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에스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에스툼은 이탈리아 캄파니아주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도시로, 기원전 600년경 아카이아인들에 의해 포세이도니아라는 이름으로 건설되었다. 기원전 273년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로마 시대에도 번성하여 화폐 주조권을 부여받았다. 400년경 주교구가 설치되었으나, 이후 쇠퇴하여 18세기에 폼페이의 재발견 이후 다시 주목받았다. 파에스툼은 세 개의 잘 보존된 도리스 양식의 그리스 신전과 고분 벽화로 유명하며, 파에스툼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많은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카이아인의 식민지 - 크로토네
크로토네는 기원전 710년경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로 시작하여 피타고라스 학파의 중심지였으며, 로마 시대 쇠퇴기를 거쳐 비잔틴 제국, 노르만족,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고, 현재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스포츠 클럽을 보유하고 있다. - 아카이아인의 식민지 - 메타폰툼
메타폰툼은 고대 그리스 아카이아인들이 건설한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도시로, 비옥한 토지에서 생산되는 곡물로 번성했으며 피타고라스가 말년을 보낸 곳이지만, 제2차 포에니 전쟁 이후 쇠퇴하여 현재는 유적만 남아 있다. - 캄파니아주의 박물관 - 헤르쿨라네움
헤르쿨라네움은 이탈리아 에르콜라노에 위치한 고대 로마 도시로, 오스칸족이 건설한 후 로마의 무니키피움이 되었으나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묻혀 1709년에 발견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파피루스의 빌라 등 다양한 유적을 통해 고대 로마 도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 캄파니아주의 박물관 - 폼페이
기원전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멸망한 폼페이는 로마 식민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나 화산재에 묻혀 보존되면서 고대 로마 사회상을 보여주는 유적이 되었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캄파니아주의 관광지 - 아말피 해안
이탈리아 남부 캄파니아주에 위치한 아말피 해안은 소렌토 반도 남쪽 해안의 좁고 아름다운 해안선으로, 아말피 공국의 중심지였으며 지중해성 기후와 가파른 지형, 아말피 드라이브, 역사적 유적, 자연 경관 등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캄파니아주의 관광지 - 베수비오산
베수비오산은 이탈리아 캄파니아 지방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79년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을 파괴한 분화로 유명하며, 현재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베수비오 관측소에서 감시한다.
| 파에스툼 | |
|---|---|
| 개요 | |
![]() | |
| 원래 이름 | (포세이도니아) |
| 위치 | 파에스툼, 살레르노 현, 캄파니아 주, 이탈리아 |
| 지역 | 마그나 그라에키아 |
| 유형 | 정착지 |
| 건설자 | 시바리스 및/또는 트로이젠의 식민지 주민 |
| 건설 시기 | 기원전 600년경 |
| 시대 | 고대 그리스 ~ 중세 |
| 관리 | 살레르노, 아벨리노, 베네벤토, 카세르타 문화재 감독청 |
| 웹사이트 | 파에스툼 박물관 공식 웹사이트 (이탈리아어/영어) |
| 세계유산 등재 정보 | |
| 공식 명칭 | 칠렌토 및 발로 디 디아노 국립공원과 파에스툼 및 벨리아의 고고 유적지, 파둘라 카르투시오 수도원 |
| 유형 | 문화 |
| 기준 | iii, iv |
| 지정 연도 | 1998년 (제22차 세계유산 위원회 회의) |
| 지정 번호 | 842 |
| 지역 | 유럽 및 북아메리카 |
2. 역사

3세기 중반의 지리학자 솔리누스는 도리아인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언급했다.[28] 기원전의 역사가 스트라본은 Σύβαρις|슈바리스gr에서 온 아카이아인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아카이아인과 트뢰젠인이 공동 건설한 후 트뢰젠인이 추방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스의 식민지로서 포세이도니아로 불렸다. 건설 시기의 문헌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고고학 조사에 따르면 기원전 600년경으로 추정된다.
이후 루카니인에게 점령되었다. 기원전 273년 피로스 전쟁으로 인해 그리스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한니발의 카르타고 침공 동안, 도시는 로마에 충성을 바쳐 독자적인 화폐 주조권 등의 특별한 특권을 부여받았다. 서기 400년경에는 주교구가 되었다.
