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1987년 효성, 미쓰비시 가스 화학, 미쓰비시 상사의 합작 회사로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폴리옥시메틸렌(POM) 생산 기업이다. 1999년 효성이 지분을 셀라니즈에 양도하여 Celanese, MGC, MC의 지분 구조를 갖게 되었다. 2002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평택공장을 준공하고, 2013년 POM 5차 증설을 완료했다. 현재 서울 본사, 울산, 평택(대한민국), 난퉁(중국)에 생산 시설을 운영하며, 유럽, 미국, 중국에 지사를 두고 있다. POM 시장에서 약 12%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Kepital, kepamide, Kepex 등의 브랜드로 제품을 판매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스틱 회사 - 도쿠야마
    도쿠야마 주식회사는 1918년 이와이 쇼지로가 야마구치현 주난시에 설립한 일본 화학 회사로, 암모니아소다법을 이용한 소다 생산과 시멘트 제조를 통해 성장했으며, 현재는 고순도 폴리실리콘 등 다양한 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 플라스틱 회사 - 듀폰
    1802년 엘뢰테르 이레네 뒤퐁이 설립한 미국의 화학 기업인 듀폰은 화약 제조업체로 시작하여 군수품을 공급하며 성장했고, 다이너마이트, 나일론, 테플론 등 혁신적인 소재를 개발하고 자동차 산업 발전에도 기여했으나 환경 오염 논란 후 다우 케미컬과 합병, 분사되었다.
  • 대한민국의 석유화학 기업 - 금호석유화학
    금호석유화학은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1970년 한국합성고무공업으로 설립되어 금호화학과 합병 후 금호석유화학으로 상호 변경되었고, 2009년 유동성 위기를 겪었으나 경영 정상화를 이루었다.
  • 대한민국의 석유화학 기업 - OCI (기업)
    OCI는 1959년 동양화학공업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화학 기업으로, 무기화학, 정밀화학, 석유화학, 카본소재, 단열재, 사파이어 잉곳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반도체용 고순도 화학제품과 태양광 산업의 핵심 소재인 고순도 폴리실리콘 생산, 고성능 단열재 ENERVAC 등 혁신적인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원어KOREA ENGINEERING PLASTIC CORPORATION
형태주식회사
창립일1987년
본사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94
대표Caamano,John (대표이사)
산업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연혁


  • 1987년: 효성(50%), 미쓰비시 가스 화학(MGC, 40%), 미쓰비시 상사(MC, 10%)의 합작으로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주) 설립. 한국 최초 POM 생산 시작.[1]
  • 1999년: 효성이 보유 지분 50%를 미국계 화학 기업 셀라니즈에 양도.[1]
  • 2002년: EP(PA6, PA66, PBT) 평택공장 준공 (연간 생산능력 5000ton 규모).
  • 2013년: POM 생산 시설 5차 증설 완료 (연간 생산능력 14.5만ton 규모).

2. 1. 설립 초기 (1987년 ~ 1999년)

1987년 3월, 효성 (당시 동양나일론)이 50%, 미쓰비시 가스 화학(MGC)이 40%, 미쓰비시 상사(MC)가 10%를 출자하여 합작 회사 형태로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주)이 설립되었다. 이는 한국 최초의 POM 생산 기업이었다. 회사는 설립 초기부터 서울에 본사를 두었다.

1998년에는 효성이 대한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인수하였다.

이후 1999년 12월, 효성은 보유하고 있던 지분 50% 전량을 미국계 화학 기업인 셀라니즈(Celanese AG.)에 매각하였다.[1] 이에 따라 지분 구조는 셀라니즈(50%), 미쓰비시 가스 화학(40%), 미쓰비시 상사(10%)로 변경되었다.

2. 2. 생산 시설 확장 (2002년 ~ 현재)

2002년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PA6, PA66, PBT)을 생산하는 평택공장을 준공하였으며, 연간 생산 능력은 5,000톤 규모였다. 2013년에는 POM 생산 시설의 5차 증설을 완료하여 연간 생산 능력을 14만 5천 톤으로 확대했다.

현재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생산 시설은 울산과 평택 (대한민국), 그리고 난퉁 (중국)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유럽, 미국, 중국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2]

3. 폴리옥시메틸렌(POM) 시장에서의 위치

약 800kt 규모의 폴리옥시메틸렌(POM) 시장에서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KEP)은 약 12%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주요 기업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의 주요 선두 기업과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

기업점유율
티코나(Ticona)약 25%
듀폰(DuPont)약 20%
폴리플라스틱스(Polyplastics)약 15%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KEP)약 12%
미쓰비시(Mitsubishi)약 7%
BASF약 5%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KEP)의 주주들은 여러 자회사를 통해 POM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미쓰비시상사는 자회사인 미쓰비시 가스 화학(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일본/태국 소재)과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KEP)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셀라니스는 자회사인 셀라니스 엔지니어드 머티리얼즈 티코나(Celanese Engineered Materials Ticona)를 통해 시장에 참여하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폴리플라스틱스(일본 소재)와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KEP)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4. 제품

KEP는 폴리옥시메틸렌(POM)을 Kepital이라는 브랜드로, 폴리아미드(PA)를 kepamide로, 그리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를 Kepex로 판매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icona buys KEP https://www.icis.com[...] 1999-12-27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kepameric[...] 2017-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