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공관은 유리, 금속 또는 세라믹 용기 내부에 여러 전극이 배치된 전자 부품이다. 19세기 게슬러관, 크룩스관 연구를 통해 발전했으며, 토머스 에디슨의 에디슨 효과 발견이 진공관 기술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04년 플레밍의 이극 진공관 발명, 1906년 드 포레스트의 삼극 진공관 발명으로 증폭 기능이 실용화되었으며, 이후 사극, 오극 진공관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트랜지스터 발명 이후 쇠퇴했지만, 고주파/고전력 등 특수 분야와 오디오 앰프에서 특유의 음질로 인해 여전히 사용된다. 진공관은 전극 수에 따라 다이오드, 트라이오드, 테트로드, 펜토드 등으로 분류되며, 용도, 주파수 범위, 전극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4년 과학 - 1904년 3월 17일 일식
1904년 3월 17일 일식은 금환일식으로,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N. 도니치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관측했으며, 독일령 동아프리카, 모잠비크, 코모로, 세이셸, 모리셔스, 영국령 인도양 지역, 네덜란드령 동인도, 태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사 군도, 필리핀, 오가사와라 제도 등을 금환대가 통과했다. - 1904년 과학 - 1904년 9월 9일 일식
1904년 9월 9일 일식은 태평양과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금환 일식으로 관측되었고 칠레 국립 천문대가 관측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1904년 일식 시즌의 첫 번째 일식으로 다양한 주기와 시리즈에 따라 연관된 일식들과 함께 나타난다. - 전자 - CMOS
CMOS는 상보적 금속 산화막 반도체의 약자로, 저전력 소비를 특징으로 하며, P형과 N형 MOSFET을 결합하여 논리 게이트를 구현하는 디지털 회로 설계 방식 및 공정 계열이다. - 전자 - 서미스터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반도체 소자로, 온도-저항 특성에 따라 NTC, PTC, CTR 서미스터로 나뉘며 온도 센서, 과전류 방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저항-온도 관계는 B 상수 방정식이나 슈타인하르트-하트 방정식으로 표현되어 여러 분야에 적용된다. - 진공관 - 일함수
일함수는 고체 표면에서 전자를 진공으로 떼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 에너지로, 물질의 종류, 표면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지며, 열전자 방출, 광전자 방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진공관 - 광전관
광전관은 광전 효과를 활용하여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센서로, 빛이 광음극에 닿으면 방출된 전자가 양극으로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 세기는 입사광의 세기와 주파수에 비례한다.
진공관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라디오 밸브 전자관 열이온 밸브 |
개요 | |
종류 | 다이오드 삼극관 사극관 오극관 |
기능 | 전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특징 | 유리관 또는 금속관 안에 전극과 함께 진공 상태로 밀봉됨 |
작동 방식 | 전극을 가열하여 열전자를 방출하고, 전극 간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전류 흐름을 제어 |
역사 | |
발명자 | 존 플레밍 (1904년, 다이오드) |
개선 | 리 드 포레스트 (1906년, 삼극관) |
주요 응용 | 라디오 텔레비전 레이더 컴퓨터 증폭기 스위치 |
작동 원리 | |
열전자 방출 | 전극을 가열하여 전자를 방출 (열이온 방출) |
전극 제어 | 전극 간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전자의 흐름을 조절 |
구조 | |
주요 구성 요소 | 진공 밀봉관 음극 양극 제어 전극 (필요에 따라) |
종류별 추가 구성 | 삼극관: 제어 그리드 추가 사극관: 억제 그리드 추가 오극관: 추가 그리드 두 개 |
종류 | |
다이오드 | 가장 기본적인 형태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통과시키는 기능 |
삼극관 | 제어 그리드를 추가하여 신호 증폭 기능 추가 |
사극관 | 억제 그리드를 추가하여 삼극관의 성능 개선 |
오극관 | 억제 그리드와 추가 그리드 추가 더 높은 증폭률과 안정성 확보 |
특징 | |
장점 | 높은 주파수 응답성 높은 전압 처리 능력 비교적 높은 신뢰성 |
단점 | 큰 크기 높은 전력 소비 작동 시 열 발생 |
응용 | |
초기 응용 | 무선 통신 라디오 텔레비전 |
현대 응용 | 오디오 증폭기 고주파 장비 특수 산업 장비 |
기타 | |
대체 기술 |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 |
현재 상황 | 대부분의 응용 분야에서 반도체 소자로 대체되었지만, 일부 특수 분야에서 여전히 사용됨 |
2. 역사
에디슨이 전구를 실험하는 과정에서 에디슨 효과를 발견했다. 1884년 에디슨이 발견한 에디슨 효과는 전구에 전극을 하나 더 넣었을 때, 전극이 양전하를 띄면 필라멘트에서 전극으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었다. 하지만 에디슨은 전구의 효율 개선에만 집중하여 이를 실용화하지 않았다.[10]
19세기에는 게슬러관과 크룩스관과 같은 진공관 연구가 활발했다. 토마스 에디슨, 외겐 골드슈타인, 니콜라 테슬라, 요한 빌헬름 힛토르프 등이 이러한 진공관을 연구한 대표적인 과학자들이다.[10] 초기 전구를 제외하면 이러한 진공관은 과학 연구나 신기한 물건으로만 사용되었지만, 이후 진공관 기술 개발에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
1904년 영국의 플레밍이 에디슨 효과를 단서로 최초의 진공관인 이극 진공관을 발명했고, 1906년 미국의 디포리스트가 삼극 진공관을 발명했다.[14] 진공관에 의한 증폭은 리 드 포레스트가 1907년 3단자 "오디오(audion)"관을 발명하면서 실용화되었는데, 이것은 이후의 트라이오드가 되는 조잡한 형태였다.[14]
1912년 해럴드 아놀드는 진공관의 내부 구조를 바꾸고 진공관 내부의 공기를 최대한 빼서 부분 진공 상태에 가깝게 만들었다. 1914년에는 장거리 전화선에서 증폭기로 진공관이 사용되었다. 1910년대 독일의 물리학자 쇼트키가 사극진공관을 실험하였고, 미국의 공학자 힐이 이를 토대로 실용적인 사극진공관을 개발했다. 네덜란드의 공학자 밴저민 델레겐은 1926년에 오극진공관을 발명했다.
진공관은 발명 당시부터 진공관(vacuum tube)이라 불리며 발전했지만, 나중에 대형관, 브라운관, 마이크로파관 등 다른 기능을 가진 것들이나, 비슷한 기능을 가지지만 내부가 진공이 아닌 방전관 등이 등장하여, '''전자관'''(electron tube)이라 총칭하게 되었고, 종래 "진공관"이라 불렸던 소형관은 '''수신관'''(receiving tube)이라 불리게 되었다.[111]
1930년대 이후 진공관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다양한 종류의 진공관이 등장했다. 그러나 트랜지스터가 발명되고 1960년대 이후 생산 수율이 높아져 저렴해지자, 방송, 통신 분야의 기기에서는 점차 트랜지스터로 대체되었다. 1970년대에 전자 회로에 반도체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고출력 전파 송신과 같은 용도에서는 진공관이 주로 사용되었다. 1976년 발생한 「벨렌코 중위 망명 사건」의 MiG-25 기체 검증에서 탑재된 전자 장비에 진공관이 사용되어 화제가 되었다.
2. 1. 1904년 ~ 1926년: 진공관의 발명과 초기 발전
1884년, 토머스 에디슨은 전구 실험 중 에디슨 효과를 발견했으나, 백열전구의 효율 개선에만 집중하여 이를 실용화하지 않았다.[10] 에디슨 효과는 필라멘트와 양극 사이의 전류 흐름의 단방향성을 이용한 것이었다.[12] 1904년, 영국의 존 앰브로즈 플레밍은 에디슨 효과를 바탕으로 최초의 진공관인 이극 진공관을 발명했다.[13] 이 진공관은 무선 신호 검파에 사용되어 자기 검파기보다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1906년, 미국의 리 디포리스트는 삼극 진공관을 발명하여 증폭 작용을 가능하게 했다.[14] 이는 최초의 전자 증폭기[15]로, 장거리 전화 통신과 확성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12년 해럴드 아놀드는 진공관 내부 구조를 개선하고 진공도를 높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1914년에는 진공관이 장거리 전화선에서 증폭기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15년 버지니아주와 앨링턴 사이 대륙 횡단 전화 회선 실험에서는 550개의 진공관이 사용되었다.
1910년대 독일의 쇼트키가 사극 진공관을 실험했고, 미국의 힐이 이를 토대로 실용적인 사극 진공관을 개발했다. 1926년, 네덜란드의 델레겐이 오극 진공관을 발명했다.
2. 2. 1930년대 ~ 1950년대: 진공관 기술의 발전과 다양화
1929년 5극관(UY-247)이 등장했고, 1935년에는 획기적인 메탈 빔관(6L6)이 등장하여 진공관 기술의 기본이 완성되었다.[120] 초기 컴퓨터에는 대량의 진공관이 사용되었으며, 수명이 일정한 진공관을 대량으로 조달하는 것이 제작상의 난관 중 하나였다. 예를 들어 에니악(1946년)에는 17,468개의 진공관이 사용되었다.2. 3. 1960년대 ~ 1970년대: 트랜지스터의 등장과 진공관의 쇠퇴
트랜지스터가 발명되자 1960년대 들어 진공관은 점차 트랜지스터로 교체되었다. 진공관으로는 단극성 소자밖에 만들 수 없지만 트랜지스터로는 양극성 소자를 만들 수 있다는 점 외에도, 진공관보다 트랜지스터 쪽이 제조가 용이하며 가격이 낮았기 때문에, 주 회로에 진공관을 사용한 텔레비전 수상기나 라디오 수신기는 1970년대에 생산이 중지되었다.2. 4. 1970년대 이후 ~ 현재: 특수 분야에서의 활용
1960년대에 트랜지스터가 발명되면서 진공관은 점차 트랜지스터로 대체되었지만, 일부 트랜지스터로 대체하기 어려운 분야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고주파/고전력: 10GHz·1 킬로와트 이상의 고주파/고전력 환경에서는 진공관이 사용된다. AM 라디오 방송 (중파방송, 단파방송) 송출 시 100kW~1000kW 급 출력을 낼 때 30kV의 고전압 제어가 가능하여 진공관이 널리 사용된다.[116]
- 전자레인지: 마그네트론은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진공관의 일종이다.