이후 여러 사정으로 인해 연안에서 사람들이 떠나 수 킬로미터 떨어진 아크로폴리스와 같은 절벽 위로 이주했다. 이는 배를 만들기 위한 산림 파괴로 인해 홍수가 잦아지고 연안부가 습지가 되면서 말라리아가 만연했기 때문이다. 사라센 해적의 습격도 원인으로 꼽힌다. 사용되지 않게 되면서 잊혀졌다가, 로마의 도시 폼페이의 재발견에 이어 18세기에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29]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인 1943년 9월, 파에스툼 해변에 미국 제36보병사단이 상륙하였다. 미군이 상륙하자마자 독일군이 저항하였고, 독일군이 북쪽으로 퇴각하기까지 9일간 마을 곳곳에서 전투가 계속되었다. 연합군은 양군 모두 파에스툼의 신전은 폭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신전에 적십자 텐트를 세우고 응급처치를 하였다.[38]
2. 1. 설립
스트라본은 시바리스 출신의 아카이아인들이 포세이도니아(Poseidonia)라는 이름으로 처음 도시를 세웠다고 하였다. 개척자들은 처음에는 바다 가까이에 요새를 세웠고, 이후 내륙의 보다 높은 지대에 도시를 세우기로 결정하였다. 최초의 요새는 지금의 아그로폴리가 있는 포세이도니아의 남쪽 곶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승에 의하면, 그곳에는 포세이돈을 모시는 성소가 있었으며, 그 이름을 따서 도시의 이름을 지은 것이라고 한다. 포세이도니아가 세워진 시기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고고학적 조사에 의하면 대략 기원전 600년 경으로 추측된다.아리스토텔레스는 시바리스에서 아카이아인들이 추방한 트리지나인들이 도시를 함께 세웠다고 하였다. 그 후 솔리누스는 파에스툼이 도리아 식민도시라고 하였고, 스트라본은 트리지나가 한때 포세이도니아로 불렸다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트리지나인들이 파에스툼을 세웠다는 일련의 주장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언급에 근거한 것이었다. 한편 시바리스인들이 포세이도니아를 세우는 과정에 도리스인들의 도움을 받았다는 가설도 존재한다.
그리스 정착민들은 도시를 건설하면서 처음에는 '''포세이도니아'''(Ποσειδωνίαgrc)라고 명명했다. 이후 지역의 루카니아인에게 정복당했고, 고대 로마인들에게도 정복당했다. 루카니아인들은 도시의 이름을 '''파이스토스'''로 바꾸었고, 로마인들은 현재의 이름을 부여했다.
2. 2. 그리스 시대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전 5세기 사이, 파에스툼은 메타폰토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이는 주화, 건축물, 신상과 같은 유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37]
기원전 510년, 크로토네가 시바리스를 정복했을 때, 포세이도니아는 시바리스 난민들을 수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5세기 초 포세이도니아 주화는 아카이아의 도량형을 채택했고, 시바리스 주화에서 볼 수 있는 황소 장식이 나타난다. A. J. 그레이엄은 난민의 수가 포세이도니아인과 시바리스인 사이에 심폴리테이아 형식의 통합(synoecism)을 이루기에 충분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포세이도니아는 기원전 452/1년에서 기원전 446/5년 사이 시바리스 재건에 큰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 시바리스 주화가 포세이도니아 주화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 그 증거이다. 이는 시바리스 재건 과정에서 다른 세력(serdaioi)과의 우호조약 체결 시 포세이도니아가 조약의 보증을 섰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리스 정착민들은 도시를 건설하면서 '''포세이도니아'''(Ποσειδωνίαgrc)라고 명명했다.
2. 3. 루카니인의 지배

스트라본은 기원전 5세기경 파에스툼이 루카니인들에게 정복되었다고 언급하였다. 고고학적 조사에 의하면, 이 시기에는 그리스 문화와 오스키인의 문화가 함께 공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스 정착민들은 도시를 건설하면서 처음에는 '''포세이도니아'''(Ποσειδωνίαgrc)라고 명명했다. 이후 루카니아인에게 점령되었으며, 기원전 273년 피로스 전쟁으로 인해 그리스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루카니아인들은 도시의 이름을 '''파이스토스'''로 바꾸었다.
많은 무덤 그림은 말과 경주를 묘사하는데, 이는 루카니아 엘리트들의 열정이었다.
