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석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석영은 독일어 "Quarz"에서 유래된 단어로, 다양한 결정 구조와 형태를 가지는 광물이다. 상온에서 삼방정계, 573℃ 이상에서 육방정계로 전이되며, 온도와 압력에 따라 여러 다형체를 갖는다. 석영은 결정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거정질과 미정질로 분류되며, 색상에 따라 자수정, 황수정, 장미석영 등으로 구분된다.

석영은 지각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화강암, 사암, 셰일 등 다양한 암석의 구성 광물이다. 압전 특성을 활용하여 시계, 발진기 등 정밀 장치에 사용되며, 석영 유리의 주원료로도 사용된다. 또한, 보석이나 경석 조각 등 장신구 제작에도 널리 사용된다. 석영 분진은 규폐증과 같은 폐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산업용으로는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인공 석영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영 보석 - 사금석
    사금석은 푸크사이트, 적철석, 갈철석 등의 내포물로 인해 독특한 광택을 띠는 녹색, 주황색, 갈색 등의 암석으로, 아벤츄린 유리와 유사한 외관을 가지며 주로 인도에서 생산되고 구슬, 조각상, 보석류 등으로 활용된다.
  • 규산 동소체 - 혈석
    혈석은 영어로 블러드스톤이라고 불리며 적색 또는 적갈색 반점이 있는 벽옥의 일종으로, 고대에는 기독교 성상 장식에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장신구로 이용되며, 고대 이집트에서는 지혈에 사용되었다.
  • 석영 - 자수정
    자수정은 석영의 보라색 변종으로, 고대부터 보석, 종교적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철 불순물과 방사선 조사로 인해 보라색을 띠고 가열 시 색이 변하며, 2월의 탄생석이자 장식용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가치가 하락하여 준보석으로 분류된다.
  • 석영 - 규화목
    나무가 땅에 묻혀 광물질에 의해 화석화된 규화목은 일본과 미국 등지에서 발견되며, 특히 일본에서는 다양한 종류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석영
기본 정보
브라질산 석영 결정 무리
종류규산염 광물
화학식SiO
IMA 기호Qz
분자량60.08
스트룬츠 분류4.DA.05 (산화광물)
다나 분류75.01.03.01 (테크토규산염)
결정계저온형: 삼방정계
고온형: 육방정계
공간군저온형: P321 (no. 154)
고온형: P622 (no. 180) 또는 P622 (no. 181)
단위 세포a = 4.9133 Å, c = 5.4053 Å; Z = 3
색상무색, 분홍색, 주황색, 흰색, 녹색, 노란색, 파란색, 보라색,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
결정형6면체 기둥이 6면체 피라미드로 끝남 (전형적), 드루지, 미세 결정에서 미정질, 괴상
쌍정흔한 도팽 법칙, 브라질 법칙 및 일본 법칙
쪼개짐{0110} 불명확
파단조개껍데기 모양
굳기 (모스 척도)7 - 불순한 품종에서는 더 낮음 (규정 광물)
광택유리 광택 - 괴상인 경우 왁스 광택에서 무광택
굴절률n = 1.543–1.545, n = 1.552–1.554
광학 특성일축성 (+)
복굴절+0.009 (B-G 간격)
다색성없음
조흔색흰색
비중2.65; 불순한 품종에서 2.59–2.63 가변적
용융점1670 °C (β 트라이디마이트), 1713 °C (β 크리스토발라이트)
가용성STP에서 불용성, 400 °C 및 500 lb/in²에서 1 ppm, 500 °C 및 1500 lb/in²에서 2600 ppm
투명도투명에서 거의 불투명
기타격자: 육방정계 격자, 압전성, 마찰 발광 가능, 키랄성 (따라서 라세미 혼합물이 아닌 경우 광학적으로 활성)
로마자 표기Hwa-ri (유리)
추가 정보
관련 광물옥수 (미세 석영 집합체)
로마자 표기Seok-yeong
Beong-geu-ri-seutal (수정)
결정계저온형: 삼방정계
고온형: 육방정계
광택유리 광택
광학 특성일축성 (+)
복굴절δ = 0.009
굴절률n = 1.543 - 1.545, n = 1.552 - 1.554

2. 어원 및 초기 연구

"석영"이라는 단어는 독일어 Quarzde에서 유래했으며,[11] 14세기 전반의 중세 고지 독일어와 동중부 독일어에서 같은 형태였고,[12] 폴란드 방언 용어 twardypl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체코어 tvrdýcs("딱딱한")에 해당한다.[13] 그러나 일부 자료에서는 이 단어의 어원을 "맥상 광석"을 의미하는 상부 작센어 Querkluftertzde로 보고 있다.[14][15]

