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은 일본, 중국 대륙, 필리핀 사이에 위치한 섬으로,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면적은 약 36,000km²이다. 지형은 산지가 많고, 기후는 온난 습윤하며, 다양한 식물과 동물이 서식한다. 역사는 대만 원주민의 정착, 네덜란드와 스페인의 지배, 명나라, 청나라, 일본의 식민 통치, 그리고 중화민국의 통치로 이어진다. 현재 대만은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관계는 복잡한 대만 문제로 얽혀 있다. 경제적으로는 급속한 성장을 통해 선진국 반열에 올랐으며, 첨단 기술 산업이 발달했다. 사회적으로는 다양한 인종 구성과 높은 교육열을 보이며,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다. 문화적으로는 한족 문화가 기반을 이루며, 일본, 미국 등 외부 문화의 영향도 받았다. 스포츠는 농구, 야구 등이 인기 있으며, 국제 대회에는 중화 타이베이로 참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 - 대만 주음부호
대만 주음부호는 대만과 중화권에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37개의 기호 체계이며, 대만어를 포함한 다양한 중국어 방언의 발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 대만 - 중화민국 개요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국가로, 타이베이를 수도로 하며, 간접 민주주의 공화국 형태를 띠고, 대만을 중심으로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헌법에 기반한 정부를 운영하고, 다양한 문화와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유엔 회원국은 아니다. - 일본의 옛 식민지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 일본의 옛 식민지 - 마셜 제도
마셜 제도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1986년 미국 신탁통치령으로부터 독립했으며, 영어와 마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코프라, 수산물, 미국의 지원에 경제를 의존하며, 미국과 자유 연합 조약을 체결하여 국방을 미국에 의존한다. - 중국어권 - 홍콩
홍콩은 중국 남부 해안에 위치한 특별행정구로서,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중국에 반환된 후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며 서구와 동양 문화가 융합된 경제, 금융, 항구 도시이지만, 중국 정부의 개입으로 사회정치적 갈등과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 중국어권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대만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만 |
다른 이름 | 타이완, 포르모사 |
로마자 표기 | Taiwan |
포르투갈어 표기 | Formosa |
한자 표기 | 臺灣/台灣 |
중국어 병음 | Táiwān |
주음 부호 | ㄊㄞˊ ㄨㄢ |
민남어 표기 | Tâi-oân |
하카어 표기 | Thòi-vàn |
면적 | 35,980 km² |
최고점 | 위산 |
최고점 높이 | 3.9km |
위치 | 동아시아 |
총 섬 개수 | 알려지지 않음 |
주요 섬 | 알려지지 않음 |
총 면적 | 0.23 km² |
최고봉 | 옥산 |
최고봉 높이 | 168m |
국가 정보 | |
실효 지배 국가 | 중화민국 |
실효 지배 국가 행정 구역 | 타이완성, 타이베이시, 신베이시, 가오슝시, 타이난시, 타이중시, 타오위안시 |
영유권 주장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영유권 주장 국가 행정 구역 | 타이완성 |
인구 | |
인구 | 약 2,300만 명 |
인구 (2023년) | 23,420,442명 |
기타 정보 | |
추가 정보 | 알려지지 않음 |
2. 지리
일본 류큐 열도와 중국 대륙, 필리핀 사이에 위치하여 교통의 요지이다. 대만에서 류큐 열도까지의 거리는 약 75 km, 중국 대륙까지는 약 150 km, 필리핀까지는 약 300 km이다. 대만 섬은 북동부에서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열도)와,[72] 어란비는 바시 해협을 사이에 두고 필리핀의 바탄 제도 및 루손섬과 접하고 있다. 대만 섬 서부는 대만 해협에 면하고 있으며, 해협 안에는 펑후 제도가, 해협 건너편에는 중국 대륙이 있다.
대만의 지형은 산이 많아, 전체 면적의 64%가 산지이다. 중양산맥이 섬의 동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봉우리들의 평균 고도는 3,000m를 넘는다. 섬에서 가장 높은 위산(玉山, 옥산)은 표고가 3,997m에 이른다. 산맥의 동쪽은 평야부가 적고, 태평양 연안에서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솟는 절벽이 연달아 있다. 그에 비해 서쪽은 비옥한 평야가 완만하게 대만 해협을 향해 쳐진다.
대부분 강이 타이완 산맥에서 발원하며, 모두 짧고 험난하다. 주요 하천은 서부에 몰렸고, 가장 긴 하천은 중부를 흐르는 줘수이강(濁水溪 탁수계, 167km)이다.
섬으로서의 대만은 대만 섬과 그 주변 섬들(란위 등)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35,980 km2이다. 광의의 지역으로서의 대만(대만 지역)은 대만 섬과 그 주변 섬들, 펑후 제도, 진마 지역과 둥ಶಾ 제도·난샤 제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36,193 km2로 일본의 규슈와 비슷한 크기(일본의 약 10분의 1)이다. 대만 지역 면적의 99% 이상을 대만 섬이 차지하고 있다.
대만 섬은 남북 최장 거리가 약 394km, 동서 최장 거리가 약 144km이며, 나뭇잎 모양을 하고 있다. 섬을 거의 남북으로 종주하는 5개의 산맥(중앙산맥, 옥산산맥, 설산산맥, 아리산산맥, 해안산맥)이 섬 총 면적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작 가능지는 섬의 약 30%에 불과하다. 대만 최고봉은 옥산(구 일본명: 신고산, 해발 3,952m)이며, 후지산보다 높고, 마찬가지로 설산(구 일본명: 차고산, 해발 3,886m) 등 해발 3,000m가 넘는 고산이 많이 이어져 있다. 구릉, 고원, 고지, 분지 등도 중요한 지형이다. 대만 섬은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의 교차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일본과 마찬가지로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다. 또한 일본과 같은 화산대에 속하며, 온천도 풍부하다.
2. 1. 위치 및 지형
일본 류큐 열도와 중국 대륙, 필리핀 사이에 위치하여 교통의 요지이다. 대만에서 류큐 열도까지의 거리는 약 75 km, 중국 대륙까지는 약 150 km, 필리핀까지는 약 300 km이다. 대만 섬은 북동부에서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열도)와,[72] 어란비는 바시 해협을 사이에 두고 필리핀의 바탄 제도 및 루손섬과 접하고 있다. 대만 섬 서부는 대만 해협에 면하고 있으며, 해협 안에는 펑후 제도가, 해협 건너편에는 중국 대륙이 있다.대만의 지형은 산이 많아, 전체 면적의 64%가 산지이다. 중양산맥이 섬의 동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봉우리들의 평균 고도는 3,000m를 넘는다. 섬에서 가장 높은 위산(玉山, 옥산)은 표고가 3,997m에 이른다. 산맥의 동쪽은 평야부가 적고, 태평양 연안에서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솟는 절벽이 연달아 있다. 그에 비해 서쪽은 비옥한 평야가 완만하게 대만 해협을 향해 쳐진다.
대부분 강이 타이완 산맥에서 발원하며, 모두 짧고 험난하다. 주요 하천은 서부에 몰렸고, 가장 긴 하천은 중부를 흐르는 줘수이강(濁水溪 탁수계, 167km)이다.
섬으로서의 대만은 대만 섬과 그 주변 섬들(란위 등)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35,980 km2이다. 광의의 지역으로서의 대만(대만 지역)은 대만 섬과 그 주변 섬들, 펑후 제도, 진마 지역과 둥샤 제도·난샤 제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36,193 km2로 일본의 규슈와 비슷한 크기(일본의 약 10분의 1)이다. 대만 지역 면적의 99% 이상을 대만 섬이 차지하고 있다.
대만 섬은 남북 최장 거리가 약 394km, 동서 최장 거리가 약 144km이며, 나뭇잎 모양을 하고 있다. 섬을 거의 남북으로 종주하는 5개의 산맥(중앙산맥, 옥산산맥, 설산산맥, 아리산산맥, 해안산맥)이 섬 총 면적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작 가능지는 섬의 약 30%에 불과하다. 대만 최고봉은 옥산(구 일본명: 신고산, 해발 3,952m)이며, 후지산보다 높고, 마찬가지로 설산(구 일본명: 차고산, 해발 3,886m) 등 해발 3,000m가 넘는 고산이 많이 이어져 있다. 구릉, 고원, 고지, 분지 등도 중요한 지형이다. 대만 섬은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의 교차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일본과 마찬가지로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다. 또한 일본과 같은 화산대에 속하며, 온천도 풍부하다.
