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는 1925년 웨일스 공(에드워드 8세)이 내셔널 하키 리그(NHL)에 기증한 트로피이다. 처음에는 리그 챔피언에게 수여되었으며, 이후에는 디비전, 컨퍼런스, 그리고 현재는 이스턴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우승팀에게 수여되고 있다. 2020-2021 시즌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스탠리 컵 준결승전 승리팀에게 수여되었다. 많은 선수들은 이 트로피를 들어 올리는 것을 꺼리는 미신을 따르기도 한다. 역대 최다 우승팀은 25회 우승의 몬트리올 캐나디언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 스탠리 컵
스탠리 컵은 1892년 프레더릭 스탠리 경이 기증한 아이스하키 우승컵으로, NHL 챔피언십 트로피로 사용되며 우승팀의 이름이 새겨진다. -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한 아이스하키 강국으로, NHL 선수들의 참가 허용 여부에 따라 국제 대회 성적 변화를 겪으며 세계 최정상급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 미국의 아이스하키 - 스탠리 컵
스탠리 컵은 1892년 프레더릭 스탠리 경이 기증한 아이스하키 우승컵으로, NHL 챔피언십 트로피로 사용되며 우승팀의 이름이 새겨진다. - 미국의 아이스하키 - ECHL
ECHL은 1988년 ACHL과 AAHL의 통합으로 시작된 북미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로, WCHL 흡수 및 CHL 팀 추가를 통해 전국 리그로 확장되었으며 동부와 서부 콘퍼런스로 나뉘어 켈리 컵 플레이오프 우승을 놓고 경쟁한다. - 내셔널 하키 리그 - BMO 필드
BMO 필드는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FIFA U-20 월드컵 유치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축구, 캐나디안 풋볼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를 개최하고 2026 FIFA 월드컵 경기를 개최할 예정이다. - 내셔널 하키 리그 - 양키 스타디움
양키 스타디움은 뉴욕 브롱크스에 위치한 야구장으로, MLB 뉴욕 양키스와 MLS 뉴욕 시티 FC의 홈구장이며, 2009년 개장하여 구 양키 스타디움의 디자인을 계승했고, 높은 건설 비용과 홈런이 많이 나오는 구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야구 외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 | |
---|---|
개요 | |
종목 | 아이스 하키 |
수여 대상 | 내셔널 하키 리그 동부 콘퍼런스 플레이오프 우승팀 |
후원 | 없음 |
첫 시상 | 1926년 |
최다 우승팀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25회) |
최근 우승팀 | 플로리다 팬서스 (3회) |
웹사이트 | NHL.com |
역사 | |
유래 | 웨일스 공 에드워드 |
비고 | 웨일스 공은 1923년 캐나다를 방문하여 NHL에 트로피를 기증함. |
2. 역사
웨일스 공이 후원하고 웨일스 공의 깃털과 캐나다 왕실 문장이 새겨진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는 1925년 12월에 처음 발표되었다. 2500USD의 비용이 든 이 트로피는 리그 챔피언에게 수여될 예정이었다.[2]
이후 NHL의 발전 과정에 따라 트로피의 수여 대상은 여러 번 변경되었다.
- 1925-26 시즌과 1926-27 시즌: NHL 플레이오프 챔피언에게 수여.
- 1927-28 시즌 ~ 1938년: NHL 아메리칸 디비전 챔피언에게 수여.
- 1938년 ~ 1967년: NHL 단일 디비전 정규 시즌 전체 챔피언에게 수여.[5]
- 1967년 ~ 1974년: NHL 확장과 함께 이스트 디비전 1위 팀에게 수여.
- 1974년 ~ 1981년: 웨일스 컨퍼런스 정규 시즌 1위 팀에게 수여.
- 1981년 ~ 1993년: 웨일스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챔피언에게 수여.
