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의 고속도로는 프랑스 전역에 걸쳐 뻗어 있는 고속 교통망으로, 지역에 따라 번호가 부여된다. 파리를 중심으로 하는 간선 고속도로는 0/10번대, 그 외 지역은 20번대부터 80번대까지의 번호를 사용하며, 세 자리 수 번호는 지선 고속도로를 나타낸다. 프랑스 고속도로는 민간 기업이 건설하고 운영하며, 통행료 부과 방식과 결제 수단이 다양하다. 제한 속도는 일반적으로 130km/h이며, 안전을 위해 다양한 시설과 서비스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교통 - 나비고
나비고는 프랑스 일드프랑스 지역의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시스템이며, 나비고 패스는 지역 거주자 및 근무자에게, 나비고 데쿠베르트는 모든 사람에게, 나비고 이지 카드는 티켓 충전에 사용된다. - 프랑스의 교통 - 국도 제6호선 (프랑스)
국도 제6호선 (프랑스)은 프랑스 주와니에서 시작하여 이탈리아로 이어지는 도로로, 1824년에 제정되었으며, 1978년 파리-상스 구간을 편입하여 총 733km에 달했으나 2006년 대부분 지방도로 격하되었고, 알베르 카뮈의 사망 장소로도 알려져 있다. - 나라별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나라별 고속도로 -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는 1964년 최초의 고속도로 개통 이후 남북 및 동서 방향의 다양한 노선으로 발전해 왔으며, 유료가 일반적이지만 공공성 및 기능적 중요성으로 무료 구간도 존재한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나고야시
아이치현에 위치한 나고야시는 아쓰타 신궁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의 거점이었으며, 도요타 자동차 중심의 자동차 산업과 MICE 산업 발달, 엑스포 2005 개최, 나고야 의정서 채택 등으로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한 16개 구로 구성된 약 2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복합적인 도시이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진공관
진공관은 진공 상태 용기 내부에 전극을 갖춘 전자 장치로, 다이오드와 트라이오드 발명 후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으나 트랜지스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고주파/고출력 분야나 오디오 앰프 등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 프랑스의 고속도로 | |
|---|---|
| 개요 | |
![]() | |
| 일반 정보 | |
| 총 연장 | 약 11,882 km |
| 통행료 징수 방식 | 부분 유료 (민간 운영 구간) |
| 제한 속도 | 130km/h (기상 조건에 따라 변경) |
| 통계 (2015년) | |
| 총 교통량 | 1784억 차량 km |
| 민간 운영 고속도로 교통량 | 897억 차량 km |
| 도시 간 고속도로 교통량 | 253억 차량 km |
| 고속도로 및 도시 고속화 도로 교통량 | 358억 차량 km |
| 고속도로 특성을 가진 국도 교통량 | 276억 차량 km |
| 역사 | |
| 최초 개통 | 1950년대 (정확한 날짜는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
| 특징 | |
| 도로 번호 체계 | 'A + 숫자' 형태 (예: A1, A10) |
| 관리 주체 | 프랑스 정부 (일부 구간) 민간 기업 (대부분 구간) |
| 휴게소 | 다양한 편의 시설 제공 (주유소, 식당, 상점 등) |
| 비상 전화 | 2km마다 설치 |
| 안전 시설 | 중앙 분리대, 가드레일 등 |
| 기타 | |
| 관련 용어 | Autoroute (프랑스어) 오토루트 (일본어 표기) |
| 로마자 표기 | Otoruteu |
2. 역사
프랑스의 고속도로 번호는 기본적으로 위치한 지역에 따라 나뉜다. 다만, 예외도 일부 존재한다.[2][12][3]3. 번호 체계 및 노선


다른 고속도로 시스템과 달리 체계적인 번호 매기기 시스템은 없지만, 지역을 기반으로 고속도로 번호가 클러스터링 되어있다. A1, A3, A4, A5, A6, A10, A13, A14, A15, A16은 파리에서 시계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A2, A11, A12는 각각 A1, A10, A13에서 분기된다. A7은 A6이 끝나는 리옹에서 시작된다. A8과 A9는 A7에서 시작된다.
오토루트(Autoroute)는 이름이 붙여지기도 하지만,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
4. 운영 및 관리
프랑스 고속도로(오토루트)는 건설 시점부터 현재까지 여러 논쟁의 대상이었다. 오토루트는 프랑스 정부가 위임한 사기업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엄격한 건설 규칙을 따른다. 오토루트는 민간 이익과 국가가 부분적으로 소유한 혼합 기업에 의해 운영 및 유지 관리된다. 이들 회사는 양보를 받는데, 이는 오토루트가 프랑스 국가에 속하고, 그 관리는 반(半)사기업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뱅시 SA(Vinci SA)는 약 4380 km의 고속도로를 관리한다.
