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토연구원은 국토종합장기계획 및 지역계획 수립, 국토 이용·보전 및 자원 관리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는 연구기관이다. 토지, 주택, 도시 및 건설산업 등 국토 관련 분야 정책 연구와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종합 연구도 진행하며, 국토 공간 정보 관리 및 공급, 국내외 기관과의 공동 연구, 연구 용역 수탁, 전문가 교육 및 연구 결과 출판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1978년 국토개발연구원으로 개원하여, 1999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17년 세종특별자치시로 청사를 이전했다. 2019년에는 연구원 부원장이 선임 연구원을 방치하여 사망하게 한 사건이 발생하여 논란이 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 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1985년 설립되어 199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정보통신·방송 정책 및 제도, 산업 전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국가 정보통신 정책 수립과 디지털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건축물 -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대한민국의 국책 연구기관으로 경제 개발 계획 수립 및 정책 연구를 수행하며, 국제개발협력 및 북한경제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정책 전문가를 양성하는 기관이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건축물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971년 설립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89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된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저출산·고령화 대책 및 사회보장 제도 개선 등의 연구와 정책 수립 및 평가에 기여하고 있으며, 독립성 및 정책 연구 간섭 문제가 과제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
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장관급 정무직 공무원으로, 국무총리를 보좌하여 정부 정책 조정, 행정 지휘·감독, 사회적 위험 및 갈등 관리, 정부 업무 평가, 규제 개혁 등을 담당하며, 과거 행정조정실장에서 격상되었다.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국토연구원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국토연구원 |
외국어 표기 | 국토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설립일 | 1978년 10월 4일 |
설립 근거 |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국책연구원로 5 |
기관장 직책 | 원장 |
기관장 성명 | 심교언 |
상급 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웹사이트 | 국토연구원 웹사이트 |
영어 | |
영어 이름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2. 주요 업무
국토연구원은 국토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연구 및 정책 지원을 수행한다.[1]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주요 업무 |
---|
국토종합장기계획 및 지역계획 수립 연구 |
국토 이용·보전 및 자원 관리 연구 |
토지, 주택, 도시 및 건설 산업 등 국토 관련 분야 정책 연구 |
사회간접자본 종합 연구 |
국토 공간 정보 체계적 관리 및 공급 |
지방자치단체, 국내외 연구 기관, 국제 기구와 공동 연구 및 연구 협력 사업 |
정부, 국내외 공공 기관 및 민간 단체 등으로부터 연구 용역 수탁 |
국토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국내외 국토 관련 전문가 교육 및 위탁 연수 |
연구 결과 출판 및 배포 |
기타 연구원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
2. 1. 연구 분야
국토연구원은 다음과 같은 연구 분야를 다룬다.[1]- 국토 종합 장기 계획 및 지역 계획 수립 연구
- 국토 이용, 보전 및 자원 관리에 관한 연구
- 토지, 주택, 도시 및 건설 산업 등 국토 관련 분야 정책 연구
-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종합 연구
- 국토 공간 정보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급
- 지방자치단체, 국내외 연구 기관, 국제기구와 공동 연구 및 연구 협력 사업
- 정부, 국내외 공공 기관 및 민간 단체 등으로부터의 연구 용역 수탁
- 국토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국내외 국토 관련 전문가 교육 및 위탁 연수
- 연구 결과의 출판 및 배포
- 위와 관련된 부대 사업 및 기타 연구원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2. 2. 협력 사업
국토연구원은 지방자치단체, 국내외 연구 기관, 국제 기구와 공동 연구 및 연구 협력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1] 정부, 국내외 공공기관 및 민간 단체 등으로부터 연구 용역을 수탁받고 있으며,[1] 국토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내외 국토 관련 전문가 교육 및 위탁 연수를 실시하고, 연구 결과를 출판 및 배포한다.[1]2. 3. 기타 사업
- 국토종합장기계획 및 지역 계획 수립 연구
- 국토의 이용, 보전 및 자원 관리에 관한 연구
- 토지, 주택, 도시 및 건설 산업 등 국토 관련 분야 정책 연구
-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종합 연구
