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펫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펫은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고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실험 도구이다.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주로 고무 주머니가 달린 스포이트와 실험용 피펫으로 구분된다. 실험실에서는 마이크로 피펫이 주로 사용되며, 공기 변위 피펫과 포지티브 변위 피펫이 있다. 피펫은 정기적인 보정이 필요하며, 전자 피펫과 같은 인체 공학적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파스퇴르 피펫, 전달 피펫, 부피 피펫 등 특수한 형태의 피펫도 존재하며, 피펫 사용 시에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험 기구 - 도가니
도가니는 금속이나 기타 물질을 고온에서 가열, 용융, 정련하는 데 사용되는 용기로, 기원전 6~5천년경에 등장하여 구리 제련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어 화학 분석, 금속 제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실험 기구 - 점도계
점도계는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오스트왈트 점도계, 낙하구 점도계, U자관 점도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측정 대상 유체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점도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계측기 -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물체의 거리와 3차원 형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코라이더 시스템에서 유래되어 자율주행차, 지형 측량, 대기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반사된 빛의 비행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원리를 사용한다. - 계측기 - 점도계
점도계는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오스트왈트 점도계, 낙하구 점도계, U자관 점도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측정 대상 유체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점도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피펫 | |
|---|---|
| 개요 | |
| 종류 | 액체 이송 실험 도구 |
| 용도 | 액체 용량 측정, 액체 이송 |
| 함께 사용되는 것 | 플라스틱 일회용 팁 분배기 |
| 관련 항목 | 주사기 |
2. 종류
피펫은 용도에 따라 크게 계량용과 액체 이동용으로 나뉜다.
한국어권에서는 보통 고무주머니가 달려 있거나 플라스틱으로 된 것을 ‘스포이트’라고 부르고, 실험용으로 쓰는 것을 ‘피펫’이라 부른다.
- 계량용 피펫: 액체의 부피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옮기는 데 사용된다.
- 액체 이동용 피펫: 부피 측정보다는 액체를 옮기는 데 주 목적이 있다. 파스퇴르 피펫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1. 계량용 피펫
계량용 피펫은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여 옮기는 데 사용되는 실험 도구이다. 한국에서는 흔히 고무 주머니가 달렸거나 플라스틱으로 된 것을 '스포이트'라고 부르고, 실험용은 '피펫'이라고 부른다.- 눈금 피펫: 정해진 범위 내에서 원하는 부피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지만, 정밀도는 홀 피펫보다 떨어진다.[5]
- 홀 피펫: 10mL, 20mL 등 일정량의 액체를 취할 때 사용하며, 눈금이 없어 그 외의 부피는 취할 수 없다.
- 부피 피펫 (벌브 피펫): 용액의 부피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유효 숫자 4자리의 정밀도) 단일 부피에 맞춰 보정되어 있으며, 큰 벌브 위에 단일 눈금 표시가 있는 길고 좁은 부분이 있다. 20, 50, 100mL 용량이 일반적이다.
- 눈금 피펫: 다양한 눈금이 있는 긴 튜브로 구성되어 다양한 보정된 부피를 나타낸다.
- 마이크로피펫: 마이크로리터 단위의 미량 액체를 측정하는 피펫으로, 생화학 실험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 공기 변위 마이크로피펫: 조절 가능한 마이크로피펫의 한 유형으로, 피스톤 구동 공기 변위에 의해 작동한다. 매우 정밀하고 정확하지만, 환경 변화(특히 온도) 및 사용자 기술에 따라 부정확성이 발생할 수 있다.
- 종류: 조절 가능/고정, 처리 부피(단일 채널/다중 채널/리피터), 팁 형태(원뿔형/원통형), 표준/잠금, 수동/전자, 제조사 등 다양하다.
- 보정: 브랜드나 비용에 관계없이 모든 마이크로피펫 제조업체는 정기적으로 (최소 6개월마다) 보정을 확인할 것을 권장한다.
- 기타: 점적 피펫, 가스 피펫 등이 있지만 특별한 실험 외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과거에는 홀 피펫이나 메스 피펫을 입으로 흡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했으나, 오음(誤飲) 위험 때문에 현재는 안전 피펫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2. 2. 액체 이동용 피펫
한국어권에서는 보통 고무주머니가 달려 있거나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된 것을 ‘스포이트’라고 부르고, 실험용으로 쓰는 것을 ‘피펫’이라 부른다. 눈금 피펫은 정해진 범위 안에서 원하는 부피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지만 정밀도는 홀 피펫에 비해 떨어진다. 홀 피펫은 10mL 또는 20mL 등 일정량의 액체를 취할 때 사용한다. 대신 그 외의 부피는 취하지 못한다. 눈금이 없기 때문이다. 그밖에 점적 피펫이나 가스 피펫도 있지만 특별한 실험이 아니면 안 쓴다. 이렇듯 피펫에도 종류는 많지만 실제 실험실에서는 마이크로 피펫만 쓰는데, 마이크로 피펫이 눈금 피펫과 홀 피펫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만큼 가격이 훨씬 비싼 게 단점이다.
