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다이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다이빙은 절벽이나 인공 플랫폼 등 높은 곳에서 물로 뛰어드는 활동을 의미한다. 툼스토닝과 플랫폼 점핑 등의 종류가 있으며, 고대 벽화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하이다이빙은 물과의 충돌, 냉수 쇼크, 수중 장애물, 해류 등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어 부상 및 사망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 당국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폰테 브롤라, 플라야 포르티, 사우스 포인트 등 다양한 하이다이빙 명소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록 경기 - 다이빙
다이빙은 스프링보드나 플랫폼에서 여러 자세와 기술로 물에 뛰어드는 스포츠로, 고대 오락에서 시작하여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도약, 공중 동작, 입수 자세를 평가하고 싱크로나이즈드 다이빙과 하이 다이빙 등의 세부 종목이 있다. - 기록 경기 - 육상 경기
육상 경기는 달리기, 걷기, 도약, 투척 등을 통해 경쟁하는 가장 오래된 스포츠 중 하나로, 고대 올림픽에서 시작되어 근대 올림픽의 핵심 종목이 되었으며 트랙, 필드, 도로 경기로 나뉜다. - 수상 스포츠 - 드래곤보트
드래곤보트는 20명 이상의 선수들이 북소리에 맞춰 노를 젓는 수상 경주용 배와 경기이며, 중국 남부에서 시작되어 벼농사 풍년 기원 의식 및 용신 숭배와 관련된 단오절 전통 행사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 전파되었고, 아시안 게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만큼 국제적인 스포츠이자 오랜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수상 스포츠 - 래프팅
래프팅은 급류를 뗏목으로 내려가는 레저 스포츠로, 1811년 탐험 시도에서 시작되어 고무 보트 발전으로 대중화되었으며, 레이스 및 커머셜 형태로 전 세계에서 즐기지만 급류 위험과 환경을 고려해야 하고, 국제급류난이도척도에 따라 난이도가 구분되며 안전이 중요하고, 세계 래프팅 선수권 대회도 개최된다. - 여름 스포츠 - 태권도
태권도는 한국의 발차기 중심 무술이자 스포츠로, 1950년대 여러 무술 도장 통합 과정에서 명칭이 확립되었으며, 국제 태권도 연맹(ITF)과 세계 태권도 연맹(WT)으로 발전하여 WT 태권도는 올림픽 종목, ITF 태권도는 공산권 국가에 보급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여름 스포츠 - 드래곤보트
드래곤보트는 20명 이상의 선수들이 북소리에 맞춰 노를 젓는 수상 경주용 배와 경기이며, 중국 남부에서 시작되어 벼농사 풍년 기원 의식 및 용신 숭배와 관련된 단오절 전통 행사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 전파되었고, 아시안 게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만큼 국제적인 스포츠이자 오랜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하이다이빙 | |
---|---|
개요 | |
유형 | 곡예 스포츠, 수상 스포츠 |
인원 | 1명 (개인) |
장소 | 야외 |
총괄 | 세계 수영 연맹 |
하이다이빙 | |
최상위 대회 | 세계 수영 챔피언십 |
올림픽 | 미채택 |
월드 게임 | 미채택 |
청소년 올림픽 | 미채택 |
패럴림픽 | 미채택 |
데플림픽 | 미채택 |
아시안 게임 | 미채택 |
아프리칸 게임 | 미채택 |
유러피언 게임 | 미채택 |
팬아메리칸 게임 | 미채택 |
퍼시픽 게임 | 미채택 |
클리프 점핑 | |
설명 |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레크리에이션 활동 |
관련 위험 | 부상 및 사망 위험 |
안전 조치 | 적절한 점프 지점 선택 수심 확인 착수 자세 연습 안전 요원 배치 |
관련 용어 | 툼스톤 |
관련 기관 | 로스파 |
참고 자료 | |
추가 정보 | BBC 뉴스 - 죽음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데빌스 브리지의 '툼스톤' 로스파 - '미지의 세계로 뛰어들지 마십시오' 밀포드 헤이븐 항구, 툼스톤에 대한 경고 레드불 - 이 미친 남자가 새로운 클리프 점프 세계 기록을 세웠습니다 |
2. 종류
절벽 다이빙은 뛰어내리는 장소와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절벽 다이빙의 한 종류로 영국에서 유래한 툼스토닝이 있으며, 묘비와 비슷한 자세로 물에 뛰어드는 형태이다. 또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플랫폼에서 뛰어내리는 플랫폼 점핑도 있다.
