의 영향으로 여러 변화가 있었다.[88]
철자법상 주의 사항:
- 는 로 표기한다.
- 는 로 표기한다.
- 성문 폐쇄음 는 음절 끝에서 /k/ 또는 /ɡ/의 변이음이므로 를 사용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 는 로 표기한다.
- 는 로 표기한다.
- 는 로 표기한다.
- 는 로 표기한다.
- 는 로 표기한다.
인도네시아 알파벳은 ISO 기본 라틴 알파벳과 정확히 같다.
인도네시아어는 네덜란드어 알파벳의 철자 이름을 따르며,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단어가 발음되는 방식대로 철자를 쓰는 음소적 철자법을 가지고 있다. Q, V, X는 주로 외래어를 쓸 때 사용된다.
문자 | 이름 (IPA) | 소리 (IPA) | 영어에 해당하는 발음 |
---|---|---|---|
Aa | a (/a/) | a in father | |
Bb | be (/be/) | b in bed | |
Cc | ce (/t͡ʃe/) | ch in check | |
Dd | de (/de/) | d in day | |
Ee | e (/e/) | e in red | |
Ff | ef (/ef/) | f in effort | |
Gg | ge (/ge/) | g in gain | |
Hh | ha (/ha/) | h in harm | |
Ii | i (/i/) | ee in see | |
Jj | je (/d͡ʒe/) | j in jam | |
Kk | ka (/ka/) | k in karma | |
Ll | el (/el/) | l in else | |
Mm | em (/em/) | m in empty | |
Nn | en (/en/) | n in energy | |
Oo | o (/o/) | o in owe | |
Pp | pe (/pe/) | p in pet | |
qi or qiu (/ki/ or /kiu̯/) | q in queue | ||
Rr | er (/er/) | 스페인어 rr in perro | |
Ss | es (/es/) | s in establish | |
Tt | te (/te/) | t in text | |
Uu | u (/u/) | oo in pool | |
Vv | ve (/fe/) | v in vest | |
Ww | we (/we/) | w in wet | |
Xx | ex (/eks/) | x in ex | |
Yy | ye (/je/) | y in yes | |
Zz | zet (/zet/) | z in zebra |
4. 4. 철자법의 변천
인도네시아어는 전통적으로 아랍 문자를 변형한 자위 문자를 사용했지만,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현재는 로마자를 사용한다. 발음 구별 기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인도네시아어 알파벳 발음 규칙이 대부분 1자-1음 체제이기 때문이다.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한 최초의 라틴 문자 철자법은 네덜란드 식민 정부가 지정한 것을 개정한 '''수완디'''(Soewandi)였다. 이 철자법은 네덜란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말레이시아는 영국식 철자법인 '''자아바'''(Za'aba)를 사용했기 때문에 양국 간 불편함이 있었다. 1972년, 독립 후 양국 간 조율을 거쳐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한 수정 철자법(EYD; Ejaan Yang Disempurnakan)이 합의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구 철자법(네덜란드식 표기법)과 신 철자법(현대 인도네시아어 철자법) 간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구 철자법 | 신 철자법 | 발음 |
---|---|---|
oe | u | < u > |
tj | c | < tʃ > |
dj | j | < dʒ > |
j | y | < j > |
nj | ny | < ɲ > |
sj | sy | < ʃ > |
ch | kh | < x > |
oe는 1947년에 u로 변경되었다. 현재도 구 철자법이 종종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전 대통령 Sukarno를 Soekarno로 표기하거나, 지명 Yogyakarta를 Jogjakarta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인도네시아어 철자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음소 | 구식 철자 | 현대 철자 |
---|---|---|
oe | u | |
tj | c | |
dj | j | |
j | y | |
nj | ny | |
sj | sy | |
ch | kh |
1901년에 도입된 ''van Ophuijsen'' 체계는 로마자 표기의 최초 표준화였다. 당시의 네덜란드어 철자 체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고, 조호르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방언을 기반으로 했다.[106] 1947년, 철자는 ''공화국 철자법'' 또는 ''Soewandi 철자법''으로 변경되었다. 이 철자는 이전에 ''oe''로 표기되었던 것을 ''u''로 변경했다. 다른 모든 변경 사항은 1972년에 공식적으로 의무화된 철자 개혁인 완성된 철자법의 일부였다. 네덜란드어 표기법에서 유래한 일부 구식 철자는 고유 명사에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 전 대통령의 이름은 여전히 때때로 ''Soeharto''로 쓰여지며, 중부 자바의 도시 Yogyakarta는 때때로 ''Jogjakarta''로 쓰여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철자 체계가 더욱 업데이트되었으며, 인도네시아 철자 체계의 최신 업데이트는 2022년 8월 16일 언어 개발 및 육성 기관장령 제0424/I/BS.00.01/2022호에 따라 발표되었다.[89]
1972년에 현행 표기법이 제정되었고, 이때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언어위원회에 의해 양국에서 표기법이 통일되었다. 1977년 이후로는 국내 인쇄물 등은 모두 이 표기법을 따르고 있다. 단, 인명의 경우 일부 표기가 혼재되는 경우가 있다 (Sukarnoid와 Soekarnoid 등).