2. 4. 로마 시대와 이후의 쇠락
피로스 전쟁 당시 파에스툼은 피로스의 편에 서서 로마 공화국에 대항했으나, 기원전 273년 로마에 복속되었다. 이후 고대 카르타고의 한니발이 이탈리아를 침공했을 때 파에스툼은 로마에 충성했고, 그 결과 독자적인 화폐 주조권과 같은 특권을 누렸다. 로마 제국 시기에도 번영했으며, 기원후 400년에는 교구가 설치되었다.베르길리우스는 그의 저서 《농경시》(기원전 29년경)에서 파에스툼을 "일 년에 두 번 피는 장미로 유명"하다고 언급했다.[17]
나폴리와 그 근교 지방들처럼 파에스툼에서도 그리스 방언이 지속적으로 통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후 4~7세기 사이에는 도시가 쇠락하였고, 중세 시대에는 버려져 폐허가 되었다. 도시가 쇠락한 것은 배수가 불량해지면서 늪지대가 형성되고, 모기떼에 의한 말라리아가 창궐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사라센인 해적들의 침략과 납치 또한 결정적 원인이었다. 남아있던 주민들은 절벽 위에 있어 방비하기 유리한 아그로폴리로 이주하였고, 버려진 마을은 해적 소굴이 되기도 하였다. 이후 파에스툼은 완전히 폐허가 되었으며, 로베르 기스카르가 석재를 헐어내어 살레르노 대성당을 짓기도 하였다.
2. 5. 재발견
1524년 피에트로 수몬테의 역사에서 세 개의 도릭 신전이 정확히 식별되었지만,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의 로마 도시가 재발견되고 나폴리에서 남쪽으로 새로운 해안 도로가 건설되는 과정에서 18세기에 이르러서야 그 유적이 다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8] 현대 정착지는 적어도 16세기부터 고대 유적 옆에서 부활하기 시작했다.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었고 초기에 발견된 세 개의 그리스 신전은 유럽 전역에서 엄청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조반니 바티스타 피라네시는 1778년에 출판된, 매우 분위기 있으면서도 정확한 에칭 책을 만들기 위해 방문했다. 이 책과 다른 판화들은 널리 유통되었다.[19] 신전의 완전하고 비교적 단순한 형태는 초기 그리스 부흥 건축에 영향을 미쳤다.
1740년, 나폴리의 새로운 카포디몬테 궁전을 위해 기둥을 제거하자는 제안이 있었지만 실행되지는 않았다. 초기에는 18세기 학자들이 그 구조물이 신전이었는지 의심했고, 체육관, 공공 바실리카 또는 홀, 또는 "주랑 현관"을 포함한 다양한 추측이 제기되었다. 또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논란과 오해가 있었다. 알레시오 심마코 마초키는 성직자이자 골동품 수집가이며 "현대 마그나 그라에키아 (이탈리아의 고대 그리스인) 연구의 창시자"[20]로, 그리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동쪽에서 온 사람들이 세운, 이탈리아에 이미 존재하던 문화에 단순히 합류했다고 주장하는 자신의 이론에 따라, 그들이 에트루리아 건축이라고 생각했다.[21] 그는 "포세이도니아"의 어원을 조작된 페니키아 해양 신에서 유래했다고 추론했다.[22]
유적에 대한 최초의 현대 출판물은 1764년 G. P. M. 뒤몽의 ''파에스툼의 유적''이었으며, 그는 1750년 나폴리 정부의 기술자인 가촐라 백작과 함께 건축가 자크-제르맹 수플로와 함께 그 유적지를 방문했다. 가촐라는 실측 도면을 그리거나 의뢰했고, 뒤몽은 자신의 그림과 더 예술적인 판을 추가했다. 1769년에는 확장판이 나왔고, 같은 해 영국인 토마스 메이저가 더 광범위한 기록을 출판했다. 1774년까지 이 유적지에 대한 아홉 개의 서로 다른 삽화 출판물이 있었다.[23]
2. 6.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9월 9일, 파에스툼은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의 아발란체 작전의 일환으로 미국 제36보병사단이 상륙한 해변이었다. 독일군은 상륙에 저항하여 마을 안팎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전투는 독일군이 북쪽으로 철수하기 전까지 9일 동안 계속되었다. 연합군은 양측 모두 폭격할 수 없는 구역으로 여겨지는 신전 안팎에 적십자 응급 텐트를 설치했다.[24]
3. 고대 유적
파에스툼은 기원전 550년에서 기원전 450년 사이에 도리스 양식으로 건축된 세 개의 고대 그리스 신전으로 가장 유명하다. 이 신전들은 18세기에 바실리카나 케레스 신전 등으로 잘못 알려졌지만, 이후 헤라, 아테나, 포세이돈을 섬겼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두 헤라 신전은 바로 옆에 있지만, 아테나 신전은 외떨어져 있다. 다른 신전들도 있었지만 보존 상태는 좋지 않다.