고대 그리스인들은 석영을 κρύσταλλοςgrc ()라고 불렀는데, 이는 "얼음처럼 차가운"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κρύοςgrc ()에서 유래했다. 일부 철학자들(테오프라스토스 포함)이 이 광물을 과냉각된 얼음의 한 형태로 이해했기 때문이다.[16] 오늘날 "수정"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투명하고 조립이 거친 결정질 석영을 위한 대체 명칭으로 사용된다.[17][18]

고대 로마의 박물학자 플리니우스는 석영이 오랜 시간 얼어붙은 얼음이라고 믿었다.[19] 그는 석영이 알프스의 빙하 근처에서 발견되지만 화산에는 없다는 점과 큰 석영 결정이 손을 식히기 위해 구체 모양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을 근거로 이러한 생각을 지지했다. 이러한 생각은 적어도 17세기까지 지속되었다. 그는 또한 석영이 빛을 스펙트럼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20]

17세기, 니콜라우스 스테노의 석영 연구는 현대 결정학의 길을 열었다. 그는 석영 결정의 크기나 모양에 관계없이 긴 프리즘면이 항상 완벽한 60° 각도로 만난다는 것을 발견했다.[21]

3. 결정 구조 및 형태

석영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진다. 상온에서는 삼방정계에 속하며, 573°C 이상에서는 육방정계에 속한다. 이상적인 결정 형태는 양 끝에 육각형 피라미드 모양의 능면체가 있는 육각형 각기둥이다. 자연에서 석영 결정은 종종 쌍정(우수성 석영과 좌수성 석영 결정이 쌍정을 이룸)되거나, 변형되거나, 인접한 석영 결정 또는 다른 광물과 밀접하게 성장하여 이러한 형태의 일부만을 보이거나, 명확한 결정면이 전혀 없이 덩어리 모양으로 나타난다.[22][23]

α-석영은 키랄성에 따라 삼방정계, 공간군 ''P''3121 또는 ''P''3221(각각 공간군 152 또는 154)로 결정화된다. 573°C 이상에서 ''P''3121의 α-석영은 더욱 대칭적인 육방정계 ''P''6422(공간군 181)이 되고, ''P''3221의 α-석영은 공간군 ''P''6222(180번)이 된다.[24] α-석영과 β-석영 사이의 변환은 서로에 대한 사면체의 비교적 작은 회전만을 포함하며, 연결 방식은 변하지 않는다.[25]

트리디마이트와 크리스토발라이트는 SiO2의 고온 다형이며, 고실리카 화산암에서 발견된다. 코사이트는 SiO2의 더 조밀한 다형으로, 일부 운석 충돌 지점과 지구 지각의 전형적인 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형성된 변성암에서 발견된다. 스티쇼바이트는 운석 충돌 지점에서 발견되는 더욱 조밀하고 고압의 SiO2 다형이다.[57]

1기압에서 573°C에서 삼방정계의 '''저온형 석영'''(α-석영, 알파 쿼츠)에서 육방정계의 '''고온형 석영'''(β-석영, 베타 쿼츠)으로 전이한다. 더욱 고온에서는 트리디마이트와 크리스토발라이트로, 초고압 하에서는 코사이트와 스티쇼바이트로 상전이한다.

4. 종류

석영은 지각에서 가장 흔한 광물 중 하나로, 개별 결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가장 중요한 구분은 결정질인가 비정질인가 하는 것이다. 옥수(칼세도니)는 비정질 석영에 대한 통칭이다. 일반적으로 결정질 석영은 투명한 반면 미정질 석영 종류는 대부분 불투명하다.

석영의 색으로부터 다양한 이름이 붙여져 왔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결정의 미세구조에 의해 새롭게 석영의 종류가 분류되었다. 결정질 석영들은 아직도 색이 중요한 분류기준이지만, 미정질 석영의 색은 분류의 부수적 기준이 된다.

일부에서는 미정질 석영에 대한 다른 분류 기준을 제시하기도 하는데, 미정질 석영의 형태가 알갱이 모양일 경우에는 처트라는 이름을 붙이고, 섬유상일 경우에는 옥수(칼세도니)로 부르자는 것이다. 처트는 일반적으로는 미립질 석영으로 된 화학적 퇴적암을 의미한다.[29]


  • 마노: 줄무늬가 있는 옥수이다.
  • 벽옥: 불투명한 옥수(또는 처트)이다.
  • 사금석: 운모가 박혀있어서 희미하게 반짝이는 것이 보이는 반투명한 칼세도니이다.
  • 오닉스: 마노 중에서 줄무늬가 곧고 평행하며 크기가 균질한 것들이다.
  • 옥수: 엄밀하게는 모든 미정질 석영을 뜻하나 일반적으로는 흰색이나 색이 옅은 것만을 칭하고 다른 경우에는 따로 이름이 붙여진 경우가 많다.
  • 카르넬리안: 다홍색 옥수이다.
  • 플린트: 검은색 또는 회색의 미정질 석영으로 주로 처트이다.
  • 호안석: 섬유상의 석영이다.