2. 1. 툼스토닝 (Tombstoning)
묘비와 비슷한 자세로 물에 똑바로 뛰어드는 형태로, 영국에서 유래한 절벽 다이빙의 한 종류이다.[1][5]2. 2. 플랫폼 점핑 (Platform jumping)
플랫폼 점핑은 절벽 대신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플랫폼에서 뛰어내리는 방식이다.[1] 점프 플랫폼은 특별히 제작되거나 임시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철교와 같이 기존 인프라를 재활용할 수도 있다.[1]3. 역사
절벽 다이빙은 아주 오래전부터 행해져 온 활동으로, 고대 예술 작품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3. 1. 고대 벽화

사냥과 낚시의 무덤에는 기원전 530년에서 500년경의 벽화[6][7][8][9]가 있는데, 절벽을 향해 바위를 타고 올라가는 사람과 절벽에서 물쪽으로 뛰어내리는 사람이 묘사되어 있다.[10]
파에스툼의 잠수부의 무덤에는 기원전 500년에서 475년경의 프레스코화[11]가 있는데, 구조물에서 물웅덩이 또는 개울로 뛰어드는 사람이 묘사되어 있다.[11][12]
4. 위험성
절벽 다이빙은 부상과 사망 위험이 매우 높은 활동이다. 주요 위험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물과의 충돌: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면 빠른 속도로 수면에 충돌하여 횡경막 일시적 마비, 척추 압박 골절, 골절, 뇌진탕 등을 유발할 수 있다.[16][17] 18m 높이에서 뛰어내리다 목이 부러져 사망한 사례도 있다.[17]
- 냉수 쇼크: 갑작스러운 찬물과의 접촉은 과호흡, 심장마비 등을 유발하여 익사로 이어질 수 있다.[21][22] 특히 15°C 미만의 찬물은 호흡과 움직임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22][23]
- 수중 장애물: 물속에 잠긴 바위나 장애물에 부딪히면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물 밖으로 나오지 못할 수 있다.[23] 얕은 물도 충격으로 인한 부상 위험을 높인다.
- 해류: 강한 해류는 물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익사 위험을 높인다.[2][24]
낙하 높이에 따른 수면 도달 속도는 아래 표와 같다.
낙하 높이 | 수면 도달 속도 |
---|---|
약 1.52m | 12mph[17] |
약 3.05m | 17mph[16] |
약 6.10m | 25mph[16] |
10m | 35mph[20] |
약 15.24m | 38mph[16] |
약 25.91m | 53mph~62mph[16] |
4. 1. 물과의 충돌
물의 저항은 입수 속도에 따라 증가하므로, 고속으로 물에 들어가면 빠르고 위험한 감속이 발생할 수 있다.[16][17] 6.1m 높이에서 뛰어내리면 40km/h의 속도로 수면에 충돌하게 된다.[16] 이러한 속도로 수면에 충돌하면 횡경막 일시적 마비[17], 척추 압박 골절, 골절 또는 뇌진탕을 입을 수 있다.[16] 10m 높이에서 뛰어내리면 약 56km/h로 수면에 충돌하며,[18] 10m 높이에서 수면에 수평으로 떨어지면 약 30cm 안에 정지하게 된다. 10m 높이에서 수평으로 물에 충돌하는 감속은 내부 및 외부에 심한 멍이 들게 하고, 장기를 고정하는 결합 조직에 손상을 입히며, 폐 및 다른 조직에 경미한 출혈을 일으켜 혈담을 토하게 할 수 있다.[19]1989년, 22세 남성이 약 18m 높이에서 백플립을 시도하다 목이 부러져 사망했다.[17]
절벽이나 플랫폼에서 뛰어내리기 전에 달려가서 뛰어들면 달리는 동안 얻은 속도 때문에 수면에 도달하는 속도가 빨라진다.[16]
낙하 높이 | 수면 도달 속도 |
---|---|
약 1.52m | 12mph[17] |
약 3.05m | 17mph[16] |
약 6.10m | 25mph[16] |
10m | 35mph[20] |
약 15.24m | 38mph[16] |
약 25.91m | 53mph~62mph[16] |
4. 2. 냉수 쇼크 (Cold water shock)