파에스툼 고대 도시 유적지는 120헥타르 가량이지만, 세 개의 신전과 주요 건물군을 포함하는 25헥타르 가량만 발굴되었다. 나머지 95헥타르는 사유지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도시는 길이 4.75km, 두께 5m, 높이 15m 가량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성벽에는 28개의 사각형, 원형 망루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18세기에 건설한 도로가 유적지를 양분하면서 지금은 24개가 남아있다.
중세 이후 도시 유적지 중심부에서는 건축 활동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많은 건물들의 기단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포장도로도 그대로 남아있다. 도시 설립자를 기리기 위해 지은 헤로온이 발견되었으며, 발견된 유물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성벽 밖에서는 많은 수의 무덤이 발굴되었다.
파에스툼은 고분 벽화로도 유명하다. 특히 잠수부의 무덤은 그리스 시대 프레스코 인물화가 발견된 유일한 무덤으로, 국립 파에스툼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파에스툼에서 북쪽으로 약 9 km 떨어진 셀레 강 하구(Foce del Seleit)에는 헤라를 모시는 신전들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파괴되었다. 발굴 조사 결과 70개의 메토프가 발견되었으며, 이 중 헤라클레스의 생애를 묘사한 초기 메토프는 파에스툼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3. 1. 세 개의 그리스 신전

파에스툼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기원전 550년에서 기원전 450년 사이에 도리스 양식으로 건축된 세 개의 고대 그리스 신전이다. 열주를 이루는 육중한 기둥에는 엔타시스(배흘림 기둥)가 확연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주두는 뒤집힌 버섯처럼 넓은 형태이다. 두 번째 헤라 신전에는 엔타블러처가 대부분 남아있지만, 다른 두 신전에는 아키트레이브만 있다.
이 신전들은 18세기에는 바실리카나 케레스 신전 등으로 잘못 알려졌지만, 이후 헤라, 아테나, 포세이돈을 섬겼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두 헤라 신전은 바로 옆에 있지만, 아테나 신전은 외떨어져 있다. 다른 신전들도 있었지만, 보존 상태는 좋지 않다. 파에스툼은 대리석 산지에서 거리가 멀기 때문에, 신전에는 부조 장식보다는 채색 장식이 주로 활용되었다. 채색한 테라코타를 건물 장식에 활용하기도 하였으며, 그 중 일부는 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고대 도시 파에스툼 전체는 약 120헥타르 가량이지만, 세 개의 신전과 주요 건물군을 포함하는 25헥타르 가량만이 발굴되었다. 나머지 95헥타르는 사유지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도시는 길이 4.75km, 두께 5m, 높이 15m 가량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성벽에는 28개의 사각형, 원형 망루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18세기에 건설한 도로가 유적지를 양분하면서 지금은 24개가 남아있다.
포세이도니아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케이론의 석주는 고대 그리스 미술에서는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거칠고 고풍스럽다. 이 석주는 향을 피우거나 제물을 태우는 받침대 또는 그 일부분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1. 1. 헤라 신전 1
첫 번째 헤라 신전은 기원전 550년경 그리스인들이 지은 것으로, 파에스툼에서 가장 오래된 신전이다. 18세기의 고고학자들은 이것을 고대 로마의 건물로 잘못 판단하여 바실리카로 추정하였다.[30]이후 신전에 새겨진 글귀나 테라코타 조각을 확인한 결과 헤라를 섬겼던 신전으로 밝혀졌다. 또한 신전 앞에서 제단이 발굴되어, 일반적인 그리스 신전처럼 야외에서 제물을 바치고 종교 의식을 거행한 것으로 추정된다.[30]
신전의 기둥은 엔타시스가 강하게 나타나 있어서 초기 양식을 잘 드러내고 있으며, 몇몇 주두에서는 채색했던 흔적이 남아있다.[31] 이 신전은 보통의 그리스 신전보다 좌우로 넓은데, 켈라 가운데에 기둥 일곱 개를 세우고 두 개의 문을 달았기 때문이다.[32] 이는 신전에 두 신을 함께 모셨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긴 면에는 18개의 기둥을 세웠는데, 기둥이 문을 가리지 않도록 짧은 면에는 홀수인 9개의 기둥을 세운 것 또한 특이한 점이다.