수정에 불순물이 섞여 색이 든 것을 '''색깔 수정'''이라고 하며, 준보석으로 취급된다. 색깔 수정의 발색 원인은 주로 불순물의 혼입과 방사선에 의한 결정격자 결함 때문이며, 주요 구성 원소 때문이 아니다.

  • 자수정: 보라색 수정이다. 보라색 발색은 규소를 치환한 미량의 철 이온이 방사선을 받아 전자가 날아가 산소 원자와 철 이온 사이에서 전하 이동이 일어나는 것이 원인으로 여겨진다.[98] 자외선에 노출되면 탈색된다. 영어명 amethyst는 그리스어의 amethustos(취하게 하지 않는)에서 유래했다.
  • 황수정: 노란색 수정이다.[99] 노란색 발색은 함수산화철에 기초한다.[99] 천연 황수정의 산출은 적고, 시장에 유통되는 황수정의 대부분은 자수정을 열처리하여 노란색으로 만든 것이다.[99] 토파즈와 비슷하기 때문에 시트린 토파즈라고도 하며, 저렴한 토파즈의 대용품으로 사용된다.
  • 홍수정: 연한 분홍색 수정이다. 분홍색은 빛에 민감하여 탈색되기 쉽다. 이 색은 불순물로 혼입된 미량의 티탄, , 망간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최근의 X선원소분석에서는, 이 색은 광학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수준의 듀몰티어라이트의 섬유 때문이라는 결과도 나왔다.[96]
  • 연수정: 갈색이나 검은색 연기가 낀 것 같은 회색 수정이다. 발색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규소를 치환한 미량의 알루미늄 이온이 특히 다량의 방사선을 받으면 넓은 범위의 파장의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회색으로 보인다고 여겨진다.[98][103]
  • 흑수정: 불투명할 정도로 진한 갈색에서 검은색 수정이다. 색이 진한 연수정과의 구별은 결정 구조가 파괴된 것, 표면에 투명감이 없는 것 등이라고도 하지만, 흑수정과 색이 진해진 연수정을 구별하는 명확한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 우유석영: 결정 형성 중에 기체, 액체 또는 그 양쪽의 미세한 유체 포유물이, 또는 바늘 모양 결정의 루틸이 수정 중에 갇혀 백탁해 보이는 수정이다.


이 외에도, 레몬 수정, 녹수정, 청수정, 적수정, 리튬 쿼츠 등 다양한 색깔 수정이 존재한다.

포함물(내포물 또는 포유물)을 포함하거나, 결정의 형태가 달라 보이는 것을 '''변이수정'''이라고 한다. 변이수정은 수집가들에게 인기가 있다.

4. 1. 미세구조에 따른 분류

석영은 결정 크기와 형태에 따라 거정질 석영과 미정질 석영으로 나뉜다.

  • 거정질 석영: 육안으로 결정을 확인할 수 있는 크기의 석영이다. 예시로는 수정, 연수정, 자수정 등이 있다.
  • 미정질 석영: 현미경으로만 결정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작은 크기의 석영이다. 옥수(칼세도니), 마노, 벽옥 등이 이에 속한다.


석영의 미세구조에 따른 분류
종류특징예시
거정질 석영육안으로 결정 확인 가능, 투명 또는 반투명수정, 연수정, 자수정, 황수정, 우유석영, 장미석영, 호안석
미정질 석영현미경으로만 결정 확인 가능, 불투명 또는 반투명옥수(칼세도니), 마노, 벽옥, 사금석, 오닉스, 카르넬리안, 플린트



미정질 석영을 형태에 따라 알갱이 모양이면 처트, 섬유상일 경우 옥수(칼세도니)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29]

4. 2. 색상에 따른 분류

석영은 불순물이나 결정 구조의 결함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띤다. 흔히 볼 수 있는 색깔 있는 석영은 다음과 같다.

색상에 따른 석영 분류
이름색상특징 및 원인
수정무색, 투명불순물이 거의 없는 순수한 석영
자수정보라색투명하며, 미량의 철 불순물 때문에 보라색을 띤다.[32] 한국에서는 경상북도 울진군 등에서 고품질의 자수정이 생산된다.
황수정노란색, 연두색철 성분 때문에 노란색이나 연두색을 띤다.
장미석영분홍색반투명하며, 미량의 티타늄, , 망간 또는 듀모티에라이트 섬유 때문에 분홍색을 띤다.[96]
연수정갈색, 회색투명하며, 알루미늄 불순물 때문에 갈색이나 회색을 띤다.
흑수정어두운 갈색, 불투명알루미늄 불순물 및 결정 구조 변화
우유석영흰색, 반투명 또는 불투명미세한 유체 포유물



이 외에도, 마노, 벽옥, 오닉스, 옥수 등 다양한 종류의 석영이 있다.

