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호환용 한자 보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중일 호환용 한자 보충은 유니코드 3.1 버전부터 포함된 블록으로, U+2F800부터 U+2FA1D까지 542개의 문자를 포함한다. 이 블록은 기존 CJK 통합 한자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면서 다른 코드 포인트를 부여받은 문자들이며, Adobe-Japan1 문자 집합의 일부 한자가 이 블록에 매핑되어 있다. 이 블록은 여러 국가 및 지역의 문자 집합을 통합하고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의 결과로, 유니코드 3.1 버전에 처음 추가된 이후 지속적으로 검토 및 수정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니코드 영역 - 딩뱃
딩뱃은 장식 문자, 강조 표시, 비텍스트 상징을 포함하는 문자 집합으로, 유니코드 표준의 딩뱃 블록과 장식 딩뱃 블록을 통해 코드 포인트를 제공하며, 장식적 요소 외에도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담을 수 있다. - 유니코드 영역 - 한중일 호환용 한자
한중일 호환용 한자는 유니코드에서 기존 문자 코드와의 호환성을 위해 추가된 한자 블록으로, 다양한 문자 집합의 한자들이 추가되면서 중복 및 정의 오류, CJK 통합 한자와의 호환 문제 등 기술적 고려 사항이 존재한다.
한중일 호환용 한자 보충 | |
---|---|
CJK 호환용 한자 보충 | |
블록 이름 | CJK 호환용 한자 보충 |
영역 시작 | 2F800 |
영역 끝 | 2FA1F |
문자 | 한 |
버전 | 3.1 |
출처 | CNS 11643-1992 |
비고 | https://www.unicode.org/ucd/%7CUnicode character database https://www.unicode.org/versions/enumeratedversions.html%7CEnumerated Versions of The Unicode Standard |
2. 구성
CJK 호환 한자 보충 블록은 유니코드의 U+2F800부터 U+2FA1D까지 영역에 할당되어 있으며, 총 542개의 문자를 포함한다. 이 블록의 문자들은 기존 CJK 통합 한자에 포함된 문자와 형태가 유사하지만 호환성을 위해 별도의 코드 포인트가 부여된 것들이다.
아래는 CJK 호환 한자 보충 블록의 문자 목록이다.
CJK 호환 한자 보충 [https://www.unicode.org/charts/PDF/U2F80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2F80x | 丽 | 丸 | 乁 | 𠄢 | 你 | 侮 | 侻 | 倂 | 偺 | 備 | 僧 | 像 | 㒞 | 𠘺 | 免 | 兔 |
U+2F81x | 兤 | 具 | 𠔜 | 㒹 | 內 | 再 | 𠕋 | 冗 | 冤 | 仌 | 冬 | 况 | 𩇟 | 凵 | 刃 | 㓟 |
U+2F82x | 刻 | 剆 | 割 | 剷 | 㔕 | 勇 | 勉 | 勤 | 勺 | 包 | 匆 | 北 | 卉 | 卑 | 博 | 即 |
U+2F83x | 卽 | 卿 | 卿 | 卿 | 𠨬 | 灰 | 及 | 叟 | 𠭣 | 叫 | 叱 | 吆 | 咞 | 吸 | 呈 | 周 |
U+2F84x | 咢 | 哶 | 唐 | 啓 | 啣 | 善 | 善 | 喙 | 喫 | 喳 | 嗂 | 圖 | 嘆 | 圗 | 噑 | 噴 |
U+2F85x | 切 | 壮 | 城 | 埴 | 堍 | 型 | 堲 | 報 | 墬 | 𡓤 | 売 | 壷 | 夆 | 多 | 夢 | 奢 |
U+2F86x | 𡚨 | 𡛪 | 姬 | 娛 | 娧 | 姘 | 婦 | 㛮 | 㛼 | 嬈 | 嬾 | 嬾 | 𡧈 | 寃 | 寘 | 寧 |