2. 2. 기후
대만의 기후는 온난 습윤 기후다.[263] 섬 전체 연평균 기온은 23 °C로 온난하다. 여름은 5월부터 9월까지로 평균 기온은 28 °C이나, 겨울은 12월부터 2월까지로 짧고 매우 따뜻하여 북부도 평균 기온은 10 °C를 넘는다. 높고 험한 타이완 산맥과 계절풍은 대만 기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대만 북동부 지룽 및 이란의 많은 강우량과 건조한 남서부 요인이 있다. 섬 전체 연간 강수량은 2,540 mm로, 평지보다 산지가, 서해안보다 동해안 쪽이 많다. 또 6월부터 10월에는 태풍이 많이 거쳐가 매년 큰 피해를 준다.[263]대만의 거의 중앙부(가의현 부근)를 북회귀선이 지나고 있으며, 북부는 아열대, 남부는 열대에 속한다. 북부는 여름을 제외하면 비교적 기온이 낮은 반면, 남부는 겨울을 제외하면 기온이 30도를 넘는 경우가 많다. 대만의 여름은 대략 5월부터 9월까지이며, 보통 무덥고 낮 기온은 27도에서 35도까지 올라가며, 7월 평균 기온은 28도이다. 겨울은 12월부터 2월까지로 기간이 짧고 기온은 전반적으로 온화하며, 1월 평균 기온은 14도이다. 다만, 산악지대의 고지대에서는 눈이 내리는 경우도 있다.
평균 강수량은 연간 약 2,515mm이며, 우기에 많고, 또한 강수량은 계절, 위치, 고도에 따라 크게 다르다. 대만은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아 매년 평균 3~4개의 태풍이 상륙한다. 태풍으로 상당량의 수자원을 확보하지만, 동시에 피해, 홍수, 산사태 등의 재해도 발생한다.[263]
2. 3. 식생과 동물
대만에 분포하는 식물은 3,800종이 넘는다. 삼림에 덮인 산은 고도에 따라 삼림 형태가 달라지며 다양한 식생이 분포한다. 해발 0-1,980m는 아열대성의 식생이 나타나고, 1,980-3,050m는 낙엽수림대와 침엽수림대의 혼합 지대, 3,050m 이상은 침엽수림이다. 근래에는 고산 기후를 이용해 고랭지 채소나 과일을 재배한다.이곳에 서식하는 동물도 여러 종류가 있다. 포유류는 다람쥐과, 사슴, 멧돼지, 타이완곰 등 63종(1996년 시점)을 확인했다. 또한 많은 새(445종), 파충류(80종), 양서류(31종), 곤충이 있다.
2. 4. 주변 섬
대만 주변에는 22개의 작은 섬이 있다. 란위섬, 뤼다오섬, 샤오류치우, 구이산섬, 미엔화섬, 펑자섬 등이 있다. 댜오위타이 열서(釣魚島)는 현재 일본과 영유권 분쟁 중이며, 센카쿠 제도라고도 불린다.3. 역사
역사 기록에 본격적으로 대만이 등장하는 시기는 1624년 네덜란드 상인들이 대만섬에 진출하면서다. 그 이전 시기에는 대만 원주민들이 정주, 생활했다. 고대부터 이어 온 대만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원주민들의 섬이었다. 명·청대 들어 점차 한족이 이주하여 살기 시작하였다. 대만 역사는 크게 16세기 이전 시기(선사 시대 포함), 네덜란드 점령 시기, 정씨왕국 시기, 청나라 시기,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 시기, 중화민국 시기(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만)으로 흔히 나눈다.
- '''선사 시대'''
대만 원주민들은 말레이 폴리네시아계 민족으로, 부족별로 분산되어 생활하여 국가를 형성하지 못했고 문자도 없어 역사 기록이 거의 없다. 16세기 이전에는 오스트로네시아계 대만 원주민이 거주했지만 통일된 국가나 문화는 없었고, 남부에 대두왕국(大肚王国)이라는 지역 정권이 존재했다.
- '''중국과의 관계'''
삼국시대에는 오나라의 손권이 1만 명의 군사를 보내 대만 원주민을 징발하려 했으나, 풍랑으로 인해 실패하고 1천 명만 징발하는데 그쳤다.[17][18][19][20] 수 말기부터 송까지 600년 동안 중국 문헌에서 대만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다가, 원나라대에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다.[21] 13세기 후반 원나라가 펑후 제도에 행정 기관을 설치했다는 기록은 있지만 대만섬을 통치했다는 기록은 없다.[21] 명나라는 펑후 제도를 차지했지만, 대만섬은 직접 다스리지 않았다.[21] 명나라 시대에는 대만을 '''동번''' 등으로 불렀으며,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었다.[21]
- '''외래 정권의 지배'''
17세기 스페인이 대만의 북부지역 (타이베이시, 지룽시, 신베이시 일원)을 차지하고, 네덜란드의 동인도 회사가 대만의 남부지역 (타이난시 일원)을 차지하였다.[22]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농업 진흥을 위해 푸젠성, 광둥성에서 한족들을 모집해 대만으로 이주시켰다.[22] 이들은 대만에 정착하여 현대 정치에서 본성인 그룹을 형성한다.[22] 중국 본토에서 한족 남성이 유입되며 원주민 여성과의 결혼이 늘어나 자연스럽게 대만의 독특한 혈통이 형성되었다.[22]
- '''대청 항쟁기'''
명나라가 망할 위기에 놓여 남명으로 밀려나고 만주족이 중원을 장악하자 항청복명의 구호를 내건 정성공이 1661년에 대만에 있던 네덜란드 세력을 침공해 이듬 해인 1662년 네덜란드 세력을 대만에서 축출하고 대만을 장악하였다.[22]
1662년 정성공이 죽은 이후에도 아들 정경이 대만을 통치하였다.[22] 정씨 정권은 오래가지 못했지만, 이때 처음으로 대만에 사실상의 중국계 국가를 건립했다.[22]
17세기 전반이 되면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등 서구 열강이 타이완을 개척하여, 기독교 교회와 적간루(赤崁樓)를 대표로 하는 서양식 적벽돌 건축물을 많이 건설했다.[22] 자원이 풍부한 타이완 섬은 17세기 대항해시대의 영향을 받아 개발이 진행되어, 주로 네덜란드 문화를 중심으로 서양 문화를 받아들이며 문명이 발전해 나갔다.[22]
1662년, 한족(漢族)의 정성공(鄭成功)은 타이완의 네덜란드 식민자들을 축출하고, 타이완 섬을 남명(南明, 명나라 재흥파)의 거점으로 삼아, 타이완 최초의 한족 정권인 정씨왕국(정씨 정권)을 건립했다.[22] 1683년에는 한족 국가인 명을 대신한 만주족 국가인 청(清)은 동녕왕국을 정복하고, 타이완을 복건성(福建省)의 일부로 병합했다.[22] 1662년부터 19세기에 걸쳐 중국 대륙에서 많은 한족이 타이완 섬으로 이주했다.[22] 그 결과, 한족의 인구는 증가하여 원주민의 총수를 넘어 타이완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민족 집단이 되었다.[22] 불교, 도교, 중국 요리, 번체자 등 중국 문화도 이 시기에 타이완으로 전래되었다.[22]
- '''만주족 복속기의 대만'''
정씨 일가의 대만 지배는 만주족의 대만 정벌에 의해 끝나고, 대만은 청나라의 영토에 편입되었다.[22] 그러나 당초 청나라는 정씨 일가를 응징할 목적으로 대만을 공격했으므로 대만을 직접 통치하는 것에 소극적이었다.[22]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적의 침입을 막아야 하는 등의 군사적인 이유로 대만을 활용, 대만섬에 1부(府), 3현(縣)을 설치하고, 푸젠성의 관할하에 두었다.[22] 하지만 청나라의 통치력은 대만 전역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22]
한편, 푸젠성, 광둥성으로부터 생활이 어려운 한족들이 대거 대만으로 이주 및 정착하였고, 당시 스스로 한족과 동화되어 가던 청나라는 관청에서 조직적으로 대만 원주민에게 성씨나 가계도, 족보 등을 부여하여 한족화를 추진하였다.[22] 이러한 여러가지 이유로 청나라 조정과 원주민 모두 시간이 지나면서 한족에 동화되어 갔다.[22]
- '''일본 식민지 시대 (1895 ~ 1945)'''
1895년, 일본이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후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면서 타이완 섬과 펑후 열도가 일본에 할양되었다.[23][24][25] 청나라는 타이완성을 설치하여 대만의 중요성을 인식하려 했으나, 청일 전쟁 패배로 실패하였다.[23][24][25] 일본은 타이완 총독부를 설치하여 1945년까지 대만을 통치하였다.[23][24][25] 일본은 대만을 첫 식민지로 삼아 신사와 일본식 목조 건축물을 건설하고, 교육, 보건, 인프라 등 근대화를 추진하였다.[23][24][25] 대만민주국이 건국을 선포하기도 했지만, 시모노세키 조약 시행과 함께 일본에 편입되었다.[23][24][25] 1952년 일본과 중화민국간 일화평화조약이 체결되어 대만은 법적으로 일본에서 이탈하였다.