문자는 라틴 문자(로마자)를 사용하며, 다이악리틱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134]
5. 문법
인도네시아어는 인도유럽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법적 수(數)·성(性)의 구별이 없으므로, 의미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어형 변화는 없다. 인도네시아어의 자음은 인도네시아 역사상 중요한 다른 언어들의 영향을 받았는데, 발리어, 마두라어, 순다어, 특히 자바어와 같은 인도네시아의 지역 언어와 아랍어, 네덜란드어와 같은 외국어의 영향이 있었다.[88]
colspan=2| | 순음 | 치음/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ɲ | ŋ | ||
파열음/파찰음 | 무성음 | p | t̪ | t͡ʃ | k | (ʔ) |
유성음 | b | d | d͡ʒ | ɡ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ʃ) | (x) | h |
유성음 | (v) | (z) | ||||
유음 | w | l | j | |||
떨림음 | r |
위 표는 인도네시아어의 자음들을 보여준다.[91][92] 주로 아랍어와 영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비원어적 자음은 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다. 어떤 분석에서는 표에서 괄호로 표시되지 않은 18개의 기호와 성문 폐쇄음 [ʔ]을 포함하여 인도네시아어의 "주요 자음"을 19개로 나열한다. 2차 자음 /f/, /v/, /z/, /ʃ/, /x/는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소수의 화자만이 차용어에서 /v/를 [v]로 발음하고 대부분은 [f]로 발음한다. 마찬가지로 /x/는 일부 화자에 의해 대부분 [h] 또는 [k]로 대체된다. /ʃ/는 때때로 /s/로 대체되는데, 이것은 전통적으로 산스크리트어에서 차용된 오래된 차용어에서 /ʃ/의 대용어로 사용되었다. /f/는 드물게 대체되지만, 네덜란드어 koffie에서 온 "커피"라는 뜻의 kopi와 같이 오래된 차용어에서는 /p/가 /f/를 대체했다. /z/는 가끔 /s/ 또는 /d͡ʒ/로 대체될 수 있다. [z]는 유성 자음 앞에서 /s/의 이음이 될 수도 있다.[93][94]
철자법상 주의 사항: 음소는 기호로 표기되지만,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다.
- ɲ는 ny로 표기된다.
- ŋ는 ng로 표기된다.
- 성문 폐쇄음 [ʔ]는 최종 k로 표기되거나 (음절 말에서 /k/ 또는 /ɡ/의 이음이기 때문에 k를 사용) 생략될 수 있다.
- t͡ʃ는 c로 표기된다.
- d͡ʒ는 j로 표기된다.
- ʃ는 sy로 표기된다.
- x는 kh로 표기된다.
- j는 y로 표기된다.
인도네시아어는 지역 변이와 단어 내에 있는 중립모음(ə)의 유무에 따라 마지막 음절이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놓이는 가벼운 강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이 중립모음(ə)이 아니라면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놓인다.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이 중립모음(ə)이라면 강세는 보통 마지막 음절로 이동한다.[96] 하지만 인도네시아어의 강세가 음운론적(예측 불가능한)인지에 대해서는 언어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며, 일부 분석에서는 인도네시아어에 기저 강세가 없다고 제시하고 있다.[92][97][98]
인도네시아어의 어순은 일반적으로 주어-동사-목적어(SVO)이며, 대부분의 현대 유럽 언어와 영어와 유사하다. 그러나 일본어나 한국어와 같이 항상 문장 끝에 동사가 오는 언어와는 달리, 어순에 상당한 유연성이 존재한다. 인도네시아어는 비교적 유연한 어순을 허용하지만, 문법적 격을 표시하지 않으며, 문법적 성도 사용하지 않는다.