U+2F87x | 寳 | 𡬘 | 寿 | 将 | 当 | 尢 | 㞁 | 屠 | 屮 | 峀 | 岍 | 𡷤 | 嵃 | 𡷦 | 嵮 | 嵫 |
U+2F88x | 嵼 | 巡 | 巢 | 㠯 | 巽 | 帨 | 帽 | 幩 | 㡢 | 𢆃 | 㡼 | 庰 | 庳 | 庶 | 廊 | 𪎒 |
U+2F89x | 廾 | 𢌱 | 𢌱 | 舁 | 弢 | 弢 | 㣇 | 𣊸 | 𦇚 | 形 | 彫 | 㣣 | 徚 | 忍 | 志 | 忹 |
U+2F8Ax | 悁 | 㤺 | 㤜 | 悔 | 𢛔 | 惇 | 慈 | 慌 | 慎 | 慌 | 慺 | 憎 | 憲 | 憤 | 憯 | 懞 |
U+2F8Bx | 懲 | 懶 | 成 | 戛 | 扝 | 抱 | 拔 | 捐 | 𢬌 | 挽 | 拼 | 捨 | 掃 | 揤 | 𢯱 | 搢 |
U+2F8Cx | 揅 | 掩 | 㨮 | 摩 | 摾 | 撝 | 摷 | 㩬 | 敏 | 敬 | 𣀊 | 旣 | 書 | 晉 | 㬙 | 暑 |
U+2F8Dx | 㬈 | 㫤 | 冒 | 冕 | 最 | 暜 | 肭 | 䏙 | 朗 | 望 | 朡 | 杞 | 杓 | 𣏃 | 㭉 | 柺 |
U+2F8Ex | 枅 | 桒 | 梅 | 𣑭 | 梎 | 栟 | 椔 | 㮝 | 楂 | 榣 | 槪 | 檨 | 𣚣 | 櫛 | 㰘 | 次 |
U+2F8Fx | 𣢧 | 歔 | 㱎 | 歲 | 殟 | 殺 | 殻 | 𣪍 | 𡴋 | 𣫺 | 汎 | 𣲼 | 沿 | 泍 | 汧 | 洖 |
U+2F90x | 派 | 海 | 流 | 浩 | 浸 | 涅 | 𣴞 | 洴 | 港 | 湮 | 㴳 | 滋 | 滇 | 𣻑 | 淹 | 潮 |
U+2F91x | 𣽞 | 𣾎 | 濆 | 瀹 | 瀞 | 瀛 | 㶖 | 灊 | 災 | 灷 | 炭 | 𠔥 | 煅 | 𤉣 | 熜 | 𤎫 |
U+2F92x | 爨 | 爵 | 牐 | 𤘈 | 犀 | 犕 | 𤜵 | 𤠔 | 獺 | 王 | 㺬 | 玥 | 㺸 | 㺸 | 瑇 | 瑜 |
U+2F93x | 瑱 | 璅 | 瓊 | 㼛 | 甤 | 𤰶 | 甾 | 𤲒 | 異 | 𢆟 | 瘐 | 𤾡 | 𤾸 | 𥁄 | 㿼 | 䀈 |
U+2F94x | 直 | 𥃳 | 𥃲 | 𥄙 | 𥄳 | 眞 | 真 | 真 | 睊 | 䀹 | 瞋 | 䁆 | 䂖 | 𥐝 | 硎 | 碌 |
U+2F95x | 磌 | 䃣 | 𥘦 | 祖 | 𥚚 | 𥛅 | 福 | 秫 | 䄯 | 穀 | 穊 | 穏 | 𥥼 | 𥪧 | 𥪧 | 竮 |
U+2F96x | 䈂 | 𥮫 | 篆 | 築 | 䈧 | 𥲀 | 糒 | 䊠 | 糨 | 糣 | 紀 | 𥾆 | 絣 | 䌁 | 緇 | 縂 |
U+2F97x | 繅 | 䌴 | 𦈨 | 𦉇 | 䍙 | 𦋙 | 罺 | 𦌾 | 羕 | 翺 | 者 | 𦓚 | 𦔣 | 聠 | 𦖨 | 聰 |
U+2F98x | 𣍟 | 䏕 | 育 | 脃 | 䐋 | 脾 | 媵 | 𦞧 | 𦞵 | 𣎓 | 𣎜 | 舁 | 舄 | 辞 | 䑫 | 芑 |
U+2F99x | 芋 | 芝 | 劳 | 花 | 芳 | 芽 | 苦 | 𦬼 | 若 | 茝 | 荣 | 莭 | 茣 | 莽 | 菧 | 著 |
U+2F9Ax | 荓 | 菊 | 菌 | 菜 | 𦰶 | 𦵫 | 𦳕 | 䔫 | 蓱 | 蓳 | 蔖 | 𧏊 | 蕤 | 𦼬 | 䕝 | 䕡 |
U+2F9Bx | 𦾱 | 𧃒 | 䕫 | 虐 | 虜 | 虧 | 虩 | 蚩 | 蚈 | 蜎 | 蛢 | 蝹 | 蜨 | 蝫 | 螆 | 䗗 |
U+2F9Cx | 蟡 | 蠁 | 䗹 | 衠 | 衣 | 𧙧 | 裗 | 裞 | 䘵 | 裺 | 㒻 | 𧢮 | 𧥦 | 䚾 | 䛇 | 誠 |
U+2F9Dx | 諭 | 變 | 豕 | 𧲨 | 貫 | 賁 | 贛 | 起 | 𧼯 | 𠠄 | 跋 | 趼 | 跰 | 𠣞 | 軔 | 輸 |
U+2F9Ex | 𨗒 | 𨗭 | 邔 | 郱 | 鄑 | 𨜮 | 鄛 | 鈸 | 鋗 | 鋘 | 鉼 | 鏹 | 鐕 | 𨯺 | 開 | 䦕 |
U+2F9Fx | 閷 | 𨵷 | 䧦 | 雃 | 嶲 | 霣 | 𩅅 | 𩈚 | 䩮 | 䩶 | 韠 | 𩐊 | 䪲 | 𩒖 | 頋 | 頋 |
U+2FA0x | 頩 | 𩖶 | 飢 | 䬳 | 餩 | 馧 | 駂 | 駾 | 䯎 | 𩬰 | 鬒 | 鱀 | 鳽 | 䳎 | 䳭 | 鵧 |