- '''중화민국 시기 (1945 ~ 현재)'''
일본 제국 패망 후, 1945년 10월 25일 대만 섬과 펑후 제도는 50년 만에 중화민국으로 반환되었다.[26][27][28] 그러나 대만을 통치하기 위해 파견된 중화민국 정부의 관료와 병사들은 대만 주민들의 기대와 다른 모습을 보여 주민들의 불만을 샀다.[26][27][28] 이러한 불만은 1947년 2·28 사건으로 폭발했다.[26][27][28] 중화민국 관료들은 협상하는 척하며 시간을 벌고 장제스에게 본토 병력 파견을 요청, 3월 8일 지원 병력이 도착하자 대대적인 유혈진압을 시작했다.[26][27][28] 이 과정에서 본성인 약 3만여 명이 사망 또는 실종되었으며, 이 사건은 본성인과 외성인 사이에 깊은 앙금으로 남았다.
1943년 카이로 선언에서 타이완(타이완 섬·펑후 섬)은 “일본이 청나라로부터 빼앗았으므로 중화민국에 반환해야 할 땅”으로 규정되었다.[27]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타이완은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통치하에 들어갔고, 타이완 총독부를 해산하고 타이완 섬과 펑후 섬을 합쳐 “타이완 성”으로 중화민국에 편입했다.[26][27][28] 이를 타이완 광복이라고 부른다.[26][27][28]
1949년 제2차 국공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에 패배하여 대륙의 대부분 영토를 상실하고 타이완으로 퇴각했다.[29] 최종적으로 중국 대륙 영토는 금문도·마주도 두 곳만 유지할 수 있었고, 정부를 중국 대륙 난징에서 타이완 타이베이로 이전했다.[29] 중화민국은 “일본으로부터 접수한 타이완 성의 타이완 섬·펑후 섬”과 “원래 중국 영토였던 푸젠성의 금문도·마주도” 4개 지역으로 구성되어 소위 “타이완 지역(타이펑진마)”가 되었다.[30][31][32]
1971년, 유엔에서 중국의 의석은 알바니아 결의에 따라 중국 공산당의 중화인민공화국에 계승되었고, 중화민국 정부는 이 결의에 항의하여 유엔에서 탈퇴했다.[33][34][35]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근거하여 “알바니아 결의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중화민국의 지위를 계승했고, 카이로 선언에 따라 타이완은 일본으로부터 중화민국에 반환되었으므로, 타이완 전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타이완 성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36][37] 여기서 비롯된 타이완과 중국 간의 논쟁을 통틀어 “타이완 문제”라고 부른다.
1992년 타이완 민주화 이후, 중화민국은 중국 대륙에서의 주권을 완전히 포기하고 타이완에서의 발전에만 전념하게 되었다.[38][39] 타이완인들은 중화민국 체제 하에서 “타이완”과 “중화민국” 사이에서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38][39] 젊은 세대의 타이완인들은 중국 문화보다 친숙한 타이완 원주민 문화·객가 문화·민남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신을 중국인이 아닌 타이완인으로 인식하는 정체성이 강해지고 있다.[38][39][40][41][42][43]
현재 타이완의 정국에는 타이완의 중화민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추진하는 “범록연맹”과 중국 대륙과의 통일을 추진하는 “범람연맹”의 두 대진영이 존재하고 있다.[44][45][46][47][48][49] 범록연맹은 주로 민주진보당, 타이완 기진, 사회민주당, 타이완 녹색당, 타이완 단결연맹으로 구성되며, 친미·친일·반중 정책을 펼치고 있다.[44][45][46][47][48][49] 반면, 범람연맹은 주로 중국국민당, 친민당, 타이완 민중당으로 구성되며, 친중·반미·반일 정책을 펼치고 있다.[50][51][52][53][54][55]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중립파로는 시대 역량이 주로 거론된다.
1996년 3월 23일 국민의 직접선거로 총통을 선출하도록 제도를 개선하면서, 대만은 중국국민당 장기 집권을 마감하고 본격적인 민주화 시대를 열었다. 2000년 총통 선거에서는 민주진보당의 천수이볜을 총통으로 선출하며 제헌 이래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루기도 하였다. 2008년에는 중국국민당 마잉주가 당선되었고 2016년에는 다시 민주진보당 차이잉원이 총통에 취임하였다.
3. 1. 선사 시대
대만 원주민들은 말레이 폴리네시아계 민족으로, 부족별로 분산되어 생활하여 국가를 형성하지 못했고 문자도 없어 역사 기록이 거의 없다. 16세기 이전에는 오스트로네시아계 대만 원주민이 거주했지만 통일된 국가나 문화는 없었고, 남부에 대두왕국(大肚王国)이라는 지역 정권이 존재했다.3. 2. 중국과의 관계
삼국시대에는 오나라의 손권이 1만 명의 군사를 보내 대만 원주민을 징발하려 했으나, 풍랑으로 인해 실패하고 1천 명만 징발하는데 그쳤다.[17][18][19][20] 수 말기부터 송까지 600년 동안 중국 문헌에서 대만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다가, 원나라대에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다. 13세기 후반 원나라가 펑후 제도에 행정 기관을 설치했다는 기록은 있지만 대만섬을 통치했다는 기록은 없다. 명나라는 펑후 제도를 차지했지만, 대만섬은 직접 다스리지 않았다. 명나라 시대에는 대만을 '''동번''' 등으로 불렀으며,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었다.[21]3. 3. 외래 정권의 지배
17세기 스페인이 대만의 북부지역 (타이베이시, 지룽시, 신베이시 일원)을 차지하고, 네덜란드의 동인도 회사가 대만의 남부지역 (타이난시 일원)을 차지하였다.[22]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농업 진흥을 위해 푸젠성, 광둥성에서 한족들을 모집해 대만으로 이주시켰다. 이들은 대만에 정착하여 현대 정치에서 본성인 그룹을 형성한다. 중국 본토에서 한족 남성이 유입되며 원주민 여성과의 결혼이 늘어나 자연스럽게 대만의 독특한 혈통이 형성되었다.[22]3. 4. 대청 항쟁기
명나라가 망할 위기에 놓여 남명으로 밀려나고 만주족이 중원을 장악하자 항청복명의 구호를 내건 정성공이 1661년에 대만에 있던 네덜란드 세력을 침공해 이듬 해인 1662년 네덜란드 세력을 대만에서 축출하고 대만을 장악하였다.[22]1662년 정성공이 죽은 이후에도 아들 정경이 대만을 통치하였다. 정씨 정권은 오래가지 못했지만, 이때 처음으로 대만에 사실상의 중국계 국가를 건립했다.[22]
17세기 전반이 되면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등 서구 열강이 타이완을 개척하여, 기독교 교회와 적간루(赤崁樓)를 대표로 하는 서양식 적벽돌 건축물을 많이 건설했다. 자원이 풍부한 타이완 섬은 17세기 대항해시대의 영향을 받아 개발이 진행되어, 주로 네덜란드 문화를 중심으로 서양 문화를 받아들이며 문명이 발전해 나갔다.[22]
1662년, 한족(漢族)의 정성공(鄭成功)은 타이완의 네덜란드 식민자들을 축출하고, 타이완 섬을 남명(南明, 명나라 재흥파)의 거점으로 삼아, 타이완 최초의 한족 정권인 정씨왕국(정씨 정권)을 건립했다. 1683년에는 한족 국가인 명을 대신한 만주족 국가인 청(清)은 동녕왕국을 정복하고, 타이완을 복건성(福建省)의 일부로 병합했다. 1662년부터 19세기에 걸쳐 중국 대륙에서 많은 한족이 타이완 섬으로 이주했다. 그 결과, 한족의 인구는 증가하여 원주민의 총수를 넘어 타이완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민족 집단이 되었다. 불교, 도교, 중국 요리, 번체자 등 중국 문화도 이 시기에 타이완으로 전래되었다.[22]
3. 5. 만주족 복속기의 대만
정씨 일가의 대만 지배는 만주족의 대만 정벌에 의해 끝나고, 대만은 청나라의 영토에 편입되었다.[22] 그러나 당초 청나라는 정씨 일가를 응징할 목적으로 대만을 공격했으므로 대만을 직접 통치하는 것에 소극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적의 침입을 막아야 하는 등의 군사적인 이유로 대만을 활용, 대만섬에 1부(府), 3현(縣)을 설치하고, 푸젠성의 관할하에 두었다.[22] 하지만 청나라의 통치력은 대만 전역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22]한편, 푸젠성, 광둥성으로부터 생활이 어려운 한족들이 대거 대만으로 이주 및 정착하였고, 당시 스스로 한족과 동화되어 가던 청나라는 관청에서 조직적으로 대만 원주민에게 성씨나 가계도, 족보 등을 부여하여 한족화를 추진하였다.[22] 이러한 여러가지 이유로 청나라 조정과 원주민 모두 시간이 지나면서 한족에 동화되어 갔다.[22]
3. 6. 일본 식민지 시대 (1895 ~ 1945)