다양한 회사들이 고속도로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ALIS는 A28 루앙-알랑송 구간 125 km를 운영하고, SAPRR은 1801 km를 운영한다. AREA는 SAPRR의 자회사로 381 km를, ASF는 2325 km를 운영하며 뱅시(Vinci)에 인수되었다. ATMB는 107 km를, CEVM은 밀로 고가교 2.5 km를 운영한다. 코피루트는 뱅시(Vinci) 그룹의 사기업으로 896 km를, 에스코타는 ASF 그룹으로 460 km를 운영하며 뱅시(Vinci)에 인수되었다. 사네프는 1317 km를, SAPN은 사네프(Sanef) 그룹으로 366 km를, SFTRF는 67 km를 운영한다. 브르타뉴 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오토루트가 정부 소유이며, 지역 의회에서 운영하고 통행료가 없다.
고속도로는 혼합 경제 기업에 특허로 부여되었으며, 무료 도로는 정부가 직접 관리한다.[11] 통행료는 도로 이용에 대한 정액 요금 또는 운전 거리에 따라 부과된다.[11] 장거리 운전에는 주로 거리 비례 요금제가 사용되며, 사용자는 진입 시 티켓을 받고 출구에서 거리에 따라 요금을 지불한다.[11] 요금소에서는 현금, 수표, 신용 카드, 리베르-티(Liber-t), 티스-플(Tis-pl), 개인 카드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2][12] ''요금소''(péage)를 나타내는 표지판은 
2005년, 도미니크 드 빌팽 정부는 고속도로 회사에 대한 모든 국가 지분을 사모 투자자에게 매각하는 계획을 제안했으나, 이는 가격이 회사의 이익 예측보다 낮아 정부가 미래를 희생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11]
5. 통행료
프랑스의 고속도로는 혼합 경제 기업에 특허로 부여되었으며, 무료 도로는 정부가 직접 관리한다.[11] 통행료는 도로 이용에 대한 정액 요금 또는 운전 거리에 따라 부과된다. 후자의 경우 장거리 운전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사용자는 고속도로 진입 시 자동 기계에서 티켓을 받고, 출구 시 거리에 따라 요금을 지불한다. 요금소에서는 여러 결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2005년, 도미니크 드 빌팽 정부는 고속도로 회사에 대한 모든 국가 지분을 사모 투자자에게 매각하는 논란이 많은 계획을 제안했다. 비평가들은 발표된 가격이 이 회사의 이익 예측보다 훨씬 낮으며, 따라서 정부가 현재의 예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래를 희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1]
{| class="wikitable"
!결제 방식
|-
|
| 년도 | 현금, 수표, 외화 | 신용 카드 (유로카드, 마스터카드, 비자) | 리베르-티(Liber-t) (자동차) | 티스-플(Tis-pl) (트럭) | 개인 카드 |
|---|---|---|---|---|---|
| 2014 | 12.8% | 36.9% | 37.7% | 9.9% | 3.1% |
| 2015 | 11.9% | 36.4% | 38.9% | 10.0% | 2.8% |
| 2016 | 10.7% | 36.1% | 40.2% | 10.4% | 2.6% |
| 2017 | 9.7% | 34.8% | 41.8% | 10.8% | 2.9% |
6. 제한 속도
프랑스는 고속도로로 분류되는 제한된 출입 도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한 속도를 적용한다. 통상 제한 속도는 130km/h이며, 우천시에는 110km/h, 강설 때는 시속 50km/h이다. 고속도로로 분류되는 제한된 출입 도로 중 간선도로의 경우 더 낮은 속도 제한이 적용된다(90 또는 110km/h).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가장 왼쪽 차선에서 80km/h의 최저 속도가 적용된다. 다른 차선에서는 최저 속도가 없지만, 속도는 상황에 맞게 조절되어야 하며, 너무 느린 속도로 위험을 초래해서는 안 된다.
7. 안전
고속도로는 일반 도로보다 높은 제한 속도(130km/h)를 허용하면서도 사고 위험을 줄이도록 설계되어 운전자의 도로 안전을 증진한다.[2]
안전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일방 통행: 반대 방향 차선은 충돌 방지 시설로 분리되어 있고, 교차로 없이 고가도로나 지하 차도로 연결된다.