U+2FA1x | 𪃎 | 䳸 | 𪄅 | 𪈎 | 𪊑 | 麻 | 䵖 | 黹 | 黾 | 鼅 | 鼏 | 鼖 | 鼻 | 𪘀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CCCCCC;"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CCCCCC;" | |
2. 1. Adobe-Japan1 글리프의 호환 한자
Adobe-Japan1 문자 집합에 포함된 일부 한자는 CJK 호환 한자 보충 블록에 매핑되어 있다.[5] 다음은 Adobe-Japan1 글리프 중 CJK 호환 한자 보충 블록에 포함된 예시이다. 아래 표의 정규화 후 대표 글자에 있는 괄호 안 표기는 JIS90 글꼴을 나타낸다.호환 한자 | 정규화 후 대표 글자 | |||
---|---|---|---|---|
CID | 유니코드 | 한자 | 유니코드 | 한자 |
7665 | U+2F8ED | 櫛 | U+6ADB | 櫛(櫛) |
7695 | U+2F8DC | 杓 | U+6753 | 杓(杓) |
7734 | U+2F884 | 巽 | U+5DFD | 巽 |
7754 | U+2F877 | 屠 | U+5C60 | 屠(屠) |
7814 | U+2F80F | 兔 | U+5154 | 兔 |
7816 | U+2F8D3 | 冕 | U+5195 | 冕 |
7817 | U+2F818 | 冤 | U+51A4 | 冤(冤) |
7839 | U+2F920 | 爨 | U+7228 | 爨 |
13357 | U+2F945 | 眞 | U+771E | 眞 |
13656 | U+2F8FC | 沿 | U+6CBF | 沿 |
13670 | U+2F995 | 芽 | U+82BD | 芽 |
13679 | U+2F8EA | 槪 | U+69EA | 槪 |
13684 | U+2F822 | 割 | U+5272 | 割 |
13719 | U+2F833 | 卿 | U+537F | 卿 |
13750 | U+2F8AC | 憲 | U+61B2 | 憲 |
13768 | U+2F903 | 浩 | U+6D69 | 浩 |
13801 | U+2F90B | 滋 | U+6ECB | 滋 |
13807 | U+2F828 | 勺 | U+52FA | 勺 |
13809 | U+2F921 | 爵 | U+7235 | 爵 |
13815 | U+2F83F | 周 | U+5468 | 周 |
13832 | U+2F873 | 将 | U+5C06 | 将 |
13841 | U+2F852 | 城 | U+57CE | 城 |
13854 | U+2F947 | 真 | U+771E | 眞 |
13867 | U+2F8B2 | 成 | U+6210 | 成 |
13916 | U+2F91A | 炭 | U+70AD | 炭 |
13928 | U+2F89A | 彫 | U+5F6B | 彫 |
13932 | U+2F90F | 潮 | U+6F6E | 潮 |
13954 | U+2F81A | 冬 | U+51AC | 冬 |
13998 | U+2F862 | 姬 | U+59EC | 姬 |
14068 | U+2F9D0 | 諭 | U+8AED | 諭 |
14069 | U+2F9DF | 輸 | U+8F38 | 輸 |
14109 | U+2F82C | 卉 | U+5349 | 卉 |
14121 | U+2F86D | 寃 | U+5BC3 | 寃 |
14129 | U+2F8B6 | 拔 | U+62D4 | 拔 |
14140 | U+2F8DB | 杞 | U+675E | 杞 |
14180 | U+2F96C | 絣 | U+7D63 | 絣 |
14291 | U+2F8E1 | 桒 | U+6852 | 桒 |
15269 | U+2F9F4 | 嶲 | U+5DB2 | 嶲 |
15388 | U+2F804 | 你 | U+4F60 | 你 |
20061 | U+2F815 | 再 | U+518D | 再 |
20062 | U+2F846 | 善 | U+5584 | 善 |
