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약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약족은 "내륙 사람들"을 의미하는 용어로, 보르네오 섬의 비무슬림 원주민을 통칭하는 말이다. 어원은 브루나이 말레이어와 멜라나우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여러 부족과 언어를 포괄한다. 다약족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며, 인도네시아어와 말레이어를 이중 언어로 구사한다. 전통 신앙은 애니미즘의 일종인 카하린간이며, 기독교로 개종하는 경우도 많다. 과거에는 화전 농업, 수렵, 채집을 주로 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경제 활동에 참여한다. 전통적인 문신, 귓불 늘이기, 롱하우스 등 독특한 사회 및 관습을 가지고 있으며, 금속 공예와 구슬 세공 기술이 발달했다. 과거에는 참수 의식이 있었으나, 1894년 툼방 아노이 협정을 통해 종식되었다. 다약족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사라왁 레인저와 인도네시아 공수 작전에 참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나이의 민족 - 바자우족
    바자우족은 동남아시아 해역에 거주하며 사마-바자우어를 사용하는 해양 유목민족으로, '바다 집시'라고도 불리며 뛰어난 자유 잠수 능력과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 브루나이의 민족 - 브루나이 말레이인
    브루나이 말레이인은 브루나이와 동말레이시아의 보르네오 북서부 해안에 거주하며, 이슬람교를 믿고 브루나이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암부야트와 같은 고유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보르네오섬 -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슬람 술탄국으로 독립하여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기반으로 높은 국민 소득을 유지하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입헌 군주국이다.
  • 보르네오섬 - 사바주
    사바주는 말레이시아 동말레이시아에 위치한 주로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복잡한 역사적 배경과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가진 곳이다.
  • 인도네시아의 민족 - 파푸아인
    파푸아인은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거주하며 오스트랄로이드 인종에 속하고 다양한 고유 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으로, 화전 농업, 수렵, 가축 사육을 하며 부계 씨족 중심의 사회를 이루고 독특한 풍습을 지니고 있으며, 최근 유전학 연구를 통해 데니소바인과의 유전적 혼합이 밝혀졌다.
  • 인도네시아의 민족 - 발리인
    발리인은 자바와 보르네오에서 온 원말레이계 이주민을 기원으로 하며, 자바로부터의 추가 이주와 마자파힛 제국 붕괴 후 이주민들에 의해 형성되어, 발리 힌두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 명명 시스템, 사회 구조, 푸푸탄과 같은 역사, 수박 관개 시스템, 다양한 종교 축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다약족
개요
명칭다약족
다른 이름다야크, 디약
설명보르네오 원주민 민족 집단
로마자 표기Dayak, Dyak
인구
전체약 420만 명 (추정)
인도네시아약 3,289,938명 (추정)
말레이시아약 911,894명 (추정)
거주 지역
주요 거주지보르네오 섬
인도네시아칼리만탄 (서칼리만탄 주, 중앙칼리만탄 주, 남칼리만탄 주, 동칼리만탄 주, 북칼리만탄 주)
말레이시아사라왁 주, 사바 주
기타 거주 국가브루나이
언어
주요 언어대북보르네오어 (말레이어, 란다약어, 카얀-무리크어, 중앙사라왁어, 북사라왁어, 사바어)
바리토어
타만어
기타 사용 언어영어
말레이시아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변종
종교
주요 종교기독교 (개신교, 가톨릭) (62.7%)
소수 종교이슬람교 (수니파) (31.6%)
힌두교/카하링안 (4.8%)
기타 (예: 애니미즘) (0.9%)
문화 및 민족적 관계
관련 민족오스트로네시아인
반자르인
보르네오 말레이인
사마-바자우족
르장인
말라가시인 등
이미지
창과 클레빗 복 방패를 든 다약족 족장
창과 클레빗 복 방패를 들고 있는 다약족 족장
전쟁 복장을 한 다약족, 1864년
전쟁 복장을 한 다약족, 1864년
참고
추가 정보ISO 639 코드: day 보고서
관련 연구개종의 역학: 중앙 칼리만탄 다약족의 이슬람화

2. 어원

다약족이라는 이름은 특정 민족 집단을 지칭하지 않고 "내륙 사람들"을 뜻하는 브루나이 말레이어와 멜라나우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상류"를 뜻하는 케냐어 단어에서 파생되었으며, 룬 ''다예'' 민족명과 비교된다.[6][7] 이 용어는 보르네오의 비무슬림 원주민을 통칭하는 용어로 네덜란드와 독일 작가들이 채택하였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다약족과 비다약족 원주민의 차이는 종교적 구분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영국의 작가들은 네덜란드와 독일의 분류에 반대하여 제임스 브룩은 다약족이라는 용어를 랜드 다약족(비다유)과 씨 다약족(이반)의 두 집단에만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8]

