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브 코이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비브 코이테는 5음 음계로 기타를 조율하고 개방 현을 사용하는 독특한 연주 방식으로 알려진 말리의 음악가이다. 카손케족 그리오트 가문 출신으로, 1988년 그룹 바마다를 결성하여 다양한 말리 음악 스타일을 결합한 음악을 선보였다. 1991년 복스폴 축제에서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고, 1995년 첫 앨범 《Muso Ko》를 시작으로 여러 앨범을 발매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잭슨 브라운, 보니 레이트 등과 협업했으며, 2000년에는 《데이비드 레터맨 쇼》에 출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네갈의 음악가 - 이스마엘 로
세네갈 출신 음악가 이스마엘 로는 "아프리카의 밥 딜런"으로 불리며 사회 비판적인 가사와 음발락스 음악의 현대적 재해석으로 명성을 얻었고, "Tajabone"으로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마리안 페이스풀과의 듀엣곡과 영화 삽입곡으로 대표되며 프랑스 훈장을 받았다. - 세네갈의 기타 연주자 - 이스마엘 로
세네갈 출신 음악가 이스마엘 로는 "아프리카의 밥 딜런"으로 불리며 사회 비판적인 가사와 음발락스 음악의 현대적 재해석으로 명성을 얻었고, "Tajabone"으로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마리안 페이스풀과의 듀엣곡과 영화 삽입곡으로 대표되며 프랑스 훈장을 받았다.
하비브 코이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58년 1월 27일 |
직업 | 음악가 가수 작곡가 |
활동 연도 | 1988년–현재 |
장르 | 월드 뮤직 |
악기 | 기타 보컬 |
레이블 | Contre-Jour |
관련 활동 | 바마다 |
2. 음악 스타일
하비브 코이테는 말리의 전통 악기인 카말레 잘람 은고니처럼 5음 음계를 기반으로 개방 현을 활용하는 독특한 기타 연주 스타일로 유명하다. 그의 음악에는 스승 칼릴루 트라오레에게 배운 블루스와 플라멩코의 영향도 나타난다. 코이테의 보컬은 기교보다는 편안하고 차분한 감성을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둔다.
2. 1. 바마다 (Bamada)
코이테는 주로 5음 음계로 기타를 조율하고, 카말레 잘람 은고니처럼 개방 현으로 연주하는 독특한 기타 연주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음악은 또한 칼릴루 트라오레에게서 배운 블루스나 플라멩코의 영향을 받았다.코이테의 보컬 스타일은 친밀하고 편안하며, 오페라적인 기술적 기교보다는 차분하고 우울한 노래를 강조한다. 바마다의 멤버들이 연주하는 악기는 다음과 같다.
말리 출신의 기타리스트인 하비브 코이테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인기 있고 인정받는 음악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1] 그는 전통적인 음유시인 가문인 그리오 집안에서 태어나 자연스럽게 음악을 접했으며, 독특한 기타 연주 스타일을 스스로 개발했다. 이후 바마코의 국립 예술원(INA)에서 정식으로 음악 교육을 받고 졸업 후 모교의 기타 교사로 활동하기도 했다.[1]
코이테는 모든 곡을 작곡하고 편곡하며, 영어, 프랑스어, 그리고 밤바라어로 노래한다.