1895년, 일본이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후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면서 타이완 섬과 펑후 열도가 일본에 할양되었다.[23][24][25] 청나라는 타이완성을 설치하여 대만의 중요성을 인식하려 했으나, 청일 전쟁 패배로 실패하였다. 일본은 타이완 총독부를 설치하여 1945년까지 대만을 통치하였다. 일본은 대만을 첫 식민지로 삼아 신사와 일본식 목조 건축물을 건설하고, 교육, 보건, 인프라 등 근대화를 추진하였다.[23][24][25] 대만민주국이 건국을 선포하기도 했지만, 시모노세키 조약 시행과 함께 일본에 편입되었다. 1952년 일본과 중화민국간 일화평화조약이 체결되어 대만은 법적으로 일본에서 이탈하였다.3. 7. 중화민국 시기 (1945 ~ 현재)
일본 제국 패망 후, 1945년 10월 25일 대만 섬과 펑후 제도는 50년 만에 중화민국으로 반환되었다.[26][27][28] 그러나 대만을 통치하기 위해 파견된 중화민국 정부의 관료와 병사들은 대만 주민들의 기대와 다른 모습을 보여 주민들의 불만을 샀다. 이러한 불만은 1947년 2·28 사건으로 폭발했다. 중화민국 관료들은 협상하는 척하며 시간을 벌고 장제스에게 본토 병력 파견을 요청, 3월 8일 지원 병력이 도착하자 대대적인 유혈진압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본성인 약 3만여 명이 사망 또는 실종되었으며, 이 사건은 본성인과 외성인 사이에 깊은 앙금으로 남았다.1943년 카이로 선언에서 타이완(타이완 섬·펑후 섬)은 “일본이 청나라로부터 빼앗았으므로 중화민국에 반환해야 할 땅”으로 규정되었다.[27]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타이완은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통치하에 들어갔고, 타이완 총독부를 해산하고 타이완 섬과 펑후 섬을 합쳐 “타이완 성”으로 중화민국에 편입했다. 이를 타이완 광복이라고 부른다.[26][27][28]
1949년 제2차 국공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에 패배하여 대륙의 대부분 영토를 상실하고 타이완으로 퇴각했다.[29] 최종적으로 중국 대륙 영토는 금문도·마주도 두 곳만 유지할 수 있었고, 정부를 중국 대륙 난징에서 타이완 타이베이로 이전했다.[29] 중화민국은 “일본으로부터 접수한 타이완 성의 타이완 섬·펑후 섬”과 “원래 중국 영토였던 푸젠성의 금문도·마주도” 4개 지역으로 구성되어 소위 “타이완 지역(타이펑진마)”가 되었다.[30][31][32]
1971년, 유엔에서 중국의 의석은 알바니아 결의에 따라 중국 공산당의 중화인민공화국에 계승되었고, 중화민국 정부는 이 결의에 항의하여 유엔에서 탈퇴했다.[33][34][35]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근거하여 “알바니아 결의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중화민국의 지위를 계승했고, 카이로 선언에 따라 타이완은 일본으로부터 중화민국에 반환되었으므로, 타이완 전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타이완 성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36][37] 여기서 비롯된 타이완과 중국 간의 논쟁을 통틀어 “타이완 문제”라고 부른다.
1992년 타이완 민주화 이후, 중화민국은 중국 대륙에서의 주권을 완전히 포기하고 타이완에서의 발전에만 전념하게 되었다. 타이완인들은 중화민국 체제 하에서 “타이완”과 “중화민국” 사이에서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38][39] 젊은 세대의 타이완인들은 중국 문화보다 친숙한 타이완 원주민 문화·객가 문화·민남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신을 중국인이 아닌 타이완인으로 인식하는 정체성이 강해지고 있다.[38][39][40][41][42][43]
현재 타이완의 정국에는 타이완의 중화민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추진하는 “범록연맹”과 중국 대륙과의 통일을 추진하는 “범람연맹”의 두 대진영이 존재하고 있다. 범록연맹은 주로 민주진보당, 타이완 기진, 사회민주당, 타이완 녹색당, 타이완 단결연맹으로 구성되며, 친미·친일·반중 정책을 펼치고 있다.[44][45][46][47][48][49] 반면, 범람연맹은 주로 중국국민당, 친민당, 타이완 민중당으로 구성되며, 친중·반미·반일 정책을 펼치고 있다.[50][51][52][53][54][55]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중립파로는 시대 역량이 주로 거론된다.
1996년 3월 23일 국민의 직접선거로 총통을 선출하도록 제도를 개선하면서, 대만은 중국국민당 장기 집권을 마감하고 본격적인 민주화 시대를 열었다. 2000년 총통 선거에서는 민주진보당의 천수이볜을 총통으로 선출하며 제헌 이래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루기도 하였다. 2008년에는 중국국민당 마잉주가 당선되었고 2016년에는 다시 민주진보당 차이잉원이 총통에 취임하였다.
4. 양안 관계
제2차 세계 대전을 종료한 1945년 연합국이 대만을 중화민국에 반환했다. 이 때는 동중국해의 작은 섬에 불과했으나, 국공 내전에서 중국공산당에게 밀린 중국국민당이 1949년 난징시의 국민정부를 타이베이시로 전격 이전하면서 대만은 중화민국의 중심지로 변모하여 새 시대를 맞이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억지 주장에 따라 1945년의 반환 결정은 곧 자신에게 소급된다고 주장한다. 23번째 성(省)으로 규정하고 대만에 대한 일체의 영유권을 주장한다. 하지만, 대만 특별행정구로도 영유권을 주장한다. (홍콩과 마카오: 군대 불유지 타이완 지구: 군대 유지 가능)
4. 1. 대만 문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연합국은 1945년 대만을 중화민국에 반환했다. 당시 대만은 동중국해의 작은 섬이었으나, 국공 내전에서 중국공산당에 패한 중국국민당이 1949년 난징시의 국민정부를 타이베이시로 이전하면서 중화민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1945년의 반환 결정이 자신에게 소급된다고 주장하며, 대만을 23번째 성(省) 또는 대만 특별행정구로 규정하고 영유권을 주장한다.국공 내전 결과, "중국의 정통 국가"는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분열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이 "중국(중국 본토)의 일부"이며 대만 지역의 주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중국 통일"(하나의 중국 실현)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대만에서는 "통일"에 대한 다양한 생각(두 개의 중국, 하나의 중국, 두 개의 체제)과 대만 독립 운동이 활성화되면서 문제가 더욱 복잡해졌다. 또한, 대만의 현재 주권이 미정이라는 대만 지위 미정론도 존재한다.
5. 정치
1949년 이후, 옛 타이완 총독부 청사에 중화민국 총통부가 설치되어 있다.
오늘날 타이완에서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는 '''타이완 문제'''가 있다.[73]
타이완 문제는 타이완 지역의 최종적인 정치적 지위와 주권 귀속을 둘러싼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미해결 문제이다. 1945년 9월 2일 체결된 포츠담 선언( 제2차 세계 대전 종결)에 따라 중화민국의 국민정부는 연합국군의 위탁을 받아 주타이완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해 타이완에 군대를 주둔시켰고, 1943년의 카이로 선언에 따라(단, 회담 후 언론 관계자에게 배포된 뉴스 릴리스이며 무효라는 설도 있다), 1945년 10월 25일 타이베이에서 일본측 안도 리키치타이완 총독·제10방면군 사령관이 항복 문서에 서명했으며, 중화민국은 타이완 성을 설치하여 타이완의 실효 지배를 시작했다(타이완 광복).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행정권을 중화민국에 이양한 것일 뿐, 국제법상 타이완은 여전히 일본의 영토였다. 1949년 10월 1일 국공 내전에서 승리한 중국 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고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망명한 이후, 양당 간에 "중국을 대표하는 정통 정부"로서의 권리를 둘러싼 대립이 발생하게 되었고(→중화민국의 역사), 동시에 타이완의 정치적 지위와 주권 귀속도 대립의 한 요인이 되었다.