20063 | U+2F899 | 形 | U+5F62 | 形 |
20064 | U+2F8A6 | 慈 | U+6148 | 慈 |
20065 | U+2F8E5 | 栟 | U+681F | 栟 |
20066 | U+2F9DE | 軔 | U+8ED4 | 軔 |
CJK 호환용 한자 보충 블록은 유니코드 표준 버전 3.1이 발표된 2001년 3월에 처음으로 포함되었다. 이 블록은 한중일(CJK) 각 지역에서 사용되던 기존의 다양한 문자 인코딩 표준들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기존 표준에 포함된 한자 중 CJK 통합 한자 블록에 통합되지 않은 일부 문자들을 별도로 할당하여, 데이터 변환 과정에서의 정보 손실을 막고 원활한 시스템 전환을 지원하는 것이 주된 목표였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7"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CJK 호환 한자 보충'''(CJK Compatibility Ideographs Supplement)
[https://www.unicode.org/charts/PDF/U2F80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style="width:45pt" | || style="width:20pt" | 0 || style="width:20pt" | 1 || style="width:20pt" | 2 || style="width:20pt" | 3 || style="width:20pt" | 4 || style="width:20pt" | 5 || style="width:20pt" | 6 || style="width:20pt" | 7 || style="width:20pt" | 8 || style="width:20pt" | 9 || style="width:20pt" | A || style="width:20pt" | B || style="width:20pt" | C || style="width:20pt" | D || style="width:20pt" | E || style="width:20pt" | F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0x
| 丽 || 丸 || 乁 || 𠄢 || 你 || 侮 || 侻 || 倂
| 偺 || 備 || 僧 || 像 || 㒞 || 𠘺 || 免 || 兔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1x
| 兤 || 具 || 𠔜 || 㒹 || 內 || 再 || 𠕋 || 冗
| 冤 || 仌 || 冬 || 况 || 𩇟 || 凵 || 刃 || 㓟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2x
| 刻 || 剆 || 割 || 剷 || 㔕 || 勇 || 勉 || 勤
| 勺 || 包 || 匆 || 北 || 卉 || 卑 || 博 || 即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3x
| 卽 || 卿 || 卿 || 卿 || 𠨬 || 灰 || 及 || 叟
| 𠭣 || 叫 || 叱 || 吆 || 咞 || 吸 || 呈 || 周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4x
| 咢 || 哶 || 唐 || 啓 || 啣 || 善 || 善 || 喙
| 喫 || 喳 || 嗂 || 圖 || 嘆 || 圗 || 噑 || 噴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5x
| 切 || 壮 || 城 || 埴 || 堍 || 型 || 堲 || 報
| 墬 || 𡓤 || 売 || 壷 || 夆 || 多 || 夢 || 奢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6x
