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학술기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술기요》(Acta Eruditorum)는 1682년 오토 멩케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에 의해 라이프치히에서 창간된 라틴어 월간 학술지이다. 새로운 저술, 평론, 에세이 등을 다루었으며, 자연과학과 수학 분야의 논문이 주를 이루었다. 야코프 베르누이, 레온하르트 오일러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기고했으며, 미적분학 발견에 대한 아이작 뉴턴과 라이프니츠 간의 논쟁에서 라이프니츠 측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했다. 오토 멩케 사후, 그의 아들이 편집장을 맡았으며, 이후 《신성학술기요》(Nova Acta Eruditorum)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학술기요
일반 정보
이름노바 악타 에루디토룸
원래 이름Acta Eruditorum
저널 정보
분야과학
언어라틴어
출판1682년 - 1782년

2. 역사

《학술기요》는 1682년 라이프치히에서 오토 멩케와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가 처음으로 발행한 학술지이다.[5][6] 요한 프리드리히 글레디치가 출판하였으며, 프랑스의 ''Journal des savants''와 이탈리아의 ''Giornale de'letterati''의 형식을 따라 만들었다. 라틴어로 편집된 월간지로, 새로운 저술, 평론, 짧은 수필과 기록에서 발췌한 내용을 담았다. 자연과학과 수학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야코프 베르누이, 험프리 디턴, 레온하르트 오일러,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제롬 랄랑드와 같은 저명한 과학자들과 바이트 루트비히 폰 제켄도르프, 슈테판 버글러, 크리스티안 토마지우스, 크리스티안 볼프와 같은 인문학자와 철학자도 이 학술지를 통해 연구를 발표하였다.

아이작 뉴턴은 멩케와 한 차례 편지와 출판물을 교류한 적은 있지만, 《학술기요》에 기고하지는 않았다.[7] 뉴턴과 라이프니츠 사이의 미적분 발견에 관한 논쟁은, 파티오 드 딜리에가 뉴턴이 라이프니츠보다 먼저 미적분을 발견했으며 라이프니츠가 뉴턴의 업적에 기댔을 것이라고 발표하자, 라이프니츠가 《학술기요》 1697년 5월호에 반박 글을 기고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논쟁에서 《학술기요》는 라이프니츠 진영의 입장을 대변하는 매체였으며, 뉴턴의 경우는 《왕립사회회보》였다. 멩케는 논쟁을 중재하려 했으나 양측의 반박은 격렬했다. H. 레븐은 "멩케가 결정권은 없었지만, 적어도 풍조를 확립하는 데는 최선을 다했다"라고 설명했다.[8] 이 논쟁은 《학술기요》가 국제적 영향력 범위 내에서 국가적 단결의 지각을 표현하고 독일 학문을 정의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9]

2. 1. 명칭 변화

오토 멘케가 1707년에 사망한 후, 그의 아들인 요한 부르크하르트 멘케가 ''Acta Eruditorum''을 운영했으며, 요한 부르크하르트 멘케는 1732년에 사망했다.[1] 그 당시 이 학술지는 '''''Nova Acta Eruditorum''''''(신 학술기요)로 이름을 변경했다.[1] 1756년부터는 카를 안드레아스 벨이 이끌었다.[1]

3. 미적분학 논쟁에서의 역할

아이작 뉴턴라이프니츠 간의 미적분 발견 논쟁에서 《학술기요》는 라이프니츠 진영의 입장을 대변하는 주요 매체였다. 오토 멩케는 논쟁을 중재하려 노력했지만, 양측의 주장은 격렬했고, 논쟁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7]

3. 1. 논쟁의 영향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가 1697년 5월 《학술기요》에 기고하면서 아이작 뉴턴과 라이프니츠 사이의 미적분 발견에 관한 논쟁이 시작되었다. 니콜라스 파티오 드 뒤에는 라이프니츠가 유럽 최고의 수학자 목록에서 자신을 제외한 것에 불만을 품고, 뉴턴이 라이프니츠보다 먼저 미적분학을 발견했으며 라이프니츠는 아마도 뉴턴의 업적에 의존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어진 격렬한 논쟁에서 《학술기요》는 대체로 라이프니츠 진영의 대변인 역할을 했으며, 이는 《왕립사회회보》가 뉴턴 진영의 대변인 역할을 한 것과 유사했다. 편집장 멩케는 논쟁을 완화하려 했지만, 양측의 반박은 너무 강력했다. H. 라에벤은 이 논쟁에 대한 설명에서 "멩케가 지휘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그는 적어도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8] 이 논쟁은 《학술기요》가 국가적 결속력을 표현하고 국제적인 영향력 분야 내에서 독일 학문을 정의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9]

참조

[1] 웹사이트 MAA Euler Archive, information page for the journal ''Acta Eruditorum'' http://www.math.dart[...] 2008-03-09
[2] 간행물 Leibniz https://runeberg.org[...]
[3] 서적 Leibniz: An Intellectual Biography Cambridge
[4] 서적 The Acta Eruditorum under the Editorship of Otto Mencke. The History of an International Learned Journal between 1682 and 1707 APA-Holland University Press 1990
[5] 웹인용 Information on Acta ''Eruditorum'' http://www.math.dart[...] 2017-04-13
[6] 간행물 Leibniz http://runeberg.org/[...]
[7] 서적 The "Acta Eruditorum" under the Editorship of Otto Mencke. The History of an International Learned Journal between 1682 and 1707 APA-Holland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Acta Eruditorum" under the Editorship of Otto Mencke. The History of an International Learned Journal between 1682 and 1707 APA-Hollan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Acta Eruditorum" under the Editorship of Otto Mencke. The History of an International Learned Journal between 1682 and 1707 APA-Hollan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