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성대학교는 1945년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하여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한성여자대학, 한성대학을 거쳐 1993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현재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예술대학, 공과대학을 비롯해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8년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자율대학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학교 - 동덕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는 1908년 동원여자의숙으로 시작하여 1950년 동덕여자대학으로 개교, 1988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와 여성 교육에 대한 헌신을 이어왔으나 남녀공학 전환 논의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 성북구의 학교 - 고려대학교
1905년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전문학교에서 시작된 고려대학교는 민족 자주성을 바탕으로 국제화를 추구하며 서울과 세종에 캠퍼스를 둔, 민주화 운동의 중심이자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 서울총장포럼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총장포럼 -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 조선정치학관을 모체로 하여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서울과 충주에 캠퍼스를 두고 13개 학부와 13개 대학원, 7개 학부와 4개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한다. - 서울특별시의 대학교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특별시의 대학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한성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교훈 | 진리, 지선 |
영어 교훈 | Truth and Virtue |
설립일 | 1972년 12월 21일 |
유형 | 사립 |
총장 | 이창원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
캠퍼스 | 도심 |
이전 이름 | 한성여자대학 (1972–1978) 한성대학 (1978–1993) |
마스코트 | 거북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한국어 이름 | 한성대학교 (漢城大學校) |
로마자 표기법 | Hanseong Daehakgyo |
일본어 이름 | 漢城大学校 (かんじょうだいがっこう, ハンソンデハッキョ) |
학교 상징 | |
상징 동물 | 거북 |
상징 나무 | 삼학송 |
슬로건 | Dynamic Korea를 선도하는 도심 속 첨단 Digital Contents Frontier 대학 |
규모 | |
대학 | 5개 |
대학원 | 8개 |
교직원 | |
교직원 수 | 189명 (2008년) |
학교법인 | |
학교법인 | 한성학원 |
위치 | |
2. 연혁
- 1990년 2월 27일 과학관 및 전자계산소가 개소되었다.[4]
- 1991년 6월 14일 농경생활사 전시관이 개관되었다.[4]
- 1991년 11월 29일 한성학원 상징탑이 준공되었다.[4]
- 1993년 3월 1일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4]
- 1993년 10월 예술대학원이 설립되었다.[4]
- 1995년 10월 국제통상정보대학원이 설립되었다.[4]
- 1996년 10월 6개 학부, 16개 전공, 14개 학과, 입학정원 1,230명으로 구성되었다.[4]
- 1998년 11월 부동산학과와 예술대학원 패션예술학과가 신설되었고, 대학 편제는 6개 학부, 16개 전공, 15개 학과, 입학정원 1,620명으로 개편되었다.[4]
- 1999년 1월 야간 정원의 30%가 주간으로 전환되어 주간 960명, 야간 660명을 모집하였다.[4]
- 1999년 3월 6일 강의동이 준공되었다.[4]
- 1999년 11월 국제통상정보대학원이 국제대학원으로 개편되고, 대학원 석사/박사 정원이 증원되었다.[4]
- 2000년 2월 7일 부동산대학원이 신설되었다.[4]
- 2000년 10월 교육대학원이 신설되었다.[4]
- 2001년 9월 22일 대학로 캠퍼스(現 한성대학교 디자인아트평생교육원 건물)를 매입하였다.
- 2001년 10월 24일 교수회관, 도서관, 학생회관 별관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 2004년 6월 14일 사회과학대학 일부 학부(정경학부, 경상학부) 및 공과대학 전체 학부가 학과로 전환되었다.
- 2005년 2월 낙산관이 준공되었다.
- 2015년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D+등급을 받았다.[4]
- 2016년 6월 30일 종합관(상상관) 사용 허가를 받았다.
- 2016년 11월 3일 상상관 및 아키비움이 개관되었다.
- 2017년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2차년도 이행점검 결과 재정지원제한이 완전 해제되었다.[5]
- 2018년 교육부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자율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 1. 1945-1989
- 1945년 9월 25일 '''경성여자기예학교''' 인수[1]
- 1945년 10월 5일 재단법인 한성학원 설립[2]
- 1946년 4월 9일 '''한성고등여학교''' 인가[3]
- 1951년 8월 11일 '''한성여자 중ㆍ고등학교'''로 교명 변경[4]
- 1963년 12월 7일 실내체육관 준공[5]
- 1972년 12월 21일 '''한성여자대학''' 설립
- 1978년 1월 11일 한성여자대학을 '''한성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81년 12월 29일 종합관 준공
- 1983년 10월 5일 학생복지관 기공식 거행
- 1985년 12월 4일 R.O.T.C 창설
- 1986년 7월 교사 확장 이전
- 1987년 8월 25일 우촌관 준공
- 1987년 11월 30일 경영행정대학원 설립 인가
- 1988년 11월 30일 경영대학원, 행정대학원 분리 증원
- 1989년 11월 6일 일반대학원 신설
2. 2. 1990-1999
- 1990년 2월 27일 과학관이 완공되고 전산실이 개설되었다.[4]
- 1991년 6월 14일 농업생활사 전시관이 개관되었다.[4]
- 1991년 11월 29일 한성학원 상징탑이 완공되었다.[4]
- 1993년 3월 한성대학이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4]
- 1993년 10월 예술대학원이 설립되었다.[4]
- 1995년 10월 국제무역정보대학원이 설립되었다.[4]
- 1996년 10월 6개 학부, 16개 전공, 14개 학과, 입학정원 1,230명으로 구성되었다.[4]
- 1998년 11월 부동산학과와 예술대학원 패션예술학과가 신설되었다. 6개 학부, 16개 전공, 15개 학과, 입학정원 1,620명으로 편제가 개편되었다.[4]
- 1999년 1월 야간 정원의 30%가 주간으로 전환되어 주간 960명, 야간 660명을 모집하였다.[4]
- 1999년 3월 6일 강의동이 완공되었다.[4]
- 1999년 10월 17일 헬무트 슈미트(Helmut Schmidt) 전 서독 총리가 방문하여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4]
- 1999년 11월 국제통상 정보대학원을 국제대학원으로 개편하고, 대학원 석사/박사 정원이 증원되었다.[4]
2. 3. 2000-현재
- 2000년 2월 7일: 부동산대학원이 신설되었고, 1999년 대학 종합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대학으로 선정되었다.[4]
- 2000년 10월: 교육대학원이 신설되었다.[4]
- 2001년 9월 13일: 이상희 박사가 제10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5]
- 2001년 9월 22일: 대학로 캠퍼스(現 한성대학교 디자인아트평생교육원 건물)를 매입하였다.