| 𡚨 || 𡛪 || 姬 || 娛 || 娧 || 姘 || 婦 || 㛮
| 㛼 || 嬈 || 嬾 || 嬾 || 𡧈 || 寃 || 寘 || 寧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7x
| 寳 || 𡬘 || 寿 || 将 || 当 || 尢 || 㞁 || 屠
| 屮 || 峀 || 岍 || 𡷤 || 嵃 || 𡷦 || 嵮 || 嵫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8x
| 嵼 || 巡 || 巢 || 㠯 || 巽 || 帨 || 帽 || 幩
| 㡢 || 𢆃 || 㡼 || 庰 || 庳 || 庶 || 廊 || 𪎒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9x
| 廾 || 𢌱 || 𢌱 || 舁 || 弢 || 弢 || 㣇 || 𣊸
| 𦇚 || 形 || 彫 || 㣣 || 徚 || 忍 || 志 || 忹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Ax
| 悁 || 㤺 || 㤜 || 悔 || 𢛔 || 惇 || 慈 || 慌
| 慎 || 慌 || 慺 || 憎 || 憲 || 憤 || 憯 || 懞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Bx
| 懲 || 懶 || 成 || 戛 || 扝 || 抱 || 拔 || 捐
| 𢬌 || 挽 || 拼 || 捨 || 掃 || 揤 || 𢯱 || 搢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Cx
| 揅 || 掩 || 㨮 || 摩 || 摾 || 撝 || 摷 || 㩬
| 敏 || 敬 || 𣀊 || 旣 || 書 || 晉 || 㬙 || 暑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Dx
| 㬈 || 㫤 || 冒 || 冕 || 最 || 暜 || 肭 || 䏙
| 朗 || 望 || 朡 || 杞 || 杓 || 𣏃 || 㭉 || 柺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Ex
| 枅 || 桒 || 梅 || 𣑭 || 梎 || 栟 || 椔 || 㮝
| 楂 || 榣 || 槪 || 檨 || 𣚣 || 櫛 || 㰘 || 次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8Fx
| 𣢧 || 歔 || 㱎 || 歲 || 殟 || 殺 || 殻 || 𣪍
| 𡴋 || 𣫺 || 汎 || 𣲼 || 沿 || 泍 || 汧 || 洖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0x
| 派 || 海 || 流 || 浩 || 浸 || 涅 || 𣴞 || 洴
| 港 || 湮 || 㴳 || 滋 || 滇 || 𣻑 || 淹 || 潮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1x
| 𣽞 || 𣾎 || 濆 || 瀹 || 瀞 || 瀛 || 㶖 || 灊
| 災 || 灷 || 炭 || 𠔥 || 煅 || 𤉣 || 熜 || 𤎫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2x
| 爨 || 爵 || 牐 || 𤘈 || 犀 || 犕 || 𤜵 || 𤠔
| 獺 || 王 || 㺬 || 玥 || 㺸 || 㺸 || 瑇 || 瑜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3x
| 瑱 || 璅 || 瓊 || 㼛 || 甤 || 𤰶 || 甾 || 𤲒
| 異 || 𢆟 || 瘐 || 𤾡 || 𤾸 || 𥁄 || 㿼 || 䀈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4x