- 레이더: 강력한 전자파를 만들어내는 자전관은 레이더에 사용된다.
- 오디오 앰프: 진공관은 독특한 음질을 제공하여 고급 오디오 앰프에 사용된다.
- 방송국용, 방위성용: 일본에서는 방송국 및 방위성용으로 진공관이 제조되고 있다.
- 원자력 발전소: 대한민국에서는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현장과 같이 방사선 노출이 심한 환경에서 로봇 카메라 등에 진공관을 사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기도 했다.[116]
- 진공 채널 트랜지스터: MOS형 FET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결합한 진공 채널 트랜지스터의 실용화 연구가 진행 중이며, 디지털 회로 고속화, 테라헤르츠파 송수신, 인공위성 활용 등이 기대된다.[117]
3. 형태
진공관은 바깥의 유리관(Glass tube)과 그 안에 금속으로 된 전극으로 구성된다. 일부 군용이나 특수 용도로는 철을 유리로 밀봉한 형태의 금속관을 사용하기도 한다. 전극은 관 속에서 전자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진공관의 전극은 캐소드, 플레이트, 그리드로 구성된다.
- 캐소드(Cathode): 백열전구와 같이 필라멘트(또는 히터)가 있어 전류가 흘러 들어가면 캐소드가 가열되면서 열과 함께 전자가 방출된다. 캐소드는 음전하(-)를 띄고, 전자 역시 음전하를 띄므로 서로 밀어낸다. 캐소드는 필라멘트 자체가 캐소드 역할을 하는 '직열식'과 별도의 히터가 캐소드를 가열시키는 '방열식'이 있다.
- 플레이트(Plate) 또는 어노드(Anode): 큰 판 모양의 금속 부품이다.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를 받아 이동시킨다. 플레이트는 양전하(+)를 띄어 전자를 받아들여 전류가 흐르게 한다. 플레이트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일부 특수한 관은 망으로 싸인 형태도 있다.
- 그리드(Grid): 3극 이상의 진공관에 들어있다. 플레이트와 캐소드 사이에 가는 전선을 망이나 그물 형태로 감아놓은 부품이다. 전자의 양을 제어하며, 그리드가 강한 음전하(-)를 띄면 플레이트에 다다르는 전자 양이 적어지고, 약해지면 많아진다. 4극 진공관에는 스크린(screen), 5극 진공관에는 서프레서(suppressor)가 추가된다.
- 게터(Getter): 진공관을 밀봉할 때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기체를 흡수한다. 게터는 게터 미러(Getter mirror)와 게터 링(Getter Ring)이 있다. 게터 미러는 진공관 안쪽에 산화 바륨을 바른 것으로 거울처럼 빛난다. 게터 링은 게터 미러 부근에 작은 고리나 금속판 같은 것을 철사에 달아놓은 형태다. 게터는 플레이트 구조물 위, 아래, 혹은 베이스 밑부분에 위치한다. 게터 미러가 변색되거나 줄어들면 수명이 다 되어감을 의미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므로 계측기로 정확한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 스페이서(spacer): 얇은 원형의 절연체로, 플레이트 구조물이 유리관 벽에 닿지 않게 하고, 부품 간 절연을 유지한다.
- 베이스(Base): 진공관 아래 부분으로, 진공관의 핀이 있다. 금속이 대부분이나 플라스틱, 운모 판 등도 있다. 미니어처관이나 서브미니어처관은 베이스 없이 전체가 유리로 밀봉되어 핀이 노출된 형태다.
하나의 용기에 여러 기능을 통합한 복합관(쌍삼극관·삼극오극관 등)도 있다.[111]
- 2극 진공관: 다이오드(Diode)라고도 부른다. 캐소드와 플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진 가장 단순한 구조로, 주로 정류기나 검파기로 활용된다. 정류기는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장치인데, 2극 진공관은 캐소드가 음전하를 띌 때만 전류가 통과하므로 특정 방향으로만 전류가 흘러 직류가 된다. 검파기에서는 2극 진공관이 전파의 약한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 수신기에서 소리와 영상을 내보낸다.
- 3극 진공관: 트라이오드(Triode)라고도 부른다. 2극 진공관에 그리드가 추가된 형태로, 그리드가 전류 흐름을 조절한다. 그리드에 전압을 걸어주면 전자가 되돌아가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전압을 낮출수록 플레이트로 흐르는 전자가 많아져 전류가 증가한다. 이를 증폭 작용이라 한다. 증폭 작용 외에 고주파 전류를 만드는 발진 작용, 저주파 전류를 가려내는 검파 작용도 한다.
- 4극 진공관: 테트로드(Tetrode)라고도 부른다. 그리드와 플레이트 사이에 스크린(screen) 그리드가 있어 전자가 가속되지만, 2차 전자가 방출되는 문제가 생긴다.
- 5극 진공관: 펜토드(Pentode)라고도 부르며, 서프레서(suppressor) 그리드가 추가되어 2차 전자를 플레이트로 돌려보낸다. 4극관의 문제를 개선하여 전력 증폭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 빔관: 빔 테트로드(Beam Tetrode)라고 부른다. 1936년에 RCA가 발표하였다. 5극관과 달리 서프레서 그리드가 캐소드와 연결되어 2차 전자를 흡수한다. 5극 진공관보다 효율이 좋아 오디오용 고출력으로 많이 쓰인다.
- 음극선관: 브라운관이라고도 부른다. 진공관 원리를 응용하여 시각을 표현한다. 전자총에서 나간 전자가 자기장에 의해 휘어서 그림자 마스크에 부딪히면서 빛을 낸다.
- 마이크로파 진공관: 고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만들고 조절한다. 클라이스트론, 마그네트론, 진행파관 등이 있다.
- 가스진공관: 진공관 안에 아르곤, 수은 증기, 네온 등의 기체가 소량 들어있어 전자의 양을 높인다. 기체 원자가 이온화되면 양전하를 띄어 더 많은 전자가 이동된다. 사이러트론 등이 있다.
3. 1. 외형별 분류

진공관 용기는 크게 여섯 가지 형태가 있다.
- 가지관(1930년대까지): 가지 모양[121]의 유리관. S관이라고도 불린다.[122]
- ST관(1930년대 - 1950년대): 장승 모양[121]의 유리관으로, "달마관"이라고도 불린다.[122]
- GT관(1940년대 - 1950년대)
- 미니어처관(mT관)(1950년대 - 후기)
- 서브 미니어처 관(1960년대 - 후기): 1941년 RCA사에서 보청기용으로 개발되어 1942년 시제품 생산 및 양산이 시작되었으며, 근접신관에도 사용되었다.
- 뉴비스타[123]관(1960년대 - 후기)
이 외에도 외장을 금속으로 한 금속관이 있다. 금속관은 금속 원통으로 덮여 있어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없으며,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검은색으로 도장되어 있다. 금속관은 대문자를 사용하여 MT관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122] 이는 미니어처관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mT관 이후의 소형 진공관은 기기 하나에 많은 진공관을 사용하게 되면서 그 소형화, 다양화 수요에 따라 주류가 된 것이다.
하지만 소형 진공관 자체는 진공관 실용화 초기에는 이미 만들어져 있었고, 1919년경에는 "피넛 튜브"라고 불리는 mT관보다 약간 큰 진공관 WE-215A가 등장했다. 하지만 이는 초기 진공관 사용이 건전지(축전지와 건전지)에 의존했던 것으로부터, 그 주요 목적은 절전이었고, WE-215A 등은 "절약관"이라고도 불렸다.
발열하는 진공관에서는 무리한 소형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격렬한 온도 변화에 따른 재료의 큰 팽창 수축으로 특히 전극 부분에 손상이 생기기 쉽고, 이 부분으로부터의 외기 유입이 문제가 된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전등이 보급되고 전등선(교류 전원)에 의한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금속관이 등장한 1935년 이후 일부 목적을 제외하고 민수용으로는 주로 ST관, 군수용으로는 주로 금속관이라는 상태가 되었다.
RCA사의 금속관은 기술적으로 거의 완성되었지만, 금속관은 군수용으로 개발된 것이었고, 원가가 높았다. 그래서 저렴한 비용으로 금속관에 못지않은 여러 특성을 가진 것으로 GT관glass tube|글래스 튜브영어이 고안되어 주로 민수용으로 사용되었다. GT관은 미국에서는 상당히 보급되었지만, 일본에서는 태평양 전쟁의 영향과 특허의 관계로 별로 생산되지 않았고, 전후 ST관에서 직접 mT관으로 그 수요가 이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본격적인 수요에 따라, 진공관 본체와 핀을 일체화한 mT관이 주류가 되어 세계 각국에서 널리 생산되었다. 그 후, 핀을 없애고 리드선을 그대로 진공관 본체에서 빼냄으로써 더욱 소형화된 서브미니어처관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트랜지스터와의 시장 경쟁이 된 후기의 뉴비스타관은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목적을 위해 당시 트랜지스터와 같은 정도의 크기까지 소형화가 진행되었다.
참고로, 현재도 생산이 계속되고 있는 오디오용 진공관(후술) 등에서는, 원래 것은 금속관이나 GT관이라도 유리관 부분이 ST관 형태인 것도 있다.
4. 구조
진공관은 일반적으로 유리, 금속, 또는 세라믹스로 만들어진 용기 내부에 여러 개의 전극이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용기 내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거나, 소량의 희유 기체나 수은 등을 넣어 저압 상태로 만든다.