냉수 쇼크는 피부가 급격하게 차가워지면서 발생하는 반응이다. 이 반응은 크게 숨을 들이쉬게 하고, 이어서 통제할 수 없는 과호흡을 일으키는데, 이는 익사의 명백한 전조 증상이다.[21]체중 1kg당 22ml의 바닷물이 폐로 들어가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21] 70kg인 사람의 경우, 1.5L의 바닷물을 흡입하면 사망할 수 있는데,[21] 이는 "...한 번의 큰 들숨"으로 묘사된다.[21] 민물의 경우에는 체중 1kg당 44ml의 민물을 흡입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21] 70kg인 사람의 경우 3L의 민물을 흡입하면 사망할 수 있다.[21]
또한 냉수 쇼크는 피부 혈관을 수축시켜 혈류 저항을 증가시킨다. 심박수도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심장은 더 열심히 일해야 하고 혈압이 상승한다.[22] 더 나아가 "...심박출량과 혈압의 상승은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생존 시간은 수 시간이 아니라 수 초 단위로 측정될 수 있다."[21] 냉수 쇼크는 비교적 젊고 건강한 사람에게도 심장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22]
냉수 쇼크와 해수 온도와 관련하여 15°C 미만은 냉수로 정의되며 호흡과 움직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22][23] 영국과 아일랜드의 평균 해수 온도는 겨우 12°C이다.[22][23]
1950년대 과학자들은 영국 해협 수영 선수들이 12°C~15°C의 물에서 12~20시간 동안 수영할 수 있는 이유를 조사했는데, 이 온도에서 추정 생존 시간은 약 6시간이었다. 야외 수영 선수들이 냉수를 견딜 수 있는 특이한 능력은 많은 피하 지방과 높은 체력 수준 때문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수영 선수들은 찬물에 반복적으로 잠기면서 자신을 단련할 수도 있다. 단 6회의 2분간 냉수 침수로 냉수 쇼크 반응을 50%까지 줄일 수 있다.[21] 반면 떨림 반응의 습관화에는 더 긴 침지 시간(>30분)이 필요하다.[21]
4. 3. 수중 장애물
물속에 잠긴 바위나 장애물에 부딪히면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물체에 걸려 수면으로 올라오지 못할 수 있다.[23] 얕은 수심 또한 충격으로 인한 부상 위험을 높인다. 해양 환경에서는 조수로 인해 수심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23]4. 4. 해류
강한 해류는 물 밖으로 빠르게 빠져나오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익사 위험을 높일 수 있다.[2][24]5. 사고 사례
영국에서는 2004년부터 2008년 사이에 절벽 점프로 인해 구조 또는 응급 대응이 필요한 사고가 139건 발생했으며, 이 중 20%는 척추 손상, 12명은 사망했다.[2] 2005년부터 2015년까지는 83명이 부상을 입고 20명이 사망했다.[13][3]
최근 몇 년 동안 절벽 점프와 관련된 부상 및 사망 사건이 증가하면서 지방 당국과 응급 서비스의 대응 요구가 증가했다. 인기 있는 덤스토닝 장소인 플리머스 호에서 발생한 심각한 부상 및 사망 사건에 대응하여 해안가 다이빙 보드가 철거되고 해안가 일부가 폐쇄되기도 했다.[14][15]
6. 인기 있는 절벽 다이빙 장소
장소 | 위치 |
---|---|
폰테 브롤라 | 스위스 |
플라야 포르티 | 쿠라카오 |
다이빙 보드 아일랜드 | 버뮤다 |
사우스 포인트 | 미국 하와이 |
네그릴 | 자메이카 |
포섬 킹덤 호수 | 미국 텍사스 |
클래런스 코브 | 버뮤다 |
누사 렘봉안 | 발리 |
라이 포인트 | 미국 하와이 |
아무디 만 | 그리스 |
참조
[1]
웹사이트
BBC News - Warning as Devil's Bridge 'tombstoning' continues despite death
https://www.bbc.com/[...]