일본 정부는 1951년의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및 1952년의 일화 평화 조약에서 타이완에 대한 권원을 포함한 모든 권리를 포기했지만, 그 귀속처가 명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타이완의 국제법상 영유권은 현재도 미확정이라는 견해(타이완 지위 미정론)도 있다.[73]
타이완 지역을 실효 지배하는 중화민국이 오랜 세월에 걸쳐 "명실상부 중국을 대표하는 정통 국가"에서 "타이완 지역만을 통치하는 국가"로 변모한 것도 타이완 문제 이해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국민당 독재기의 중화민국은 타이완 지역만을 실효 지배하게 된 후에도 "중국의 정통 국가"를 주장하며 "타이완은 중국 일부"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중국(중화민국)에 의한 지배로부터 타이완을 해방시키고, 중국(중화민국)과 다른 새로운 국가를 스스로 건설해야 한다"는 타이완 독립 운동(대독 운동 또는 대독)이 활발해졌다. 타이완 독립 운동은 중화민국의 민주화에 따라 잠잠해졌지만, 오랜 세월 동안 타이완 지역 주민의 국정 참여를 거부하고 차별과 탄압을 해 온 역사(2·28 사건이라고 불리는 타이완인 대학살과 중국국민당에 의한 장기간의 고압 독재)를 잊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에서 주장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2008년 8월 말에는 중화민국으로부터의 독립 시위가 발생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불가분의 영토이며, 타이완이 독립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면서 일관되게 타이완 독립에 반대하는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으며[74], 그 영향으로 중화민국 외 국가에서는 타이완 독립을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의 독립"이라고 오해하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75]
21세기 초에는 국제 정치적 駆け引き의 결과로 중국을 대표하는 정통 국가로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는 국가 대부분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면서 반관반민의 조직을 통해 중화민국과 실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도 중화민국 헌법은 대륙 통치 시대에 제정된 조항을 유지하며, 중화민국이 중국의 국가임을 상징하고 있다. 그 한편 헌법 추가 수정 조항 제정 이후, 중화민국이 타이완 지역만을 통치한다는 전제 하에 민주화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와 중화민국의 친중파는 이러한 움직임을 법리 독립이라고 비난해 왔다.
오늘날 타이완 주민 여론에서는 타이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주권에 귀속하는 것이 아니라 중화민국이라는 국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 위에 중화민국의 입법부인 입법원 의원 등 정치인들은 지금도 "타이완 지역도 (중화인민공화국이 다스리는) 대륙 지역도 같은 중화 민족에 주권이 있다"고 보는 범람연맹파와 "타이완 지역의 주권은 중화민국에 있으며, 대륙 지역의 주권은 중화인민공화국에 있다"고 보는 범록연맹파(타이완 본토파 및 독립파)의 어느 한쪽으로 크게 나뉜다.
민주화 이후 타이완 주민 여론은 실질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는 "분리"되어 있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많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현상 유지에 대한 안정 지향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각 당도 여론을 고려하여 정치 활동을 하고 있다. 중화민국은 국제법상 사실상 독립국[76]이며 독립 선언 등은 필요 없다는 생각을 "천연독"이라고 하며, 전총통인 채잉원, 현 총통인 라이칭더도 그 입장이다.
5. 1. 정치 체제
5. 2. 정당
대만의 주요 정당으로는 범록연맹과 범람연맹이 있다. 범록연맹은 대만의 독립을 지지하는 반면, 범람연맹은 중국과의 통일을 주장한다. 이러한 정치적 입장 차이는 대만 주민들의 정체성 인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국립정치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자신을 '대만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1992년 17.6%에서 2020년 64.3%로 크게 증가했다.[178][179] 반면, 자신을 '중국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2020년 2.6%로 매우 낮았다.
이덩후이 전 총통은 대만은 역사적으로 여러 국가에 의해 통치되었기 때문에 중국의 일부라는 주장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80] 그는 대만인이 일본 통치 시대에 배운 "일본 정신"이 대만인의 기질이라고 정의했다.[181]
2020년에는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성공으로 대만인으로서의 자긍심이 높아졌다.[182] 국립정치대학의 2020년 6월 조사에서는 '나는 대만인이다'라고 답한 사람이 67%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특히 20대에서 80%를 넘었다.[182] 이는 이덩후이가 추진한 민주화와 교육 개혁의 영향으로 분석된다.[182]
5. 3. 민주화 과정
6. 국제 관계
대만의 국제 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일본과의 관계는 한일 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국의 퓨리서치센터가 2023년 8월 11일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대만은 일본, 미국, 네덜란드, 독일, 스웨덴, 호주, 캐나다, 프랑스, 한국, 이스라엘,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폴란드, 나이지리아, 케냐, 멕시코, 영국 등 여러 국가에서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77] 또한, 대만과 중국의 긴장 관계가 미국에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인식하는 미국인의 비율은 2021년 2월 28%에서 2023년 3월 47%로 이 기간 동안 조사마다 급속도로 증가했으며, 2023년 3월에는 80% 이상의 미국인이 대만과 중국의 긴장이 미국에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다.[78]
중국(중화인민공화국) 주민 대다수는 대만 독립에 반대한다.[79] 그러나 (현재 대만 지역만 통치하는 국가로서의) 중화민국은 국가의 정의를 규정하는 국제법상 국가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대만”으로 독립을 선포하지 않더라도 사실상 독립 국가이다.[76]
6. 1. [[한일 관계|일본과의 관계]]
6. 2. [[미국-대만 관계|미국과의 관계]]
미국의 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가 2023년 8월 11일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대만은 일본, 미국, 네덜란드, 독일, 스웨덴, 호주, 캐나다, 프랑스, 한국, 이스라엘,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폴란드, 나이지리아, 케냐, 멕시코, 영국 등 여러 국가에서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77] 또한, 대만과 중국의 긴장 관계가 미국에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인식하는 미국인의 비율은 2021년 2월 28%에서 2023년 3월 47%로 이 기간 동안 조사마다 급속도로 증가했으며, 2023년 3월에는 80% 이상의 미국인이 대만과 중국의 긴장이 미국에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다.[78]6. 3. [[중화민국-중국 관계|중국과의 관계]]
중국(중화인민공화국) 주민 대다수는 대만 독립에 반대한다.[79] 그러나 (현재 대만 지역만 통치하는 국가로서의) 중화민국은 국가의 정의를 규정하는 국제법상 국가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대만”으로 독립을 선포하지 않더라도 사실상 독립 국가이다.[76]7. 경제
20세기 후반, 대만은 급속한 경제 성장과 산업화를 경험하여 현재는 선진국이다.[56][57]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중 하나이며, WTO와 APEC 회원국이다.[56][57] 세계 19위의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경제에서 첨단 기술 산업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의 식량 보급 기지 역할을 맡았던 대만 지역에서는 식량을 보관·가공하는 경공업이 싹텄다.
국공내전 이후 중화민국 정부의 대만 이전 후, 정부는 대만을 "반공대륙"(무력에 의한 대륙부의 탈환)의 기지로 삼았다. 이에 따라 군사 우선 정책이 채택되어 경제 정책은 뒤로 밀렸지만, 그 와중에 정부는 경공업을 발전시키고 점차 중공업화하는 정책을 취한다. 경제 특구와 정부 주도의 경제 프로젝트가 전국적으로 전개되었고, 특히 일본과의 연결을 이용한 일본 하청적인 산업이 발전한다.
장경국 총통 시대가 되면서 10대 건설을 비롯한 본격적인 각종 인프라 정비가 시작되었고, 또한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은 전략 물자를 대만에서 조달했기 때문에 대만 경제는 비약적으로 발전했다(대만의 기적).[56][57] 이 무렵부터 주요 수출 대상은 일본에서 미국으로 바뀌었다. 또한, 중화민국 정부는 경공업에서 중공업으로의 전환을 도모하고 적극적인 산업 정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중국강철이나 대만 조선, 대만 석유 등 국영 기업을 중심으로 한 중화학 공업화였으며, 반드시 강한 국제 경쟁력을 갖춘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미국에 거주하는 화교(대만계 미국인, 중국계 미국인) 기술자들의 협력을 통해 수행한 반도체 산업 육성은 성공을 거두어, 후일 대만적체전로제조(TSMC·대적전)와 연화전자(UMC)를 탄생시킨다.