3. 1. 2. 헤라 신전 2 (포세이돈 신전)
두 번째 헤라 신전은 기원전 460년에서 기원전 450년 경에 첫 번째 헤라 신전 바로 북쪽에 지어졌다. 한때 포세이돈에게 봉헌된 것으로 잘못 알려졌었다. 각 기둥에는 전형적인 20개의 홈 대신 24개의 홈이 있다. 헤라 신전 2는 또한 더 넓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이 더 좁은 특징을 보인다. 이 신전은 제우스와 신원이 알려지지 않은 또 다른 신을 숭배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동쪽에는 큰 제단 하나와 작은 제단 하나, 두 개의 제단 유적이 보인다. 작은 제단은 로마 포룸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큰 제단을 가로질러 잘린 후에 지어진 로마 시대의 추가물이다. 또한 이 신전은 원래 헤라와 포세이돈 모두에게 봉헌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큰 제단 주변에서 발견된 몇몇 봉헌 조각상들이 이러한 동일시를 입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9]포세이도니아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도시라는 의미이다. 기원전 550년경 제우스 신의 배우자이자 올림피아의 여왕 헤라를 위한 신전 건축이 이루어졌다. 이 헤라 신전은 고전적인 주주식 신전 중 하나이다. 그로부터 100년 후쯤에 도시의 주신 포세이돈을 위한 신전이 세워졌다.
3. 1. 3. 아테나 신전

파에스툼 도시의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한 아테나 신전은 헤라 신전에서 조금 떨어진 고대 정착지의 북쪽 중앙에 있다. 기원전 500년경에 지어졌으며, 한동안 케레스에게 봉헌된 것으로 잘못 알려졌다.[33] 건축 양식은 과도기적이며, 주로 초기 도리아 양식으로 지어졌고 부분적으로는 이오니아 양식이다. 바닥에 있는 세 개의 중세 기독교 무덤은 이 신전이 한때 교회당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3. 2. 그 외의 유적
파에스툼 유적지 중심부에는 아고라를 계승한 것으로 보이는 포룸이 있다. 포룸 북쪽에는 기원전 200년 경에 지어져 유노, 유피테르, 미네르바를 모신 작은 로마 신전이 있다.포룸 북동쪽에는 작은 원형극장이 있는데, 서쪽 절반은 보존되어 있으나 동쪽 절반은 1930년에 유적지를 지나는 도로를 놓으면서 훼손되었다. 계단식 좌석으로 이루어진 작은 집회소도 있었는데, 불레우테리온(bouleuterion)이나 에클레시아스테리온(ekklesiasterion)으로 추정된다. 집회소에는 지붕은 없었지만, 아케이드가 있는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34] 그러나 이미 로마 시대에는 기능을 잃고 흙으로 메워졌다.[35]
포룸과 아테나 신전 인근의 헤로온(heroon)은 신원미상인 도시의 설립자를 기리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이며, 그의 사후 백여 년 뒤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헤로온은 중앙부에 큰 석판으로 사각형의 돌방을 만들고 경사지붕을 만든 뒤 낮은 봉분을 쌓은 형태이다. 1954년에 돌방을 발굴 조사한 이후, 절반은 땅 속에 있고, 절반은 땅 위에 드러난 형태로 남아있다. 그 안에서는 꿀을 담은 흔적이 남아있는 크고 인상적인 수입산 청동병, 기원전 520년에서 기원전 500년 경에 만들어진 아테나 그림을 그린 대형 흑회식 암포라 등이 출토되어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35]
3. 3. 고분 벽화

파에스툼은 고분 벽화로도 유명하다. 대부분은 루카니인이 지배하던 시기의 것이지만 단 하나는 그리스 시기의 것으로, 이것이 가장 유명한 무덤인 잠수부의 무덤(이탈리아어: ''Tomba del tuffatore'')이다. 흐르는 물 속으로 다이빙하는 젊은 남성을 묘사한 무덤 천장의 벽화에서 이름을 따온 이 무덤은 파에스툼의 황금 시대인 기원전 470년 경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 무덤은 1968년 6월 3일에 파에스툼 성벽에서 남쪽으로 약 1.5km 떨어진 네크로폴리스에서 발견되었으며, 고분 벽화는 국립 파에스툼 고고학 박물관으로 옮겨져 전시되고 있다. 이 무덤은 기원전 700년에서 기원전 400년 사이의 동방화 시기, 고졸기, 고전기를 통틀어 발견된 수천 기의 그리스 무덤 중 유일하게 프레스코 인물화가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중요성을 갖는다.