인도네시아어 단어는 어근 또는 어근과 파생 접사로 구성된다. 어근은 단어의 주요 어휘 단위이며 일반적으로 이음절(CV(C)CV(C) 형태)이다. 접사는 명사 또는 동사인 어근에 "붙여져" 주어진 어근과 관련된 기본 의미를 변경하거나 확장하여 새로운 단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masakid (요리하다)는 memasakid (요리하는), memasakkanid (…을 위해 요리하다), dimasakid (요리되다), pemasakid (요리사), masakanid (음식, 요리), termasakid (우연히 요리되다)가 될 수 있다. 접사에는 접두사(awalanid), 접미사(akhiranid), 접중접사(apitanid) 및 삽입접사(sisipanid)의 네 가지 유형이 있다. 접사는 명사, 동사 및 형용사 접사로 분류된다. 많은 초기 자음은 접두사가 있을 때 변화한다. sapuid (쓸다)는 menyapuid (쓸고 있다)가 되고, panggilid (부르다)는 memanggilid (부르고 있다)가 되며, tapisid (체에 거르다)는 menapisid (체에 거르고 있다)가 된다.
5. 1. 어순
인도네시아어에는 영어와 같은 주어가 없다. 자동사 문장에서는 명사가 동사 앞에 온다. 작용자와 목적어가 모두 있는 경우, 이들은 동사로 구분되며(OVA 또는 AVO), 동사의 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 OVA는 일반적으로 부정확하게 "수동태"라고 불리지만, 기본적이고 가장 흔한 어순이다.[96]작용자 또는 목적어, 또는 둘 다 생략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다음 두 가지 경우에 사용된다.
;1) 진술이나 질문에 정중함과 존경심을 더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점의 점원은 대명사를 생략하고 "Bisa ''dibantu?''"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까? / (제가) 도와드릴까요?)라고 질문할 수 있다.
;2) 작용자 또는 목적어가 알 수 없거나, 중요하지 않거나, 문맥에서 이해되는 경우:
예를 들어, 친구가 부동산 구매 시점을 물을 때, "''Rumah ini '''dibeli''' lima tahun yang lalu''" (이 집은 5년 전에 구매되었다)와 같이 대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태의 선택과 어순은 작용자와 피행위자 사이의 선택이며, 언어 스타일과 문맥에 크게 의존한다. 어순은 종종 강조를 위해 변경되며, 강조되는 단어는 보통 절의 앞에 놓이고 약간의 멈춤(억양의 변화)이 뒤따른다.
- ''Saya pergi ke pasar kemarin'' (어제 시장에 갔습니다) – 중립적이거나 주어에 초점을 맞춘 경우.
- ''Kemarin, saya pergi ke pasar'' (어제, 저는 시장에 갔습니다) – '어제'를 강조.
- ''Ke pasar, saya pergi kemarin'' (시장에, 저는 어제 갔습니다) – '어제 제가 간 곳'을 강조.
- ''Pergi ke pasar, saya, kemarin'' (시장에 가는 것, 저는, 어제) – '시장에 가는 과정'을 강조.
마지막 두 문장은 글보다 말에서 더 자주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어는 오랫동안 교역어(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되어 간편한 표현이 많고, 문법이 비교적 간단한 편이다. 회화에서는 상대방이 알고 있는 내용은 생략해도 된다는 암묵적인 합의가 있어, 다른 언어에 비해 말이 단축되기 쉽다. 미묘한 발음 차이로 구분되는 것도 없어 입문, 초급 수준에서는 배우기 쉬운 언어이다.
- Saya makan nasi.id (나는 밥을 먹습니다): 문장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영어와 같은 S(Saya 나) - V(makan 먹다) - O(nasi 밥)이다. 다만 일본어처럼 "격"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 명사·인칭대명사에는 격에 따른 변화가 없다. 또한 동사는 주어의 인칭이나 수, 시제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
- Saya orang Jepang.id (나는 일본 사람입니다): 영어의 be동사에 해당하는 말이 없다. S(Saya 나) - C(orang Jepang 일본 사람)로 충분하다. 명사 및 명사구로 이루어진 문장을 명사문이라고 한다.
- Saya tamu.id 와 tamu sayaid: 수식·피수식 관계는 수식되는 말 뒤에 수식하는 말을 둔다. Saya tamu.id는 saya(나) + tamu(손님)으로 "나는 손님이다"라는 명사문, tamu sayaid는 피수식어 + 수식어로 "나의 손님"이라는 명사구이다. orang Jepangid는 "일본 사람", orang-hutanid(오랑우탄)은 orang(사람) + hutan(숲)으로 "숲의 사람"을 의미한다.
- 예외적으로, 수를 나타내는 말과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말은 앞에 둔다. dua jamid는 dua(기수의 2) + jam(시간)으로 "2시간", jam duaid는 "2시"를 의미한다.
- Silakan duduk.id (앉으세요): 명령문의 예. Minta kopi.id (커피를 주세요), Mari kita makan.id (먹자, Let's ''do''에 해당) 등도 있다.