5. 산출지

석영은 화강암과 기타 장석질 화성암의 주요 구성 광물이며, 사암셰일과 같은 퇴적암에서도 흔하게 발견된다. 천매암, 편마암, 규암 및 기타 변성암의 일반적인 구성 광물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석영은 용융된 마그마로부터 결정화되지만, 고온의 열수 맥에서 화학적으로 침전되어 맥석을 형성하기도 하며, 때로는 금, 은, 구리와 같은 광석 광물과 함께 발견되기도 한다.[53]

석영은 지각을 구성하는 매우 흔한 조암광물로, 장석 다음으로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어디에도 흔히 포함된다. 수정으로서는 화강암질 페그마타이트, 열수 광맥 등에서 산출된다. 모래는 암석이 풍화됨으로써 생성되지만, 석영은 풍화에 강하기 때문에 모래의 주성분인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도 각지에서 산출되지만, 그 중에서도 야마나시현 고후시, 기후현 나카츠가와시, 아이치현 카스가이시 등에서 산출된 것이 유명하다. 특히 야마나시현은 고슈수정귀석세공(甲州水晶貴石細工)으로 유명하며, 1976년 6월 경제산업대신 지정 전통적 공예품으로도 지정되었다.[112]

수정을 채굴 목적으로 하는 주요 광산은 다음과 같다.



쇼센쿄의 수정보석박물관 (2018년 5월 16일 촬영)


쇼센쿄의 수정 연마 공장 (2018년 5월 16일 촬영)

6. 한반도에서의 석영

석영은 한반도에서도 여러 용도로 활용되었다. 야요이 시대 중기에는 교토부 단고시의 나구오카 유적에서 구슬로 가공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고분 시대부터는 마가타마의 재료로 사용되었다.[110] 또한 불교에서는 칠보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 헤이안 시대 말기 이후 일본 불상의 옥안 재료로 사용되기도 했다.

6. 1. 역사 속의 석영


  • 야요이 시대 중기에는 교토부 단고시의 나구오카 유적에서 구슬로 가공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고분 시대부터는 마가타마의 재료로 사용되었다.[110]
  • 불교에서는 칠보 중 하나이며, 헤이안 시대 말기 이후 일본 불상에서 옥안으로 사용되었다.
  • 수정구는 점술 도구로, 수정 해골은 공예품으로 사용되었다.
  • 고대 이집트에서는 왕조 시대 이전인 기원전 4500년경에 파이앙스(faience)라 불리는 석영 가루를 주재료로 한 구운 제품으로 목걸이 구슬 등이 만들어졌다.
  • 마야 문명 및 그 지역 원주민 부족에서는 투명한 수정을 "자스툰(Zastun)"이라 부르며 부적으로 소중히 여겼다. 대영박물관에는 수정을 가공하여 만든 인간 두개골을 본뜬 공예품이 전시되어 있는데, 그 전설은 "크리스탈 스컬"로 알려져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신화에서는 수정을 신의 뜻을 나타내는 물질인 "마반(Maban)"으로 분류한다.
  • 고대 로마의 박물학자 플리니우스(Gaius Plinius Secundus)는 수정이 영원히 얼어붙은 얼음이라고 믿었다. 중세 이후, 잘 연마된 수정구는 미래를 투시하기 위한 도구로도 사용되었다.[111]

6. 2. 주요 산지 및 특징


  • 금홍석(루틸) 내포 수정: 수정 결정 내부에 금홍석(루틸)의 바늘 모양 결정이 내포물로 존재하는 것이다. 매우 가는 금색 바늘이 들어간 것처럼 보인다.
  • 억새 내포 수정: 수정 결정 내부에 전기석 등의 기둥 모양 광물이 내포물로 존재하는 것이다. 가는 전기석이 들어가면 희미하게 녹색으로 보이며, 마치 억새처럼 보인다.
  • 풀 내포 수정: 수정 결정 내부에 녹렴석 등의 비정형(혹은 풀처럼 보이는) 광물이 내포물로 존재하는 것이다. 내포물의 형태에 따라 이끼처럼 보이거나 처럼 보이기도 한다. 내포물이 녹렴석처럼 녹색인 것은, 마치 풀이 들어있는 것처럼 보인다. 가든 쿼츠라고도 불린다.
  • 물 내포 수정: 수정 결정 내부에 공동이 있으며, 그것이 액체로 채워져 있는 것이다. 갇힌 액체는 수정의 성장 당시 환경을 보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공동 내부에 액체와 함께 기포가 들어있는 경우가 있으며, 결정을 기울이면 공동 내부 벽을 따라 기포가 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 관입 수정: 수정이 다른 수정을 포함하면서 성장한 것이다. 수정 내부에서 그보다 작은 수정을 확인할 수 있다.[110]