- 국토 공간 정보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급
- 지방자치단체, 국내외 연구 기관, 국제기구와 공동 연구 및 연구 협력 사업
- 정부, 국내외 공공 기관 및 민간 단체 등으로부터의 연구 용역 수탁
- 국토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국내외 국토 관련 전문가 교육 및 위탁 연수
- 연구 결과의 출판 및 배포
3. 연혁
- 1978년 10월 4일 충무로 극동빌딩에서 국토개발연구원이 개원하였다.[1]
- 1999년 1월 29일 "정부출연 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 '''국토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 1999년 4월 1일 "사회간접자본시설에대한민간투자법"에 의거 민간투자지원센터가 설립되었다.[1]
- 2006년 3월 17일 도시혁신지원센터가 설립되었다.[1]
- 2007년 6월 15일 부설 건축도시공간연구소가 설립되었다.[1]
- 2007년 7월 17일 도로정책연구센터가 신설되었다.[1]
- 2008년 2월 21일 건설산업정보센터가 설립되었다.[1]
- 2010년 12월 30일 글로벌개발협력센터(Global Development Partnership Center: GDP센터)가 설립되었다.[1]
- 2010년 12월 31일 아태지역개발기구(EAROPH) 사무국이 개소했다.[1]
- 2012년 8월 8일 국토계획평가센터가 설립되었다.[1]
- 2017년 1월 16일 세종청사로 이전하였다.[1]
3. 1. 설립 초기
1978년 10월 4일, 충무로 극동빌딩에서 국토개발연구원이 개원하였다.[1]3. 2. 명칭 변경 및 기관 확장
1999년 1월 29일,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토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같은 해 4월 1일에는 "사회간접자본시설에대한민간투자법"에 근거하여 민간투자지원센터가 설립되었다.[1]2006년 3월 17일 도시혁신지원센터,[1] 2007년 6월 15일 부설 건축도시공간연구소가 설립되었다.[1] 2007년 7월 17일 도로정책연구센터,[1] 2008년 2월 21일 건설산업정보센터가 설립되었다.[1]
2010년 12월 30일 글로벌개발협력센터(Global Development Partnership Center: GDP센터),[1] 12월 31일 아태지역개발기구(EAROPH) 사무국이 개소했다.[1] 2012년 8월 8일에는 국토계획평가센터가 설립되었다.[1]
3. 3. 세종 청사 이전
1978년 10월 4일 忠武路|충무로중국어 극동빌딩에서 국토개발연구원이 개원하였다.[1] 1999년 1월 29일 "정부출연 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 '''국토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1] 2017년 1월 16일 세종청사로 이전하였다.[1]4. 조직
국토연구원은 연구원장과 감사실, 여러 연구 본부, 그리고 기획경영본부로 구성된다. 연구 본부는 국토 계획, 도시, 주택, 토지, 인프라, 공간 정보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룬다. 기획경영본부 산하에는 경영지원센터와 행정지원센터가 있다.
4. 1. 국토연구원장
감사실4. 2. 부원장
국토연구원은 부원장 제도를 운영하지 않으며, 글로벌개발협력센터는 여러 본부 중 하나이다.4. 3. 연구 본부
-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 * 국토·지역정책연구센터
- * 국토계획평가센터
- * 지역경제연구센터
- * 산업입지연구센터
- * 한반도·동북아연구센터
- '''도시연구본부'''
- * 도시정책연구센터
- * 도시재생연구센터
- * 도시방재·수자원연구센터
- * 스마트·녹색도시연구센터
- '''주택·토지연구본부'''
- * 주택정책연구센터
- * 부동산시장연구센터
- * 토지정책연구센터
- * 건설경제전략센터
- '''국토인프라연구본부'''
- * 인프라정책연구센터
- * 도로정책연구센터
- * 첨단인프라연구센터
- '''공간정보사회연구본부'''
- * 스마트공간연구센터
- * 국토시뮬레이션센터
4. 4. 경영 및 지원 본부
국토연구원 기획경영본부 | ||
---|---|---|
경영지원센터 | 행정지원센터 | |
5. 논란
국토연구원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이 있었다. 2019년에는 선임연구원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2]
5. 1. 선임연구원 사망 사건
2019년 8월 17일 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 국토연구원 당시 부원장 이모는 자신의 집을 방문했다가 의식을 잃고 쓰러진 선임연구원 임모를 바로 병원에 후송하지 않고, 119에 신고하지 않은 채 4시간 동안 방치하여 사망에 이르게 해 논란이 되었다.[1] 임 연구원을 방치한 이유는 알려진 바 없다. 사망한 임 연구원은 뇌출혈로 사망하였다.[2]참조
[1]
뉴스
단독 방치된 살인?…부원장의 수상한 '4시간 30분'
https://imnews.imbc.[...]
MBC
2021-01-22
[2]
뉴스
뇌출혈 내연녀 구호조처 안한 국토연 前부원장 살인 '무죄'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06-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윤석열 부동산 정책, 실행 옮겨진 건 절반뿐…이유는 ‘법개정’
윤석열 정부 부동산 공급 대책 279건 중 55.5%만 시행
전세대출 보증비율 낮췄지만…시중은행, 심사 강화엔 ‘신중’
8월3일 알림
부동산서비스 창업 대상에 소서티·루센트블록
6월 서울 집값 상승률, 6년9개월 만에 최고
툭하면 공사비 더 내라…지역주택조합 대수술 이뤄지나
국토연 “지역주택조합 공사비 검증 의무화 필요”
강력한 주택금융 규제, 수도권 아파트값 얼마나 내릴까?
국책연구기관 실적평가 '낙제점'
국책연구기관 성적표, S등급 0곳…“기업소통 부족” 산업연 낙제점
국토연 “전세대출에도 DSR 도입해야”
“전셋값 1% 오르면 집값은 0.655% 오른다”
국토연 “주민등록 ‘사각지대’ 채우는 생활등록제 도입합시다”
부동산 ‘큰 손’ 3040 학부모가 주목하는 수도권 ‘초품아’ 어디
“요즘 월세 얼마인지 아시나요”...허리 휘는 청년들, 공공주택 年 6만가구 시급
‘초고령사회, 위기를 기회로’ 상지대–강원특별자치도의회, 제2회 상지강원포럼 성료
“징계 받아도 한 해 성과급 1129만원”…세금 먹는 연구기관 ‘아사리판’
아파트 2채 중 1채는 3040이 산다…‘교육 특화’ 아파트 뜨는 이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