무덤 천장을 제외한 나머지 네 벽면에는 주로 그리스 채색 도기에 널리 그려진 심포지엄 장면이 그려져 있다. 다섯 개의 벽화가 모두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데, 함께 전시된 루카니인들의 고분 벽화는 그리스 시기의 벽화와는 달리 말이나 마상경기의 비중이 높아 대조를 이루고 있다.
3. 4. 셀레 유적
셀레 강 하구(Foce del Seleit)에는 헤라를 모시는 신전들이 있었다. 그러나 신전은 모두 파괴되었고, 다른 건물들 또한 흔적만이 약간 남아있을 뿐이다.[36][14] 발굴 조사 결과 셀레 유적지에서 고졸기 그리스 시대의 신전을 장식한 조각판인 메토프 70개를 발견하였다. 메토프는 두 종류로 구분되는데, 기원전 510년에 만든 것들은 한 쌍의 달리는 여인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그보다 오래된 38개의 메토프는 헤라클레스의 생애를 묘사하였다. 헤라클레스의 생애를 묘사한 초기의 메토프는 파에스툼 국립 고고학 박물관 중앙의 벽을 빙 둘러서 원래의 높이에 전시되어 있다.[36][14]셀레 유적지에도 나란테 박물관(''museo narrante'')이 있어 영상 전시를 하고 있지만, 유물 진품은 모두 파에스툼 국립 고고학 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하고 있다.[36][14]
포체 델 셀레의 헤라 신전
4. 파에스툼의 유물
파에스툼 국립 고고학 박물관은 파에스툼 유물 최대 소장처이지만, 체계적인 관리 이전 유물 반출로 인해 스페인 국립 고고학 박물관, 루브르 박물관, 베를린 고대 유물 박물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등 전 세계 여러 박물관에 흩어져 있다. 스페인 국립 고고학 박물관은 리비아와 티베리우스 조각상, 다수의 도기류를 소장하고 있다.
기원전 4세기부터 파에스툼에서는 여러 제작자들이 채색 도기를 만들었으나, 이들의 이름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도기들은 도시 인근 무덤이나 들판에서 주로 발견되었으며, 도시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1. 국립 고고학 박물관

파에스툼에서 북쪽으로 약 9 km 떨어진 셀레 강 하구(이탈리아어:''Foce del Sele'')에는 헤라를 모시는 신전들이 있었으나, 현재는 거의 파괴되어 흔적만 남아있다. 발굴 조사 결과 셀레 유적지에서 고졸기 그리스 시대 신전 장식 조각판인 메토프 70개가 발견되었다. 이 중 기원전 510년에 만들어진 메토프는 한 쌍의 달리는 여인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그보다 오래된 38개의 메토프는 헤라클레스의 생애를 묘사하고 있다. 헤라클레스의 생애를 묘사한 초기 메토프는 파에스툼 박물관 중앙 벽에 원래 높이대로 전시되어 있다.[36]
셀레 유적지에는 나란테 박물관(''museo narrante'')이 있어 영상 전시를 하고 있지만, 유물 진품은 모두 파에스툼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36]
국립 파에스툼 고고학 박물관은 방대한 유물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지만, 유적지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기 전 많은 유물이 반출되어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다. 특히 스페인 국립 고고학 박물관은 로마 시대 리비아와 티베리우스 조각상, 다수의 도기류 등 많은 유물을 보유하고 있다. 루브르 박물관과 베를린 고고학 컬렉션,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등 유럽과 미국의 여러 박물관에서도 파에스툼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파에스툼에서는 기원전 4세기부터 여러 제작자들이 채색 도기를 만들었는데, 이들의 이름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도기들은 도시 인근 무덤이나 들판에서 주로 발견되었으며, 도시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 파에스툼 고고학 박물관의 주요 전시물은 셀레 유적의 메토프, 다이빙하는 사람의 무덤, 헤로온의 부장품 등이다. 또한 테라코타로 만든 건물 장식과 신상, 도기 유물 등도 전시하고 있다.