| 直 || 𥃳 || 𥃲 || 𥄙 || 𥄳 || 眞 || 真 || 真
| 睊 || 䀹 || 瞋 || 䁆 || 䂖 || 𥐝 || 硎 || 碌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5x
| 磌 || 䃣 || 𥘦 || 祖 || 𥚚 || 𥛅 || 福 || 秫
| 䄯 || 穀 || 穊 || 穏 || 𥥼 || 𥪧 || 𥪧 || 竮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6x
| 䈂 || 𥮫 || 篆 || 築 || 䈧 || 𥲀 || 糒 || 䊠
| 糨 || 糣 || 紀 || 𥾆 || 絣 || 䌁 || 緇 || 縂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7x
| 繅 || 䌴 || 𦈨 || 𦉇 || 䍙 || 𦋙 || 罺 || 𦌾
| 羕 || 翺 || 者 || 𦓚 || 𦔣 || 聠 || 𦖨 || 聰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8x
| 𣍟 || 䏕 || 育 || 脃 || 䐋 || 脾 || 媵 || 𦞧
| 𦞵 || 𣎓 || 𣎜 || 舁 || 舄 || 辞 || 䑫 || 芑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9x
| 芋 || 芝 || 劳 || 花 || 芳 || 芽 || 苦 || 𦬼
| 若 || 茝 || 荣 || 莭 || 茣 || 莽 || 菧 || 著
|-
| style="background:#F8F8F8;font-size:small" | U+2F9Ax
| 荓 || 菊 || 菌 || 菜 || 𦰶 || 𦵫 || 𦳕 || 䔫
| 蓱 || 蓳 || 蔖 || 𧏊 || 蕤 || 𦼬 || 䕝 || 䕡
3. 역사
이 블록의 제정은 유니코드 기술 위원회(UTC)와 ISO/IEC JTC 1/SC 2/WG2 등 국제 표준화 기구 내에서의 여러 차례 논의와 검토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각국의 표준 제정 기관 및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필요한 문자들을 선정하고 코드 포인트를 할당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러한 국제적인 협력 과정을 통해 여러 국가 및 지역의 표준 문자 집합을 통합하고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반영되었다.
유니코드 표준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CJK 호환용 한자 보충 블록에 포함된 문자들에 대한 정보 역시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소스 참조 정보가 업데이트되거나 문자 속성이 수정되는 등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3. 1. 유니코드 버전별 역사
CJK 호환용 한자 보충 블록은 유니코드 버전 3.1 (2001년 3월)에서 처음 정의되었다. 이 블록에는 U+2F800부터 U+2FA1D까지의 코드 포인트에 총 542개의 문자가 할당되었다.[1] 이 문자들은 주로 기존의 한국, 대만, 일본 등의 국가 표준 문자 집합과의 호환성을 위해 포함되었다.
블록이 처음 제안되고 논의되는 과정은 여러 기술 문서를 통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대만의 CNS 11643 표준과의 호환성을 위한 문자 제안(L2/00-049[2], L2/00-087[3]), 일본 JIS 표준 관련 논의(L2/00-099[4], L2/00-147[5]) 등이 유니코드 기술 위원회(UTC)와 ISO/IEC JTC 1/SC 2/WG2 회의에서 다루어졌다.
