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룩투오소 리베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룩투오소 리베라는 우루과이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830년부터 1834년, 1839년부터 1843년까지 두 차례 우루과이 대통령을 역임했다. 목장주 출신으로 호세 헤르바시오 아르티가스의 군대에 참여하여 장군까지 올랐으며, 시스플라티나 전쟁과 우루과이 내전에 참여했다. 대통령 재임 기간 중에는 콜로라도당을 이끌며 자유주의적 가치를 옹호하고 사회 개혁을 추진했다. 1853년에는 3인 집정부의 일원이 되었으나, 이듬해 사망했다. 그의 정치적 유산은 콜로라도당 내에서 강력한 개인적 리더십으로 평가받으며, 우루과이 정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라스노 출신 - 안토니오 알사멘디
우루과이 축구 선수 안토니오 알사멘디는 CA 리버 플레이트에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인터컨티넨탈컵 우승을 이끌고 우루과이 국가대표팀으로 코파 아메리카 우승에 기여했으며, 1986년 멕시코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 우승 멤버로 활약하며 남미 올해의 축구 선수, 인터컨티넨탈컵 맨 오브 더 매치, 토요타컵 MVP 등을 수상했다. - 두라스노 출신 - 마우렌 프랑코
우루과이 출신 축구 선수 마우렌 프랑코는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 클루브 스포르티보 세리토 임대 시절 팀의 1부 리그 승격에 기여했으며, 아르헨티나 차카리타 주니어스에서 핵심 선수로, CA 세로에서는 리그 득점 2위를 기록했다. - 우루과이의 외무장관 - 로돌포 닌 노보아
로돌포 닌 노보아는 우루과이 국민당 출신으로 세로 라르고 주지사를 지냈고 프렌테 앰플리오에 합류하여 우루과이 부통령과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광역 전선 내 우익 성향의 진보 동맹을 이끌고 수자원 민영화 반대 운동에 참여한 정치인이다. - 우루과이의 외무장관 - 후안 안토니오 라바예하
후안 안토니오 라바예하는 우루과이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33인의 동방인을 이끌고 우루과이 독립을 선언하고 아르헨티나-브라질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독립 후 대통령에 추대되었으나 곧 사망하여 우루과이 독립의 영웅으로 칭송받는 동시에 내전의 문화를 만들었다는 비판도 받는다. - 19세기 우루과이 사람 - 카를로스 가르델
카를로스 가르델은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에서 활동한 탱고 가수이자 배우이며, 여러 명곡 발표와 영화 출연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 19세기 우루과이 사람 - 후안 안토니오 라바예하
후안 안토니오 라바예하는 우루과이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33인의 동방인을 이끌고 우루과이 독립을 선언하고 아르헨티나-브라질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독립 후 대통령에 추대되었으나 곧 사망하여 우루과이 독립의 영웅으로 칭송받는 동시에 내전의 문화를 만들었다는 비판도 받는다.
프룩투오소 리베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함 | 우루과이의 대통령 |
임기 시작 1 | 1830년 11월 6일 |
임기 종료 1 | 1834년 10월 24일 |
이전 대통령 1 | 루이스 에두아르도 페레스 |
다음 대통령 1 | 카를로스 아나야 |
임기 시작 2 | 1839년 3월 1일 |
임기 종료 2 | 1843년 3월 1일 |
이전 대통령 2 | 가브리엘 안토니오 페레이라 |
다음 대통령 2 | 호아킨 수아레스 |
임기 시작 3 | 1853년 9월 25일 |
임기 종료 3 | 1854년 1월 13일 |
이전 대통령 3 | 후안 프란시스코 히로 |
다음 대통령 3 | 베난시오 플로레스 |
출생일 | 1784년 10월 17일 |
출생지 | 두라스노, 리오 데 라 플라타 부왕령 |
사망일 | 1854년 1월 13일 |
사망지 | 멜로, 우루과이 |
국적 | 우루과이인 |
정당 | 콜로라도당 |
직업 | 군인 |
![]() |
2. 생애
프룩투오소 리베라는 목장주 출신으로, 1810년 호세 헤르바시오 아르티가스의 군대에 합류하여 독립 운동에 투신했으며 장군까지 진급했다. 1820년 반다 오리엔탈(현재의 우루과이)이 포르투갈, 브라질, 알가르베 연합왕국에 점령된 후에도 시스플라티나 지방에 남아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후안 안토니오 라발레하 등과 함께 브라질 제국에 맞선 시스플라티나 전쟁에서 중요한 군사 지도자로 활약했다.[2] 1828년 몬테비데오 조약으로 우루과이가 독립하자, 리베라는 정치에 참여하여 1830년 우루과이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대통령 재임 이후에도 마누엘 오리베 등 다른 정치 지도자들과의 권력 투쟁은 계속되었고, 이 과정에서 리베라 지지자들(콜로라도당)과 오리베 지지자들(블랑코당) 사이의 정치적 대립 구도가 형성되었다. 리베라는 1838년 오리베를 축출하고 1839년부터 두 번째 대통령 임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의 지원을 받은 오리베가 우루과이를 침공하면서 우루과이 내전이 발발했다. 리베라는 군사적으로 열세에 놓여 1847년 브라질로 망명해야 했다.