5. 주화
파에스툼에서는 기원전 550년부터 기념주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기념주화에는 삼지창을 든 포세이돈 장식이 되어 있었다. 기념주화 발행은 티베리우스 시기까지 계속되었다. 명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기원전 89년의 원로원 칙령으로 이탈리아 내의 주조권을 일원화한 이후에도 파에스툼만은 독자적으로 동전을 주조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후 발행된 주화에 새겨진 "P. S. S. C." (Paesti Signatum Senatus Consulto)라는 명문이 이를 증명한다.[39] 이는 "원로원 결의에 따라 파에스툼에서 주조"를 의미한다.[26]
참조
[1]
웹사이트
Paestum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8-18
[2]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Paestum
2019-08-18
[3]
Merriam-Webster
Paestum
2019-08-18
[4]
서적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Routledge
2011
[5]
문서
[6]
웹사이트
Le meraviglie di Paestum
https://www.youtube.[...]
2009-04-14
[7]
웹사이트
"The early temple of Hera, known as the 'Basilica'"
http://www.paestum.o[...]
2016-02-26
[8]
웹사이트
"The temple of Athena"
http://www.paestum.o[...]
2016-02-26
[9]
웹사이트
Ancient Greek Temples at Paestum, Italy
http://smarthistory.[...]
smARThistory at Khan Academy
2012-12-18
[10]
간행물
Hellenistische Heiligtümer in Kampanien. Sakralarchitektur im Grenzgebiet zwischen Großgriechenland und Rom
Harrassowitz
2023
[11]
서적
Architecture of the Sacred: Space, Ritual, and Experience from Classical Greece to Byzantiu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0-13
[12]
웹사이트
"The Greek town at Paestum"
http://www.paestum.o[...]
2016-02-26
[13]
논문
[14]
웹사이트
"The Sanctuary at the mouth of the River Sele"
http://www.paestum.o[...]
[15]
웹사이트
ToposText
https://topostext.or[...]
[16]
서적
Il Santuario Di Santa Venera a Paestu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2-01-01
[17]
서적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웹사이트
Photo: American Red Cross ambulances by the Temple of Hera II at Paestum
http://www.gettyimag[...]
2016-01-18
[25]
웹사이트
Archaeologists uncover Doric style temples at ancient Poseidonia
https://www.heritage[...]
2024-01-15
[26]
웹사이트
"Poseidonia"
http://www.snible.or[...]
[27]
웹사이트
Chapter I - The Innocents Abroad - Mark Twain, Book, etext
http://www.telelib.c[...]
2023-03-25
[28]
웹사이트
Solinus, Polyhistor, 2.10
https://topostext.or[...]
[29]
문서
[30]
웹인용
Ancient Greek Temples at Paestum, Italy
http://smarthistory.[...]
smARThistory at Khan Academy
2012-12-18
[31]
Youtube
"Le meraviglie di Paestum, 1:32-1:38"
https://www.youtube.[...]
[32]
웹인용
"The early temple of Hera, known as the ‘Basilica’"
http://www.paestum.o[...]
2019-09-19
[33]
웹인용
"The temple of Athena"
http://www.paestum.o[...]
2019-09-19
[34]
웹사이트
Two possible reconstructions here
https://books.google[...]
[35]
웹인용
"The Greek town at Paestum"
http://www.paestum.o[...]
2019-09-19
[36]
웹사이트
The Sanctuary at the mouth of the River Sele
http://www.paestum.o[...]
[37]
서적
Il Santuario Di Santa Venera a Paestu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2-01-01
[38]
웹인용
사진
http://www.gettyimag[...]
2019-09-19
[39]
문서
Poseidonia
http://www.snible.or[...]
Historia Numor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