공기 변위 피펫공기 변위 마이크로피펫은 측정된 부피의 액체를 전달하는 조절 가능한 마이크로피펫의 한 유형이다. 크기에 따라 약 0.1 μL에서 1,000 μL (1 mL) 사이일 수 있다. 이러한 피펫은 액체와 접촉하는 일회용 팁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피펫은 피스톤 구동 공기 변위에 의해 작동한다. 진공은 밀폐된 슬리브 내에서 금속 또는 세라믹 피스톤의 수직 이동에 의해 생성된다. 플런저의 누름에 의해 구동되어 피스톤이 위로 이동하면 피스톤이 남긴 공간에 진공이 생성된다. 팁 주변의 액체는 (팁의 공기와 함께) 이 진공으로 이동한 다음 필요에 따라 운반 및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피펫은 매우 정밀하고 정확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 변위에 의존하기 때문에 변화하는 환경, 특히 온도 및 사용자 기술로 인해 부정확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장비는 주의해서 유지 관리하고 보정해야 하며, 사용자는 정확하고 일관된 기술을 수행하도록 훈련받아야 한다.
마이크로피펫은 1960년 독일 마르부르크의 하인리히 슈니트거 박사에 의해 발명 및 특허를 받았다. 이후 생명공학 회사 Eppendorf의 공동 설립자인 하인리히 네텔러 박사가 권리를 상속받아 실험실에서 마이크로피펫의 전 세계적이고 일반적인 사용을 시작했다. 1972년, 조절 가능한 마이크로피펫은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에서 워렌 길슨과 헨리 라디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에 의해 발명되었다.[5]
공기 변위 피펫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조절 가능 또는 고정
- 처리된 부피
- 단일 채널, 다중 채널 또는 리피터
- 원뿔형 팁 또는 원통형 팁
- 표준 또는 잠금
- 수동 또는 전자
- 제조업체
피펫의 브랜드나 비용에 관계없이 모든 마이크로피펫 제조업체는 정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최소 6개월마다 보정을 확인할 것을 권장한다. 제약 또는 식품 산업의 기업은 분기별(3개월마다)로 피펫을 보정해야 한다. 화학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는 이 과정을 매년 수행할 수 있다. 법의학 및 많은 양의 테스트가 일반적인 연구를 하는 사람들은 매달 보정을 수행한다.
전자 피펫반복적인 피펫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자 피펫은 일반적으로 기계식 버전을 대체한다.


포지티브 변위 피펫이들은 에어 변위 피펫과 유사하지만 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오염을 피하고 DNA와 같이 휘발성 또는 점성이 있는 물질을 소량으로 취급할 때 사용된다. 주요 차이점은 일회용 팁이 모세관과 피스톤(이동 가능한 내부 부품)으로 구성된 마이크로 주사기(플라스틱)이며, 이들이 액체를 직접 변위시킨다는 것이다.
- -]--

'''부피 피펫''' 또는 '''벌브 피펫'''은 사용자가 용액의 부피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유효 숫자 4자리의 정밀도). 이 피펫은 단일 부피에 맞춰 보정되어 (부피 플라스크와 같이) 단일 눈금 표시가 있는 길고 좁은 부분이 위에 있는 큰 벌브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부피는 20, 50, 100mL이다. 부피 피펫은 기본 원액으로 실험실 용액을 만들거나 적정을 위한 용액을 준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눈금 피펫눈금 피펫은 눈금 실린더나 뷰렛처럼 다양한 눈금이 있는 긴 튜브로 구성된 대용량 피펫의 한 종류로, 다양한 보정된 부피를 나타낸다. 또한 진공원이 필요하다. 화학과 생물학 초창기에는 입을 사용했다. 안전 규정에는 "KCN, NH3, 강산, 염기 및 수은 염을 입으로 피펫하지 마십시오"라는 문구가 포함되었다. 일부 피펫은 화학자가 우발적으로 용액을 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와 용액 레벨 라인 사이에 두 개의 버블이 있는 형태로 제조되었다.