일본에서는 야마나시 현(山梨県)에서의 산출이 유명하다. 고슈수정귀석세공(甲州水晶貴石細工)은 1976년 6월 경제산업대신 지정 전통적 공예품으로 지정되어 있다.[112] 야마나시 현 북부, 고후 시(甲府市) 근교의 긴포 산(긴포 산) 일대에는 예로부터 다케다 씨(武田氏) 통치 시대의 금산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 여러 개의 수정 광산이 존재했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 근대화가 진행된 후에는 공학 유리 및 규석 자원으로서 활발하게 채굴되었다. 오늘날 가동하고 있는 수정 광산은 전무하지만, 마키오초(牧丘町)에 위치한 오토메 광산(乙女鉱山) 등에서는 산업 유산으로서의 보존, 활용에 대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고후 시(甲府市)에서는 쇼센쿄(昇仙峡) 등의 관광지에서 수정 기념품이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다. 시내에는 일본 유일의 보석 박물관이 있으며, 국내 최대급의 백수정을 비롯한 보석이 전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정의 즉매도 이루어지고 있다(단, 국산은 드물다). 또한, 전국 유일의 보석 전문학교(야마나시현립 보석미술전문학교(山梨県立宝石美術専門学校))가 있다.

6. 3. 문화적, 경제적 중요성

석영은 문화적, 경제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야요이 시대 중기에는 구슬로 가공되었으며, 교토부 단고시의 나구오카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고분 시대부터는 마가타마의 재료로 사용되었다.[110]

불교에서는 칠보 중 하나로 여겨지며, 헤이안 시대 말기 이후 일본 불상의 옥안 재료로 사용되었다. 점술 도구로는 수정구가, 공예품으로는 수정 해골이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왕조 시대 이전인 기원전 4500년경부터 파이앙스(faience)라 불리는 석영 가루를 주재료로 한 구운 제품으로 목걸이 구슬 등을 만들었다.

마야 문명과 그 지역 원주민 부족에서는 투명한 수정을 "자스툰(Zastun)"이라 부르며 부적으로 소중히 여겼다. 수정을 가공하여 만든 인간 두개골 모양의 공예품은 크리스탈 스컬로 알려져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신화에서는 석영을 신의 뜻을 나타내는 물질인 "마반(Maban)"으로 분류한다.

수정 내부에 다른 광물이 포함된 경우도 있는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금홍석(루틸) 내포 수정: 수정 결정 내부에 금홍석(루틸)의 바늘 모양 결정이 들어있다.
  • 억새 내포 수정: 수정 결정 내부에 전기석 등 기둥 모양 광물이 들어있다.
  • 풀 내포 수정: 수정 결정 내부에 녹렴석 등 비정형 광물이 들어있다. 가든 쿼츠라고도 불린다.
  • 물 내포 수정: 수정 결정 내부에 액체가 채워진 공동이 있다.
  • 관입 수정: 수정이 다른 수정을 포함하면서 성장한 것이다.[110]

7. 용도

석영은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석영 결정은 압전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계적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전기적 전위가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은 1880년 자크와 피에르 퀴리에 의해 발견되었다.[49][50][51] 이 특성을 이용하여 축음기 픽업에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석영 발진기로 가장 많이 활용된다. 석영 시계는 석영 발진기를 이용한 대표적인 장치이다. 워렌 매리슨은 1927년 케이디와 피어스의 연구를 기반으로 최초의 석영 발진기 시계를 만들었다.[86] 석영 결정 발진기의 공진 주파수는 기계적으로 부하를 가함으로써 변경되며, 이 원리는 석영 결정 마이크로저울과 박막 두께 측정기에서 매우 작은 질량 변화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87]

전자공학 분야에서는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한 수열합성법으로 만들어진 인공 수정이 주로 사용된다. 1930년대까지 전자 산업은 석영 결정에 의존했다. 적합한 결정의 유일한 공급원은 브라질이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브라질에서의 공급이 중단되어 여러 국가에서 상업적 규모로 석영을 합성하려고 시도했다. 독일 광물학자 리차드 나켄(Richard Nacken, 1884~1971)은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76] 1950년대에는 수열 합성 기술이 산업 규모로 합성 석영 결정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오늘날 현대 전자 산업에서 사용되는 석영 결정은 거의 모두 합성 석영이다.[67]

석영유리는 석영을 재료로 한 유리로, 내열성·투명도가 뛰어나 화학 기구·광학 기기에 사용된다. 광섬유에도 사용된다.

