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포아브롬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포아브롬산(HOBr)은 브롬의 옥소산으로, 수용액에서 차아브롬산염 음이온과 수소 양이온으로 해리되며, 불안정하여 불균등화 반응을 통해 브롬산염과 브롬화물을 생성한다. 물에 브롬을 첨가하거나, 브로모과산화효소에 의해 브롬화물을 과산화수소로 산화시켜 생성된다. 하이포아브롬산은 표백제, 산화제, 탈취제, 살균제로 사용되며, 특히 차아염소산과 함께 사용될 때 효과적이다. 온혈 척추 유기체, 특히 호산구에서 호산구 과산화효소에 의해 생성되며, 온천이나 스파에서 살균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소 화합물 - 인산
인산은 화학식 H₃PO₄를 가지며, 인광석을 이용한 습식 또는 건식 공정으로 생산되어 비료, 식품 첨가물, 세제, 의약품, 금속 처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인 화합물이다. - 수소 화합물 - 질산
질산은 강산이자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무색 액체로, 비료, 폭발물, 나일론 생산 등 산업에 널리 쓰이지만 부식성과 테러 악용 위험성도 있으며, 현재는 주로 암모니아 산화법으로 생산된다. - 산화제 - 왕수
왕수는 진한 질산과 염산을 1:3 몰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금이나 백금 같은 귀금속을 녹일 수 있는 강력한 산화력을 가진 용액이며, 염화 금산 제조, 식각, 분석화학 등에 사용된다. - 산화제 - 질산
질산은 강산이자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무색 액체로, 비료, 폭발물, 나일론 생산 등 산업에 널리 쓰이지만 부식성과 테러 악용 위험성도 있으며, 현재는 주로 암모니아 산화법으로 생산된다.
| 하이포아브롬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IUPAC 명칭 | 하이포아브롬산 |
| 다른 이름 | 브로마놀 브롬산(I) 브로모옥시단 하이드록시도브로민 |
| 식별 | |
| InChIKey | CUILPNURFADTPE-UHFFFAOYSA-N |
| InChI | 1S/BrHO/c1-2/h2H |
| CAS 등록번호 | 13517-11-8 |
| UNII | GHT9BV419J |
| PubChem CID | 83547 |
| ChemSpider ID | 75379 |
| SMILES | OBr |
| 표준 InChI | 1S/BrHO/c1-2/h2H |
| 표준 InChIKey | CUILPNURFADTPE-UHFFFAOYSA-N |
| ChEBI | 29249 |
| 특성 | |
| 화학식 | HOBr |
| 몰 질량 | 96.911g/mol |
| 외형 | 해당 없음 |
| 밀도 | 2.470 g/cm³ |
| 녹는점 | 해당 없음 |
| 끓는점 | 20-25 °C |
| 용해도 | 해당 없음 |
| pKa | 8.65 |
| 짝염기 | 하이포아브롬산염 |
| 위험성 | |
| 주요 위험 | 해당 없음 |
| 인화점 | 해당 없음 |
| 자연 발화점 | 해당 없음 |
| 관련 화합물 | |
| 다른 양이온 | 하이포아브롬산 나트륨 |
| 다른 화합물 | 하이포플루오르산 하이포아염소산 하이포아이오딘산 하이포아브롬산염 |
| 구조 | |
![]() | |
2. 성질
하이포아브롬산(HOBr)은 다른 하이포할로겐산과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이 유사하다. 수용액에서 하이포아브롬산은 차아브롬산염 음이온(OBr−)과 수소 양이온(H+)으로 해리된다. 하이포아브롬산의 염은 하이포아브롬산염이라고도 불리며, 하이포아브롬산처럼 불안정하여 건조하면 불균등화 반응을 일으켜 브롬산염과 아브롬산염을 생성한다.
2. 1. 화학 반응
물에 브롬을 첨가하면 불균등화 반응을 통해 하이포아브롬산과 브롬화 수소산(HBr(aq))이 생성된다.[2][3]: Br2 + H2O ⇌ HOBr + HBr
자연에서 하이포아브롬산은 브로모과산화효소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는 브롬화물을 과산화 수소로 산화시키는 효소이다.[2][3]
: Br− + H2O2 ⇌ HOBr + OH−
하이포아브롬산의 pKa는 8.65이므로 pH 7에서 물에 부분적으로만 해리된다. 산과 마찬가지로 하이포브롬산염도 불안정하며, 서서히 불균등화 반응을 일으켜 각각의 브롬산염과 브롬화물 염을 생성한다.
: 3 BrO−(aq) → 2 Br−(aq) + BrO3−(aq)
물과 일산화이브롬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이다.