- 1993년 ~ 현재: 이스턴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챔피언에게 수여.[5]
많은 NHL 선수들 사이에서는 컨퍼런스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한 후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나 클라렌스 S. 캠벨 볼을 만지거나 들어 올리면 안 된다는 미신이 있다. 그러나 피츠버그 펭귄스처럼 미신을 무시하고 컨퍼런스 트로피를 들어 올린 후 스탠리 컵에서 우승한 팀들도 있다.[6][7][8][9]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0–21 NHL 시즌에는 컨퍼런스가 폐지되고 새로운 디비전으로 재편되었으며, 처음에는 트로피를 수여하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나중에 이스트 디비전과 센트럴 디비전 간의 스탠리 컵 준결승 시리즈 우승자에게 트로피가 수여될 것이라고 결정되었다.[10][11]
2. 1. 초기 역사 (1923-1927)
웨일스 공 에드워드 왕자가 후원하여 2500USD에 제작된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는 1925년 12월 15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몬트리올 캐나디언스와 뉴욕 아메리칸스의 경기(몬트리올 캐나디언스 3 대 뉴욕 아메리칸스 1)에서 처음 수여되었다.[2][3][4]1923-24 시즌과 1924-25 시즌에는 NHL 리그 챔피언이었던 몬트리올 캐나디언스에게 수여되었다.
시즌 | 우승팀 | 우승 횟수 |
---|---|---|
1923-24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1 |
1924-25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2 |
1925-26 시즌에는 NHL 플레이오프 챔피언인 몬트리올 마룬스에게 수여되었다.
시즌 | 우승팀 | 우승 횟수 |
---|---|---|
1925-26 | 몬트리올 마룬스 | 1 |
1926-27 시즌에는 NHL 플레이오프 챔피언인 오타와 세너터스에게 수여되었다.[12]
시즌 | 우승팀 | 우승 횟수 |
---|---|---|
1926-27 | 오타와 세너터스 | 1 |
2. 2. 아메리칸 디비전 시대 (1927-1938)
NHL이 아메리칸 디비전과 캐나디안 디비전으로 나뉘면서, 아메리칸 디비전 정규 시즌 1위 팀에게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가 수여되었다.[5] 이 기간 동안 보스턴 브루인스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팀이 되었다.시즌 | 우승 팀 | 우승 횟수 |
---|---|---|
1927-1928 | 보스턴 브루인스 | 1 |
1928-1929 | 보스턴 브루인스 | 2 |
1929-1930 | 보스턴 브루인스 | 3 |
1930-1931 | 보스턴 브루인스 | 4 |
1931-1932 | 뉴욕 레인저스 | 1 |
1932-1933 | 보스턴 브루인스 | 5 |
1933-1934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1 |
1934-1935 | 보스턴 브루인스 | 6 |
1935-1936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2 |
1936-1937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3 |
1937-1938 | 보스턴 브루인스 | 7 |
2. 3. 단일 리그 시대 (1938-1967)
NHL이 단일 리그로 복귀하면서,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는 정규 시즌 1위 팀에게 수여되었다.[5] 이 시기에는 디트로이트 레드윙스가 13회, 몬트리올 캐나디언스가 12회 우승하며 리그를 주도했다.시즌 | 우승 팀 | 우승 횟수 |
---|---|---|
1938-1939 | 보스턴 브루인스 | 8 |
1939-1940 | 보스턴 브루인스 | 9 |
1940-1941 | 보스턴 브루인스 | 10 |
1941-1942 | 뉴욕 레인저스 | 2 |
1942-1943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4 |
1943-1944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3 |
1944-1945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4 |
1945-1946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5 |
1946-1947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6 |
1947-1948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1 |
1948-1949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5 |
1949-1950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6 |
1950-1951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7 |
1951-1952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8 |
1952-1953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9 |
1953-1954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10 |
1954-1955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11 |
1955-1956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7 |
1956-1957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12 |
1957-1958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8 |
1958-1959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9 |
1959-1960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10 |
1960-1961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11 |
1961-1962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12 |