1980년대, 전자 산업의 발전은 민간 중소기업에도 파급되어 PC의 마더보드 점유율에서 세계 1위가 되었다. 중화민국은 아시아 NICs(후에 NIEs로 불림)의 일원으로 간주되었고(다른 국가는 한국, 홍콩, 싱가포르), 더 나아가 외환 보유액이 세계 상위권에 들 정도로 경제 발전은 눈부셨다. 또한 1990년대에는 IT 호황을 타고 1997년-1998년의 아시아 경제 위기도 극복했다. 그 때문에 중소기업이 많은 점이 일본과 비슷하다는 점이나, 정부 주도의 산업 정책과 재벌 중심의 한국과의 차이점 등이 강조되었다.
현재 대만 최대 자전거 제조업체가 된 자이언트 제조 등 현재 대만 자전거 업계 주요 기업들은 1970년대 후반부터 유럽과 미국 제조업체의 OEM·ODM을 수주하여 현재에 이르는 설계·생산의 기반을 구축했다. 이 무렵부터 OEM·ODM 수주뿐만 아니라 대만의 자전거 기업들은 자체 브랜드 판매에도 나섰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제조업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의 투자에 따른 공동화가 눈에 띄게 진행되었고, 2001년 IT 버블 붕괴의 영향을 받아 2002년에는 중화민국의 대만 이전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대만의 전자 산업은 OEM·ODM 등 선진국 기업으로부터의 위탁 생산에 특화되어 독자적인 브랜드를 갖지 못했다.
일본 경제와의 밀접한 관련 속에서 발전해 온 대만 경제는 일본 경제와 호환성이 강한 면이 있다. 즉, 기술력, 공업 생산력을 이용하여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제공함으로써 외화를 획득하는 가공 무역이 기본이다. 그러나 일본과 다른 점도 많다. 그것은 한족의 전통과 미국의 영향 때문이라고 생각되지만, 대표적인 것은 창업 지향성일 것이다. 대만에서는 유능한 사람일수록 창업을 열망하고, 그것이 경제에 활력과 유연성을 부여하고 있다.
2010년에는 대만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에 양안경제협력틀협의(ECFA)가 체결되었다.
대만은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2016년 대만은 세계 18위 수출국이며, 상품 수입에서도 세계 18위가 되었다. 과학 기술 전문성을 연마하기 위한 오랜 관민 협력을 통해 대만의 과학기술단지는 현재 ICT와 바이오테크놀로지, 정밀 기계, 나노기술 등 분야에서의 비약을 추구하는 기업 클러스터의 본거지가 되고 있다.
대만은 2025년까지의 탈원전을 향해 재생 가능 에너지 산업 육성을 중점 정책으로 하고 있다.[94][95] 2025년에는 전력 공급에서 원전 비율을 제로로 하고, 대체로 재생 가능 에너지 비율을 20%까지 높이는 목표를 내걸고 있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관련 산업 육성과 고용 창출, 외국 자본 투자 유치를 도모하고 있다. 대만에서 중시되는 재생에너지는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이다. 대만은 아열대에 속해 일조량이 풍부하고, 태양전지 제조 산업이 활발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 설비 용량 20기가와트(GW) 증가를 위해 1.2조 뉴타이완달러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특히 고효율 태양광 발전(PV) 모듈을 사용한 PV 프로젝트에는 6%의 FIT(고정가격매입제도) 보너스가 지급된다. 또한, 타이완 해협은 안정적으로 바람이 불고 풍력 발전기의 고장 원인이 되는 난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특히 해상 풍력 발전이 중시되고 있다.
대만은 세계 인공 지능(AI) 개발 경쟁 속에서 연구 개발(R&D) 거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미의 세계적인 대기업 소프트웨어 개발·판매 회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2018년 1월 10일, 인공 지능(AI) 연구 개발 센터(R&D Center)를 타이베이시에 설립한다고 발표했다.[97] 또한, 구글은 HTC(홍달국제전자)의 Pixel 개발팀 인수를 통해 타이베이를 구글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엔지니어링 최대 거점으로 삼고 있다.[98]
행정원 주계총처(일본의 총무성 통계청에 해당)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대만의 GDP는 7,608.13억 달러이다.[81] 2023년 대만의 1인당 GDP(PPP 기준)는 73,344달러이며,[85] 세계 12위이다.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지역 상위 29개국 중 대만은 세계 19번째로 부유한 국가이다.[65]
2021년 대만의 1인당 명목 GDP는 32,944달러로 전년 대비 4,395달러 증가했고, 1인당 명목 GNI(1인당 국민총소득)는 33,808달러로 전년 대비 4,439달러 증가했다.[81][86]
국제경영개발연구소(IMD)가 발표한 최신 「세계 경쟁력 연감 2023」에서 대만은 세계 6위가 되었다. 대만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싱가포르(4위)에 이어 2위이며, 인구 2천만 명 이상 국가·지역에서는 1위가 되었다.[112]
미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이 발표한 최신 2024년판 「경제 자유도 지수」에서 대만은 2년 연속 세계 4위가 되었다.[113][114]
2021년 9월 22일, 대만이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가입을 신청했다.[116][117]
대만과 미국은 2023년 5월 18일, 경제 연계를 강화하는 새로운 무역 협상의 틀 「21세기 무역에 관한 대미 이니셔티브」의 제1단계 합의를 발표했다.[118][119]
대만과 영국은 2023년 11월 8일, 「무역 강화 파트너십(Enhanced Trade Partnership, ETP) 협정」을 공식적으로 체결했다.[121]
7. 1. 경제 발전
7. 2. 첨단 기술 산업
대만은 반도체 산업 육성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156] 대만적체전로제조(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TSMC)는 2024년 10월 17일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돌파하여 세계에서 9번째로 "1조 달러 기업 클럽"에 가입했다.[156] 연화전자(UMC)(UMC)는 세계 3위의 반도체 위탁 생산(파운드리) 업체이다.[158][159]2016년 12월 기준 대만 기업 시가총액 순위는 다음과 같다.[157]
순위 | 기업명 | 시가총액(억 대만 달러) |
---|---|---|
1 | 대만적체전로제조(TSMC) | 47,064 |
2 | 폭스콘(鴻海)(Foxconn) | 13,690 |
3 | 타이숭석화(台塑石化)(Formosa Plastics Group) | 9,669 |
4 | 중화전신(中華電)(Chunghwa Telecom) | 8,300 |
5 | 대만화학섬유(台化) | 5,574 |
6 | 궈타이금융홀딩스(國泰金)(Cathay Financial Holding) | 5,496 |
7 | 타이숭(台塑)(Formosa Plastics Corporation) | 5,411 |
8 | 난야(南亞) | 5,131 |
9 | 푸봉금융홀딩스(富邦金)(Fubon Financial Holding) | 4,956 |
10 | 탈리광전(大立光電) | 4,554 |
11 | 타이달전자공업(台達電子工業) | 4,078 |
12 | 중국강철(中國鋼鐵) | 3,864 |
13 | 타이완다거다(台灣大哥大) | 3,609 |
14 | 미디어텍(聯發科技)(MediaTek) | 3,402 |
15 | 중국신탁금융홀딩스(中國信託)(Chinatrust Financial Holding) | 3,275 |
16 | 통일기업(統一企業) | 3,119 |
17 | 자오펑금융홀딩스(兆豐國際商業銀行) | 3,114 |
18 | 롄광반도체(日月光半導體) | 2,710 |
19 | 통일초상(統一超商) | 2,495 |
20 | 원전전신(遠傳電信) | 2,340 |
폭스콘(鴻海精密工業) 그룹은 대만 자본 기업 중 가장 많은 120만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ASUS(華碩), 에이서(宏碁・Acer), 기가바이트(技嘉), MSI(微星・MSI), ASRock(華擎科技) 등은 PC 마더보드를 비롯한 컴퓨터 부품 및 주변기기를 개발, 판매하는 주요 기업들이다. 콴타컴퓨터(広達)는 노트북 생산량이 세계에서 가장 많다.
미디어텍(聯發科技)은 세계적인 이동통신 기술 및 반도체 설계 개발 기업이며, 리얼텍(リアルテック)은 컴퓨터용 반도체 제조업체로 게 마크로 유명하다. ADATA(威鋼科技)는 메모리 제조업체로 DRAM 모듈 시장 점유율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트랜스센드(Transcend)는 DRAM 메모리 등 반도체 제품을 개발, 판매한다.