대부분의 진공관은 코바 밀봉 가능한 붕규산 유리를 기반으로 한 유리-금속 밀봉이 있는 유리 용기를 사용하지만, 세라믹 및 금속 용기(절연베이스 위에)도 사용되었다. 전극은 기밀 밀봉을 통해 용기를 통과하는 리드에 부착된다.
대부분의 진공관은 필라멘트 또는 히터 소손이나 기타 고장으로 인해 수명이 제한되어 교체가 가능한 장치로 제작된다. 전극 리드는 관 소켓에 꽂히는 진공관 바닥의 핀에 연결된다. 바닥 단자 외에도 일부 진공관에는 상단 캡에 종단되는 전극이 있는데, 이는 주로 고임피던스 그리드 입력의 경우 진공관 바닥을 통한 누설 저항을 피하기 위함이다.[56][7] 상단 캡을 사용하는 다른 이유로는 그리드-양극 정전 용량 감소를 통한 안정성 향상,[8] 고주파 성능 향상, 낮은 전압으로부터 매우 높은 플레이트 전압 유지, 그리고 바닥에서 허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전극 수용 등이 있다.
4. 1. 전극 구조
진공관은 바깥쪽의 유리관(Glass tube)과 그 안에 금속으로 된 전극으로 구성된다. 일부 군용이나 특수 용도로 제작된 진공관은 철을 유리로 밀봉한 형태의 금속관을 사용하기도 한다. 전극은 관 속에서 전자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진공관의 전극은 캐소드, 플레이트, 그리드로 구성된다.- 캐소드(Cathode) : 백열전구에 있는 것과 같은 필라멘트(또는 히터(heater))가 있으며, 전류가 캐소드로 흘러 들어가면 캐소드가 가열되어 열과 함께 전자가 방출된다. 캐소드의 열은 플레이트의 금속 표면층을 가열시키고 전자를 보낸다. 캐소드는 음전하(-)를 띠는데, 전자 역시 음전하를 띠고 있다. 같은 성질을 가진 두 전하는 항상 서로 밀어내는 성질을 가지므로, 방출된 전자를 캐소드가 밀어내게 된다. 캐소드는 필라멘트 자체가 캐소드의 역할을 하는 '직열식'과 별도의 히터가 캐소드를 가열시키는 '방열식'이 있다.
- 플레이트(Plate) 또는 어노드(Anode) : 큰 판 모양의 금속 부품으로 되어 있다.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를 플레이트가 받아서 이동시킨다. 플레이트는 양전하(+)를 띠는데, 반대 성질을 가진 두 전하는 항상 서로 잡아당기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캐소드가 밀어낸 전자를 받아들여 전류가 흐르게 한다. 플레이트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일부 특수한 관은 망으로 둘러싸인 형태도 있다.
- 그리드(Grid) : 3극 이상의 진공관에 들어있다. 플레이트와 캐소드 사이에 가는 전선을 망이나 그물 형태로 감아 놓은 부품이다. 캐소드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진공관에 흐르는 전자의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드가 강한 음전하(-)를 띠면 플레이트에 도달하는 전자 양이 적어지고, 그리드의 음전하가 약해지면 플레이트에 도달하는 전자 양이 많아진다. 그리드가 띠고 있는 전하의 세기는 진공관으로 들어가는 전자 신호의 세기와 같다. 4극 진공관에는 스크린(screen), 5극 진공관에는 서프레서(suppressor)가 추가로 들어간다.
- 게터(Getter) : 진공관을 밀봉할 때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기체를 흡수하는 물질이다. 게터는 형태에 따라 게터 미러(Getter mirror)와 게터 링(Getter Ring)으로 나뉜다. 게터 미러는 진공관 안쪽에 산화 바륨을 바른 것으로, 거울처럼 빛나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게터 링은 게터 미러 부근에 작은 고리나 금속판 같은 것을 철사에 달아 놓은 형태의 부품이다. 게터는 구조에 따라 플레이트 구조물 위, 아래, 또는 베이스 밑부분에 위치하기도 한다. 진공관의 상태를 확인할 때 게터 미러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 게터 미러가 변색되거나 줄어들면 수명이 다해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진공관의 상태와 관계없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계측기를 이용하여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스페이서(spacer) : 진공관 안쪽에 들어가는 얇은 원형 절연체로, 플레이트 구조물이 유리관 벽에 닿지 않게 하고, 부품 간에 서로 붙지 않도록 절연을 유지하는 부품이다.
- 베이스(Base) : 진공관 아래 부분의 부품으로, 진공관의 핀이 위치한다. 재질은 금속이 대부분이나 플라스틱, 운모 판 등도 있다. 미니어처관이나 서브미니어처관은 베이스가 없이 전체가 유리로 밀봉되어 있으며, 유리에서 바로 핀이 노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5. 분류
열전자 진공관은 활성 전극의 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다이오드는 두 개의 활성 요소를 가지며 정류에 사용된다. 트라이오드는 세 개의 활성 요소를 가지며 증폭과 스위칭에 사용된다. 테트로드, 펜토드 등은 추가적인 전극을 통해 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106][107][108][109]
진공관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도 있다.
- 주파수 범위: 오디오, 라디오, 초고주파, 극초고주파, 마이크로파
- 정격 출력: 소신호, 오디오 출력, 고출력 라디오 송신
- 음극/필라멘트 종류: 간접 가열, 직접 가열, 예열 시간 (밝은 방출기, 어두운 방출기)
- 특성 곡선 설계: 급격한/원격 컷오프
- 용도: 수신, 송신, 증폭, 스위칭, 정류, 믹싱
- 특수 매개변수: 긴 수명, 낮은 마이크로포닉 감도, 저잡음 오디오 증폭, 견고한/군용 버전
- 특수 기능: 광/방사선 검출기, 비디오 이미징 튜브
- 정보 표시용: "매직아이" 튜브, 진공 형광 표시 장치, CRT
이 외에도 음극선관(텔레비전 브라운관, 전자 현미경, 전자빔 리소그래피 등), X선관, 광전관, 광전 증배관 등이 있다.
유럽에서는 전극 수에 따라 이극관을 다이오드[106], 삼극관을 트라이오드[107], 사극관을 테트로드[108], 오극관을 펜토드[109]라 부른다. 정류용 이극관은 '''렉티파이어'''[110]라고도 한다.
진공관은 소형 진공관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진공 또는 저압 공간에서 전자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소자 전체를 총칭하기도 한다(형광등 등 광원 제외). 음극선관(브라운관 등),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방사선원관(X선관), 방사선 검출관(GM계수관) 등도 진공관의 일종이다.
진공관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아래 표에 주요 진공관 종류를 나열하였다.
종류 | 명칭 |
---|---|
정류용 이극관 | 12F(K), 81, 35W4, 25M-K15, 5M-K9, 19A3, 5G-K3, 80BK, 80HK, 36AM3, 35Z5 |
정류용 쌍이극관 | 80, 5Z3, 5AR4, 5U4G(B), 6X4, 5Y3, 83, 82, 5G-K18, 5G-K20, 5G-K22 |
검파용 쌍이극관 | 6AL5 |
매직아이 | 6E5, 6M-E5, 6M-E10, 1629, 1N3, 1H3 |
전압 증폭용 삼극관 | 6C4, 76, 6J5, 6C5, 6J4, WE101D, 102D, 104D, 3A/167M |
검파용 이극 전압 증폭용 삼극관 | 75, 6Z-DH3, 6Z-DH3A |
검파용 쌍이극 전압 증폭용 삼극관 | 6AT6, 6AV6, 6BF6, 6SQ7, 6SR7 |
전압 증폭용 쌍삼극관 | 12AX7, 12AU7, 12AT7, 12BH7A, 6DJ8, 6SN7, 6SL7, 6240G, 12R-LL3, 12R-HH14, 5678, 6350, 6414, 30MC, 109C, 3A5 |
전력 증폭용 삼극관 | 10, 12A, 71A, 45, VT-52, 2A3, 6B4G, WE300B, 211, 845, 8045G, 6(50)C-A10, VT-25(A), VT-62, PX4, PX25(A), WE275A, 50, 801A, R120, Ed, EbⅢ, AD1, 6G-A4 |
전력 증폭용 쌍삼극관 | 6336A, 6080, 5998(A), 6528, 6AS7, 6C33CB, 3C33, 19, 6BX7 |
전력 증폭용 빔관 | UY-807, KT66, KT88, 6550(A), 6L6, 6V6, 6AQ5, 1619, 12A6 |
전압 증폭용 오극관 | 6C6, 6D6, 6SH7, 6SJ7, 6SK7, 6AU6, 6BA6, 6BD6, 6267, WE310A |
전력 증폭용 오극관 | 6CA7, 6BQ5, 6AR5, 42, 30A5, 50C5, 6K6, 6F6, 7189(A), 35C5, 35(50)EH5, 30M-P23, 32ET5, 34GD5, 45M-P21, 35(50)L6, 47 |
주파수 변환용 칠극관 | 6SA7, 6BE6, 6WC5, 6A7, 1R5, 18FX6 |
전압 증폭용 삼극/오극관 등 | 6U8(LD611), 6BL8, 6AN8, 6GH8(A), 6EA8, 6R-HV1, 6R-DHV1, 6R-DHV2 |
전압 증폭용 삼극/전력 증폭용 오극관 | 6BM8, 6(14)GW8, 6R-HP2, 8R-LP1, 18GV8 |
송신용 삼극관 | 3-500Z, 3-1000Z, T-307, 800, 808, 830B |
송신용 사극관 | 4CX250B |
송신용 오극관 | 6146B, S2001(A), S2002, S2003, 813 |
5. 1. 구조별 분류
- '''2극 진공관'''
- *: 다이오드(Diode)라고도 한다. 캐소드와 플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진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로 정류기나 검파기로 활용된다.[106] 정류기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바꾸어주는 장치인데, 교류를 2극 진공관에 보내면 캐소드가 음전하를 띌 때만 전류가 통과되므로, 특정 방향으로 흐를 때만 2극 진공관을 통과할 수 있으며, 통과 후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직류 전류가 된다. 이것을 정류 작용이라고 한다. 검파기에서는 2극 진공관이 전파의 약한 교류를 직류로 바꾸고, 이 직류를 통하여 수신기에서 소리와 영상을 내보낸다.