유니코드 3.1 이후에도 이 블록의 문자들에 대한 수정과 업데이트가 계속 이루어졌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변경 사항들은 유니코드 표준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CJK 호환용 한자 보충 블록 관련 논의는 표의 문자 연합 (IRG) 및 유니코드 컨소시엄, ISO/IEC 워킹 그룹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관련 문서는 유니코드 및 WG2 웹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추가 정보
wikitext
CJK 호환용 한자 보충 유니코드 범위: U+2F800..U+2FA1F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2F80x | 丽 | 丸 | 乁 | 𠄢 | 你 | 侮 | 侻 | 倂 | 偺 | 備 | 僧 | 像 | 㒞 | 𠘺 | 免 | 兔 |
U+2F81x | 兤 | 具 | 𠔜 | 㒹 | 內 | 再 | 𠕋 | 冗 | 冤 | 仌 | 冬 | 况 | 𩇟 | 凵 | 刃 | 㓟 |
U+2F82x | 刻 | 剆 | 割 | 剷 | 㔕 | 勇 | 勉 | 勤 | 勺 | 包 | 匆 | 北 | 卉 | 卑 | 博 | 即 |
U+2F83x | 卽 | 卿 | 卿 | 卿 | 𠨬 | 灰 | 及 | 叟 | 𠭣 | 叫 | 叱 | 吆 | 咞 | 吸 | 呈 | 周 |
U+2F84x | 咢 | 哶 | 唐 | 啓 | 啣 | 善 | 善 | 喙 | 喫 | 喳 | 嗂 | 圖 | 嘆 | 圗 | 噑 | 噴 |
U+2F85x | 切 | 壮 | 城 | 埴 | 堍 | 型 | 堲 | 報 | 墬 | 𡓤 | 売 | 壷 | 夆 | 多 | 夢 | 奢 |
U+2F86x | 𡚨 | 𡛪 | 姬 | 娛 | 娧 | 姘 | 婦 | 㛮 | 㛼 | 嬈 | 嬾 | 嬾 | 𡧈 | 寃 | 寘 | 寧 |
U+2F87x | 寳 | 𡬘 | 寿 | 将 | 当 | 尢 | 㞁 | 屠 | 屮 | 峀 | 岍 | 𡷤 | 嵃 | 𡷦 | 嵮 | 嵫 |
U+2F88x | 嵼 | 巡 | 巢 | 㠯 | 巽 | 帨 | 帽 | 幩 | 㡢 | 𢆃 | 㡼 | 庰 | 庳 | 庶 | 廊 | 𪎒 |
U+2F89x | 廾 | 𢌱 | 𢌱 | 舁 | 弢 | 弢 | 㣇 | 𣊸 | 𦇚 | 形 | 彫 | 㣣 | 徚 | 忍 | 志 | 忹 |
U+2F8Ax | 悁 | 㤺 | 㤜 | 悔 | 𢛔 | 惇 | 慈 | 慌 | 慎 | 慌 | 慺 | 憎 | 憲 | 憤 | 憯 | 懞 |
U+2F8Bx | 懲 | 懶 | 成 | 戛 | 扝 | 抱 | 拔 | 捐 | 𢬌 | 挽 | 拼 | 捨 | 掃 | 揤 | 𢯱 | 搢 |
U+2F8Cx | 揅 | 掩 | 㨮 | 摩 | 摾 | 撝 | 摷 | 㩬 | 敏 | 敬 | 𣀊 | 旣 | 書 | 晉 | 㬙 | 暑 |
U+2F8Dx | 㬈 | 㫤 | 冒 | 冕 | 最 | 暜 | 肭 | 䏙 | 朗 | 望 | 朡 | 杞 | 杓 | 𣏃 | 㭉 | 柺 |
U+2F8Ex | 枅 | 桒 | 梅 | 𣑭 | 梎 | 栟 | 椔 | 㮝 | 楂 | 榣 | 槪 | 檨 | 𣚣 | 櫛 | 㰘 | 次 |
U+2F8Fx | 𣢧 | 歔 | 㱎 | 歲 | 殟 | 殺 | 殻 | 𣪍 | 𡴋 | 𣫺 | 汎 | 𣲼 | 沿 | 泍 | 汧 | 洖 |
U+2F90x | 派 | 海 | 流 | 浩 | 浸 | 涅 | 𣴞 | 洴 | 港 | 湮 | 㴳 | 滋 | 滇 | 𣻑 | 淹 | 潮 |