HTC(宏達國際電子・High Tech Computer)는 세계적인 스마트폰 제조업체이다. AU옵트로닉스(友達・AUO)는 대만 최대의 액정 패널 제조업체이며, 벤큐(明基・ベンキュー)는 2001년 에이서 그룹에서 독립했다. 델타 일렉트로닉스(台達電子工業・Delta Electronics)는 세계 최대의 전원 장치 제조업체이다. D링크(友訊)는 라우터 등 인터넷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세계적인 기업이다. 사이버링크(訊連科技)는 파워DVD 등을 개발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조업체이다.
7. 3. 국제 협력
7. 4. 국제 순위
세계경제포럼의 ‘글로벌 경쟁력 보고서 2019’에서 대만은 140개국 중 12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4위를 차지했다.[265]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대만의 비즈니스 환경이 전 세계에서 14번째로 우수하다고 평가했다.[265] 2019년 경제 자유도 평가에서는 186개국 중 10위, 아태지역 43개국 중 5위를 차지했고, 미국 경영환경리스크 인텔리전스(BERI)에서는 투자 위험도 평가에서 주요 50개국 중 4위를 차지했다.[265]8. 사회
8. 1. 인구
대만 주민은 크게 혼혈, 외래계(外省人), 원주민으로 나뉜다. 원주민은 평지에 거주하며 한족과 동화가 진행된 평포족(平埔族)(케타가란족(凱達格蘭族), 파제헤족(巴賽族), 바브자족(馬卡道族) 등)과 고지대나 외딴 섬에 거주하는 고산족(高山族) 16개 민족(아미족(阿美族), 타이야르족(泰雅族), 파이완족(排灣族), 부눈족(布農族), 푸유마족(卑南族), 루카이족(魯凱族), 츠오우족(鄒族), 사이샤트족(賽夏族), 타오족(達悟族), 사오족(邵族), 타로코족(太魯閣族), 쿠바란족(噶瑪蘭族), 사키자야족(撒奇萊雅族), 세덱족(賽德克族), 카나카나부족(卡那卡那富族), 사아로아족(薩阿魯阿族))으로 나뉜다. 쿠바란족과 사오족은 평포족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고산족(高砂族)"은 일본 통치 시대의 명칭이다. 대만의 한족은 전전(주로 명말청초)부터 대만에 거주해 온 본성인(本省人)과 국공내전에서 패한 장제스(蔣介石)가 이끄는 중화민국 국군(中華民國國軍)과 함께 대만으로 이주한 외성인(外省人)으로 나뉜다. 본성인이 대만 인구의 85%를 차지하며, 본성인은 복건(福建)계(민남(閩南)계)와 객가(客家)계로 나뉜다. 외성인 13%, 원주민 2%(타이야르족, 사이샤트족, 츠오우족, 부눈족, 아미족 등 14개 민족)이다.[167]현대적인 인간 백혈구 항원(HLA)과 미토콘드리아 DNA에 의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만 인구의 88%가 원주민의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167]
중화민국 인구 통계에 따르면, 대만 인구가 증가하여 2,300만 명을 초과함에 따라 인구밀도는 650.361명/km2(2021년 12월 말 통계)이며, 인구 1,000만 명 이상의 국가 중 세계 2위를 차지했다.
2020년 기준 평균 수명은 81.3세(여성 84.7세, 남성 78.1세)이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168]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4%를 기록했다.[169]
저출산이 심화되고 있으며, 2022년 합계출산율은 0.87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170] 인구는 2020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했으며,[171] 2050년대에는 2,000만 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172]
2020년 현재 대만 거주 외국인은 약 79만 명이며, 국적별로는 인도네시아가 25만 명(32%), 베트남(在台越南人)이 23만 명(29%), 필리핀이 15만 명(19%)을 차지한다(민국 109년(2020년) 대만 내정부 통계처 조사).[173] 2023년 기준 외국인 노동자는 73만 명이며, 64%가 제조업, 30%가 간병에 종사하고 있다.[174]
내정부(內政部) 경정서(警政署)(일본의 경찰청에 해당)의 "대만 및 복건 지역 거주 외국인 통계-국적 및 직업별 99년(2010)"에 따르면, 2010년 현재 체류 기간 180일 이상의 장기 비자 취득자가 신청할 수 있는 "외교 거류증"을 소지한 일본인은 12,056명(남성 7,330명, 여성 4,726명)이다. 그 내역은 상업 종사자(2,197명), 15세 미만(1,853명), 가사(1,687명), 학업(1,003명), 엔지니어(678명), 교사(640명), 기타(3,472명)이다.[175]
노동부(勞動部)(일본의 후생노동성에 해당)가 2024년 5월 5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대만에서 취업이 허가된 외국인 전문 인력은 2023년 말 현재 누계 약 4만 9천 명으로 전년 대비 약 2천 명 증가했다. 국적별로는 말레이시아가 누계 약 8천 명으로 전년도 최다였던 일본(약 6천 명)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대만은 외국인 전문 인력을 "전문 인력", "특정 전문 인력", "고급 전문 인력"의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176] 과학기술이나 경제 등의 분야에서 국가 이익에 기여하고 중앙 정부 각 주무 기관의 추천을 받은 고급 전문 인력은 원래 국적을 유지한 채 귀화할 수 있다.
대만에서 총 자산이 500만 신대만달러를 초과하거나, 직업 기술이나 전문성을 증명하면, 대만 이민청(移民署)에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다.[177]
8. 2. 교육
대만의 교육 제도는 중화민국 헌법과 각종 교육 관련 법률에 기반하여 체계화되어 있다.[191] 학제는 6-3-3-4제를 채택하여 국민소학교 6년, 국민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으로 구성된다. 대학교는 학과에 따라 건축학과는 5년, 치의학과는 6년, 의학과는 7년이다. 일반 학교 외에 특수학교와 보습학교도 운영된다. 의무교육은 1945년 이전에는 소학교 6년 이었으나, 현재는 국민중학교 3년을 포함하여 9년제이다.[191] 2014년부터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12년간의 의무교육이 시행되고 있다.[192] 2001년부터 소중일관교육이 전국적으로 실시되었고, 2006년에는 유치원이 의무교육화되었다.[191] 학년도는 9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이다. 20세 남성에게는 병역 의무가 있지만, 대학교와 전문학교 재학생은 졸업까지 징병이 연기된다.2011년부터 5세 아동의 유치원 및 보육시설 수업료는 무상이며, 사립 유치원 및 보육시설의 경우에도 보조금이 지원된다.[192] 대만 사람들은 교육열이 높으며, 국어 식자율은 98.29%(2012년)이다. 대학 진학률은 84.2%(2020년)로,[193] 학력 사회의 경향이 강하고 취업 시 학력이 중시된다.
대학교는 종합대학, 단기대학, 공과대학, 문과대학, 국립공중대학 등이 있으며, 2023년 기준 총 148개교, 학생 수는 약 114만 명이다.[194] 대학 증설로 인해 대학 합격률이 100%를 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과 계열 진학자가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이과 계열 명문 대학으로는 국립대만대학, 국립칭화대학, 국립교통대학, 국립성공대학 등이 있으며, 문과 계열에서는 국립대만대학과 국립정치대학이 명문으로 꼽힌다.
대만의 언어 교육은 국어(표준 중국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국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표준어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어휘 등 세부적인 차이가 있다. 대만의 학교 교육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공용어로 기능한다.[184] 번체자(정체자)로 표기되며, 주음부호라는 발음 기호가 교육 현장에서 사용된다. 통용 병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같은 라틴 문자 계열의 발음 표기 방식도 존재한다.
2018년에는 국어 이외의 대만어, 객가어, 대만 원주민 언어들의 지위가 동등해졌다.[183] 대만어는 민남어의 일종이지만, 평포족 언어와 일본어의 영향을 받아 분화되었다.[185] 대만 원주민의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대부분 대만어족에 속한다.[186] 음성 언어 외에 대만 수화도 사용된다.
민주화 이후 대만어, 객가어, 원주민어 교육이 의무화되었지만,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어로, 중국국민당 일당독재 시대에는 표준 중국어(국어)로 교육하는 것이 정해져 있었다.
해외에는 화교 자녀들을 위한 중화학교가 약 3750개교 설립되어 있으며, 일본에는 요코하마 중화학원, 도쿄 중화학교, 오사카 중화학교가 있다.