저역통과필터(LPF)는 디지털카메라 등의 광학필터에 사용되며, 위상차판은 빛의 편광 상태를 바꾸는 데 사용된다.

이 고대부터 동아시아와 전 콜럼버스 시대 아메리카에서 조각용으로 가장 귀중한 준보석이었던 반면, 유럽과 중동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석영이 보석과 경석 조각, 세공 보석과 카메오 보석, 수정병 및 화려한 그릇 등 다양한 종류의 제작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었다.

석영은 장신구(보석), 단추로 사용되거나, 수정구로 스크라이닝(수정) 도구로도 이용된다. 쥬얼리염주에 사용되는 것도 일반적이다.

중국 의학에서는 흰색의 석영을 '''백석영''', 자수정을 '''자석영'''이라고 부르며, 진정 작용이 있는 약제로 사용된다.

8. 안전성

석영은 이산화규소의 한 형태이므로 다양한 작업장에서 주의해야 한다. 천연 및 제조된 석재 제품을 절단, 연마, 쪼개기, 연삭, 드릴링 및 연마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호흡하는 공기 중으로 매우 작은 결정질 실리카 먼지 입자가 위험 수준으로 방출될 수 있다.[59] 호흡 가능한 크기의 결정질 실리카는 인체 발암물질로 인정되며, 규폐증폐섬유증과 같은 다른 폐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60][61]

광산이나 채석장 등에서의 분진 흡입으로 규폐증이나 폐암에 걸릴 위험이 있다. 석영 분진은 IARC에 의해 "인체에 대한 발암성이 인정되는" 그룹 1로 분류되어 있다.

9. 인공 석영

산업용으로는 천연 수정이 종종 쌍정이기 때문에 합성 수정이 생산된다.[66][67] 크고 결함이 없는 단결정은 수열합성 공정을 통해 오토클레이브에서 합성된다.[66][67]