'''파스퇴르 피펫'''은 소량의 액체를 옮기는 데 사용되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피펫이지만, 특정 부피에 대해 눈금이 있거나 보정되어 있지 않다. 구는 피펫 본체와 분리되어 있다. 파스퇴르 피펫은 '''꼭지 피펫''', '''점적기''', '''점안기''' 및 '''화학 점적기'''라고도 불린다.

'''전달 피펫'''은 '''베랄 피펫'''이라고도 하며, 파스퇴르 피펫과 유사하지만, 플라스틱 한 조각으로 만들어졌으며 튜브의 튜브를 액체 보관 챔버로 사용할 수 있다.
액체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피펫으로는 코마고메 피펫과 파스퇴르 피펫이 있다. 코마고메 피펫과 파스퇴르 피펫은 젖꼭지(teat) 또는 유두라고 불리는 고무구로 발생시킨 음압으로 흡입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비교적 관부가 짧다. 코마고메 피펫과 파스퇴르 피펫은 미량 물질용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단순히 액체를 이동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액체에 포함된 미립자적인 것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물속의 미생물이나 곰팡이 포자 등을 꺼내 개별적으로 표본이나 배양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중앙에 팽창부가 있는 코마고메 피펫은 초등 교육부터 연구실까지 다양한 현장에서 사용된다. 코마고메 피펫은 니키 켄조가 고안했으며, 당시 근무했던 코마고메 병원의 이름이 붙여졌다.[21] 일반적으로 코마고메 피펫의 고무 캡은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눈금이 있는 것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이동용이므로 정밀도는 좋지 않다.
소량의 액체를 옮기는 데 사용되는 파스퇴르 피펫은 다른 피펫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유리관의 끝을 길고 가늘게 늘인 것과 수지(樹脂) 재질이 있다. 파스퇴르 피펫에는 흡입 단자 쪽에 솜 마개를 사용하여 필터로 만들 수도 있다. 눈금이 없는 파스퇴르 피펫에서는 0.5ml, 1ml 등으로 흠집을 낸 다음 고무관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계량할 수도 있다.[22]
3. 역사
최초의 간단한 피펫은 파스퇴르 피펫과 같이 유리로 만들어졌다. 큰 피펫은 계속 유리로 만들어지고, 다른 피펫은 정확한 부피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를 위해 짜서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최초의 마이크로피펫은 1957년 독일 마르부르크의 하인리히 슈니트거 박사가 특허를 받았다.[1] Eppendorf 사의 창립자인 하인리히 네텔러 박사는 권리를 상속받아 1961년에 마이크로피펫의 상업적 생산을 시작했다.[2]
조절 가능한 마이크로피펫은 여러 사람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개발된 위스콘신 발명품으로, 주로 발명가 워렌 길슨과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 생화학 교수인 헨리 라디가 참여했다.[1][2]
4. 사용법
피펫으로 액체를 취할 때는 필러를 사용하고 입으로 빨아들이지 않도록 한다.[1] 또한 피펫에 액체를 넣은 채 돌아다니지 않아야 한다.[1] 홀 피펫의 경우, 피펫에 표시된 양을 정확히 얻기 위해서는 액체가 모두 흘러내린 후 오른손 둘째 손가락으로 피펫의 윗구멍을 막고 왼손으로 피펫의 중앙부분을 가볍게 쥐어 피펫의 끝에 남은 액체를 떨어뜨려야 한다.[1] 눈금 피펫의 경우에는 피펫 끝의 액체를 취하지 않아야 한다.[1]
가장 중요한 것은 필러 사용인데, 피펫에 입을 대면 입으로 시약이 들어가거나 시약의 증기가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필러를 꼭 사용해야 한다.[2] 필러에도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각각 스포이드 방식, 슬라이드 방식이다.[2] 스포이드 방식 필러는 구멍이 세 개고 구멍마다 용도가 다르지만 복잡하고 익히기도 어려워서 요즘은 그냥 슬라이드 방식을 쓴다.[2] 필러에 피펫을 꽂아서 옆에 달린 톱니바퀴만 돌리면 액체를 쉽게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2]
스포이드 방식 필러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번호 | 설명 |
|---|---|
| 1 | A를 누르고 공기압축 주머니를 눌러 밸브의 공기를 빼준다. |
| 2 | S를 눌러 액체를 빨아들인다. |
| 3 | E를 눌러 액체를 배출한다. |
| 4 | E 옆의 구멍을 막고 E를 눌러 피펫 내의 남은 액체를 배출한다. |
5. 피펫 관리