- '''3극 진공관'''
- *: 트라이오드(Triode)라고도 한다. 2극 진공관에 그리드가 추가된 형태로, 이 그리드가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107] 처음 그리드에 전압을 걸어주면 전자가 그리드에서 되돌아가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여기에 그리드의 전압을 낮추면 낮출수록, 플레이트로 흐르는 전자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진공관을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리드의 작은 전압의 변화가 플레이트 전류의 큰 변화가 나타나는데, 이를 증폭 작용이라고 한다. 증폭 작용 이외에 고주파 전류를 만들어내는 발진 작용, 고주파 전류에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가 적은 저주파 전류를 가려내는 검파 작용도 한다.
- '''4극 진공관'''
- *: 테트로드(Tetrode)라고도 부른다.[108] 그리드와 플레이트 사이에 스크린(screen) 그리드가 있는 형태다. 여기에 양전압(+)을 걸면 전자가 가속되는 효과가 나온다. 다만, 스크린 그리드를 통해 가속된 전자가 플레이트와 충돌하여 2차 전자가 방출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 '''5극 진공관'''
- *: 펜토드(Pentode)라고도 하며, 서프레서(suppressor) 그리드가 더 추가된 형태이다.[109] 서프레서에 음전압을 걸어 2차 전자를 플레이트로 돌려내는 형태를 가진다. 4극관의 문제를 개선한 형태로 전력 증폭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 '''빔관'''
- *: 빔 테트로드(Beam Tetrode)라고 부른다. 1936년에 RCA가 발표하였다. 5극관과 달리 서프레서 그리드가 캐소드와 연결된 형태로 2차 전자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5극 진공관보다 더 효율이 좋아서 오디오용 고출력으로 많이 쓰인다.
- '''음극선관'''
- *: 브라운관이라고도 한다. 진공관의 원리를 응용하여 시각을 표현해주는 장비이다. 음극선관의 앞면은 원형과 사각형의 큰 화면이고, 반대편은 좁은 부분으로 전자총이 있다. 전자총에서 나간 전자가 자기장에 의해 휘어서 그림자 마스크의 한 부분에 부딪히면서 빛을 낸다.
- '''마이크로파 진공관'''
- *: 고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만들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클라이스트론, 마그네트론, 진행파관 등이 있다.
- '''가스진공관'''
- *: 진공관 안에 아르곤, 수은 증기, 네온 등의 기체가 소량으로 들어있는데, 이 기체는 진공관에 흐르는 전자의 양을 높인다. 기체의 원자에 있는 전자가 빠져나가 이온화되면 양전화를 띄게 되어 더 많은 전자가 이동된다. 사이러트론 등이 있다.
5. 2. 기능별 분류 (영어 위키 참고)
진공관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기능별 분류
- 주파수 범위별:
- 오디오 주파수: 주로 음성 및 음악 증폭에 사용된다.
- 라디오 주파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신호 처리에 사용된다.
- 초고주파: 레이더 및 위성 통신과 같이 매우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된다.
- 극초고주파: 극초단파 통신 및 특수 장비에 사용된다.
- 마이크로파: 전자레인지, 레이더 등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사용된다.
- 정격 출력별:
- 소신호: 주로 신호 증폭 및 처리에 사용된다.
- 오디오 출력: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한 오디오 증폭에 사용된다.
- 고출력 라디오 송신: 라디오 방송 송출과 같이 높은 전력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 음극/필라멘트 종류별:
- 간접 가열: 히터가 음극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 직접 가열: 필라멘트 자체가 음극 역할을 하며, 빠른 예열이 가능하다.
- 예열 시간: 예열 시간에 따라 "밝은 방출기", "어두운 방출기" 등으로 구분된다.
- 특성 곡선 설계별:
- 급격한/원격 컷오프: 증폭 특성에 따라 분류된다.
- 용도별:
- 수신: 라디오, 텔레비전 등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 송신: 라디오 방송, 무선 통신 등에서 신호를 송출하는 데 사용된다.
- 증폭: 신호의 크기를 확대하는 데 사용된다.
- 스위칭: 회로를 열고 닫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 정류: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 믹싱: 여러 신호를 혼합하는 데 사용된다.
- 특수 매개변수별:
- 긴 수명: 장시간 사용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 낮은 마이크로포닉 감도: 진동에 민감하지 않아 안정적인 동작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 저잡음 오디오 증폭: 고품질 오디오 증폭에 사용된다.
- 견고한/군용 버전: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하는 군용 장비에 사용된다.
- 특수 기능별:
- 광/방사선 검출기: 빛이나 방사선을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 비디오 이미징 튜브: 영상을 촬영하고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 정보 표시용:
- 매직아이 튜브: 신호 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 진공 형광 표시 장치: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 음극선관: 텔레비전, 오실로스코프 등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외에도 음극선관(텔레비전 브라운관, 전자 현미경, 전자빔 리소그래피 등), X선관, 광전관, 광전 증배관 등 다양한 종류의 진공관이 존재한다.
6. 특징
트랜지스터가 발명된 이후 진공관은 대부분의 분야에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일부 트랜지스터로 대체하기 어려운 분야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진공관은 트랜지스터에 비해 제조가 어렵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1960년대부터 트랜지스터로 점차 대체되었다.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수신기 등 주요 회로에 진공관을 사용하던 제품들은 1970년대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하지만 고주파 대전력(10GHz・1kW 이상)을 필요로 하는 AM 라디오 방송 송신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여전히 진공관이 사용된다. AM 라디오 방송 송신에는 100kW~1000kW급 출력을 낼 때 30kV의 고전압 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트랜지스터는 대역폭과 작동 전압이 낮아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브라운관,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진공관이 사용되며, 강력한 전자파를 만들어내는 자전관은 레이다나 전자레인지에 사용된다. 특히 자전관은 대량 생산되는 유일한 진공관이다.
오디오 애호가들은 진공관 앰프가 독특한 음질을 낸다고 평가하여 고급 오디오 앰프에 진공관을 사용하기도 한다. 진공관 앰프는 트랜지스터 앰프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만들기 쉬워 개인이 직접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오디오용 진공관은 중국 등에서 여전히 제조되고 있으며, 일부 방송국이나 의료기기용으로도 극소수 제조된다.
진공관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6. 1. 장점
- 캐리어가 자유 공간 중의 전자이기 때문에 캐리어 이동도가 높다.
- 강전계가 진공 중에 가해지기 때문에, 구조에 따라 높은 내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
- 구조가 단순하고, 절연 파괴 등에 의한 비가역적인 손상이 적다(극히 짧은 시간이라면 정격을 약간 초과해도 파손되기 어렵다). 이 특징을 이용하여, 군사 시설 등에서 EMP 공격에 의한 과부하가 예상되는 곳에 반도체 대신 진공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6. 2. 단점
다음은 진공관의 단점이다.- 원리적으로 열전자원(필라멘트나 히터)이 필요해서 소비 전력이 크고, 열이 많이 난다. 이 때문에 진공관을 이용하는 장치에서 장시간 가동을 하기 위해서 별도의 냉각 장치를 달기도 한다.[52]
- 열전자원의 수명이 비교적 짧다(수천 시간 정도). 그래서 기판에 바로 장착하는 방식이 아닌 소켓을 이용하여 교환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방식을 써야 했고, 작동 중에 진공관을 교체하는 일이 빈번하다.[52]
- 크기를 줄이기 쉽지 않고 내진성에 문제가 있다. 특히 고출력을 내는 진공관은 크기가 매우 커지기 때문에, 과거 진공관을 통해 컴퓨터를 제조했을 때 어마어마한 크기를 요구하였다.[52]
- 외부 환경에 매우 취약하다. 열전자원을 가열할 때 겨울 등 저온 환경에서는 가열이 제대로 안 되어 작동을 못 하기도 하고, 여름 등 고온 환경에서는 과열되어 진공관이 쉽게 파손되기도 한다.[52]
- 트랜지스터에 견주어 소자 단가가 비싸다.[52]
7. 동작 원리
에디슨이 전구를 실험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에디슨 효과는 진공관 개발의 단서가 되었다. 영국의 플레밍은 1904년에 최초의 진공관인 이극 진공관을 발명했고, 미국의 디포리스트는 1906년 삼극 진공관을 발명했다.
진공관은 유리관 안에 금속 전극이 들어있는 구조이다. 전극은 전자의 흐름을 조절하며, 캐소드, 플레이트, 그리드로 구성된다.
- 캐소드(Cathode): 전류가 흘러 가열되면 열전자를 방출한다. 음전하(-)를 띠며, 같은 극성인 전자를 밀어낸다. 필라멘트 자체가 캐소드인 '직열식'과 히터로 가열되는 '방열식'이 있다.
- 플레이트(Plate) (또는 어노드(Anode)):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를 받아들인다. 양전하(+)를 띠어 전자를 끌어당긴다.
- 그리드(Grid): 3극 이상의 진공관에 있으며, 캐소드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전자의 흐름을 제어한다. 4극 진공관에는 스크린(screen), 5극 진공관에는 서프레서(suppressor)가 추가된다.
- 게터(Getter): 진공관 내부의 잔류 기체를 흡수하는 물질이다. 게터 미러(Getter mirror)와 게터 링(Getter Ring)이 있다.
- 스페이서(spacer): 진공관 내부 부품들을 절연, 고정하는 얇은 원형 절연체이다.
- 베이스(Base): 진공관 하단에 핀이 위치한 부분이다.
초기 진공관은 백열전구와 유사하게 전구 제조업체에서 생산되었다. 1915년 확산 펌프 개발로 고진공관이 개발되었고, 이후 전문 제조업체들이 등장했다. 산화물 코팅 필라멘트 개발로 작동 온도가 낮아져 진공관 구조가 개선되고 성능이 향상되었다.