1962-1963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2 |
1963-1964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13 |
1964-1965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13 |
1965-1966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14 |
1966-1967 | 시카고 블랙호크스 | 1 |
2. 4. 이스트 디비전 시대 (1967-1974)
NHL 확장과 함께 이스트 디비전이 신설되면서, 이스트 디비전 정규 시즌 1위 팀에게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가 수여되었다.시즌 | 우승팀 | 우승 횟수 |
---|---|---|
1967-1968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15 |
1968-1969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16 |
1969-1970 | 시카고 블랙호크스 | 2 |
1970-1971 | 보스턴 브루인스 | 11 |
1971-1972 | 보스턴 브루인스 | 12 |
1972-1973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17 |
1973-1974 | 보스턴 브루인스 | 13 |
2. 5. 웨일스 컨퍼런스 시대 (1974-1993)
NHL이 1974년에 웨일스 컨퍼런스와 캠벨 컨퍼런스로 재편되면서,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는 1981년까지 웨일스 컨퍼런스 정규 시즌 1위 팀에게 수여되었다. 1981년부터는 웨일스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우승팀에게 트로피가 수여되었다.시즌 | 우승팀 | 우승 횟수 |
---|---|---|
1974-1975 | 버펄로 세이버스 | 1 |
1975-1976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 18 |
1976-1977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 19 |
1977-1978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 20 |
1978-1979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 21 |
1979-1980 | 버펄로 세이버스 | 2 |
1980-1981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22 |
1981-1982 | 뉴욕 아이랜더스 † | 1 |
1982-1983 | 뉴욕 아이랜더스 † | 2 |
1983-1984 | 뉴욕 아이랜더스 | 3 |
1984-1985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1 |
1985-1986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 23 |
1986-1987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2 |
1987-1988 | 보스턴 브루인스 | 14 |
1988-1989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24 |
1989-1990 | 보스턴 브루인스 | 15 |
1990-1991 | 피츠버그 펭귄스 † | 1 |
1991-1992 | 피츠버그 펭귄스 † | 2 |
1992-1993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 25 |
2. 6. 이스턴 컨퍼런스 시대 (1993-현재)
1993년 여름, 웨일스 컨퍼런스는 이스턴 컨퍼런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는 1993-94 시즌부터 이스턴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챔피언에게 수여되고 있다.[5]많은 NHL 선수들 사이에는 컨퍼런스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한 후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이스턴 컨퍼런스 챔피언) 또는 클라렌스 S. 캠벨 볼(웨스턴 컨퍼런스 챔피언) 트로피를 만지거나 들어 올리면 안 된다는 미신이 있다. 이들은 스탠리 컵이 진정한 챔피언십 트로피이며, 따라서 들어 올려야 할 유일한 트로피라고 생각한다. 컨퍼런스 트로피를 만지는 대신, 우승 팀의 주장은 트로피를 들고 포즈만 취한다(보통 심각한 표정으로). 때로는 팀 전체가 함께 포즈를 취하기도 한다. 그러나 미신을 무시하고 컨퍼런스 트로피를 들어 올린 다른 팀들도 있었고, 때로는 컵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특히 피츠버그 펭귄스는 트로피를 만진 후 스탠리 컵에서 5번 우승하며 가장 성공적인 팀으로 여겨진다.[6][7][8][9]

시즌 | 우승팀 | 우승 횟수 |
---|---|---|
1993-1994 | 뉴욕 레인저스 † | 3 |
1994-1995 | 뉴저지 데블스 † | 1 |
1995-1996 | 플로리다 팬서스 | 1 |
1996-1997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3 |
1997-1998 | 워싱턴 캐피털스 | 1 |
1998-1999 | 버팔로 세이버스 | 3 |
1999-2000 | 뉴저지 데블스 † | 2 |
2000-2001 | 뉴저지 데블스 | 3 |
2001-2002 |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 1 |
2002-2003 | 뉴저지 데블스 † | 4 |
2003-2004 | 탬파베이 라이트닝 † | 1 |
2004-2005 | 2004-2005 NHL 록아웃으로 인해 우승팀 없음 | - |
2005-2006 |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 | 2 |
2006-2007 | 오타와 세네터스 | 1 |
2007-2008 | 피츠버그 펭귄스 | 3 |
2008-2009 | 피츠버그 펭귄스 † | 4 |
2009-2010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4 |
2010-2011 | 보스턴 브루인스 † | 16 |
2011-2012 | 뉴저지 데블스 | 5 |
2012-2013 | 보스턴 브루인스 | 17 |
2013–2014 | 뉴욕 레인저스 | 4 |
2014–2015 | 탬파베이 라이트닝 | 2 |
2015–2016 | 피츠버그 펭귄스 † | 5 |
2016–2017 | 피츠버그 펭귄스 † | 6 |