U+2F91x | 𣽞 | 𣾎 | 濆 | 瀹 | 瀞 | 瀛 | 㶖 | 灊 | 災 | 灷 | 炭 | 𠔥 | 煅 | 𤉣 | 熜 | 𤎫 |
U+2F92x | 爨 | 爵 | 牐 | 𤘈 | 犀 | 犕 | 𤜵 | 𤠔 | 獺 | 王 | 㺬 | 玥 | 㺸 | 㺸 | 瑇 | 瑜 |
U+2F93x | 瑱 | 璅 | 瓊 | 㼛 | 甤 | 𤰶 | 甾 | 𤲒 | 異 | 𢆟 | 瘐 | 𤾡 | 𤾸 | 𥁄 | 㿼 | 䀈 |
U+2F94x | 直 | 𥃳 | 𥃲 | 𥄙 | 𥄳 | 眞 | 真 | 真 | 睊 | 䀹 | 瞋 | 䁆 | 䂖 | 𥐝 | 硎 | 碌 |
U+2F95x | 磌 | 䃣 | 𥘦 | 祖 | 𥚚 | 𥛅 | 福 | 秫 | 䄯 | 穀 | 穊 | 穏 | 𥥼 | 𥪧 | 𥪧 | 竮 |
U+2F96x | 䈂 | 𥮫 | 篆 | 築 | 䈧 | 𥲀 | 糒 | 䊠 | 糨 | 糣 | 紀 | 𥾆 | 絣 | 䌁 | 緇 | 縂 |
U+2F97x | 繅 | 䌴 | 𦈨 | 𦉇 | 䍙 | 𦋙 | 罺 | 𦌾 | 羕 | 翺 | 者 | 𦓚 | 𦔣 | 聠 | 𦖨 | 聰 |
U+2F98x | 𣍟 | 䏕 | 育 | 脃 | 䐋 | 脾 | 媵 | 𦞧 | 𦞵 | 𣎓 | 𣎜 | 舁 | 舄 | 辞 | 䑫 | 芑 |
U+2F99x | 芋 | 芝 | 劳 | 花 | 芳 | 芽 | 苦 | 𦬼 | 若 | 茝 | 荣 | 莭 | 茣 | 莽 | 菧 | 著 |
U+2F9Ax | 荓 | 菊 | 菌 | 菜 | 𦰶 | 𦵫 | 𦳕 | 䔫 | 蓱 | 蓳 | 蔖 | 𧏊 | 蕤 | 𦼬 | 䕝 | 䕡 |
U+2F9Bx | 𦾱 | 𧃒 | 䕫 | 虐 | 虜 | 虧 | 虩 | 蚩 | 蚈 | 蜎 | 蛢 | 蝹 | 蜨 | 蝫 | 螆 | 䗗 |
U+2F9Cx | 蟡 | 蠁 | 䗹 | 衠 | 衣 | 𧙧 | 裗 | 裞 | 䘵 | 裺 | 㒻 | 𧢮 | 𧥦 | 䚾 | 䛇 | 誠 |
U+2F9Dx | 諭 | 變 | 豕 | 𧲨 | 貫 | 賁 | 贛 | 起 | 𧼯 | 𠠄 | 跋 | 趼 | 跰 | 𠣞 | 軔 | 輸 |
U+2F9Ex | 𨗒 | 𨗭 | 邔 | 郱 | 鄑 | 𨜮 | 鄛 | 鈸 | 鋗 | 鋘 | 鉼 | 鏹 | 鐕 | 𨯺 | 開 | 䦕 |
U+2F9Fx | 閷 | 𨵷 | 䧦 | 雃 | 嶲 | 霣 | 𩅅 | 𩈚 | 䩮 | 䩶 | 韠 | 𩐊 | 䪲 | 𩒖 | 頋 | 頋 |
U+2FA0x | 頩 | 𩖶 | 飢 | 䬳 | 餩 | 馧 | 駂 | 駾 | 䯎 | 𩬰 | 鬒 | 鱀 | 鳽 | 䳎 | 䳭 | 鵧 |
U+2FA1x | 𪃎 | 䳸 | 𪄅 | 𪈎 | 𪊑 | 麻 | 䵖 | 黹 | 黾 | 鼅 | 鼏 | 鼖 | 鼻 | 𪘀 |
참조
[1]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database
https://www.unicode.[...]
2023-07-26
[2]
웹사이트
Enumerated Versions of The Unicode Standard
https://www.unicode.[...]
2023-07-26
[3]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database
https://www.unicode.[...]
2019-04-21
[4]
웹사이트
Enumerated Versions of The Unicode Standard
https://www.unicode.[...]
2019-04-21
[5]
Github
GitHub cmap-resources/Adobe-Japan1-7/CMap/UniJIS2004-UTF32-H
https://github.co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