3. 민족 및 언어

다약족은 단일 언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한다.[11] 랜드 다약어, 말레이어군, 사바어군, 바리토어군 등이 그 예이다.[12][13] 오늘날 대부분의 다약족은 모국어 외에도 인도네시아어말레이어에 능통한 이중 언어 구사자이다. 보르네오에는 약 170개의 고유 언어와 방언이 존재하며, 이 중 일부는 사용자가 수백 명에 불과하여 언어와 관련 유산이 소멸될 위험에 처해있다.

1954년 칠릭 리우트는 보르네오 섬 전체의 다약족 집단을 18개 부족, 403개의 하위 부족으로 분류했다.[14]

3. 1. 주요 부족 분류 (칠릭 리우트, 1954)

클러스터부족하위 부족 수주요 인구 지역[15]
I. 응아주중부-남부 보르네오
II. 아푸카얀동부 보르네오
III. 이반/해상 다약족북서부 내륙 및 해안 보르네오
IV. 클레만탄/랜드 다약족북서부 오지 보르네오
V. 푸난중부-동부 보르네오
VI. 무룻북부 보르네오
VII. 오트 다눔중부-남부 보르네오


3. 2.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의 부족 분류

푸난계 수렵채집민: 푸난족, 페난족, 바사프, 오트[14]

오트 카얀・케냐계 부족: 카얀족, 케냐족, 바하우, 부상[14]

이반계 부족: 이반족, 칸투, 말레이계 다약[14]

바리토계 부족: 가주족, 오트 다눔, 루아간[14]

두순계 부족: 두순족, 카다잔족, 룽구스족[14]

4. 종교

인도네시아에서 다약족의 토착 종교는 카하린간이라고 불리며, 애니미즘의 한 형태이다. 1945년 일본령 동인도 점령 기간 동안 일본은 카하린간을 다약족의 종교라고 지칭했다. 1980년 수하르토 정권의 신질서 시대에 카하린간은 인도네시아의 힌두교의 한 형태로 등록되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6가지 형태의 종교만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카하린간이 힌두교와 통합된 것은 신학 체계의 유사성 때문이 아니라, 칼리만탄에서 가장 오래된 신앙이기 때문이다.[18] 카하린간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에서는 종교적 명칭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인도네시아 국경 밖에서는 전통적인 다약족의 신앙 체계가 민간 애니미즘 또는 이교주의 형태로 분류된다.[18]

카하린간의 관습은 집단마다 다르지만, 샤먼은 다약족 종교의 중심이며 천국(상계), 지구, 심지어 저승의 다양한 영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샤먼은 죽은 자의 땅인 상계로 가는 도중에 있는 병자의 영혼을 되찾아 치료하고, 죽은 자의 영혼이 상계에서 적절한 위치로 가는 것을 동반하고 보호하며, 연례 갱신 및 농업 재생 축제를 주재한다.[19] 귀족(''카망'')이 죽을 때 죽음 의식이 가장 정교해진다.[20] 인도네시아에서 카하린간 신앙이 제도화됨에 따라, 칼리만탄의 카하린간 관습은 최근에 더욱 조직적인 종교로 성문화되고 개편되었는데, 1971년 카하린간의 경전으로 ''파나투란''이 성문화되고,[21][22] 1980년 힌두 카하린간 종교 위원회(''마젤리스 아가마 힌두 카하린간'')가 창설되었으며, ''발라이 바사라''라고 불리는 예배당 건물이 표준화되었다.[23][24]

지난 2세기 동안 많은 다약족이 기독교로 개종하여 보르네오 기독교인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특정 문화 의식과 전통 관습을 포기했다. 기독교는 라인 선교회(이후 바젤 선교회)에 의해 보르네오에 유럽 선교사들에 의해 전파되었다.[25] 보르네오의 무슬림과 기독교 원주민 사이의 종교적 차이는 여러 차례 공동체적 긴장으로 이어졌다.[26] 하지만 모든 종교 집단 간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양호하다.

