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트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트샤는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사중성계로, 밤하늘에서는 하나의 별처럼 보인다. 이 별은 O형과 B형 거성으로 이루어진 분광쌍성인 주성 A와 주성에서 멀리 떨어진 B형과 A형의 짝별로 구성되어 있다. 하트샤는 '검의 밝은 자'라는 뜻의 아랍어 이름 '나이르 알 사이프'로 불리기도 했으며, 국제천문연맹(IAU)은 Iota Orionis Aa 구성 요소에 '하티사'(Hatysa)라는 고유 이름을 부여했다. 하트샤는 과거 비둘기자리 뮤, 마차부자리 AE와 함께 사다리꼴 성단에 속해 있었으나, 중력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도주성이 되었다. 하트샤는 약 400pc 거리에 있는 NGC 1980 산개 성단과 연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O형 거성 - 돛자리 감마
돛자리 감마는 돛자리에 위치한 최소 4개 이상의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로, 밝은 청색 초거성과 울프-레이에별 분광 쌍성인 돛자리 감마2와 청색 거성 돛자리 감마1을 포함하며, '맹세의 수하일'이라고도 불리고 '레고르'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다. - O형 거성 - 메이사
오리온자리의 거성 메이사는 '빛나는 존재'라는 뜻의 아랍어에서 유래했으며, 람다 오리온 성단의 주요 구성원으로 거대한 성운 고리를 형성하고 이중성으로 존재하며 초신성 폭발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B형 준거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B형 준거성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B형 거성 - 마이아 (항성)
마이아는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아데스 자매의 이름을 딴 별로, 특정 원소 과잉과 흑점 활동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이며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한 항성이다. - B형 거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하트샤 | |
|---|---|
| 위치 정보 | |
| 명칭 | |
| 이름 | 하트샤 |
| 바이어 명명법 | ι 오리온자리 |
| 다른 이름 | 나이르 알 사이프 하츠야 |
| 관측 정보 | |
| 시대 | J2000 |
| 겉보기 등급 | 2.77 |
| 별자리 | 오리온자리 |
| 특징 | |
| 구성원 | ι 오리온자리 A |
| 분광형 | O9 III + B0.8 III/IV + B2:IV: |
| B-V 색지수 | –0.24 |
| U-B 색지수 | –1.08 |
| 특징 | |
| 구성원 | ι 오리온자리 B |
| 분광형 | B8 III |
| 변광성 | 오리온 |
| 위치 정보 | |
| 구성원 | ι 오리온자리 A |
| 시선 속도 | 21.5 |
| 고유 운동 (적경) | +1.42 |
| 고유 운동 (적위) | –0.46 |
| 연주시차 | 1.40 |
| 연주시차 오차 | 0.22 |
| 거리 | 412 ± 14 파섹 |
| 궤도 요소 | |
| 주성 | ι 오리온자리 Aa1 |
| 이름 | ι 오리온자리 Aa2 |
| 공전 주기 | 29.1338 일 |
| 궤도 긴반지름 | 132 태양 반지름 |
| 이심률 | 0.764 |
| 궤도 경사 | ~60 도 |
| 근점 통과 시각 | 2,450,072.80 HJD |
| 물리적 특징 | |
| 구성원 | ι 오리온자리 Aa1 |
| 질량 | 23.1 태양 질량 |
| 반지름 | 8.3 태양 반지름 |
| 광도 | 68,000 태양 광도 |
| 표면 온도 | 32,500 K |
| 표면 중력 | 3.73 |
| 금속 함량 [Fe/H] | +0.10 |
| 회전 속도 | 122 km/s |
| 나이 | 4.0–5.5 백만 년 |
| 구성원 | ι 오리온자리 Aa2 |
| 질량 | 13.1 태양 질량 |
| 반지름 | 5.4 태양 반지름 |
| 광도 | 8,630 태양 광도 |
| 표면 온도 | 27,000 K |
| 표면 중력 | 3.78 |
| 나이 | 9.4 ± 1.5 백만 년 |
| 물리적 특징 | |
| 구성원 | ι 오리온자리 B |
| 질량 | 5.12 태양 질량 |
| 표면 온도 | 18,000 K |
| 표면 중력 | 4.0 |
| 나이 | ~3 백만 년 |
| 식별 정보 | |
| 명칭 | 하트샤 ι 오리온자리 나이르 알 사이프 하츠야 BD−06°1241 FK5 209 SAO 132323 ADS 4193 WDS J05354-0555 |
| 구성원 | ι 오리온자리 A |
| 명칭 | 44 오리온자리 HD 37043 HIP 26241 HR 1899 2MASS J05352597-0554357 |
| 구성원 | ι 오리온자리 B |
| 명칭 | V2451 오리온자리 2MASS J05352645-0554445 |
| 구성원 | ι 오리온자리 C |
| 명칭 | 2MASS J05352920-0554471 |
| 추가 정보 | |
![]() | |
2. 명칭
이 별은 ‘오리오니스’(Iota Orionis)라는 바이어 명명법 명칭을 가지고 있다. 이 시스템의 세 구성 요소는 ''Iota Orionis A'', ''B'', ''C''이며, ''A''의 구성 요소인 ''Iota Orionis Aa1'', ''Aa2'', ''Ab''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채택한 다중성 시스템 명명법을 따른다.