3. 역사
학창 시절부터 켈레티기 디아바테, 투마니 디아바테 등 유명 말리 음악가들과 교류했으며, 1988년에는 자신의 밴드 Bamada|바마다bam를 결성했다.[1] 1991년 프랑스 복스폴 축제 우승과 싱글 "Cigarette A Bana"의 성공, 그리고 1993년 RFI 디스커버리 상 수상을 통해 초기 경력에서 주목받았고, 이를 계기로 1994년 첫 아프리카 외 투어를 시작했다.[1]
1995년 첫 앨범 ''Muso Ko''를 발매하며 유럽 월드 뮤직 씬에 성공적으로 데뷔했고, 1998년 발매한 두 번째 앨범 ''Ma Ya''는 유럽과 북미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1] 이후 ''Baro''(2001년), ''Afriki''(2007년), ''Soô''(2014년) 등 꾸준히 앨범을 발표하며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구축해왔다.[1]
코이테는 활발한 투어 활동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1994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1,700회 이상의 공연을 소화했다.[1] 또한 보니 레이트, 에릭 빕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과 협업하고, '사막 블루스', '어쿠스틱 아프리카'와 같은 다양한 테마 투어에 참여하며 음악적 교류를 넓혀왔다.[1] 2003년에는 라이브 앨범 ''Fôly!''를 발매하기도 했다.[1]
하비브 코이테는 말리의 풍부한 음악적 전통에 뿌리를 두면서도 다양한 스타일을 결합하는 독창적인 접근 방식으로 자신만의 음악적 입지를 다져왔으며, 현재까지도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1]
3. 1. 초기 (1978년 ~ 1994년)
말리 출신의 기타리스트인 하비브 코이테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인기 있고 인정받는 음악가 중 한 명이다.[1]
그는 전통적인 음유시인인 그리오의 명문 카손케 가문 출신이다. 그리오들은 사회 모임이나 특별 행사에서 재치와 지혜, 음악적 즐거움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하비브는 17명의 형제자매와 함께 자랐으며, 그리오인 어머니를 보며 독특한 기타 연주 스타일을 익혔다. 음악에 대한 열정은 아버지의 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았는데, 그는 말리의 와술루 지역 사냥꾼들과 관련된 전통 4현 악기인 kamale n'goni|카멜레 응고니bam를 연주했다. 하비브는 "누구도 나에게 노래나 기타를 가르쳐주지 않았다. 부모님을 지켜보면서 자연스럽게 스며들었다"고 말한다.[1]
원래 엔지니어가 되려 했으나, 그의 음악적 재능을 알아본 삼촌의 권유로 1978년 말리 바마코에 있는 국립 예술원(INA)에 입학했다. 입학 6개월 만에 학교의 유명 밴드인 INA 스타의 지휘자가 되었다. 4년간 음악을 공부하여 1982년에 수석으로 졸업했으며, 그의 뛰어난 재능 덕분에 졸업 후 INA는 그를 기타 교사로 채용했다.[1]
학창 시절, 그는 켈레티기 디아바테와 투마니 디아바테를 비롯한 여러 유명 말리 예술가들과 함께 공연하고 연주할 기회를 가졌다. 투마니 디아바테의 1991년 앨범 ''Shake the World''에서는 노래와 연주를 담당했다.[1]
하비브는 기타를 연주하는 데 몇 가지 독특한 방식을 사용한다. 악기를 오음계로 조율하고, 카멜레 응고니처럼 개방 현을 연주한다. 때로는 전설적인 아프로-쿠바 밴드 'Maravillas du Mali'의 베테랑인 칼릴루 트라오레에게 배운 블루스 스타일에 가까운 음악을 연주하기도 한다.[1] 그의 노래 스타일은 전통적인 그리오와 달리 절제되고 친밀하며, 다양한 리듬과 멜로디를 특징으로 한다.[1]
말리는 풍부하고 다양한 음악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 문화마다 고유한 스타일이 존재한다. 하비브는 이러한 다양한 스타일을 결합하여 새로운 범(汎)말리적 접근 방식을 창조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는 모든 종류의 음악에 대한 그의 열린 관심을 반영한다. 그가 주로 연주하는 스타일은 고향 키예스(Kayes)의 인기 있는 리듬인 Danssa|단사bam에 기반한다. 그는 자신의 버전을 Danssa Dosso|단사 도소bam라고 부르는데, 이는 인기 리듬의 이름과 말리의 강력하고 오래된 음악 전통 중 하나인 사냥꾼의 음악(Dosso|도소bam)을 결합하여 만든 밤바라어 용어이다. 그는 "이 두 단어를 합쳐 말리의 모든 민족 그룹의 음악을 상징하고자 했다. 나는 세상의 모든 음악에 대해 궁금해하지만, 나의 음악은 말리에서 만든다. 우리나라에는 아름다운 리듬과 멜로디가 많고, 많은 마을과 공동체가 자신만의 음악을 가지고 있다. 보통 말리 음악가들은 자기 민족의 음악만 연주하지만, 나는 어디든 간다. 나의 일은 이 모든 전통을 가져와 무언가를 만들고 음악에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1]