진공관 작동 시 발생하는 열은 적외선 복사, 공기 대류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60] 고출력 진공관은 냉각을 위해 더 큰 외장이나 외부 냉각 장치가 필요하다. 수냉식 진공관의 경우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누전을 방지한다.
스크린 그리드도 열을 발생시키며, 과도한 열 발생은 진공관 고장의 원인이 된다.
7. 1. 이극 진공관의 정류 작용
이극 진공관(이극관)은 유리관 내부에 '''필라멘트'''(전기 저항이 비교적 큰 전선으로, 양단을 외부로 빼낸 것)와 필라멘트에 마주 보는 판 모양의 전극(양극, 모양 때문에 '''플레이트'''라고 부름)을 봉입한 것이다.진공 상태에서 필라멘트 전극(음극, 캐소드)에 전류를 흘리면 가열되어 열전자가 방출된다. 이때 필라멘트를 기준으로 플레이트에 양전압을 가하면 방출된 열전자는 양전하에 이끌려 양극 쪽으로 날아가 전자의 흐름, 즉 플레이트에서 필라멘트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반대로 플레이트에 음전압을 가하면 열전자는 음전하에 반발하여 플레이트에 도달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극관은 플레이트에서 필라멘트로 향하는 전류만 통과시키므로 정류 작용을 한다.
개략도에서는 전극이 병렬로 그려져 있지만, 실제 제품은 필라멘트를 둘러싸는 원통형 플레이트를 가진 구조가 일반적이다.
7. 2. 삼극 진공관의 증폭 작용
이극관의 필라멘트(음극)와 플레이트(양극) 사이에 거친 그물 모양의 전극(격자)을 배치한 것이 삼극진공관이다. 삼극진공관에서 격자는 음극에 대한 전위를 변화시킴으로써 음극-양극 간 가속 전계를 증강 또는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극관과 마찬가지로, 플레이트에 양전압이 가해지면 음극에서 방출된 열전자가 플레이트에 도달한다. 이때 일부 열전자는 격자에 끌어당겨지지만, 많은 전자는 격자를 통과하여 가속된다. 격자에 가해지는 전압의 변화(입력 신호)를 플레이트에서 전류의 변화(출력 신호)로 꺼냄으로써 신호 증폭이 가능해진다.
7. 3. 사극 및 오극 진공관
삼극 진공관의 증폭률을 높이기 위해 그리드와 플레이트 사이에 제2 그리드(스크린 그리드)를 설치하고 양의 전압을 가한 것을 '''사극 진공관'''이라고 부른다. 제2 그리드는 플레이트와 그리드 사이를 정전 차폐하고, 분포 용량을 작게 하는 역할도 한다.[64]하지만 사극 진공관은 음극에서 플레이트로 도달한 전자가 플레이트에서 반사 방출되는 이차 전자가 제2 그리드에 흡수되어 전위가 변화하고 증폭 특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 때문에 안정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 그리드와 플레이트 사이에 제3 그리드(억압 그리드)를 설치하고 음극 또는 접지에 연결한 것을 '''오극 진공관'''이라고 부른다. 플레이트에서 반사 방출된 전자는 제3 그리드에 의해 다시 반발되기 때문에 이차 전자의 영향이 거의 없는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해진다.[64]
사극 진공관의 제1 그리드와 제2 그리드의 위치를 조정하여 전자가 한 점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이차 전자의 영향을 줄인 '''빔 진공관'''도 개발되었다. 빔 진공관은 고효율 동작이 가능하여 전력 증폭에 많이 사용된다. 다만, 동작 시 플레이트 전류가 적을 경우에는 이차 전자의 영향이 적지 않아 특성 변동을 피할 수 없다.[64]
8. 전원
에디슨이 전구 실험 과정에서 발견한 에디슨 효과는 플레밍의 이극 진공관(1904년)과 디포리스트의 삼극 진공관(1906년) 발명의 단서가 되었다.[51] 진공관은 플레이트와 캐소드 사이에 높은 직류 전압(B전원)이 필요하고, 히터 등에는 낮은 전압(A전원)이 필요하며, 전력 증폭용 진공관의 그리드 바이어스용 전원은 C전원이라고 한다.
초기 진공관 라디오 수신기에는 B전원으로 축전지나 건전지를 직렬 연결하여 사용했다. 이후 교류 배전이 보급되면서 변압기(트랜스)를 통해 전등선 전압을 높여 정류하는 방식으로 B전원을 공급하게 되었다. 휴대용 라디오에는 B전지로 67.5V 또는 45V 건전지가 사용되었으나, 현재 일본에서는 생산이 중단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에서는 금속 재료 부족으로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는 트랜스리스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는 진공관 히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등선 전압에 맞추고, 전등선을 직접 정류하여 B전원을 얻는 방식이다.
8. 1. 초기 진공관 전원
초기 라디오 수신기에서는 진공관 작동을 위해 여러 개의 배터리가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다른 전압이 필요했고, 이를 위해 A, B, C 배터리로 지정된 세 가지 다른 배터리를 사용했다.- "A" 배터리 (LT, 저전압)는 필라멘트 전압을 제공했다.
- "B" 배터리 (HT, 고전압)는 양극(플레이트)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제공했다.
- 초기 수신기는 그리드 바이어스 배터리 ("C" 배터리)를 사용하여 ''음의'' 전압을 제공했다.

진공관은 그 원리상 플레이트와 캐소드 사이에 반드시 높은 직류 전압이 필요한데, 이 전원을 B전원이라고 한다.[51] 히터 등에는 낮은 전압이 필요하며, 이 전원을 A전원이라고 한다. 전력 증폭용 진공관의 그리드 전압을 위해 사용되는 바이어스용 전원은 C전원이라고 한다.
A, B로 크게 나누는 전원의 명칭은 회로상의 직류 전원 계통 분류에서 유래하며, 1926년 라디오 뉴스에서 명칭 통일이 이루어졌다. 초기 진공관은 모두 직류 전원으로 작동했지만, 방열형 진공관이 등장하면서 히터 전원은 교류로도 작동하게 되었다. 진공관의 단점 중 하나는 히터(필라멘트)의 수명과 전력 증폭용 진공관에서 히터 전류를 많이 필요로 한다는 점이었다. 1970년대까지 진공관을 사용한 아마추어 무선용 무선기에는 "POWER"와 "HEATER" 스위치가 있었다.
초기 가정용 진공관 수신기는 B전원으로 많은 축전지나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했다. 이후 교류 배전의 보급에 따라 전등선에서 얻을 수 있는 전력을 변압기로 승압하여 사용하면서 B전원 문제가 해결되었다.
하지만 휴대용 라디오 수신기에서는 B전원으로 67.5V 또는 45V의 건전지가 사용되었다. 이를 B전지라고 불렀다. 1990년대까지 FDK(후지쓰)가 제조했지만, 현재 일본 국내에서는 생산이 중단되었다. 일본 국외에서는 에버레디 등에서 생산되고 있지만, 일본 국내에서의 입수는 어렵다. 아마추어들은 트랜지스터 라디오용 006P 전지(9V)나 3V 리튬 전지를 여러 개 사용하여 대용하기도 한다. A전지, C전지는 1.5V~6V가 많고 일반적인 단1형이나 단2형이 사용되었다.
67.5V 전압은 1926년 클라이드 피치(Clyde Fitch)의 "battery coupled audio amplifier"에서 플레이트용 전원으로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에서는 금속 재료 부족으로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는 트랜스리스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는 진공관 히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등선 전압에 맞추고, 전등선을 직접 정류하여 B전원을 얻는 방식이다.
8. 2. 교류 전원 사용
초기 진공관은 모두 직류 전원으로 작동했지만, 이후 히터에 저압 교류를 사용할 수 있는 방열형 진공관이 등장하면서 교류 작동이 널리 보급되었다. 이에 따라 히터 작동을 위한 저압 교류 또는 직류 전원을 히터 전원이라고 별도로 불렀다.진공관은 플레이트와 캐소드 사이에 높은 직류 전압이 필요하며, 이를 공급하는 전원을 B전원이라고 불렀다.[51] 히터 등에는 낮은 전압이 필요했는데, 이 전원을 A전원이라고 불렀다. 전력 증폭용 진공관의 그리드 전압을 음으로 유지하기 위한 바이어스용 전원은 C전원이라고 했다.
초기 가정용 진공관 수신기는 B전원으로 축전지나 건전지를 직렬 연결하여 사용했다. 이후 교류 배전이 보급되면서 변압기(트랜스)를 통해 전등선 전압을 높여 정류하는 방식으로 B전원을 공급하게 되었다.
휴대용 라디오 수신기에는 비교적 낮은 전압으로 작동하는 진공관이 개발되었고, 휴대 기기용으로 소형, 저전력의 '전지관'이 개발되면서 67.5V 또는 45V 건전지가 B전원으로 사용되었다. 이를 B전지라고 불렀으며, 1990년대까지 FDK(후지쓰)에서 제조했으나 현재는 일본 국내에서 생산이 중단되었다. A전지와 C전지는 1.5V~6V로, 주로 단1형이나 단2형 건전지가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에서는 금속 재료 부족으로 변압기 사용이 제한되면서, 트랜스리스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 방식은 진공관 히터를 직렬 연결하여 전등선 전압에 맞추고, 전등선 전압을 직접 정류하여 B전원을 얻는 방식이었다. 감전 위험과 히터 수명 단축 등의 단점이 있었지만, 전후 진공관 품질 향상으로 소형, 경량화를 위해 1950년대 후반까지 가정용 라디오 수신기에 많이 사용되었다.
9. 오디오 및 악기용 앰프에서의 활용
오디오 매니아(オーディオマニア)나 왜곡도 음색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악기용 앰프에서는 오늘날에도 비교적 많은 진공관이 사용된다. 오디오용 진공관은 전축(전기식 축음기(蓄音機))의 수요에 의해 1927년에 개발된 출력관 UX-250('''´50''')에 시초를 갖는다(기타 앰프용 진공관(ギター・アンプ用真空管) 참조).