수열합성법으로 성장시킨 합성 수정 결정. 길이 약 , 무게 약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Geology and Earth Science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9-19
[2] 학술지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2021
[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rock-forming minerals Wiley 1966
[4] 학술지 State-Of-The-Art High-Resolution Powder X-Ray Diffraction (HRPXRD) Illustrated with Rietveld Structure Refinement of Quartz, Sodalite, Tremolite, and Meionite 2008-12-01
[5] 학술지 An X-ray study of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quartz structure
[6] 웹사이트 Quartz http://www.mindat.or[...] 2013-03-07
[7] 서적 Handbook of Mineralogy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1990-01-29
[8] 웹사이트 Quartz http://www.webminera[...] 2013-03-07
[9] 서적 Manual of Mineralogy https://archive.org/[...] Wiley
[10] 서적 Geomorphology: The Mechanics and Chemistry of Landscap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Quartz https://www.merriam-[...] 2024-01-09
[12] 웹사이트 Quarz https://www.dwds.de/[...]
[13] 웹사이트 Quartz | Definition of quartz by Lexico https://en.oxforddic[...] 2017-11-26
[14] 웹사이트 Mineral Atlas https://web.archive.[...]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2013-03-07
[15] 학술지 On the origin of the name 'quartz' 1942
[16] 학술지 On the origin of the name 'quartz' http://www.minersoc.[...] 2015-08-12
[17] 학술지 The allure of rock crystal in Copper Age southern Iberia: Technical skill and distinguished objects from Valencina de la Concepción (Seville, Spain) 2016-12
[18] 서적 Introduction to minera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9] 서적 The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20] 학술지 Rock crystal: its structure and uses
[21] 서적 The Prodromus of Nicolaus Steno's Dissertation Concerning a Solid Body Enclosed by Process of Nature Within a Solid https://books.google[...] Macmillan Co.
[22] 서적 Mineralogy for amateurs. Van Nostrand 1964
[23] 학술지 Doubly terminated quartz crystals occurring in gypsum https://pubs.geoscie[...] 2021-04-07
[24] 간행물 Crystal Data, Determinative Tables, ACA Monograph No. 5 American Crystallographic Association
[25] 학술지 The quartz α↔β phase transition: Does it drive damage and reaction in continental crust? https://www.scienced[...] 2021-01-01
[26] 학술지 Study of microcracking in illite-based ceramics during firing 2016-01
[27] 학술지 Thermal effect of high temperatures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 granite used in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n north Portugal https://linkinghub.e[...] 2021-11-01
[28] 학술지 The quartz α↔β phase transition: Does it drive damage and reaction in continental crust? 2021-01
[29] 웹사이트 Quartz Gemstone and Jewelry Information: Natural Quartz – GemSelect https://www.gemselec[...] 2017-08-29
[30] 웹사이트 Quartz: The gemstone Quartz information and pictures http://www.minerals.[...] 2017-08-29
[31] 학술지 Structure and Chemistry of the low-pressure silica polymorphs http://rimg.geoscien[...] 2009-10-26
[32] 학술지 Color Center in Amethyst Quartz 1966-05-20
[33] 웹사이트 Blue Quartz https://www.mindat.o[...] Mindat.org 2017-02-24
[34] 웹사이트 The Gemstone Dumortierite http://www.minerals.[...] Minerals.net 2017-04-23
[35] 서적 Firefly Guide to Gems https://archive.org/[...] Firefly Books 2003
[36] 웹사이트 THE GEMSTONE DUMORTIERITE https://www.minerals[...] 2020-11-28
[37] 웹사이트 Citrine http://www.mindat.or[...] 2013-03-07
[38] 백과사전 https://books.google[...] 2012-09-08
[39] 웹사이트 Citrine Meaning http://thehealingche[...] 2016-01-07
[40] 서적 Gemstones: A Complete Color Reference for Precious and Semiprecious Ston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ook Sales
[41] 웹사이트 Milky quartz at Mineral Galleries http://www.galleries[...] 2013-03-07
[42] 웹사이트 Rose Quartz http://www.mindat.or[...] 2023-05-11
[43] 웹사이트 Quartz and its colored varieties https://web.archiv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44] 웹사이트 Pink Quartz http://www.quartzpag[...] 2023-05-11
[45] 학술지 Raman and optical spectroscopic investigation of gem-quality smoky quartz crystals 2016-07
[46] 웹사이트 Prase https://www.mindat.o[...] mindat.org 2023-04-04
[47] 학술지 On the Color and Genesis of Prase (Green Quartz) and Amethyst from the Island of Serifos, Cyclades, Greece 2018
[48] 웹사이트 Prasiolite http://www.quartzpag[...] quarzpage.de 2009-10-28
[49] 서적 Advanced Piezoelectric Materials Woodhead Publishing
[50] 학술지 Développement par compression de l'électricité polaire dans les cristaux hémièdres à faces inclinées https://babel.hathit[...]
[50] 학술지 Développement, par pression, de l'électricité polaire dans les cristaux hémièdres à faces inclinées http://gallica.bnf.f[...] 2013-12-17
[51] 학술지 Sur l'électricité polaire dans les cristaux hémièdres à faces inclinées http://gallica.bnf.f[...] 2013-12-17
[52] 서적 Principles of sedimentology and stratigraphy Pearson Prentice Hall 2006
[53] 학술지 The genesis of pegmatites: I. Occurrence and origin of giant crystals https://pubs.geoscie[...] 2021-04-07
[54] 학술지 The largest crystals http://www.minsocam.[...] 2013-03-07