: Br2O + H2O → 2HBrO
표백 작용이 있다. 하이포아염소산과 성질이 유사하다. 유리산보다 염이 안정하다. 또한, 브롬을 물에 녹이면, 평형에 의해 일부가 브롬화 수소와 하이포아브롬산으로 된다.
: Br2 + H2O ⇌ HBr + HBrO
2. 2. 불균등화 반응
물에 브롬을 첨가하면 불균등화 반응을 통해 하이포아브롬산과 브롬화 수소산(HBr(aq))이 생성된다.[2][3]: Br2 + H2O
하이포브롬산염도 불안정하며, 서서히 불균등화 반응을 일으켜 각각의 브롬산염과 브롬화물 염을 생성한다.
: 3 BrO−(aq) → 2 Br−(aq) + BrO3−(aq)
3. 제법
순수한 브롬을 물에 추가하면 하이포아브롬산과 브롬화수소산이 생성된다.[2][3]
:Br2(l) + H2O(l) → HOBr(aq) + HBr (aq)
이는 불균등화 반응의 일종이다.
자연계에서 하이포아브롬산은 브로모과산화효소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는 브롬화물을 과산화수소로 산화시키는 효소이다.[2][3]
:Br− + H2O2
4. 용도
차아브롬산(HOBr)은 표백제, 산화제, 탈취제, 소독제로 사용되며, 많은 병원체의 세포를 죽일 수 있다.[4] 호산구의 과산화효소 작용과 유사하게, 브로민 화합물은 온천과 스파에서 산화제의 작용을 통해 차아브롬산을 생성하여 살균제로 사용된다. 특히 차아염소산과 함께 사용하면 더 효과적이다. 차아브롬산염은 살균력이 있어 표백 등에 사용된다.
- 차아브롬산 암모늄
- 차아브롬산 칼슘
- 차아브롬산 칼륨
- 차아브롬산 나트륨
4. 1. 생체 내 역할
차아브롬산은 표백제, 산화제, 냄새 제거제, 그리고 많은 병원체의 세포를 죽일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살균제로 이용된다. 이 화합물은 주로 온혈 척추 유기체, 특히 주로 브롬을 이용하는 효소인 에오신 기호성 페록시다아제의 차아브롬산을 만드는 에오신 기호성 유기체에서 생성된다.[5] 차아브롬산은 욕조나 스파에서 살균제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산화제를 이용해서 에오신 기호성 유기체의 페록시다아제와 유사한 방법으로 차아브롬산을 생성한다. 이때 차아브롬산과 유사한 차아염소산과 함께 사용할 경우 더욱 효과가 좋다.4. 2. 산업적 이용
차아브롬산은 표백제, 산화제, 냄새 제거제, 그리고 많은 병원체의 세포를 죽일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살균제로 이용된다. 이 화합물은 주로 온혈 척추 유기체, 특히 주로 브로민을 이용하는 효소인 에오신 기호성 페록시다아제의 차아브롬산을 만드는 에오신 기호성 유기체에서 생성된다.[5] 차아브롬산은 욕조나 스파에서 살균제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산화제를 이용해서 에오신 기호성 유기체의 페록시다아제와 유사한 방법으로 차아브롬산을 생성한다. 이때 차아브롬산과 유사한 차아염소산과 함께 사용할 경우 더욱 효과가 좋다.5. 차아브롬산염
수용액 상태에서 차아브롬산 중 일부는 차아브롬산염 음이온 OBr−과 수소 양이온 H+으로 해리된다. 차아브로민산의 염들은 차아브롬산염이라고도 부른다. 차아브롬산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염들은 불안정하여 건조시킬 경우 불균등화 반응을 일으키며 브롬산염과 아브롬산염을 생성한다.[2][3]
차아브롬산염은 살균력이 있어 표백 등에 사용된다. 그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은 다른 하이포할로겐산염과 유사하다.
- 차아브롬산 암모늄
- 차아브롬산 칼슘
- 차아브롬산 칼륨
- 차아브롬산 나트륨
참조
[1]
서적
Ionisation Constants of Inorganic Acids and Bases in Aqueous Solution
Pergamon
[2]
논문
Hypobromous acid, a powerful endogenous electrophile: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ies
[3]
간행물
Marine haloperoxidases
[4]
간행물
Eosinophils preferentially use bromide to generate halogenating agents
http://www.jbc.org/c[...]
2008-01-12
[5]
저널
Eosinophils preferentially use bromide to generate halogenating agents -- Mayeno et al. 264 (10): 5660 --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http://www.jbc.org/c[...]
2008-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