진공관 제조 공장에서는 전수 특성 검사를 하여 합격품만 출하한다. 그러나 21세기 이후 오디오용 진공관은 고급 지향이 되어, 합격품을 세트 메이커나 상사가 특성 검사로 선별하여 판매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특히 기타 앰프용 진공관에서 현저하다). 이러한 공급사는 미국을 중심으로 다수 존재하며, 대표적인 곳은 그루브 튜브즈사나 루비사 등이다. 이들 공급사 고유의 규격에 따라 재검사(선별)가 이루어지고, 합격품은 그 공급사 브랜드로 주로 악기점에서 판매된다(인터넷 등에서의 통신 판매도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급사 규격은 매우 엄격하게 설정되어 있고, 선별 누락된 제품도 충분히 실용 가능하기 때문에(원래 제조 공장에서 합격품이므로), 아키하바라의 다른 가게 등에서 판매되기도 한다. 그러나 선별 누락된 오디오용 진공관과 합격품을 비교하면, 미묘한 음질 차이가 청감상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푸시풀 증폭 회로에서는 특성이 대략 일치하는 2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조 공장·상사·판매점 어디에서든 특성이 가까운 것을 선별하여 2개 1세트로 판매한다. 이를 페어 튜브(페어 트론) 등으로 부른다.
진공관은 강한 진동, 충격에 의해 내부 전극 위치가 바뀌고, 특성이 변할 수 있다. 특히 구형 진공관이나 정밀한 내부 구조를 가진 것 등은 내부에서 전극이나 히터가 닿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대형 송신관, 광전자 증배관 등은 수송 시 포장이 특히 엄중하다.
수송 중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통전 사용 중에는 더욱 진동·충격에 약하다.
일반적으로 소형 유리제 오디오용 진공관은 백열전구처럼 납유리 또는 석회유리로 만들어진 것이 많고, 대개 1950년대를 경계로 유리관 만들기(특히 유리 두께) 관리와 검사가 철저해졌기 때문에 오디오용 진공관에서는 거의 걱정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1950년대 이전에 제조된 오래된 진공관을 사용할 경우, 유리 두께에 편차가 있을 수 있으며, 맨손으로 유리면을 만지는 등 하여 유지 오염을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하면 깨질 수 있다.[131]
진공관 특성이 안정될 때까지는 어느 정도 사용이 필요하므로, 직류 증폭기 등 정밀한 조정이 필요한 회로에 신품 진공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동안 사용하여 특성이 안정된 후 사용자 측에서 회로 재조정을 해야 한다. 진공관 특성을 안정시키기 위해 진공관을 일정한 조건으로 사용 상태에 두는 것을 “에이징(エージング)”이라 한다. 거의 모든 진공관은 공장 출하 시 규정 에이징을 완료하고, 즉시 성능이 거의 발휘되도록 되어 있지만, 정밀하고 섬세한 성능을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에 탑재하여 단시간 에이징을 하고, 특성이 안정된 후 회로 미세 조정을 한다. 하지만 통상 진공관 앰프에서는 이를 요구하는 경우는 적다.
9. 1. 진공관 앰프의 특징
오디오 매니아(オーディオマニア)들은 진공관 앰프 특유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선호한다. 진공관 앰프는 과부하 시 발생하는 왜곡이 독특한 음색을 만들어내어 악기용 앰프로도 많이 사용된다.

진공관 앰프 소리의 특징에 대한 여러 설이 있다. 과거 유력했던 설은 진공관이 배음(고조파 왜곡)의 홀수 배 주파수인 “홀수차 고조파 왜곡”을 줄여, 상대적으로 짝수 배 주파수인 “짝수차 고조파 왜곡”이 증가한다는 주장이었다. 짝수차 고조파 왜곡은 악기나 자연계 소리에 많이 포함되어, 사람 귀에 자연스럽거나 생생하게 들린다. 반면 홀수차 고조파 왜곡은 불쾌하거나 금속적으로 들리는 주파수로, 트랜지스터 앰프 소리에는 홀수 배 주파수가 진공관 앰프보다 많이 포함되어 “진공관 앰프는 좋은 소리를 낸다”는 것이 애호가들의 주장이었다.
하지만 현재 트랜지스터 앰프나 디지털 앰프는 왜곡률(歪率) 자체가 진공관 앰프보다 훨씬 작고, 진공관 앰프에서도 푸시풀 회로는 홀수차 왜곡이 더 우세하여 “진공관식 푸시풀 앰프는 좋은 소리를 낸다”는 설명은 어렵다. 소리 취향은 사람마다 다르며, 진공관 앰프 소리도 트랜지스터 앰프나 디지털 앰프 애호가로부터 나쁜 소리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일반적인 앰프 특성 평가 항목인 직사각형파 응답 특성, 왜곡률(歪率), 주파수 응답 특성 등에서 트랜지스터 앰프나 디지털 앰프가 우수함에도, “좋다”고 느끼는 애호가도 많다. 인간 청각 특성과 개인 취향에 의존하는 오디오 앰프는, 진공관 사용이 트랜지스터보다 간단한 구조로 “취향에 맞는 소리”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몇 단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증폭 회로에서도 오디오용 진공관은, 특히 직선 증폭 범위를 넘는 입력(과다 입력)에 대해 독특한 왜곡 출력을 얻을 수 있어, 기타 앰프에서는 세미 프로~프로용의 많은 기종이 진공관 방식을 채용한다.
9. 2. 오디오용 진공관 생산
오디오 매니아(オーディオマニア)의 기기나, 왜곡도 음색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악기용 앰프에서는 오늘날에도 비교적 많은 진공관이 사용된다. 오디오용 진공관은 전축(전기식 축음기(蓄音機))의 수요에 의해 1927년에 개발된 출력관 UX-250('''´50''')에 시초를 갖는다(기타 앰프용 진공관(ギター・アンプ用真空管) 참조).
진공관 앰프의 소리가 “좋다”고 느껴지는 원인에는 여러 설이 있다. 과거 가장 유력했던 설은 진공관이 배음(고조파 왜곡)의 홀수 배 주파수인 “홀수차 고조파 왜곡”을 줄인다는 주장이었다. 그 주장에 따르면, 홀수차 고조파 왜곡이 줄어든 결과, 상대적으로 짝수 배 주파수인 “짝수차 고조파 왜곡”이 증가한다. 짝수차 고조파 왜곡은 악기나 자연계 소리에 많이 포함되는 주파수로, 짝수차 고조파 왜곡이 많으면 소리가 사람 귀에 자연스럽거나 생생하게 들린다. 한편, 홀수차 고조파 왜곡은 사람 귀에 불쾌하거나 금속적으로 들리는 주파수로, 트랜지스터 앰프 소리에는 홀수 배 주파수가 진공관 앰프 소리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진공관 앰프는 좋은 소리를 낸다”는 것이 애호가들의 주장이었다. 하지만, 현재 트랜지스터 앰프나 디지털 앰프는 왜곡률(歪率)의 절대값 자체가 진공관 앰프보다 훨씬 작고, 진공관 앰프에서도 푸시풀 회로를 사용하면 홀수차 왜곡이 더 우세하기 때문에 “진공관식 푸시풀 앰프는 좋은 소리를 낸다”는 설명은 불가능하다. 소리 취향은 사람마다 다르며, 진공관 앰프 소리도 예외는 아니어서 트랜지스터 앰프나 디지털 앰프 애호가들은 반대로 나쁜 소리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앰프 특성 평가 항목인 직사각형파 응답 특성, 왜곡률(歪率), 주파수 응답 특성 등에서 트랜지스터 앰프나 디지털 앰프가 분명히 우수한 경우에도, 들어보면 “좋다”고 느끼는 애호가도 많다. 이처럼 인간 청각 특성과 개인 취향에 크게 의존하는 오디오 앰프는 21세기에도 오디오용 진공관을 사용하는 편이 트랜지스터보다 간단한 구조로 “취향에 맞는 소리”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으며, 자작 오디오 매니아(オーディオマニア)가 진공관 앰프를 직접 만드는 예도 자주 볼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용 진공관은 중국이나 동유럽 여러 나라에서 2013년 현재도 제조가 계속되고 있을 뿐 아니라, 2010년에 일본 고츠키 전기공업(高槻電器工業)이 35년 만에 TA-300B, TA-274B로 생산을 재개했고, 2015년에는 일본 코르그(コルグ)와 노리타케 이세 전자(ノリタケ伊勢電子)가 공동 개발한 형광 표시관(蛍光表示管) 기술 기반 신형 진공관 “Nutube(Nutube)”가 발표되었다.
몇 단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 증폭 회로에서도 오디오용 진공관을 사용하면, 특히 직선 증폭 범위를 넘는 입력(과다 입력)에 대해 독특한 왜곡 출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기타 앰프에서는 세미 프로~프로용 많은 기종이 진공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21세기에도 러시아(리플렉터 JSC나 스베트라나 JSC), 슬로바키아(JJ-일렉트로닉사), 중국(사) 등에서 계속 양산하며 생산량은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오디오용 진공관 일부에는, 형번은 같아도 오리지널보다 최대 정격(특히 플레이트 손실, 플레이트 전압 등)이 개선된 제품이 공급되고 있다. 하지만, 장기 신뢰성이나 잔류 노이즈 등은 거의 개선되지 않았고, 오히려 오리지널보다 열등한 것도 있다. 오디오용 진공관은 전성기에 가정용 오디오 세트부터 통신·방송 기기, 군사·의료용 등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까지 범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21세기에는 취미, 기호품 용도가 대부분이다.