BBC
2013-07-10
[2]
웹사이트
Tombstoning – 'Don't jump into the unknown'
https://www.rospa.co[...]
2022-03-15
[3]
뉴스
The Port of Milford Haven warns against tombstoning
https://www.westernt[...]
2019-07-26
[4]
웹사이트
This crazy guy set a new cliff-jump world record
http://www.redbull.c[...]
Red Bull GmbH
2015-08-18
[5]
웹사이트
Tombstoning - Torbay Council
https://www.torbay.g[...]
Torbay.gov.uk
2014-08-25
[6]
학술지
Conventions of Etruscan Painting in the Tomb of Hunting and Fishing at Tarquinii
[7]
서적
History of Art: The Western Tradition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8]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9]
서적
Abundance of Life: Etruscan Wall Painting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10]
웹사이트
Competitive Diving Principles and Injuries
https://journals.lww[...]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7
[11]
학술지
The Tomb of the Diver and the frescoed tombs in Paestum (southern Italy): New insights from a comparative archaeometric study
2020-04-24
[12]
학술지
The Tomb of the Diver
2006
[13]
뉴스
Man dies after 'tombstoning' off Plymouth Hoe cliff
https://www.bbc.com/[...]
2016-10-14
[14]
뉴스
Devon deaths warning over Plymouth Hoe tombstoning
https://www.bbc.co.u[...]
2010-06-18
[15]
뉴스
'Unsafe' diving platform removed
http://news.bbc.co.u[...]
2010-02-17
[16]
웹사이트
How Cliff Diving Works
https://www.mapquest[...]
2009-10-05
[17]
뉴스
CLIFFS PLUS DIVING = DANGER: WATER, GRAVITY CAN TURN THRILLER INTO A KILLER
https://www.deseret.[...]
1989-06-08
[18]
뉴스
Commonwealth Games 2018: Tom Daley forced to withdraw from individual event with hip injury
https://www.independ[...]
2018-04-10
[19]
뉴스
Tom Daley gives tour of his 'second home' and where he won Olympic gold
https://www.plymouth[...]
2023-08-08
[20]
뉴스
Commonwealth Games 2018: Tom Daley forced to withdraw from individual event with hip injury
https://www.independ[...]
2018-04-10
[21]
웹사이트
Cold water immersion: sudden death and prolonged survival
https://www.thelance[...]
Elsevier
2003-12
[22]
뉴스
Cold water shock
https://rnli.org/saf[...]
[23]
뉴스
Tombstoning warning after Findochty Harbour incident
https://www.grampian[...]
2020-07-02
[24]
웹사이트
Coasteering and Tombstoning
https://nationalwate[...]
[25]
웹사이트
The Best Places In the World for Cliff Jumping
https://www.shape.co[...]
2020-12-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아찔한 도전…싱가포르 하늘도 수놓았다!
결전지 싱가포르로 출국…"불타오릅니다"
[자막뉴스] 자비·독학으로 여기까지 왔다…국내 최초·유일 '하이다이버' 이야기
27m에서 몸 날리는 동호인(?)…"도전은 내 운명"
다이빙 대표팀·하이다이버 최병화, 국외훈련 마치고 귀국
하이다이빙 최병화, 세계수영선수권 대비 중국 전지훈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