피펫은 사용 후 부피를 최대로 설정해 보관해야 한다. 피펫 내부의 스프링 구조가 장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피펫은 피펫 스탠드라고 불리는 거치대에 수직으로 보관한다. 전자 피펫의 경우, 스탠드에서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다. 일부 고급형 피펫 스탠드는 전자 피펫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20]
6. 특수 피펫
피펫 주사기는 부피 측정(구형) 피펫, 눈금 피펫 및 뷰렛의 기능을 결합한 휴대용 장치이다. 이들은 ISO 부피 A 등급 표준에 따라 교정된다. 유리 또는 플라스틱 피펫 튜브는 피펫 내에서 정변위 작동으로 슬라이드되는 엄지 손가락으로 작동되는 피스톤 및 PTFE 실과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는 0.5ml에서 25ml 사이의 부피로 다양한 유체(수성, 점성 및 휘발성 유체, 탄화수소, 에센셜 오일 및 혼합물)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정밀도, 취급 안전성, 신뢰성, 경제성 및 다용도성에서 개선을 제공한다. 피펫 주사기에는 일회용 팁이나 피펫 보조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밴 슬라이크 피펫은 도널드 덱스터 밴 슬라이크가 발명했으며, 부피 분석을 위해 혈청 피펫과 함께 의료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눈금 피펫이다.[6]
오스트발트-폴린 피펫은 빌헬름 오스트발트가 개발하고 오토 폴린이 개선한 부피 피펫의 한 종류로, 전혈이나 혈청과 같이 점성이 있는 액체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7][8]
Winkler–Dennis 가스 연소 피펫은 클레멘스 빈클러가 개발하고 루이 먼로 데니스에 의해 개선된 장치로, 약한 전류와 산소 공급 하에서 액체의 제어된 반응을 위한 장치이다.[9]
유리 마이크로피펫은 마이크로피펫 풀러에서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매니퓰레이터에 사용된다. 이는 마이크로주입 및 패치 클램프와 같은 절차에서 미세한 샘플과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마이크로피펫은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유리 튜브가 사용 가능한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또는 석영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각 조성물은 적합한 응용 분야를 결정하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마이크로피펫 분야에 도입된 기술은 미세 유체 공학의 다재다능함을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피펫 플랫폼에 통합한 것이다. 이 장치의 팁 부분에 국소적인 흐름 구역이 생성되어 피펫 바로 앞에서 나노리터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피펫은 반응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형성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피펫을 공압 장치를 사용하여 연결하면 여러 용액을 로드하고 필요에 따라 전환할 수 있으며, 용액 교환 시간은 100ms이다. 이 유형의 피펫은 알라르 아인라(Alar Ainla)가 발명했으며, 현재 스웨덴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의 생물물리학 기술 연구소에 위치해 있다.
젭토리터 피펫이 브룩헤븐 국립 연구소에서 개발되었다. 이 피펫은 탄소 껍질로 만들어졌으며, 그 안에는 금-게르마늄 합금이 들어있다. 이 피펫은 결정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다.[12]
7. 피펫팅 보조 도구
피펫으로 액체를 취할 때는 필러를 사용해야 하며, 입으로 빨아들이는 것은 피해야 한다. 피펫에 액체를 넣은 채 돌아다니는 것도 삼가야 한다. 홀 피펫의 경우, 표시된 양을 정확히 얻으려면 액체가 모두 흘러내린 후 오른손 둘째 손가락으로 피펫 윗구멍을 막고 왼손으로 피펫 중앙을 가볍게 쥐어 피펫 끝에 남은 액체를 떨어뜨려야 한다. 눈금 피펫은 피펫 끝의 액체를 취하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필러 사용인데, 피펫에 입을 대면 시약이 입으로 들어가거나 시약의 증기가 흡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필러에는 스포이드 방식과 슬라이드 방식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스포이드 방식 필러는 구멍이 세 개고 구멍마다 용도가 다르지만 복잡하고 익히기 어려워 최근에는 슬라이드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슬라이드 방식은 필러에 피펫을 꽂아 옆에 달린 톱니바퀴를 돌리면 액체를 쉽게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포이드 방식 필러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A를 누르고 공기압축주머니를 눌러 밸브의 공기를 빼준다.