[55] 웹사이트 Quartz Mining https://encyclopedia[...] Central Arkansas Library System 2020-11-28
[56] 웹사이트 How Is Quartz Extracted? https://sciencing.co[...] 2020-01-28
[57] 서적 Mineral Science
[58] 웹사이트 Lechatelierite https://www.mindat.o[...] 2021-04-07
[59] 서적 Hazard Alert - Worker Exposure to Silica during Countertop Manufacturing, Finishing and Installation https://www.osha.gov[...] DHHS (NIOSH) 2019-11-27
[60] 웹사이트 Silica (crystalline, respirable) https://oehha.ca.gov[...] California Office of Environmental Health Hazard Assessment 2019-11-27
[61] 서적 Arsenic, Metals, Fibres and Dusts. A Review of Human Carcinogens https://www.ncbi.nlm[...]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19-11-27
[62] 웹사이트 Treating Quartz to Create Color http://www.gemsociet[...] 2014-12-22
[63] 학술지 Review of some current coloured quartz varieties https://gem-a.com/im[...] 2021-04-07
[64] 학술지 Green to blue-green quartz from Rakowice Wielkie (Sudetes, south-western Poland) – a re-examination of prasiolite-related color varieties of quartz 2015-06-01
[65] 학술지 Lapidary technology revealed by functional analysis of carnelian beads from the early Neolithic site of Nahal Hemar Cave, southern Levant 2015-06
[66] 학술지 Hydrothermal Synthesis of Quartz Crystals 1953-08
[67] 학술지 Hydrothermal growth of quartz crystals in industry. Present status and evolution https://hal.archives[...] 1994-02
[68] 서적 Gems: Their Sources, Descriptions and Identification https://books.google[...] Butterworth-Heinemann 2006-01
[69] 웹사이트 How is Aura Rainbow Quartz Made? http://www.geologyin[...] 2017
[70] 웹사이트 Driscoll, Killian. 2010. Understanding quartz technology in early prehistoric Ireland http://www.lithicsir[...] 2017-07-19
[71] 논문 Die neuesten geologischen Hypothesen und ihr Verhältniß zur Naturwissenschaft überhaupt (Fortsetzung) https://archive.org/[...] im Verlage der königli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in Commission der Franz'schen Buchhandlung 1845-04-10
[72] 서적 Handbook of Hydrothermal Technology https://books.google[...] Noyes Publications
[73] 논문 Mineralogy and mineral chemistry of quartz: A review 2021-10-01
[74] 뉴스 Silicon Valley's secret recipe http://news.bbc.co.u[...] 2009-08-02
[75] 웹사이트 Caldoveiro Mine, Tameza, Asturias, Spain https://www.mindat.o[...] mindat.org
[76] 논문 Hydrothermal Synthese als Grundlage für Züchtung von Quarz-Kristallen
[77] 논문 The Laboratory Growing of Quartz
[78] 논문 The evolution of time measurement, Part 2: Quartz clocks [Recalibration] http://tf.nist.gov/g[...]
[79] 잡지 Record crystal https://books.google[...] 1949-02-01
[80] 특허 Apparatus for growing single crystals of quartz
[81] 논문 The piezoelectric resonator https://zenodo.org/r[...]
[82] 웹사이트 The Quartz Watch – Walter Guyton Cady http://invention.smi[...] The Lemelson Center,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Smithsonian Institution
[83] 논문 Piezoelectric crystal resonators and crystal oscillators applied to the precision calibration of wavemeters
[84] 특허 Electrical system
[85] 웹사이트 The Quartz Watch – George Washington Pierce http://invention.smi[...] The Lemelson Center,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Smithsonian Institution
[86] 웹사이트 The Quartz Watch – Warren Marrison http://invention.smi[...] The Lemelson Center,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Smithsonian Institution
[87] 논문 Verwendung von Schwingquarzen zur Wägung dünner Schichten und zur Mikrowägung http://jmfriedt.sequ[...] Springer-Verlag 1959-04-01
[88] 서적 The International Antiques Yearbook https://books.google[...] Studio Vista Limited
[89] 웹사이트 Hydrothermal Quartz https://www.gemselec[...] GemSelect.com
[90] 뉴스 Dark crystals: the brutal reality behind a booming wellness craze https://www.theguard[...] 2019-09-17
[91] 서적 理科年表 平成20年 丸善
[92] 웹사이트
[93] 웹사이트 https://webmineral.c[...]
[94]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玻璃」の解説 https://kotobank.jp/[...]
[95] 서적 石―昭和雲根志― 白川書院
[96] 서적 堀秀道の水晶の本 草思社
[97] 웹사이트 “水晶の県山梨“のルーツを学術調査~山学大考古学研究会が乙女鉱山跡を現地調査~~近代産業遺産として保存活用を呼びかけ~ https://www.yguppr.n[...] 山梨学院パブリシティセンター
[98] 서적 楽しい鉱物学 株式会社草思社 1990-06-05
[99] 서적 岩石と宝石の大図鑑 誠文堂新光社 2007-04
[100] 웹사이트 シトリンとアメシストの違いは? http://voidmark.fc2w[...] 虚空座標 voidmark
[101] 웹사이트 紫水晶の加熱実験(人工シトリン)/鉱物レシピ067P https://kirarasha.ju[...] 天氣後報 II
[102] 웹사이트 天然色のシトリンは少ない https://sseikatsu.ne[...] 水晶生活
[103] 웹사이트 石英(水晶)の様々な結晶 www.tool-tool.com https://beeway.pixne[...] BW Professional Cutter Expert www.tool-tool.com
[104] 웹사이트 KURO的石の雑学辞典 水晶用語辞典 色による名前 http://voidmark.fc2w[...] 虚空座標 voidmark
[105] 웹사이트 シトリンとは呼ばれない黄色い水晶 http://voidmark.fc2w[...] 虚空座標 voidmark
[106] 웹사이트 イエロークォーツ(黄水晶) https://kiri2.net/wp[...] kiriri 2023-02-02
[107] 웹사이트 マダガスカル産イエロークォーツA https://www.selfcrea[...] セルフクリエイション 2023-02-02
[108] 웹사이트 薔薇水晶(Rose Quartz) https://gemhall.saku[...] 空想の宝石・結晶博物館 2023-02-02
[109] 웹사이트 KURO的石の雑学辞典 水晶用語辞典 表面の色による名前 http://voidmark.fc2w[...] 虚空座標 voidmark 2023-02-02
[110] 웹사이트 水晶の意味・効果と種類一覧 https://spicomi.net/[...]
[111] 서적 宝石の写真図鑑 日本ヴォーグ社
[112] 웹사이트 甲州水晶貴石細工・原石に生命を吹き込む https://www.pref.yam[...] 2024-02-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