하트샤는 밤하늘에서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네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사중성계이다. 가장 밝은 주성 A는 O형과 B형의 거성이 매우 가까이 붙어 있는 분광쌍성이고, 나머지 두 별은 주성으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이 시스템은 아랍어 نير السيف ''nayyir as-sayf'' ("검의 밝은 자"라는 뜻)에서 유래한 ''나이르 알 사이프''라는 전통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안토닌 베츠바르의 1951년 ''아틀라스 코엘리'' 이후, ''하티사''(Hatysa)라는 고유 이름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이름의 더 오래된 출처는 발견되지 않았다.
2016년, IAU는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 WGSN은 전체 다중성계가 아닌 개별 별에 고유 이름을 부여하기로 결정했으며, 2017년 9월 5일, Iota Orionis Aa 구성 요소에 ''하티사''(Hatysa)라는 이름을 승인했다. 이 이름은 현재 IAU 승인 별 이름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Iota Orionis B는 변광성이며, 2011년에 변광성 명칭 V2451 오리오니스(Orionis)가 부여되었다.
안토닌 베추바르의 성도에서만 발견되는 고유명칭 '''하티사'''(Hatysa)는 그 출처가 불분명하지만, 2017년 9월 5일, 국제천문연맹의 항성 명명에 관한 워킹 그룹(WGSN)은 오리온자리 ι별 Aa의 고유 명칭으로 ''Hatysa''를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현재 오리온자리 κ별의 고유 명칭으로 사용되는 "사이프"는 원래 η별, c별, θ별, ι별을 검으로 비유하여 붙여진 이름이었으나, 오류로 인해 κ별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ι별은 이 별들 중에서 가장 밝은 별이었기 때문에, 아랍어로 "검의 밝은 것"을 의미하는 ''Na'ir al Saif''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3. 구성원
주성에서 가까운 짝별은 A 또는 F 분광형을 가지며 4,400AU 떨어져 있고, 또 다른 짝별은 B 분광형으로 20,000AU 떨어져 있다.[6] 이 두 별은 멀리 떨어진 만큼 주성을 한 바퀴 도는 데 각각 7만 5천 년, 70만 년이 걸린다.[1]
주성 A의 구성원들은 매우 가까이 붙어 돌면서 서로에게 강한 기조력을 받으며, 질량을 빠르게 잃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7] 이들이 뿜는 항성풍이 충돌하여 강력한 엑스선을 발생시킨다.[8]
하트샤는 원래 비둘기자리 뮤, 마차부자리 AE와 함께 사다리꼴 성단 부근에서 성단 형태로 뭉쳐 있었으나, 270만 년 전 이들의 중력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일부는 속박되고 일부는 튕겨져 나갔다. 하트샤 A 구성원들의 궤도는 질량중심에 대해 이심률이 매우 크며 29.1338일 주기로 서로 공전하는데, 이는 도주 과정에서 이심률이 커진 것으로 추측된다.[9]
이오타 오리오니스 A는 O9 III형 청색 거성과 B0.8 III/IV 등급 별로 이루어진 분광 쌍성이며, 두 별의 별의 바람 충돌로 강력한 X선을 방출한다. 이 쌍성계는 특이하게도 두 천체의 나이가 다른데, 이는 포획을 통해 생성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포획은 두 쌍성계의 만남을 통해 발생했을 수 있으며, 각 쌍성에서 별 하나가 기증되고 두 개의 도주성이 방출되었을 수 있다.
이오타 오리오니스 B는 약 5,000 AU에 위치한 B8 거성으로, 가변성이 있는 어린 별체일 가능성이 높고, 헬륨 약화 화학적으로 특이한 별이다. 더 희미한 이오타 오리오니스 C는 A0형 별이다.
하트샤는 오리온자리 검 부분에서 가장 밝은 별로, 검의 끝 부분에 위치한다.
3. 1. 주성 A
밤하늘에서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하트샤는 네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사중성계이다. 가장 밝은 주성 '''A'''는 실제로는 O형과 B형의 거성이 매우 가까이 붙어 있는 분광쌍성이다.[1] 주성 A의 구성원 둘은 매우 가까이 붙어서 돌기 때문에 서로에게 강한 기조력을 받으며, 질량을 빠른 속도로 잃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7] 서로가 뿜는 항성풍이 충돌하면서 강력한 엑스선이 발생한다.[8]
이오타 오리오니스 A의 주 구성 요소는 질량이 약 인 O 등급 거성이다. 이 별은 의 표면 유효 온도와 의 반지름을 가지며, 그 결과 의 볼로메트릭 광도를 갖는다. 이 별의 나이는 약 900만 년으로 추정된다. 분광 쌍성 쌍의 이차 별은 질량이 약 인 B 등급 거성 또는 준거성이다. 이 별은 의 온도를 가지며 의 반지름을 가지고 있어 태양보다 8,000배 이상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오리온자리 검 부분에서 가장 밝은 별로, 검의 끝 부분에 위치한다. 네 개의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O형 청색 거성의 주성은 2.77등급으로, 이심률 0.764, 공전 주기 29.1일의 궤도로 공전하는 Aa와 Ab의 두 개의 별로 구성된 분광 쌍성이다.