2017-2018 | 워싱턴 캐피털스 † | 2 |
2018-2019 | 보스턴 브루인스 | 18 |
2019–2020 | 탬파베이 라이트닝 † | 3 |
2020-2021 | 탬파베이 라이트닝 | 4 |
2021–2022 | 탬파베이 라이트닝 | 5 |
2022–2023 | 플로리다 팬서스 | 2 |
2023–2024 | 플로리다 팬서스 † | 3 |
2020-2021 시즌의 경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NHL은 리그를 4개의 새로운 디비전으로 재편했고, 그 결과, 2021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의 준결승전은 디비전 플레이오프의 우승팀들 간에 치러졌고, 정규 시즌 기록에 따라 시드를 배정했다. 처음에는 트로피를 수여하지 않을 예정이었지만, 나중에 이스트 디비전과 센트럴 디비전 간의 스탠리 컵 준결승 시리즈 우승자에게 트로피가 수여될 것이라고 결정되었으며, 결국 탬파베이 라이트닝이 뉴욕 아일랜더스를 꺾고 트로피를 받았다.[11]
2. 6. 1. 2020-2021 시즌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NHL은 2020–21 NHL 시즌을 맞아 컨퍼런스를 폐지하고 리그를 4개의 새로운 디비전으로 재편했다. 그 결과, 2021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의 준결승전은 디비전 플레이오프의 우승팀들 간에 치러졌고, 정규 시즌 기록에 따라 시드를 배정했다. 처음에는 트로피를 수여하지 않을 예정이었지만,[10] 나중에 이스트 디비전과 센트럴 디비전 간의 스탠리 컵 준결승 시리즈 우승자에게 트로피가 수여될 것이라고 결정되었으며, 결국 탬파베이 라이트닝이 뉴욕 아일랜더스를 꺾고 트로피를 받았다.[11]시즌 | 우승팀 | 우승 횟수 |
---|---|---|
2020–21 | 탬파베이 라이트닝 | 4 |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를 가장 많이 획득한 팀은 몬트리올 캐나디언스(25회)이다. 그 뒤를 보스턴 브루인스(18회), 디트로이트 레드윙스(13회)가 잇고 있다.
3. 우승팀
시즌 우승 팀 1923~1924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24~1925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25~1926 몬트리올 마룬스 1926~1927 오타와 세너터스 1927~1928 보스턴 브루인스 1928~1929 보스턴 브루인스 1929~1930 보스턴 브루인스 1930~1931 보스턴 브루인스 1931~1932 뉴욕 레인저스 1932~1933 보스턴 브루인스 1933~1934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34~1935 보스턴 브루인스 1935~1936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36~1937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37~1938 보스턴 브루인스 1938~1939 보스턴 브루인스 1939~1940 보스턴 브루인스 1940~1941 보스턴 브루인스 1941~1942 뉴욕 레인저스 1942~1943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43~1944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44~1945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45~1946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46~1947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47~1948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1948~1949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49~1950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50~1951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51~1952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52~1953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53~1954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54~1955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55~1956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56~1957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57~1958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58~1959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59~1960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60~1961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61~1962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62~1963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1963~1964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64~1965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65~1966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66~1967 시카고 블랙 호크스 1967~1968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68~1969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69~1970 시카고 블랙 호크스 1970~1971 보스턴 브루인스 1971~1972 보스턴 브루인스 1972~1973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73~1974 보스턴 브루인스 1974~1975 버펄로 세이버스 1975~1976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76~1977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77~1978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78~1979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79~1980 