전통적으로 보르네오의 많은 지역에서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는 것은 말레이화 (인도네시아어/말레이어: masuk Melayu|마숙 믈라유ms), 즉 더 넓은 말레이 민족으로의 동화와 동일시된다. 그러나 이슬람교를 주로 따르면서 스스로를 다약족으로 인식하는 몇몇 다약족 하위 민족(주로 중부 칼리만탄)이 있다. 여기에는 19세기에 이슬람으로 개종했지만 응아주족과 강력한 언어적, 문화적 유대감을 유지하고 있는 바쿰파이족이 포함된다. 그들은 "다약"이라는 명칭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스스로를 ''무슬림 다약족''으로 인식한다.[27]

5. 사회와 관습

인도네시아 군도에서 상의 탈의는 다약족, 자바인, 발리인 사이에서 규범이었으며, 이는 인도네시아의 이슬람 전파와 서구 문화와의 접촉 이전의 일이었다. 자바 사회와 발리 사회에서 여성들은 상의를 탈의한 채 편안하게 일하거나 휴식을 취했다. 다약족 사이에서는 가슴이 큰 여성이나 처진 가슴으로 인해 일에 지장을 받는 기혼 여성만이 가슴을 가렸다. 셔츠가 보급되면서 상의 탈의는 사라졌다.[30]

칼리만탄의 다약족 문신 디자인, c. 1880.


많은 다약족 사회에서 문신은 인간, 동식물, 동물의 이미지를 하나의 신체 예술로 통합하는 신성한 창조물로 여겨진다.[31] 문신은 삶의 영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어, 산 자, 영적인 힘, 그리고 우주를 통합한다.[32] 다약족 남성 또는 여성이 신체 예술을 선택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개인의 민족 기원을 표시하고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거나, 헌신의 행위, 기술의 시연, 인생의 특별한 사건 기념, 또는 통과의례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33]

과거 여러 다약족 사이에서, 길게 늘어진 여성의 귓불은 아름다움의 상징이었다. 늘이기 과정은 보통 아이가 4살쯤 되었을 때 시작되며, 초기 단계에서 아이의 귀는 귀걸이로 뚫려 히상(특별한 무거운 은 또는 청동 귀걸이)을 착용하게 된다. 나이가 들면서 새로운 히상이 점차 추가되며, 여성이 결혼한 후에는 귀 당 최대 20개의 히상을 착용할 수 있었다. 히상은 은이나 청동과 같은 귀하고 값비싼 금속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녀의 사회적 지위, 재산, 그리고 사회적 신분을 나타낼 수 있었다. 따라서 귓불이 길수록 공동체에서 더 중요한 존재로 여겨졌다. 현재 늘어진 귓불을 갖는 관습은 거의 노인들에게만 국한되어 있으며, 1960년대 이후 신생아에게 히상을 착용하는 관습은 드물어졌다.

벽에 해골과 무기가 걸린 카얀 다약족 롱하우스의 갤러리로, 그들의 사냥 문화를 보여준다


전통적인 다약족 사회에서, 롱하우스 또는 라민 하우스는 공동체의 심장으로 여겨지며, 마을이자 사회적 건축 표현으로 기능한다. 때로는 길이가 200미터를 넘는 이 거대한 건물은 독립적인 가구 아파트로 나뉠 수 있으며, 요리, 의식, 사교, 대장장이 작업을 위한 공동 구역도 갖춰져 있다. 롱하우스의 상부 구조는 단순히 건축과 디자인에 관한 것만이 아니라 다약족 전통 정치체 및 행정 시스템의 일부이다. 따라서 문화적으로 롱하우스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롱하우스의 관습과 전통에 따라 통치된다.[35]

5. 1. 경제 활동

과거 대부분의 다약족은 화전 농업을 하는 사람들이었으며, 식량(고사리, 약초, 섬유, 목재) 및 판매를 위해 임산물을 채취하고, 어업과 수렵, 그리고 임시 노동을 통해 소득을 보충했다.[28] 현재 많은 현대 다약족은 보르네오의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현대 경제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29]

5. 2. 금속 공예

금속 공예는 만다우mis 제작에 정교하게 발달했다. 칼날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더 무른 철로 만들어졌으며, 날카로움을 위해 절삭 날에 더 단단한 철 조각을 끼워 넣는 응암보mis(철 세공)라고 하는 과정을 거친다.[1]

참수 의식에서 파랑ms을 빠르게 뽑을 수 있어야 했다. 이를 위해 만다우mis는 비교적 짧으며, 울창한 숲에서 길을 개척하는 데에도 더 적합하다. 칼날이 위를 향하도록 칼집에 넣어 보관하며, 손잡이에는 위로 돌출된 부분이 있어 손을 뻗어 손잡이를 먼저 잡을 필요 없이 손 옆면으로 매우 빠르게 뽑을 수 있다. 그런 다음 뽑는 동안 손잡이를 잡을 수 있다. 이 세 가지 요소(짧음, 칼날 위, 돌출부)의 조합은 매우 빠른 뽑기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1]