3. 2. 짝별 B와 C
분광쌍성인 주성 A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두 별 중 가까운 짝별 B는 분광형 A(또는 F)형으로, 주성에서 4,400AU 떨어져 있으며, 주성을 한 바퀴 도는 데 약 7만 5천 년이 걸린다.[1] 분광형 B의 또 다른 짝별 C는 20,000AU 떨어져 있으며[6], 주성을 한 바퀴 도는 데 약 70만 년이 걸린다.[1] 짝별 B는 B8형 거성으로, 어린 별체일 가능성이 높으며, 헬륨 약화 화학적으로 특이한 별이다. 짝별 C는 A0형 별이다.
3. 3. Ab
밤하늘에서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하트샤는 네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사중성계이다. 가장 밝은 주성 '''A'''는 실제로는 O형과 B형의 거성이 매우 가까이 붙어 있는 분광쌍성이다. 나머지 두 별은 주성으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둘 중 가까운 A(또는 F) 분광형의 짝별은 주성에서 4400AU 떨어져 있고, 분광형 B의 또 다른 짝별은 20000AU 떨어져 있다.[6] 멀리 떨어져 있는 만큼 두 별이 주성을 한 바퀴 도는 데에는 각각 7만 5천 년, 70만 년이 걸린다.[1]
주성 A의 구성원 둘은 매우 가까이 붙어서 돌기 때문에 서로의 짝으로부터 각각 강한 기조력을 받으며, 질량을 빠른 속도로 잃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7] 서로가 뿜는 항성풍이 충돌하면서 강력한 엑스선이 발생한다.[8]
4. 도주성
하트샤는 원래 비둘기자리 뮤, 마차부자리 AE와 같은 곳에서 태어났다(셋의 분광형은 거의 같다). 270만 년 전만 해도 이들 셋은 사다리꼴 성단의 어느 한 장소에 성단 형태로 가까이 뭉쳐 있던 구성원들이었다.[9] 그러나 이들이 서로 가까이 접근하면서 중력적 상호작용 때문에 일부는 서로의 중력에 속박되었고, 일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튕겨져 나갔다.[9] 하트샤 A의 구성원 둘의 궤도는 질량중심에 대해 이심률이 매우 크며 29.1338일 주기로 서로를 한 바퀴 도는데, 도주성이 되는 과정에서 이처럼 큰 이심률을 그리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9]
5. 거리
이오타 오리노스는 히파르코스 신규 보정에서 의 시차를 가지며, 약 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전 히파르코스 시차는 로 더 가까운 거리를 제시했다.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2는 이오타 오리노스 항성계의 두 개의 희미한 구성 요소에 대해 각각 와 의 개별 시차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와 의 거리를 나타내며, 오차 범위는 불과 몇 파섹이다. 세 별 모두 같은 거리에 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거의 없다.
이오타 오리노스는 일반적으로 정도의 거리에 있는 산개 성단 NGC 1980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정확히 같은 거리에 있지 않을 수 있으며, 이오타 오리노스는 별의 만남과 탈주성과 관련된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참조
[1]
웹인용
HD 37043 -- Spectroscopic binary
http://simbad.u-stra[...]
SIMBAD
2009-04-20
[2]
웹인용
Coordinated monitoring of the eccentric O-star binary Iota Orionis: optical spectroscopy and photometry
http://www3.intersci[...]
Wiley InterScience
2009-04-20
[3]
웹인용
Iota Orionis
http://daviddarling.[...]
encyclopedia of science
2009-04-20
[4]
웹인용
NA'IR AL SAIF (Iota Orionis)
http://www.astro.ill[...]
Jim Kaler - Stars
2009-04-20
[5]
웹인용
The history of the star Hatsya
http://www.constella[...]
constellationsofwords
2009-04-20
[6]
문서
이 거리에서, 주성에서 나온 빛이 짝별에 도달하기까지는 약 115일이 걸린다.
[7]
저널
Spectroscopy of the Massive Binary IOTA Orionis at Periastron
http://adsabs.harvar[...]
2009-04-20
[8]
저널
Colliding Stellar Winds in IOTA Orionis
http://adsabs.harvar[...]
2009-04-20
[9]
저널
Iota Orionis - Evidence for a Capture Origin Binary
http://www.iop.org/E[...]
2009-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