- 넓은 차선: 2개(때로는 3개) 이상의 차선과 더 큰 회전 반경을 가진다. 민간 운영 고속도로의 경우, 2017년 기준 6800km(74%)가 2x2 차선, 2252km(25%)가 2x3 차선, 84km(1%)가 2x4 차선이다.[2] 각 차선의 폭은 3.5m이다.[4]
- 긴 진입 및 출구 램프: 교통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고속도로에 진입하거나 나갈 수 있다.
- 비상 차선: 응급 서비스를 제외하고는 운전, 주차, 보행이 금지된다.[5] 2000년부터 새로 건설된 고속도로의 비상 차선은 2.5m 너비(하루 2000대 이상 트럭 통행 시 3m)여야 한다.[4]
- 비상 호출 상자: 2km마다 설치되어 도움을 요청하고 통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휴게소(aire de repos프랑스어) 및 서비스 구역(aire de service프랑스어): 각각 10km(4-6분 운전 시간) 및 40km(20-30분 운전 시간)마다 설치되어 있다.
- 보안 서비스: 정기 순찰을 통해 장애물을 제거하고 곤경에 처한 운전자를 보호한다.
- 동적 정보 패널: 사고, 도로 공사, 교통 체증 등 সম্ভাব্য 어려움에 대한 경고를 제공한다.

- 라디오 방송국(FM 107.7 MHz): 15분마다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비상 시 속보를 제공한다.
- 자동 레이더(속도 감시 카메라): 여러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도로 표지판으로 공지된다.
고속도로 사망자 수는 2002년과 2016년 사이에 감소했다.[6][8] 2016년 프랑스 고속도로에서는 121건의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 중 82%는 직접적인/초기 사고였다.[8]
사망 사고의 3분의 2는 다음 세 가지 시나리오에서 발생한다.[8]
- A01: 방향 전환이 없는 두 차량의 단순 충돌
- A06: 안전 교통 장벽과 같은 보호 시스템 충돌
- A05: 차량 제어 불능
사망 사고는 대부분 야간에 발생하며,[7] 졸음운전, 위험한 조작, 부주의, 속도 위반, 보행자, 알코올, 약물 및 치료제, 역주행 및 후진 등이 주요 원인이다.[2][8] 18세에서 34세 사이의 젊은 운전자들은 치명적인 교통 사고의 절반 이상에 연루되어 있다.[6]
비엔나 도로 교통 협약에 따라 고속도로에서 보행자는 금지되어 있지만,[9] 고속도로에서 보행자가 사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차량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비상등을 켜고 고가시성 의류를 착용하며, 교통 장벽 반대편과 같이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권장된다.[10]
8. 환경
프랑스의 사유 관리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99%는 자연 울타리로 보호된다.[12] 또한, 사유 관리 고속도로에는 1,764개의 야생 동물 횡단 시설이 있다.[12]
9. 한국과의 비교
10. 관련 항목
- 프랑스의 국도 목록
참조
[1]
문서
Bilan de l'accidentalité de l'année 2015
[2]
간행물
2017 CHIFFRES CLÉS
https://www.autorout[...]
Association des sociétés françaises d'autoroutes - ASFA
2017
[3]
웹사이트
Statistics - Eurostat
https://ec.europa.eu[...]
2024-03-01
[4]
간행물
ICTAAL INSTRUCTION SUR LES CONDITIONS TECHNIQUES D'AMÉNAGEMENT DES AUTOROUTES DE LIAISON
http://dtrf.setra.fr[...]
Sétra - Service d'études sur les transports, les routes et leurs aménagements
2000-12-12
[5]
문서
by definition motorways are forbidden to pedestrians
[6]
간행물
2016 SÉCURITÉ SUR AUTOROUTE - ACCIDENTS MORTELS - CHIFFRES CLÉS
https://www.autorout[...]
Association des sociétés françaises d'autoroutes - ASFA
2016
[7]
웹사이트
État de l'insécurité routière | Observatoire national interministériel de la sécurité routière
http://www.securite-[...]
[8]
간행물
2016 SÉCURITÉ SUR AUTOROUTE - ANALYSE DES ACCIDENTS MORTELS ET CORPORELS
https://www.autorout[...]
Association des sociétés françaises d'autoroutes - ASFA
2016
[9]
인용
Code de la route : Chapitre Ier : Autoroutes. (Articles R421-1 à R421-10)
https://www.legifran[...]
2022-08-06
[10]
웹사이트
Gilet et triangle de sécurité
https://www.economie[...]
2020-10-23
[11]
웹사이트
Press release of 12-14-2005
http://www.equipemen[...]
[12]
간행물
2018 CHIFFRES CLÉS
https://www.autorout[...]
Association des sociétés françaises d'autoroutes - ASFA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