1988년, 하비브는 어린 시절 친구였던 젊은 말리 음악가들과 함께 자신의 그룹 Bamada|바마다bam를 결성했다. '바마다'는 바마코 주민들의 별칭으로 "악어의 입"이라는 뜻이다.[1] 1991년, 프랑스 페르피냥에서 열린 복스폴(Voxpole) 축제에서 1등을 차지하여 두 곡의 제작 자금을 지원받았다. 그중 한 곡인 ''Cigarette A Bana'' (담배는 끝났다)는 서아프리카 전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또 다른 성공적인 싱글 ''Nanalé'' (제비)를 발매한 후, 그는 권위 있는 라디오 프랑스 인터내셔널(RFI) 디스커버리 상을 받았다. 이 상 덕분에 그룹은 1994년 여름, 아프리카 밖에서 첫 투어를 할 수 있었다.[1]
1994년, 하비브는 현재 그의 매니저인 벨기에인 미셸 드 보크(Michel De Bock)를 만났다. 그는 매니지먼트 및 제작 회사인 Contre-Jour의 이사였다. 그들은 함께 첫 번째 앨범 ''Muso Ko''를 녹음했다.[1]
3. 2. 전성기 (1995년 ~ 현재)
1994년, 코이테는 현재 그의 매니저인 벨기에인 미셸 드 보크(Michel De Bock)를 만났고, 그의 매니지먼트 및 제작 회사인 Contre-Jour와 함께 첫 번째 앨범 ''Muso Ko''를 녹음했다. 이 앨범은 1995년 발매 직후 유럽 월드 뮤직 차트에서 2위에 오르며, 코이테가 유럽 페스티벌 서킷의 주요 인물로 부상하고 전 세계적으로 그의 음악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두 번째 앨범 ''Ma Ya''는 1998년 유럽에서 발매되어 큰 호평을 받았으며, 월드 차트 유럽에서 3개월 동안 1위를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 앨범은 1999년 초 푸투마요 월드 뮤직(Putumayo World Music)을 통해 북미에서 발매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10만 장 이상 판매되면서 코이테를 월드 뮤직계의 주목받는 새로운 인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Ma Ya''의 성공에 힘입어 2001년, 하비브 코이테와 그의 밴드 바마다는 미국의 인기 텔레비전 버라이어티 쇼 중 하나인 데이비드 레터맨 쇼(Late Night with David Letterman)에 출연하기도 했다.
코이테의 음악성과 개성은 잭슨 브라운과 보니 레이트와 같은 유명 아티스트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들은 직접 말리를 방문하여 코이테를 만나고 그의 음악을 지지했으며, 특히 보니 레이트는 2002년 자신의 앨범 ''Silver Lining''에 코이테와 공동 작곡한 곡 "Back Around"를 듀엣으로 수록했다.
2001년에는 세 번째 앨범 ''Baro''를 발매했으며, 이 앨범 역시 전 세계적으로 10만 장 이상 판매되며 성공을 이어갔다. 코이테의 성공 요인 중 하나는 꾸준한 투어 활동이었다. 그는 1994년 이후 전 세계에서 1,700회 이상의 공연을 소화하고, 세계 유수의 콘서트 무대에 섰다. 또한 여러 테마 투어에도 참여했는데, 2000년 봄에는 시카고 아트 앙상블과 함께 유럽 투어를 했고, 같은 해 가을에는 우무 상가레와 함께 '말리의 목소리(Voices of Mali)' 투어에 참여했다. 2006년과 2007년에는 동료 말리 음악가 타르티트, 아펠 부쿰과 함께 '사막 블루스(Desert Blues)'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부시 마할라셀라, 코트디부아르의 도벳 그나호레와 함께 '어쿠스틱 아프리카(Acoustic Africa)' 투어에도 참여했다.
2003년에는 라이브 실황을 담은 더블 CD ''Fôly!''를 발매했다. 2007년에는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 ''Afriki''를 선보였는데, 이 앨범은 바마코, 브뤼셀, 버몬트에서 녹음되어 말리의 리듬과 전통, 현대적인 감각이 조화된 음악을 담아냈다.
2008년과 2009년에는 프랑스 남부의 어린이 2,500명과 함께 만딩고 오페라(Mandingo Opera)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칸 영화제 등에서 공연했다. 2010년에는 아펠 부쿰, 올리버 므투쿠지와 함께 새로운 버전의 '어쿠스틱 아프리카' 프로젝트를 유럽, 미국, 아프리카에서 선보였고, 이 투어 중 라이브 CD 및 DVD가 녹음되었다.
2011년과 2013년에는 네덜란드의 '5 Great Guitars'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두 차례 투어를 진행했으며, 2013년에는 브라질 보컬리스트들과 함께 '아프리카 삼바(African Samba)' 프로젝트 투어를 했다. 2012년에는 미국 블루스 음악가 에릭 빕과 협력하여 바마코에서 앨범 ''Brothers in Bamako''를 녹음하고, 말리 타악기 연주자 마마 코네(Mama Koné)와 함께 유럽과 미국에서 120회 이상 공연했다.