# S를 눌러 액체를 빨아들인다.
# E를 눌러 액체를 배출한다.
# E 옆의 구멍을 막고 E를 눌러 피펫 내의 남은 액체를 배출한다.
| 피펫과 피펫필러의 구조 |
반복적인 피펫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자 피펫이 일반적으로 기계식 피펫을 대체한다.
더 안전하고, 쉽고, 효율적인 피펫팅을 위한 다양한 장치도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전동식 피펫 컨트롤러는 부피 피펫 또는 눈금 피펫을 사용한 액체 흡인 또는 분주를 돕는다.[13] 태블릿은 피펫과 실시간으로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가 프로토콜을 따르도록 안내하며,[14] 피펫 스테이션은 피펫 팁 침투 깊이를 제어하고 인체 공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15]
피펫 로봇은 사람이 하는 것처럼 피펫을 조작할 수 있다.[16]
8. 피펫 보정
피펫 보정은 검사실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 피펫이 정확한 양을 분주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가변형 및 고정형 피펫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측정한다. 검사 방법은 온도와 측량컵의 무게를 측정하고, 피펫의 표준 작동법에 따라 증류수를 측량컵에 옮기는 것을 10번 정도 반복하는 것이다. 피펫 사용 후에는 부피를 최대로 맞춰 놓아야 하는데, 이는 피펫 내부 스프링 구조가 장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피펫 재교정[17]은 이러한 기기를 사용하는 실험실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이는 NIST 추적 가능 참조 표준과 비교하여 측정 장치의 정확성을 결정하는 행위이다. 피펫 보정은 장치가 예상대로, 그리고 정의된 방식 또는 작업 프로토콜에 따라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데 필수적이다. 피펫 보정은 보정 절차의 여러 요소와 다양한 보정 프로토콜 옵션, 고려해야 할 피펫의 브랜드와 모델을 포함하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로 여겨진다.
9. 피펫 사용 시 자세와 부상
피펫으로 액체를 취할 때는 필러를 사용해야 하며, 입으로 빨아들이면 안 된다.[18] 피펫에 액체를 넣은 채 돌아다니는 것도 피해야 한다. 홀 피펫의 경우, 표시된 양을 정확히 얻으려면 액체가 모두 흘러내린 후 오른손 둘째 손가락으로 피펫 윗구멍을 막고 왼손으로 중앙을 가볍게 쥐어 피펫 끝에 남은 액체를 떨어뜨려야 한다. 눈금 피펫은 피펫 끝의 액체를 취하지 않아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필러 사용인데, 피펫에 입을 대면 시약이 입으로 들어가거나 시약 증기가 흡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필러는 스포이드 방식과 슬라이드 방식 두 종류가 있다. 스포이드 방식은 구멍이 세 개고 용도가 다르지만 복잡하고 익히기 어려워 최근에는 슬라이드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슬라이드 방식은 필러에 피펫을 꽂아 옆 톱니바퀴를 돌리면 액체를 쉽게 취할 수 있다.
스포이드 필러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1. A를 누르고 공기압축주머니를 눌러 밸브의 공기를 뺀다.
2. S를 눌러 액체를 빨아들인다.
3. E를 눌러 액체를 배출한다.
4. E옆의 구멍을 막고 E를 눌러 피펫내의 남은 액체를 배출한다.
적절한 피펫 사용 자세는 좋은 인체 공학적 작업 습관을 확립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18] 피펫 사용과 같은 반복 작업 시 근육 부담을 최소화하고 최대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부상 위험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 생체 역학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해 위험할 수 있는 일반적인 피펫 사용 기술과 수정 동작에 대한 권장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팔꿈치를 벌린 피펫 사용: 팔꿈치를 들고 "팔꿈치를 벌린" 자세는 팔 무게가 목과 어깨 근육에 실리고 혈류가 감소하여 스트레스와 피로를 유발한다. 팔을 굽히면 근력도 감소한다. 수정 조치로 팔꿈치를 몸에 가깝게 하고 팔과 손목을 뻗어 곧고 중립적인 자세(악수 자세)를 유지한다. 팔을 뻗거나 들어 올리지 않도록 작업 물품을 쉽게 닿는 거리에 두고, 팔/손을 12인치 이상 들어 올리지 않아야 한다.
- 과도하게 회전된 팔을 사용하는 피펫 사용: 팔뚝을 뒤집힌 상태(손바닥 위로)로 회전하거나 손목을 굽히면 손목 터널의 유체 압력이 증가하여 신경, 힘줄, 혈관을 압박하고 엄지손가락과 손가락의 무감각을 유발할 수 있다. 수정 조치로 반복 작업 중 손목 터널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팔뚝 회전 각도를 45° 정도의 엎드린 상태(손바닥 아래)로 유지해야 한다.