5. 3. 구슬 세공

전통적인 다약족의 구슬로 장식한 아기 띠


보르네오의 고고학적 기록에 따르면, 이 섬의 초기 거주민들은 유기 재료를 사용하여 간단한 구슬을 만들었다. 구슬은 원래 돌, 뼈, 이빨, 조개 껍질로 만들었다. 8~9세기경 외국 상인들이 유리 구슬 제작 기술을 도입하면서 보르네오의 구슬 문화가 더욱 발전하였다. 초기의 구슬은 일반적으로 작고 빨강, 노랑, 흰색, 청록색, 검정색과 같은 기본 색상을 사용했다. 1500~1600년대에는 여러 색상의 구슬이 등장했다.[36]

전통적인 구슬 세공은 다양한 다약족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많은 다약족 문화에서 구슬은 단순한 장식품이 아니라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가진다.[37] 일부 구슬은 의례적인 관행에만 사용되며, 그러한 의식 중에 착용한다. 가보 구슬(pesaka)은 중요한 가족 유물로 여겨져 종종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상속된다.

5. 4. 참수와 평화 협정

과거 다약족은 참수 관습(다약족에게 ''응가야우''로도 알려짐)으로 인해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1894년경 ''Tumbang Anoi 마을''에서 촬영된 카하얀강을 따라 늘어선 다약족의 긴 가옥.


1894년 중앙 칼리만탄의 다망 바투(카하얀 다약족의 거주지)에서 열린 ''Tumbang Anoi 협정''은 네덜란드령 보르네오 (현재의 칼리만탄) 식민 통치 기간 동안 가장 두드러진 유산 중 하나이다. 이 협정은 칼리만탄의 모든 다약 부족을 평화 결의를 위해 소집한 공식 회의였다. 몇 달이 걸린 것으로 알려진 이 회의에서 칼리만탄 전역의 다약족은 참수 관습이 다양한 다약 집단 간의 갈등과 긴장을 유발한다고 믿고 참수 전통을 끝내기로 합의했다. 회의는 다약족의 평화 결의로 끝났다.[38]

이후 참수는 1940년대 중반 연합군이 일본의 보르네오 점령에 맞서 이 관습을 장려하면서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39] 1960년대 후반 인도네시아 정부가 중국 본토의 공산주의를 지원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칼리만탄 내륙의 화교를 숙청하도록 다약족을 장려했고, 삼바스와 삼피트 분쟁 기간 동안 마두레족 이민자와 다약족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약간 증가했다.[40]

6. 군사

다약족 병사 또는 추적자들은 로열 스코츠 또는 구르카 병사들과 동등한 용맹함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사라왁 레인저는 극동 육군으로 영국군에 흡수되어 전 세계 어디든 배치될 수 있었지만, 1963년 말레이시아가 결성되면서 현재 왕립 레인저 연대의 기초를 형성했다.[41]

인도네시아에서는 찔릭 리우트가 1947년 10월 17일 인도네시아 국군에 의한 최초의 공수 작전을 이끌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이 팀은 MN 1001로 알려졌으며, 10월 17일은 보르네오에서 그 기원을 추적하는 인도네시아 공군 파스카스의 기념일로 매년 기념된다.[42]