2014년에는 바마코에서 새로운 젊은 음악가 그룹과 함께 제작 및 녹음한 앨범 ''Soô''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이사(Issa, 기타 및 밴조), 마마 코네(타악기), 샤를리 쿨리발리(Charly Coulibaly, 키보드), 그리고 기존 바마다 멤버인 압둘 와합 베르테(Abdoul Wahab Berthé, 베이스 및 카말라 응고니)가 참여했다. 2016년 봄에는 부시 마할라셀라와 함께 다시 '어쿠스틱 아프리카' 투어를 진행했고, 2016년 말과 2017년에는 유럽(영국 투어 포함)에서 공연을 이어갔다.
2018년에는 바세쿠 쿠야테, 에이미 사코와 함께 유럽 투어를 시작했다. 그러나 2019년 미국 투어에서는 쿠야테와 사코의 비자 문제로 인해, 코이테는 타악기 연주자 마마 코네와의 듀엣 형식으로 공연을 진행했다. 이 프로젝트는 이후 캐나다에서 투마니 디아바테, 에이미 사코, 세쿠 벰베야 쿠야테, 그리고 코이테의 아들인 CT 코이테 등 게스트들과 함께 공연 및 녹음으로 이어졌다. 바마코의 마야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이 녹음 프로젝트에는 2017년 RFi 상 수상자인 코이테의 아들 엠부일레 코이테(M'Bouillé Koite)도 작곡과 연주로 참여했다.
하비브 코이테는 40만 장 이상의 앨범 판매고와 전 세계 1,700회 이상의 콘서트를 통해, 자신의 문화적 뿌리에 깊이 기반한 음악 경력을 꾸준히 쌓아오고 있다.
3. 3. 협업
하비브 코이테는 국립 예술원(INA) 재학 시절부터 다른 음악가들과 활발히 교류했다. 켈레티기 디아바테와 투마니 디아바테를 포함한 유명 말리 예술가들과 함께 공연하고 연주할 기회를 가졌다. 1991년에는 투마니 디아바테의 앨범 ''Shake the World''에 참여하여 노래하고 연주했으며, 켈레티기 디아바테는 이후 하비브의 밴드 바마다(Bamada)의 정식 멤버가 되었다.
그의 음악성과 개성은 잭슨 브라운과 보니 레이트와 같은 세계적인 음악가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들은 직접 말리를 방문하여 하비브를 만나고, 그의 음악을 알리기 위한 개인적인 행사를 열거나 함께 무대에 오르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특히 보니 레이트는 2002년 자신의 앨범 ''Silver Lining''에 하비브를 초대하여 공동 작곡한 곡 "Back Around"를 듀엣으로 불렀다.
하비브는 다양한 아티스트들과 함께 여러 테마 투어에 참여하며 음악적 교류를 이어갔다.
2012년에는 미국 블루스 음악가 에릭 빕과 협력하여 앨범 ''Brothers in Bamako''를 녹음했다. 이 협업은 1997년 푸투마요 컴필레이션 앨범 ''From Mali to Memphis'' 홍보차 만난 것을 계기로 이루어졌다. 앨범 발매 이후 두 사람은 말리 타악기 연주자 마마 코네와 함께 유럽과 미국에서 120회 이상 공연했다.
2019년에는 바세쿠 쿠야테와의 협업 프로젝트를 이어가 캐나다에서 공연을 발표하고, 바마코에서 앨범을 녹음했다. 이 앨범에는 투마니 디아바테, 에이미 사코, 기타리스트 세쿠 벰베야 쿠야테(Sekou Bembya Kouyate), 그리고 하비브의 아들이자 2017년 RFI 어워드 수상자인 M'Bouillé Koite 등 많은 게스트가 참여했다. 하비브의 아들 M'Bouillé Koite는 앨범의 작곡과 연주에도 참여했다.
4. 음반 목록
4. 1. 정규 앨범
- ''무소 코'' (Muso Ko), 1995
- ''마 야'' (Ma Ya), 1998
- ''바로'' (Baro), 2001
- ''라이브!'' (Live!), 2004
- ''아프리키'' (Afriki), 2007
- ''어쿠스틱 아프리카 인 콘서트'' (Acoustic Africa in Concert), 2011
- ''브라더스 인 바마코'' (Brothers in Bamako), 2012
- ''소오'' (Soô), 2014
- ''카리파'' (Kharifa), 2019
4. 2. 라이브 앨범
- 2004년 Live!
- 2011년 Acoustic Africa in concert
5. 주요 곡
1995년 발매된 앨범 《Muso komli》에 수록된 곡 I ka barramli와 Din din womli는 2007년 윈도우 비스타의 샘플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1998년 발매된 앨범 《Ma Yamli》에 수록된 곡 Foro Banamli는 혁신적인 기타 연주 방식과 멜로디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