- 2001년 10월 24일: 교수회관, 도서관 및 학생회관 별관 기공식을 거행하였다.
- 2002년 9월: 연구관(교수회관)이 완공되었다.
- 2002년 10월 15일: 한완상 박사가 제4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 2002년 12월: 인성관(학생 공동체 시설)이 완공되었다.
- 2003년 7월 1일: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다.
- 2003년 10월: 신축 도서관이 완공되었다.
- 2004년 6월 14일: 사회과학대학 일부 학부(정경학부, 경상학부) 및 공과대학 전체 학부를 학과로 전환하였다.
- 2005년 2월: 낙산관이 준공되었다.
- 2015년: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D+등급을 받았다.[4]
- 2015년 3월 2일: 이종훈 박사가 제15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 2016년 2월 1일: 이상한 박사가 제8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 2016년 6월 30일: 종합관(상상관) 사용 허가를 받았다.
- 2016년 11월 3일: 상상관 및 아키비움이 개관하였다.
- 2017년: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2차년도 이행점검 결과 재정지원제한이 완전 해제되었다.[5]
- 2018년: 교육부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자율대학으로 선정되었다.
3. 학부
한성대학교에는 창의인문학부, 예술학부, 사회과학부, 글로벌패션산업학부, ICT디자인학부, 뷰티디자인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기계·전자공학, IT융합공학부, 스마트경영공학부, 호텔외식경영학과, 뷰티디자인학과, 비즈니스컨설팅학부, ICT융합디자인학과, 자율전공학부, 기초교양교육과정, 융합·복합교양교육과정, 사고와 표현 코스, 교양영어교육과정, 윈도우 IT·디자인 코스, 교원양성 코스 등이 있다.
3. 1. 인문대학
학과 | 전공 |
---|---|
국어국문학과 (주간/야간) | |
영어영문학과 (주간/야간) | |
사학과 (주간/야간) | |
정보과학과 (주간/야간) |
3. 2. 사회과학대학
한성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는 다음과 같은 학과들이 있다.
3. 3. 예술대학
예술대학에는 다음과 같은 학과들이 있다.학과명 | 전공 |
---|---|
무용학과 | (해당 없음) |
회화과 | 동양화 전공 |
서양화 전공 | |
미디어 디자인 콘텐츠 학부 | 하이퍼 미디어 디자인 전공 |
애니메이션 및 제품 상호작용 전공 | |
실내 디자인 전공 | |
패션 디자인 및 비즈니스 학부 (주간 및 야간) | 패션 디자인 전공 |
의류 패션 및 비즈니스 전공 |
3. 4. 공과대학
학과명 | 세부 전공 |
---|---|
컴퓨터공학부 (주간/야간) | 멀티미디어 정보처리 전공, 컴퓨터시스템 전공 |
정보공학과 (주간/야간) | 정보통신공학 전공, 소프트웨어시스템 전공 |
산업기계시스템공학과 (주간/야간) | 산업공학 전공, 기계시스템공학 전공 |
4. 대학원
한성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으로 나누어 다양한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일반대학원은 박사 및 석사 과정을, 특수대학원은 석사 과정을 제공한다.
4. 1. 일반대학원 (박사/석사 과정)
인문·사회계 |
---|
공학계 |
예술·스포츠계 |
학과 간 협동 과정 |
4. 2. 특수대학원 (석사 과정)
대학원명 | 학과 및 전공 |
---|---|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 관광외식경영학과 |
행정대학원 | 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경찰행정학과, 마약알코올학과 |
예술대학원 | 뷰티예술학과 |
국제대학원 | 국제안보전략학과, 국제지역정보학과 |
부동산대학원 | 부동산투자금융전공, 부동산평가전공, 부동산개발·관리전공, 지적 및 토지관리전공 |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상담심리전공, 유아교육전공, 국어교육전공 |
5. 국제 교류
교토부립대학, 홋카이도 교육대학, 산요가쿠인대학과 국제 교류를 하고 있다.
6. 학생 현황 (2019년 기준)
구분 | 내용 |
---|---|
학부생 | 9,405명 |
교수 | 256명 |
신입생 경쟁률 | 12.5:1 |
7. 학교 동문 및 역대 역임 교수
- >
해당 템플릿은 제거 대상.
최종 결과:
(빈문서)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 Hansung University (english version)
http://www.hansung.a[...]
2013-12-27
[2]
텍스트
[3]
텍스트
[4]
뉴스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교육부, 재정 지원 제한 "장학금까지 영향?"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5-09-01
[5]
뉴스
이홍하 설립 4개大 모두 최하위…재정지원 전면 제한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17-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