참조

[1] 웹사이트 Jumlah dan Persentase Penduduk menurut Kelompok Suku Bangsa https://media.neliti[...] Kewarganegaraan, suku bangsa, agama dan bahasa sehari-hari penduduk Indonesia 2022-05-13
[2] 간행물 Population Distribution and Demography http://www.statistic[...]
[3] 서적 Demography of Indonesia's Ethnicity https://bookshop.ise[...] ISEAS Publishing 2020-05-08
[4] 웹사이트 Report for ISO 639 code: day http://www.ethnologu[...]
[5] 뉴스 The Dynamics of Conversion: the Islamisation of the Dayak peoples of Central Kalimantan http://coombs.anu.ed[...] 2016-12-03
[6] 서적 Between the Dayak and the Dutch: The Economic History of Southeast Kalimantan 1880-1942 Foris Publications 1988
[7] 웹사이트 '*daya'' upriver, toward the interior' https://acd.clld.org[...]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4-12-08
[8] 간행물 Who invented the Dayaks? : historical case studies in art, material culture and ethnic identity from Borneo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2-05-13
[9] 간행물 Dayak Ethnogenesis and Conservative Politics in Indonesia's Outer Islands https://papers.ssrn.[...] 2007-11-15
[10] 웹사이트 Dayak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2-05-13
[11] 서적 Ethnic Groups of Insular Southeast Asia, Volume 1: Indonesia, Andaman Islands, and Madagascar Human Relations Area Files Press
[12] 간행물 Borneo as a cross-roads for comparative Austronesian linguistics http://press.anu.edu[...] Department of Anthropology,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4-06-29
[13] 웹사이트 Borneo Languages: Languages of Kalimantan, Indonesia and East Malaysia http://www.kitlv.nl/[...]
[14] 간행물 Beberapa aspek kehidupan masyarakat Dayak https://jurnal.ugm.a[...] 2022-05-03
[15] 웹사이트 Beberapa Aspek Kehidupan Masyarakat Dayak https://www.research[...] 2022-05-03
[16] 웹사이트 Jejak Panjang Nan Sarunai, Kerajaan Purba di Kalimantan https://tirto.id/jej[...] 2018-01-09
[17] 웹사이트 Mempersoalkan Klaim Kerajaan Nan Sarunai Lebih Tua daripada Kerajaan Kutai http://kaltimkece.id[...] 2022-10-25
[18]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the Hindu Kaharingan Religion: A New Dayak Religion in Central Kalimantan 2007
[19] 문서 The most detailed study of the shamanistic ritual at funerals is by Waldemar Stöhr, ''Der Totenkult der Ngadju Dajak in Süd-Borneo. Mythen zum Totenkult und die Texte zum Tantolak Matei'' (Den Haag: Martinus Nijhoff, 1966).
[20] 간행물 The Javanization of Indian Art 1992
[21] 간행물 Kaharingan or Hindu KaharinganWhat's in a Name in Indonesian Borneo? https://online.ucpre[...] 2022-05-01
[22] 간행물 The Religious Text 'Panaturan' of the Dayak Ngaju Community 2020-02-19
[23]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the Hindu Kaharingan Religion. A New Dayak Religion in Central Kalimanta http://dx.doi.org/10[...] 2007
[24]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a New Religion in Kalimantan, Central Borneo http://dx.doi.org/10[...] 2007-01
[25] 서적 Sejarah kota Palangka Raya Palangka Raya : Pemerintah Kota Palangka Raya
[26] 서적 The People of the Weeping Forest: Tradition and Change in Borneo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27] 서적 Asia Reconstructed: Proceedings of the 16th Biennial Conference of the ASA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6
[28] 서적 People Managing Forests: The Links Between Human Well-Being and Sustainability Resources for the Future 2001
[29] 간행물 Inventing Tradition, Inventing Modernity: Dayak Identity in Urban Sarawak https://www.tandfonl[...] Taylor & Francis 2022-06-03
[30] 서적 Der Mythos vom Zivilisationsprozeß Suhrkamp 1997
[31] 웹사이트 40 DAYAK TATTOOS: ORIGINS, MEANINGS & MORE https://tattmag.com/[...] 2023-12-06
[32] 웹사이트 IN THE REALM OF SPIRITS: TRADITIONAL DAYAK TATTOO IN BORNEO https://www.larskrut[...] 2023-12-06
[33] 웹사이트 40 DAYAK TATTOOS: ORIGINS, MEANINGS & MORE https://tattmag.com/[...] 2023-12-06
[34] 웹사이트 40The Last Long Earlobes https://wwf.panda.or[...] 2023-12-06
[35] 웹사이트 Dayak Architecture and Art: The Use of Longhouse https://www.kaltimbe[...] 2022-05-16
[36] 웹사이트 Beads Culture https://www.borneota[...] 2022-05-16
[37]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Memories: A Story Of A Long Apu Family's Pesaka Beads https://espace.curti[...] 2022-05-16
[38] 뉴스 Dayaks Gather to Mark Peace Treaty https://www.newsaraw[...] 2020-01-18
[39] 뉴스 'Guests' can succeed where occupiers fail https://www.nytimes.[...] 2016-12-03
[40] 웹사이트 The Sampit conflict – Chronology of violence in Central Kalimantan http://indahnesia.co[...] 2016-12-03
[41] 간행물 The Iban Trackers and Sarawak Rangers: 1948–1963 https://ir.unimas.my[...] 2019
[42] 서적 Mengenal Seni dan Budaya Indonesia https://books.google[...] Penebar CIF
[43] 웹사이트 http://concise.brita[...]
[44] 웹사이트 WWF - Borneo people http://www.panda.org[...]
[45] 문서 Victor T. Kingによる定義
[46] 웹사이트 首狩り族ダヤック人のヤバすぎる黒魔術とカニバリズム。カリマンタン島・ジャングル奥地で行われていた食人文化を取材してきた https://nihonzine.co[...] 2024-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