1853년 망명에서 돌아온 리베라는 베난시오 플로레스, 후안 안토니오 라발레하와 함께 3인 집정부를 구성했으나, 집권 기간은 짧았다. 그는 1854년 1월 13일 몬테비데오로 가던 중 사망했다.[3]
2. 1. 초기 활동
리베라는 원래 목장주였으나 1810년 호세 헤르바시오 아르티가스가 이끄는 군대에 합류하여 독립 운동에 참여했다. 그는 군대 내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장군까지 진급했다. 하지만 1820년, 반다 오리엔탈(현재의 우루과이 지역)이 포르투갈, 브라질, 알가르베 연합왕국에 점령당하고 아르티가스가 망명하자, 리베라는 새로 설치된 시스플라티나 지방에 남았다.
1825년, 리베라는 '몬손의 포옹'(Abrazo del Monzónes)이라 불리는 사건을 계기로 후안 안토니오 라발레하와 손을 잡았다.[2] 같은 해, 라발레하가 이끄는 33인의 오리엔탈과 아르헨티나 지지자들이 브라질 제국에 맞서 독립 전쟁을 시작하자, 리베라도 이들과 합류했다. 그가 자발적으로 합류했는지, 아니면 상황에 의해 어쩔 수 없이 합류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리베라는 곧 시스플라티나 전쟁에서 중요한 군사 지도자로 부상했으며, 린콘 전투와 사란디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다른 지도자들과의 갈등으로 인해 1년 동안 우루과이를 떠나 있어야 했고, 이 때문에 1827년 중요한 전투였던 이투자잉고 전투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2. 2. 대통령 재임
1828년 몬테비데오 조약으로 우루과이의 독립이 선포된 후, 리베라는 후안 안토니오 라발레하와 권력 다툼을 벌였다. 이 갈등 속에서 아르헨티나 장군 호세 론도가 초대 임시 총독을 맡았다.
리베라는 1830년 11월 6일부터 1834년 10월 24일까지 우루과이의 초대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임기 후에는 장군 마누엘 오리베를 자신의 후임자로 지지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리베라는 다시 라발레하 및 자신이 지지했던 오리베와 갈등을 겪게 되었다.
결국 1838년 10월, 리베라는 오리베를 무력으로 몰아내고 부에노스아이레스로 망명하도록 만들었다. 이 갈등 과정에서 리베라의 지지자들은 붉은색 팔토시를 착용했고, 오리베의 지지자들은 흰색 팔토시를 착용했는데, 이는 훗날 우루과이의 주요 정당인 콜로라도당과 블랑코당으로 발전하는 정치적 분열의 시작이 되었다.[2]
리베라는 1839년 3월 1일부터 1843년 3월 1일까지 두 번째 대통령 임기를 수행했다. 그러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실력자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의 지원을 받은 오리베는 군대를 조직하여 우루과이를 침공했고, 이는 우루과이 내전으로 이어졌다. 1842년 12월, 리베라는 아로요 그란데 전투에서 오리베에게 패배했고, 이후 오리베 군대는 수도 몬테비데오를 포위하는 몬테비데오 대포위를 시작했다. 이로 인해 리베라의 권력은 수도에만 국한되었고, 오리베는 우루과이의 나머지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2. 3. 우루과이 내전과 망명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실력자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의 지원을 받은 오리베는 새로운 군대를 조직하여 우루과이를 침공했고, 이는 우루과이 내전의 시작이 되었다. 1842년 12월, 오리베는 아로요 그란데 전투에서 리베라를 격파하고 몬테비데오 대포위를 시작했다. 이 포위 공격으로 리베라의 권력은 수도 몬테비데오에 한정되었고, 오리베는 우루과이의 나머지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결국 1847년, 리베라는 브라질로 망명을 떠났고 1853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후안 프란시스코 지로 대통령이 축출된 후, 1853년 9월 25일 베난시오 플로레스, 후안 안토니오 라발레하, 리베라로 구성된 3인 집정부가 수립되었다. 그러나 라발레하는 같은 해 10월 22일에 사망했고, 리베라 역시 1854년 1월 13일 몬테비데오로 돌아오는 도중에 사망했다. 이로 인해 플로레스만이 권력을 쥐게 되었다.[3]
2. 4. 3인 집정부와 사망
후안 프란시스코 지로 대통령이 축출된 후, 1853년 9월 25일 베난시오 플로레스, 후안 안토니오 라발레하, 리베라로 구성된 3인 집정부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라발레하는 10월 22일에 사망했고, 리베라는 1854년 1월 13일 몬테비데오로 가는 도중 사망하여 플로레스만이 권력을 쥐게 되었다.[3]3. 정치적 유산
리베라의 유산은 우루과이 정치사, 특히 콜로라도당 당원들 사이에서 강력한 개인적 리더십으로 평가된다. 콜로라도당 내에서는 '리베리스타'(리베라 지지자) 계파가 오랫동안 존재해 왔으며, 대표적으로 호르헤 파체코 아레코와 보르다베리 가문 등이 이 계파에 속한다. 이들은 '바틀리스타'(바틀레 지지자) 계파 및 다른 여러 파벌에 대한 대항 세력으로서 당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참고 문헌
- 세템브리노 페레다(Setembrino Pereda), ''라 레옌다 델 아로요 몬손, 라발레하 이 리베라(La leyenda del arroyo Monzón, Lavalleja y Rivera)''. 몬테비데오: 1935.
참조
[1]
서적
Wars of the Americas: A Chronology of Armed Conflict in the New World, 1492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ABC-CLIO
1998
[2]
웹사이트
Recordaron el Abrazo del Monzón
https://www.lr21.com[...]
2020-10-26
[3]
웹사이트
Fructuoso Rivera Facts
https://biography.yo[...]
2020-10-26
[4]
서적
Wars of the Americas: A Chronology of Armed Conflict in the New World, 1492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ABC-CLIO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