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교통연구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교통연구원은 교통 정책 및 기술 연구 개발, 관련 정보 수집 및 보급을 통해 교통 분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1985년 교통개발연구원으로 설립되어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교통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300명의 직원이 근무하며, 9개의 연구본부와 22개의 실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연구 간행물을 발간하며, OECD, ADB, 세계은행 등과 연구자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 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 -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은 국토종합장기계획 수립, 국토 이용 및 보전 연구 등을 수행하며, 1978년 국토개발연구원으로 개원하여 1999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세종특별자치시로 청사를 이전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건축물 -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은 국토종합장기계획 수립, 국토 이용 및 보전 연구 등을 수행하며, 1978년 국토개발연구원으로 개원하여 1999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세종특별자치시로 청사를 이전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건축물 -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대한민국의 국책 연구기관으로 경제 개발 계획 수립 및 정책 연구를 수행하며, 국제개발협력 및 북한경제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정책 전문가를 양성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
    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장관급 정무직 공무원으로, 국무총리를 보좌하여 정부 정책 조정, 행정 지휘·감독, 사회적 위험 및 갈등 관리, 정부 업무 평가, 규제 개혁 등을 담당하며, 과거 행정조정실장에서 격상되었다.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한국교통연구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식 명칭한국교통연구원 (韓國交通研究院)
영문 명칭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KOTI)
로마자 표기Hanguk gyotong yeonguwon
설립일1985년 11월 11일
전신교통개발연구원 (2005년까지)
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과학인프라동
상위 기관경제인문사회연구회
웹사이트한국교통연구원 공식 웹사이트
조직 및 경영
기관장 직책원장
기관장 성명오재학

2. 설립 목적

한국교통연구원은 교통정책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교통정책·기술에 관련된 국내외 각종 정보를 수집, 조사, 분석하여 이를 널리 보급함으로써 교통분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또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교통체계 추진정책을 제시하고, 나아가 교통관련 기초자료 구축 및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설립되었다.

3. 연혁


  • 1985년 11월 1일 재단법인 교통개발연구원 설립 허가[2]
  • 1986년 2월 '''교통개발연구원''' 개원 (\[\[경기도]] 고양시 소재)
  • 1987년 8월 25일 정부출연연구기관 교통개발연구원으로 변경[3]
  • 1996년 6월 13일 관광연구센터 폐지
  • 1998년 9월 국가교통DB센터 설립
  • 1999년 1월 29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교통개발연구원으로 변경[4][5]
  • 2005년 7월 1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한국교통연구원'''으로 변경
  • 2006년 9월 북한교통정보센터 설치
  • 2014년 12월 세종국책연구단지로 청사 이전
  • 2016년 8월 개원 30주년 기념 국제세미나 개최
  • 2017년 12월 제14대 오재학 원장 취임[6] (전임 원장: 이창운)

4. 조직

한국교통연구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아시아 개발 은행(ADB), 세계 은행과 연구자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제4차 산업혁신 및 교통 연구본부
  • 종합교통연구본부
  • 도로교통연구본부
  • 철도교통연구본부
  • 항공교통연구본부
  • 물류연구본부
  • 국가교통 빅데이터 연구본부
  • 글로벌 교통협력 연구본부
  • 기획조정본부

4. 1. 원장

한국교통연구원은 300명의 직원을 두고 있으며, 이 중 230명이 연구직, 총 99명이 박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 원장 산하에는 9개의 부서와 22개의 실이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아시아 개발 은행(ADB), 세계 은행과 연구자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4. 1. 1. 부원장

한국교통연구원에는 별도의 부원장 제도가 있다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다. 대신, 원장 산하에 9개의 부서와 22개의 실이 있다는 정보가 있다.

5. 간행물

한국교통연구원은 다양한 형태의 간행물을 통해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5. 1. 한국어 간행물


  • 연구 도서 시리즈 - 주제별로 묶인 한국의 주요 교통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연구 보고서 - 교통 문제 및 정책 문제에 대한 단기 연구 및 분석을 제공한다.
  • 위탁 연구 보고서 - 정부 및 국내/국제 연구 기관의 위탁을 받아 작성된다.
  • 교통연구 - 대학교, 연구소, 기업의 연구자들이 기고하는 분기별 학술지이다.
  • 교통 - 한국 및 국제 교통 정책 및 연구에 초점을 맞춘 월간 간행물이다.
  • KOTI Brief - 격주 연구 보고서 뉴스레터이다.
  • KOTI Themed Briefs - KOTI KTDB, 항공 정책, 지속 가능한 교통, 물류, 자전거, 동북아시아를 포함한 KOTI 내 특정 연구에 의해 발행되는 브리프이다.

5. 2. 영어 간행물


  • KOTI 월드 브리프 - KOTI 브리프에서 발췌한 기사를 번역하여 매달 발행하는 뉴스레터이다.
  • 한국의 통합 녹색 교통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 - KOTI 월드 브리프 기사를 주제별로 묶어 발간하는 시리즈이다.
  • KSP 시리즈 - 한국의 주요 교통 정책 및 기술 개발을 다루는 단행본 시리즈이다.

참조

[1] 웹사이트 설립목적 및 연혁 - 메인 - KOTI 소개 - 설립목적 및 연혁 https://www.koti.r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8-01-30
[2] 웹사이트 Civil Act http://elaw.klri.re.[...] Ministry of Justice 2014-05-28
[3] 웹사이트 Urban Traffic Readjustment Promotion Act http://elaw.klri.re.[...] Ministry of Justice 2014-05-28
[4] 웹사이트 Member Research Institutes https://www.nrcs.re.[...] NRCS 2014-05-28
[5] 웹사이트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http://www.koti.re.k[...] KOTI 2014-05-28
[6] 웹사이트 설립목적 및 연혁 - 메인 - KOTI 소개 - 설립목적 및 연혁 https://www.koti.r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8-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