- 주먹을 쥔 채로 피펫 사용: 꽉 쥔 그립(주먹을 쥔 상태)은 단단한 물체와 민감한 조직 사이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손 피로를 유발하며, 피펫 팁을 고정할 때처럼 피펫을 꽉 쥐어야 할 때 손의 힘을 감소시킨다. 수정 조치로 편안한 그립을 가능하게 하고 피펫을 계속 잡을 필요성을 완화하는 후크 또는 기타 속성이 있는 피펫을 사용하면 팔, 손목, 손의 긴장을 줄일 수 있다.
- 엄지 플런저 피펫 사용: 일부 장치는 표면적이 제한된 플런저와 버튼이 있어 엄지손가락이나 다른 손가락이 집중된 영역에서 많은 힘을 써야 한다. 수정 조치로 크고 윤곽이 있거나 둥근 플런저와 버튼이 있는 피펫을 사용하면 피펫 작동 압력이 엄지손가락이나 손가락 전체에 분산되어 접촉 압력이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감소한다.
- 부적절한 자세는 사용 가능한 팔 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팔을 들어 올리면 근력이 상당히 감소한다. 수정 조치로 팔을 뻗거나 들어 올리지 않도록 작업 물품을 쉽게 닿는 거리에 두고, 팔/손을 12인치 이상 들어 올리지 않아야 한다.
- 팔꿈치 힘을 사용하는 피펫 사용: 팔꿈치 자세가 90°에서 벗어나면 팔의 힘이 감소한다. 수정 조치로 팔뚝과 손을 작업 표면에서 12인치 이내로 유지하면 팔꿈치가 90°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기존의 축 피펫과는 달리, 인체 공학적 피펫 사용은 자세에 영향을 미치고 손목 터널 증후군, 건염 및 기타 근골격계 질환과 같은 일반적인 피펫 사용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19] "인체 공학적으로 올바르게" 하려면 팔뚝과 손목의 회전을 최소화하고 팔과 팔꿈치의 높이를 낮게 유지하며 어깨와 위팔을 이완시키는 등 전통적인 피펫 사용 자세를 크게 변경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iotechnology Outreach
http://www.biotech.w[...]
2016-03-03
[2]
논문
When a common problem meets an ingenious mind
[3]
웹사이트
Pipet vs Pipette vs Micropipette: Is there any difference?
https://www.microlit[...]
2022-04-21
[4]
웹사이트
Pipets, Pipettes, Syringes, and Needles {{!}} Fisher Scientific
https://www.fishersc[...]
2023-05-23
[5]
문서
The Micropipette Story
http://www.biotech.w[...]
2004-06
[6]
논문
A Pipet for Micro-Analyses.
1928-02
[7]
서적
An Introduction To Analytic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Academic Guru Publishing House
[8]
웹사이트
Serological pipets
https://www.eppendor[...]
2017
[9]
서적
Methods of Gas Analysis
http://archive.org/d[...]
Macmillan
[10]
웹사이트
Biophysical Technology Laboratory
http://www.biophyste[...]
2016-03-03
[11]
논문
A Microfluidic Pipette for Single-Cell Pharmacology
2010-06
[12]
간행물
A New Low: Lilliputian pipette releases tiniest drops
http://www.sciencene[...]
2007-04-18
[13]
웹사이트
Motorized Pipette Controllers | Motorized Controller | Pipette.com
https://www.pipette.[...]
[14]
웹사이트
TRACKMAN Connected
https://www.gilson.c[...]
[15]
웹사이트
Pipette Confidently with PipetteRite – Control the Immersion Depth, Steady Your Hand, and Improve Ergonomics
https://prep-free.co[...]
[16]
문서
hands-free use of pipettes
http://www.andrewall[...]
2012-08
[17]
웹사이트
Micro Pipette Calibration – Accumaximum
http://www.accumaxim[...]
2016-03-03
[18]
웹사이트
Ovation Ergonomic Pipettes generate ideal pipetting posture
http://www.onelabsho[...]
2016-03-03
[19]
웹사이트
Common pipetting injuries
http://onelabshop.co[...]
2016-03-03
[20]
문서
electronic pipette made smart through connectivity
https://www.andrewal[...]
2019-04
[21]
문서
駒込ピペットの由来
http://www.cick.jp/r[...]
[22]
서적
フィーザー/ウィリアムソン有機化学実験
丸善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