버펄로 세이버스 1980~1981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81~1982 뉴욕 아일런더스 1982~1983 뉴욕 아일런더스 1983~1984 뉴욕 아일런더스 1984~1985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1985~1986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86~1987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1987~1988 보스턴 브루인스 1988~1989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89~1990 보스턴 브루인스 1990~1991 피츠버그 펭귄스 1991~1992 피츠버그 펭귄스 1992~1993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93~1994 뉴욕 레인저스 1994~1995 뉴저지 데블스 1995~1996 플로리다 팬서스 1996~1997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1997~1998 워싱턴 캐피털스 1998~1999 버펄로 세이버스 1999~2000 뉴저지 데블스 2000~2001 뉴저지 데블스 2001~2002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2002~2003 뉴저지 데블스 2003~2004 탬파베이 라이트닝 2004~2005 파업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다. 2005~2006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2006~2007 오타와 세너터스 2007~2008 피츠버그 펭귄스 2008~2009 피츠버그 펭귄스 2009~2010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2010~2011 보스턴 브루인스 2011~2012 뉴저지 데블스 2012~2013 보스턴 브루인스 2013~2014 뉴욕 레인저스 2014~2015 탬파베이 라이트닝 2015~2016 피츠버그 펭귄스 2016~2017 피츠버그 펭귄스
3. 1. 우승 횟수별 팀 목록
우승 횟수 | 팀 |
---|---|
25 | 카나디앵 드 몽레알 |
18 | 보스턴 브루인스 |
13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6 | 피츠버그 펭귄스 |
5 | 뉴저지 데블스 |
탬파베이 라이트닝 | |
4 | 뉴욕 레인저스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
3 | 버팔로 세이버스 |
뉴욕 아일랜더스 | |
플로리다 팬서스 | |
2 |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
시카고 블랙호크스 |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
워싱턴 캐피털스 | |
1 | 몬트리올 마룬스* |
오타와 세너터스* | |
워싱턴 캐피털스 |
4. 미신
오늘날 많은 NHL 선수들 사이에서는 컨퍼런스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한 후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이스턴 컨퍼런스 챔피언) 또는 클라렌스 S. 캠벨 볼(웨스턴 컨퍼런스 챔피언) 트로피를 만지거나 들어 올리면 스탠리 컵 파이널에서 패배한다는 미신이 있다.[6][7][8][9] 이 선수들은 스탠리 컵이 진정한 챔피언십 트로피이며, 따라서 들어 올려야 할 유일한 트로피라고 생각한다. 컨퍼런스 트로피를 만지는 대신, 우승 팀의 주장은 트로피 옆에서 포즈만 취한다(보통 심각한 표정으로). 때로는 팀 전체가 함께 포즈를 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미신을 따르지 않고 컨퍼런스 트로피를 들어 올린 팀들도 있었고, 그중 일부는 스탠리 컵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특히 피츠버그 펭귄스는 트로피를 만진 후 스탠리 컵에서 5번 우승하며 이 미신을 따르지 않고 가장 성공적인 팀으로 여겨진다.[6][7][8][9]
참조
[1]
웹사이트
Prince of Wales Trophy
https://www.nhl.com/[...]
2021-06-26
[2]
뉴스
Prince of Wales Sponsors New Cup: Trophy Costing $2,500 Will Be Emblematic of National Hockey League Title
New York Times
1925-12-07
[3]
서적
The National Hockey League Official Guide & Record Book 2009
Dan Diamond & Associates, Inc.
[4]
뉴스
New York Beaten by Canadiens 3–1
The Globe
1925-12-16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rince of Wales Trophy
http://www.legendsof[...]
[6]
웹사이트
Lightning Win Conference Final and Touch The Trophy; No Supersitition Here
https://www.tampabay[...]
2020-09-18
[7]
웹사이트
Conference trophies: to touch, or not to touch?
http://www.nhl.com/i[...]
NHL.com
2011-11-12
[8]
웹사이트
NHL.com - Ice Age: Having another trophy in mind
http://www.nhl.com/f[...]
2006-07-25
[9]
웹사이트
How Real is the Wales Trophy and Campbell Bowl Jinx?
https://thehockeywri[...]
2022-11-21
[10]
웹사이트
Stanley Cup Playoffs: Key questions, answers
https://www.nhl.com/[...]
NHL
2021-05-14
[11]
웹사이트
"#NHLStats: Live Updates – June 10, 2021"
https://media.nhl.co[...]
2021-06-10
[12]
문서
Ottawa Senators (original)
[13]
문서
オタワ・セネターズ(オリジナル)
[14]
문서
1883년 오타와 세너터스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