공업 제품인 이상, 진공관은 같은 형번이어도 특성 편차가 있지만, 반도체 제조만큼 큰 제품 편차 폭은 아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처럼 제조 후 증폭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출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 기기 측, 즉 기기 설계 단계에서 그 편차를 고려하여 회로에 여유를 주고, 필요한 조정 부분을 설치한다. 전성기에는 신뢰성(수명·내진성 등), 잔류 노이즈·히터 시동 시간 규정 등에 따라 같은 형번 진공관이라도 가지 번호를 붙이거나 용도를 기재하여 판매했다(예: “통신용”은 로트/라인 관리로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 ""는 주로 로우 노이즈 관). 진공관은 사용에 따라 히터는 백열전구처럼 소모되고, 캐소드 방출(전자 방출량) 특성은 점차 감소하며, 관내 진공도는 저하되고, 전극 봉합 부분 절연은 저하되는 등 특성이 변화(열화)한다. 따라서 많은 진공관이 실용에 제공되었던 당시, 업무 용도에서는 튜브 테스터(튜브 체커, 진공관 시험기)라는 전용 측정기를 갖추고, 정기적으로 특성(소모도)을 확인하면서 사용했다. 2013년 현재도 같은 형번 진공관에서 제조사 차이 등에 따른 우열을 말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제조사나 공급사 선별 기준(개체 차이를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가) 외에, 원래 진공관 사용 재료 등에 기인하는 특성 변화 정도나 수명 장단을 가리키는 평가도 포함되어 있다.
진공관 제조 공장에서는 전수 특성 검사를 하여 합격품만 출하한다. 그러나 21세기 이후 오디오용 진공관은 고급 지향이 되어, 합격품을 세트 메이커나 상사가 특성 검사로 선별하여 판매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특히 기타 앰프용 진공관에서 현저). 이러한 공급사는 미국을 중심으로 다수 존재하고, 대표적인 것은 그루브 튜브즈사나 루비사 등이다. 이들 공급사 고유 규격에 따라 재검사(선별)가 이루어지고, 합격품은 그 공급사 브랜드로 주로 악기점에서 판매된다(인터넷 등 통신 판매도 행해짐). 일반적으로 공급사 규격은 매우 엄격하게 설정되어 있고, 선별 누락된 제품도 충분히 실용 가능하기 때문에(원래 제조 공장에서 합격품이므로), 아키하바라 다른 가게 등에서 판매되기도 한다. 그러나 선별 누락된 오디오용 진공관과 합격품을 비교하면, 미묘한 음질 차이가 청감상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푸시풀 증폭 회로에서는 특성이 대략 일치하는 2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조 공장·상사·판매점 어디에서든 특성이 가까운 것을 선별하여 2개 1세트로 판매한다. 이것을 페어 튜브(페어 트론) 등으로 부른다.
진공관은 강한 진동, 충격에 의해 내부 전극 위치가 바뀌고, 특성이 변할 수 있다. 특히 구형 진공관이나 정밀한 내부 구조를 가진 것 등은 내부에서 전극이나 히터가 닿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대형 송신관, 광전자 증배관 등은 수송 시 포장이 특히 엄중하다.
수송 중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통전 사용 중에는 더욱 진동·충격에 약하다.
일반적으로 소형 유리제 오디오용 진공관은 백열전구처럼 납유리 또는 석회유리로 만들어진 것이 많고, 대개 1950년대를 경계로 유리관 만들기(특히 유리 두께) 관리와 검사가 철저해졌기 때문에 오디오용 진공관에서는 거의 걱정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1950년대 이전에 제조된 오래된 진공관을 사용할 경우, 유리 두께에 편차가 있는 것이 있으며, 맨손으로 유리면을 만지는 등 하여 유지 오염을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하면 깨지는 경우가 있다[131]. 진공관 특성이 안정될 때까지는 어느 정도 사용이 필요하므로, 직류 증폭기 등 정밀한 조정이 필요한 회로에 신품 진공관을 사용할 경우, 한동안 사용하여 특성이 안정된 후, 사용자 측에서 회로 재조정을 해야 한다. 진공관 특성을 안정시키기 위해 진공관을 일정한 조건으로 사용 상태에 두는 것을 “에이징(エージング)”이라 한다. 거의 모든 진공관은 공장 출하 시 규정 에이징을 완료하고, 즉시 성능이 거의 발휘되도록 되어 있지만, 정밀하고 섬세한 성능을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에 탑재하여 단시간 에이징을 하고, 특성이 안정된 후 회로 미세 조정을 한다. 하지만 통상 진공관 앰프에서는 이것을 요구하는 경우는 적다.
10. 고신뢰관
고신뢰관은 군용, 의료용, 통신용 등 특수한 용도를 위해 신뢰성을 높인 진공관이다. 일반 진공관보다 수명이 길고, 잡음이 적으며, 기계적 강도가 높다.[66] 군용 고신뢰관은 숫자(예: 6BA6는 5749)나 W(견뢰관) 등의 기호로 표시된다.
군용 고신뢰관은 무지 상자에 진공관 명칭, 제조업체명, 제조국, 포장일, 주문처 등이 명기되며, 난수 형태의 숫자 코드가 함께 적혀 있다. 미군용은 JAN 규격(예: JAN 5749W), 영국군용은 CV 규격을 따른다. 주문처는 기지나 부대 코드 외에, 공군에서는 P-51 머스탱과 같은 기체명과 기체 번호가 적히기도 한다. 포장일은 OCT1951이나 89/02 등으로 표시된다. 군용관은 여러 제조업체의 입찰을 통해 발주되므로, 상자 안의 진공관 제조업체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매우 드물게, 항공 검사 또는 벚꽃 마크에 항공 검사가 인쇄된 NOS(New Old Stock) 진공관이 유통되는데, 이는 항공기용 또는 항공자위대에서 추가 선별한 것이다. 일본방송협회(NHK)가 인쇄된 진공관도 방송 장비용으로 선별된 것이다. 이러한 방출품은 헐값부터 오디오용 페어관 수준의 고가까지 다양하다.
일반용 고신뢰관에는 아마추어 무선용 통신용, 측정기용 측정용, 통측용(通測用), 오디오용 하이파이(Hi-Fi), 하이-S(Hi-S) 등이 있으며, 단순히 '고신뢰'라고 표기되기도 한다. 동시바(TOSHIBA), 마쓰시타(松下), 텐(TEN) 등에서 판매되었으며, 가격은 일반용과 큰 차이가 없었다. 2013년 현재 판매 가격도 오디오용을 제외하고는 범용(일반 진공관)과 큰 차이가 없다.
진공관 명칭 끝에 붙는 기호 중 W는 견뢰관, A는 방열관(傍熱管)에서 히터가 13초 만에 완전히 점등되는 것을 나타낸다(예: 12AU7A). 이러한 고신뢰관은 다른 용도로 사용해도 문제없다.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Electron Tubes
http://www.tubebooks[...]
Literary Licensing, LLC
[2]
서적
Fundamental Amplifier Techniques with Electron Tubes: Theory and Practice with Design Methods for Self Construction
Elektor Electronics
[3]
웹사이트
RCA Electron Tube 6BN6/6KS6
https://www.amazon.c[...]
2015-04-13
[4]
서적
Englishes Around the World: General studies, British Isles, North America
John Benjamins Publishing
[5]
서적
Crystal Fire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 Inc
2021-10
[6]
서적
The Penguin Encyclopedia of Modern Warfare: 1850 to the present day
Viking
[7]
서적
Electronics: A General Introduction for the Non-Specialist
Springer
2013
[8]
학술지
Triode amplifiers in the frequency range 100 Mc/s to 420 Mc/s
https://ieeexplore.i[...]
[9]
서적
Innovation and the Communications Revolution: From the Victorian Pioneers to Broadband Internet
https://books.google[...]
IET
2002
[10]
서적
History of electron tubes
https://books.google[...]
Ohmsha
1994
[11]
서적
Magnetism and Electricity
https://archive.org/[...]
William Collins, Sons, & Co.
1876
[12]
특허
Electrical Indicator
1884
[13]
서적
Memories of a Scientific Life
https://archive.org/[...]
Marshall, Morgan & Scott, Ltd
1934
[14]
학술지
The age of vacuum tubes: Early devices and the rise of radio communications
2012
[15]
웹사이트
United States Early Radio History
https://earlyradiohi[...]
[16]
웹사이트
Mazda Valves
http://www.vintage-t[...]
2017-01-12
[17]
서적
https://archive.org/[...]
1934
[18]
잡지
World of Wireless
https://worldradiohi[...]
1954-09-00
[19]
특허
Instrument for Converting Alternating Electric Currents into Continuous Currents
https://patentimages[...]
1905
[20]
서적
Manual of Wireless Telegraphy for the use of Naval Electricians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1911
[21]
서적
Direction and Position Finding by Wireless
https://archive.org/[...]
The Wireless Press, Ltd
1922
[22]
웹사이트
Robert von Lieben – Patent Nr 179807 Dated November 19, 1906
http://www.hts-homep[...]
Kaiserliches Patentamt
1906-11-19
[23]
간행물
Birth of the Electron Tube Amplifier
https://worldradiohi[...]
Ziff-Davis
1957-03-00
[24]
서적
The Thermionic Valve and its Developments in Radiotelegraphy and Telephony
https://archive.org/[...]
The Wireless Press Ltd
1919
[25]
웹사이트
AT&T Labs Research {{pipe}} AT&T
http://www.corp.att.[...]
2015-00-00
[26]
서적
Radio Engineer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ensor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Artech House
2003
[27]
웹사이트
General Electric Research Lab History
http://edisontechcen[...]
2015-00-00
[28]
서적
Basic Principles of Electronics, Vol. 1 Thermionics
Pergamon Press
1966
[29]
서적
Basic Theory and Application of Electron Tubes
https://archive.org/[...]
USGPO
1952
[30]
논문
The age of vacuum tubes: the conquest of analog communications
2012-00-00
[31]
간행물
The Shielded Plate Valve as a High-Frequency Amplifier
https://worldradiohi[...]
1927-10
[32]
서적
Electronic Designers' Handbook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57
[33]
서적
British Radio Valves The Classic Years: 1926–1946
Speedwell
2009
[34]
서적
Engineering Electronics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53
[3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rmionic Valves (Vacuum Tubes)
http://www.cjseymour[...]