5. 2. 접사
인도네시아어는 주로 접두사나 접미사를 통해 의미 변화를 수반하는 어형 변화를 보인다. 어간은 원칙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사 어간 makanid (먹다)은 makananid (음식), pemakanid (먹는 사람)으로 파생되며, minumid (마시다)은 minumanid (음료), peminumid (마시는 사람)으로 파생된다.[135]인도네시아어 형태소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된다.[135]
- 접두사, 삽입사, 접미사가 붙은 어:
- 예: menggetar (접두사 me + 어근 getar) {진동하다}, getaran (어근 getar + 접미사 an) {진동}, gemetar (삽입사 em + 어근 getar) {떨다}
- 단어 반복으로 만들어진 어 (중복어):
1. 어근 반복: 예: gunung-gunung (어근 gunung) {산들}
2. 접사가 붙은 어근 반복: 예: keputih-putihan (접두사 ke, 어근 putih, 접미사 an) {하얀 빛을 띤}
3. 자음이나 모음이 변하는 어근 반복: 예: gerak-gerik (어근 gerak) {행동/움직임}
- 합성어:
- 예: makan pagi (makan={먹다}, pagi={아침}) {아침 식사}
어형 변화는 규칙적이다. 타동사가 목적어를 명확히 나타내는 문장(명령문 제외)에서는 동사 어두에 me-id를 붙이는 것이 대표적인 어형 변화이다. 어간 첫소리에 따라 me-id가 men-id, meng-id으로 변하거나, 사이에 끼어든 자음이 비음화하는 등 규칙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인칭대명사가 접두사나 접미사로 앞뒤에 붙기도 한다. (meng는 접두어가 모음이나 k로 시작할 때, men은 t로 시작할 때, mem은 p로 시작할 때, 그 외에는 me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인 법칙이다.)
특정 접두사가 어간에 붙으면 어간의 어두 자음이 규칙적으로 비음화하는 경우가 있다. 구어에서는 접두사가 붙어 어간의 어두 자음이 비음화된 후 접두사가 생략되어 어두가 변화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5. 3. 명사
인도네시아어는 명사 파생 접사로 peng-/per-/juru- (행위자, 도구 또는 어근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사람), -an (집합체, 유사성, 사물, 장소, 도구), ke-...-an (추상 및 속성, 집합체), per-/peng-...-an (추상, 장소, 목표 또는 결과) 등이 있다.인도네시아어 문법은 복수를 규칙적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단수 명사를 복수로 바꾸려면 단어를 반복하거나(동물일 경우) paraid를 단어 앞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murid-muridid 또는 para muridid로 표현할 수 있다. 비공식적인 대화에서는 복수형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중복(Reduplication)은 명사의 복수형을 표현하는 공식적인 방법으로 자주 언급되지만, 비공식적인 일상 대화에서는 "둘 이상"이라는 개념을 나타내는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중복은 단순히 복수뿐 아니라 다양성과 차이를 나타낼 수도 있다.[1]
중복은 복수를 강조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다른 많은 기능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orang-orangid은 "(모든) 사람들"을 의미하지만, orang-oranganid은 "허수아비"를 의미한다. hatiid는 "심장" 또는 "간"을 의미하지만, hati-hatiid는 "조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orang-oranganid("허수아비/허수아비들"), biri-biriid("양/양들"), kupu-kupuid("나비/나비들")처럼 모든 중복된 단어가 본질적으로 복수인 것은 아니다. sayur-mayurid("(모든 종류의) 채소들")에서 볼 수 있듯이, 어떤 중복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운율적인 경우도 있다.[1]
분포 접두사는 사실상 복수인 집합 명사를 파생시킨다. 예를 들면 pohonid "나무", pepohonanid "식물상, 나무들"; rumahid "집", perumahanid "주택, 집들"; gunungid "산", pegununganid "산맥, 산들"과 같다.[1]
수량사는 명사 앞에 온다. 예를 들면 seribu orangid "천 명", beberapa pegununganid "일련의 산맥들", beberapa kupu-kupuid "몇몇 나비들"과 같다.[1]
인도네시아어에서 복수는 문장에서 사물의 개수를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데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Ani membeli satu kilo manggaid (아니는 망고 1kg을 산다)와 같은 문장에서 "망고들"은 복수이지만 mangga-manggaid로 표현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1kg'''이라는 양은 하나의 망고가 아니라 둘 이상의 망고를 의미하므로 복수가 암시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논리적으로 단수를 복수로 바꿀 필요가 없으며, 유의어의 중복(인도네시아어로는 pemborosan kataid)으로 간주된다.[1]
5. 4. 대명사
(청자 제외)(청자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