2007-05-28
[36]
웹사이트
Philips Historical Products: Philips Vacuum Tubes
http://www.philips-h[...]
2013-11-03
[37]
서적
Analog circuits
Newnes
2008
[38]
웹사이트
Mu, Gm and Rp and how Tubes are matched
http://välljud.se/in[...]
Välljud AB
2011-04-22
[39]
서적
Handbook for Sound Engineers: The New Audio Cyclopedia
https://archive.org/[...]
Howard W. Sams Co.
1987
[40]
웹사이트
6AG11
https://www.radiomus[...]
[41]
웹사이트
6AR8
https://www.radiomus[...]
[42]
웹사이트
7360
https://www.radiomus[...]
[43]
서적
Basic Electron Tubes
https://www.nvhrbibl[...]
McGraw-Hill
2021-06-10
[44]
간행물
500-Mc. Transmitting Tetrode Design Considerations
https://worldradiohi[...]
Proceedings of the I.R.E.
2021-06-10
[45]
간행물
Care and Feeding of Power Grid Tubes
https://www.cpii.com[...]
CPI, EIMAC Div.
2003
[46]
간행물
6V6GT – 5V6GT Beam Pentode
https://frank.pocnet[...]
Tube Division, General Electric Co.
1955-03
[47]
간행물
The Beam Power Output Tube
https://worldradiohi[...]
Electronics
1936-04
[48]
간행물
New Developments in Audio Power Tubes
https://worldradiohi[...]
RCA Review, RCA Institutes Technical Press
1936-07
[49]
간행물
6L6, 6L6-G Beam Power Tube
https://frank.pocnet[...]
Tube Division, RCA
1954
[50]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Valve
http://www.r-type.or[...]
Radio Constructor
2015-12-23
[51]
서적
Electronics Engineer's Reference Book
Newnes-Butterworth
[52]
간행물
The age of Vacuum Tubes: Merging with Digital Computing
2012-01-01
[53]
서적
Colossus: The Secrets of Bletchley Park's Codebreaking Computers
https://www.colossus[...]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8-07
[54]
뉴스
A lost interview with ENIAC co-inventor J. Presper Eckert
http://www.computerw[...]
2011-04-25
[55]
학회발표
The JAINCOMP-B1 Computer
http://www.ed-thelen[...]
1952-05-14
[56]
서적
Valve Amplifiers
Elsevier
[57]
학회발표
Component failure analysis in computers
Radio-Television Manufacturers Association
[58]
서적
AN/FSQ-7: The Computer that Shaped the Cold War
Walter de Gruyter
[59]
보고서
Memorandum M-2135: Some notes on current tube types
http://bitsavers.inf[...]
MIT
1953-05-04
[60]
서적
Technical Manual TT-5 {{!}} Transmitting Tubes to 4 KW Plate Input
https://archive.org/[...]
RCA
1962-01-01
[61]
웹사이트
GS-9B Oscillator Ultra-High Frequency Triode
https://web.archive.[...]
2021-02-25
[62]
웹사이트
Multi-Phase Cooled Power Tetrode 4CM2500KG
http://www.cpii.com/[...]
[6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story of Modern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64]
웹사이트
2D21
https://www.radiomus[...]
[65]
서적
History of electron tubes
https://books.google[...]
IOS Press
1994
[66]
웹사이트
National Valve Museum: audio double triodes ECC81, 2, and 3
http://www.r-type.or[...]
[67]
간행물
Certified by BBC central valve stores, Motspur Park
[68]
간행물
Mazda Data Booklet
1968
[69]
서적
Production and Measurement of High Vacuum
https://archive.org/[...]
General Electric Review
1922
[70]
서적
Oxide-Coated Emitters
https://archive.org/[...]
Electron Tube Div., RCA
1962
[71]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Radio Servicing
https://archive.org/[...]
(Unspecified)
2021-10-25
[72]
간행물
Care and Feeding of Power Grid Tubes
https://www.cpii.com[...]
CPI, EIMAC Div.
2021-10-25
[73]
서적
Getting the Most out of Vacuum Tubes
https://archive.org/[...]
Howard W. Sams
2021-10-01 # 추정 날짜, "Retrieved Oct 2021" 에서 추정
[74]
서적
Vacuum Technology Transactions: Proceedings of the Sixth National Symposium
Elsevier
2016
[75]
서적
Electron Tube Design
https://archive.org/[...]
Electron Tube Div., RCA
2021-10-25
[76]
간행물
Getter Materials for Electron Tubes
https://worldradiohi[...]
McGraw-Hill
2021-10-25
[77]
웹사이트
The Klystron & Cactus
http://31alumni.com/[...]
2013-12-29
[78]
서적
Getting the Most out of Vacuum Tubes
https://archive.org/[...]
1960 # 출판연도로 추정
[79]
서적
Getting the Most out of Vacuum Tubes
https://archive.org/[...]
1960 # 출판연도로 추정
[80]
서적
Getting the Most out of Vacuum Tubes
https://archive.org/[...]
1960 # 출판연도로 추정
[81]
웹사이트
Analogue Oscilloscope: cathode ray oscilloscope
https://www.electron[...]
[82]
특허
Power supply stabilization circuit with separate AC/DC negative feedback paths
1995-10-31
[83]
웹사이트
How Computer Monitors Work
http://computer.hows[...]
2009-10-04
[84]
웹사이트
Remember when TVs weighed 200 pounds? A look back at TV trends over the years
https://www.cnet.com[...]
[85]
특허
US patent 1,203,495
1913-05-09
[86]
웹사이트
Diagram of continuum and characteristic lines
http://www.bruker-ax[...]
[87]
서적
Principles of Modern Radar: Basic Principles
SciTech Pub.
[88]
간행물
2013 Abstract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lasma Science (ICOPS)
2013
[89]
학술지
A simplified description of X-ray free-electron lasers
2011-03-01
[90]
학술지
Review of x-ray free-electron laser theory
https://digital.libr[...]
[91]
논문
Nuclear Pulse (I): Awakening to the Chaos Factor
1981-05-29
[92]
웹사이트
"... geomagnetic storms, on occasion, can induce more powerful pulses than the E3 pulse from even megaton type nuclear weapons."
http://www.thespacer[...]
2011-04-22
[93]
뉴스
The cool sound of tubes – vacuum tube musical applications
https://spectrum.iee[...]
IEEE
1998
[94]
저널
The warm, rich sound of valve guitar amplifiers
2017-02-09
[95]
뉴스
Flat Panels Drive Old TVs From Market
https://www.usatoday[...]
AP via USA Today
2006-10-22
[96]
뉴스
The Standard TV
http://www.veritaset[...]
Veritas et Visus
2008-06-12
[97]
웹사이트
Vacuum tubes could be the future of computing
http://www.dvice.com[...]
2013-02-08
[98]
웹사이트
The vacuum tube strikes back: NASA's tiny 460GHz vacuum transistor that could one day replace silicon FETs
https://www.extremet[...]
ExtremeTech
[99]
서적
Designing Tube Preamps for Guitar and Bass, 2nd ed.
Wem Publishing
2012
[100]
웹사이트
https://www.indiastu[...]
[101]
간행물
Basic theory and application of Electron tubes
Department of the army and air force, AGO
null
[102]
서적
広辞苑第六版【真空管】定義文
null
null
[103]
서적
広辞苑第六版【真空管】定義文の後の叙述文
null
null
[104]
용어
electron tube
null
null
[105]
용어
thermionic valve
null
null
[106]
용어
diode
null
null
[107]
용어
triode
null
null
[108]
용어
tetrode
null
null
[109]
용어
pentode
null
null
[110]
용어
rectifier
null
null
[111]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112]
웹사이트
管球
2021-05-22
[113]
웹사이트
論文検索 "球スーパー"
https://cir.nii.ac.j[...]
国立情報学研究所 (NII)
2021-05-22
[114]
간행물
1 生産動態統計
https://www.meti.go.[...]
通商産業省
2021-05-22
[115]
웹사이트
石
2021-05-22
[116]
뉴스
デブリ撮影に浜ホト貢献 真空管カメラ、福島原発投入へ
http://www.at-s.com/[...]
静岡新聞
2018-03-15
[117]
웹사이트
半導体に取って代わられた真空管に復権の兆し、超高速のモバイル通信&CPU実現の切り札となり得るわけとは?
https://gigazine.net[...]
2018-05-18
[118]
서적
The Thermionic Vacuum Tubes and It's Applications
[119]
서적
Saga of Vacuum Tube
[120]
서적
魅惑の真空管アンプ 上巻
[121]
서적
初級ラジオ工作
https://dl.ndl.go.jp[...]
誠文堂新光社
1949-10-10
[122]
서적
真空管の話
https://dl.ndl.go.jp[...]
ラジオ科学社
1953-01-20
[123]
용어
Nuvistor
[124]
서적
Basic Electron Tubes
https://www.nvhrbibl[...]
McGraw-Hill
2021-06-10
[125]
간행물
500-Mc. Transmitting Tetrode Design Considerations
https://worldradiohi[...]
Proceedings of the I.R.E.
2021-06-10
[126]
간행물
Care and Feeding of Power Grid Tubes
https://www.cpii.com[...]
CPI, EIMAC Div.
2021-06-10
[127]
간행물
6V6GT - 5V6GT Beam Pentode
https://frank.pocnet[...]
Tube Division, General Electric Co.
2021-06-10
[128]
간행물
The Beam Power Output Tube
https://worldradiohi[...]
Electronics
2021-06-10
[129]
간행물
New Developments in Audio Power Tubes
https://worldradiohi[...]
RCA Review
2021-06-10
[130]
간행물
6L6, 6L6-G Beam Power Tube
https://frank.pocnet[...]
Tube Division, RCA
2021-06-10
[131]
웹사이트
自動車用電球ハンドブック 第6版
https://www.jlma.or.[...]
日本照明工業会
2022-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