8. 3. 복지
대만의 사회보장 제도는 사회보험 제도와 사회복지(세재원)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보험에는 의료보험(전민건강보험), 연금보험(노공보험, 공교인원보험, 군인보험), 근로재해보험(노공보험, 노재보험, 농민직업재해보험 등), 고용보험(취업보험)이 있다. 사회복지로는 노인복지, 아동·청소년복지, 장애인복지, 중저소득 가정 복지 등이 있으며, 각 법률에 따른 복지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노인 요양 서비스는 노인복리법 및 「장기요양 10개년 계획 2.0」(요양서비스 제공체제 정비 계획)에 따라 제공된다. 공적부조 제도로는 사회구제법에 따른 제도가 있다.[212] 위생복리부와 노동부 등이 사회보장을 담당한다.[212]2022년 기준 대만 사회보장 제도 지출액(사회지출)은 2조 5,342억 신타이완달러(GDP 대비 11.2%)이며, 노령(45.4%)과 보건의료(36.4%)가 주요 지출 분야이다.[212]
대만의 고령기 소득 보장 제도는 여러 계층으로 구성된다. 제0층은 사회복지 제도로, 중저소득 노인 생활 수당 등 소득 조건에 해당하는 고령자에게 세금으로 수당을 지급한다. 제1층은 사회보험 제도로, 공적인 연금 제도(군인 보험, 공교직원 보험, 노공 보험, 농민 건강 보험, 국민연금)가 해당된다. 제2층은 법률에 근거한 퇴직금 제도이며, 군인, 공무원, 교직원, 민간 고용자 등에게 적용된다. 제3층은 개인 보장으로, 개인 민간 보험(개인연금), 저축, 가족 지원 등이 포함된다.[213]
대만의 연금 제도(공적인 연금 제도)는 고령기 소득 보장의 기초이며, 2008년 국민연금 실시로 제도적으로 전 국민 연금이 달성되었다.
대만 고령기 소득 보장 제도 | ||||||
직업 등 | 군인 | 공무원·교직원 | 고용자 | 농민 | 자영업자 등 | |
---|---|---|---|---|---|---|
제3층 | 개인 민간 보험, 개인 저축, 가족에 의한 지원 | |||||
제2층 | 군인·공무원·교직원 퇴직금 제도 | 국영 사업 퇴직금 제도 | 사립학교 교직원 퇴직금 제도 | 근로자 퇴직금 제도 (DC)(신) | 농민 퇴직 저축 | - |
제1층 | 군인 보험 (DB) | 공교직원 보험 (DB) | 노공 보험 (DB/연금) | 농민 건강 보험 | 국민연금보험 | |
제0층 | 퇴역 군인 급여, 중저소득 노인 생활 수당, 노년 기본 보장 연금, 원주민 급여, '노년 농민 복지 수당' | |||||
주: DB는 확정급여, DC는 확정기여 제도를 가리킨다. |
9. 문화
대만 주민의 대부분의 문화적 기반은 한족 문화이다. 하지만 그 내용은 풍부하며, 하카계 주민은 복건성 남부 계통의 하카 문화에, 객가계는 객가 문화에, 외성인은 출신 성의 각각 문화에 속하며, 최근에는 혼인 등에 의해 상호 영향이나 융합이 깊어지고 있다. 원주민은 말레이-인도네시아 문화에 속하지만, 이 또한 한족 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대만의 어떤 문화에서든 두드러지는 현상으로, 전통적인 요소가 짙게 남아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사회주의화에 따른 문화 표현의 규제, 탄압으로 중국 대륙에서는 사라져 간 한족의 전통 민속이 오늘날까지 많이 남아 있는 것 외에도, 타오족을 비롯한 각 원주민에서도 민족 고유의 문화가 보존·계승되고 있다.
한족 사이에서는 각 출신의 공통 개념으로 가족이 사회 조직의 중요한 사회 단위가 되고 있으며, 조상숭배 등의 전통 가정 행사가 현재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24절기를 기반으로 한 설날이나, 청명절(단, 객가인의 일부는 지내지 않는다), 추석 등의 계절 행사도 매년 성대하게 거행된다. 이 외에도 출신 지역별 전통 문화가 존재하며, 예를 들면 복건 계통의 전통 문화로는 포대희(인형극)나 고자희(대만 오페라, 거아희) 등이 있다. 또한 외성인계 이민이 대만에 준 문화로는 중화민국 정부의 이데올로기적 영향이나 중국 각지의 요리 등을 들 수 있다.
중국 이외의 외래 문화로는 일본과 미국의 영향이 크다. 일본의 경우 과거 일본의 통치를 받았기 때문에 온천, 엔카, 청주, 벤토, 오뎅, 무사도 등의 전통적인 일본 문화가 남아 있는 것 외에, 전후의 일대 관계 속에서 새롭게 유입된 가라오케, J-POP, 만화,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패션도 대만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일본 문화에 경도하는 대만 청년층을 특히 하일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한 옛날부터 일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많이 방송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 연예인의 인지도가 높다. 대만인의 홋카이도에 대한 동경은 강하며, 2022년 8월에 실시된 조사에서는 대만인이 가장 가고 싶은 일본 도도부현 중에서 2위인 도쿄를 제치고 홋카이도가 1위가 되었다.[243]
9. 1. 종교
대만에서는 정교분리를 기본으로 하며, 중화민국 헌법(제2장 제13조)에 의해 종교 신앙의 자유가 보장되므로, 국내에서는 여러 종류의 종교가 자유롭게 존재하며 포교되고 있다.
내무부는 봉사활동 등을 하고 있는 종교 단체를 종교공익상(宗教公益獎)으로 표창하고 있다. 이 표창은 적어도 2001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88][189]
대만의 종교는 도교·기독교·불교가 특히 성행하며, 사람들은 오늘날에도 종교와 깊이 맺어져 있다. 도교는 두 가지 주요 계통 중 정일교(천사도)의 계보를 잇는다. 기독교는 프로테스탄트가 다수파이며, 그중에서도 대만기독장로교회가 가장 많은 신도를 가진 교파이다. 불교는 1980년대부터 신도 수가 급증했으며, 그중에서도 불광산(佛光山)·자제(慈濟)·법고산(法鼓山)·중대선사(中台禪寺)·영취산(靈鷲山)의 '''대만 불교 오좌산(台灣佛教五座山)'''의 여러 교파가 성행하고 있다.
종교명 | 신도 수 | 종교 시설 수 | 성직자 수 |
---|---|---|---|
도교 | 799,422 | 9,527 | - |
신교(프로테스탄트) | 384,576 | 2,517 | 4,362 |
천주교(가톨릭) | 177,641 | 710 | 1,785 |
불교 | 148,715 | 2,345 | - |
일관도 | 15,682 | 222 | - |
이슬람교 | 5,952 | 4 | 21 |
바하이(巴哈尹)교 | 2,265 | 2 | 12 |
천리교 | 1,659 | 23 | 80 |
사이언톨로지 | 1,000 | 1 | 30 |
유교 | 790 | 14 | - |
헌원교(軒轅教) | 307 | 8 | - |
미륵대도(彌勒大道) | 318 | 4 | - |
천덕교(天德教) | 185 | 5 | - |
리교(理教) | 148 | 6 | - |
진광교(真光教) | 100 | 1 | 1 |
황중(黃中) | 39 | 1 | - |
천제교(天帝教) | 33 | 1 | - |
(기타) | 957 | ≥ 6 | ≥ 15 |
정부 통계에서 공식적으로 분류되는 주요 종교는 도교, 기독교(프로테스탄트), 천주교(가톨릭), 불교, 일관도, 회교(이슬람교), 바하이(巴哈尹)교, 천리교, 리교(理教), 헌원교(軒轅教) 등이 있다. 일관도는 청나라에서 창설된 종교로, 명명상제(明明上帝)를 주신으로 한다. 회교(이슬람교)는 대만에 말레이시아를 경유하여 일본 통치 이전에 전래되었으며, 후에 중국의 회족도 중화민국 정부와 함께 건너왔다. 바하이(巴哈尹)교는 1961년에 대만에 전래되었으며, 1991년 이전에는 대동교(大同教)라고 불렸다. 천리교는 1896년에 일본에서 전래되었다. 리교(理教)는 명나라에서 창설된 종교로, 관세음보살을 본존으로 한다. 헌원교(軒轅教)는 1951년에 대만에서 창설된 도교 계열의 종교로, 타이베이시(台北市)에 총본부가 있다.
기본적으로 1950년부터 1970년의 20년간에 종교는 경제에 의해 성장했지만, 정치에 의해 억압되고 사회의 수동적인 입장에 있었다.[190]
9. 2. 음식
대만 요리는 복건 요리가 혼합된 것이 전통적으로 만들어져 왔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양식의 요리를 "대만 요리(台菜)"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복건성 출신 개척민과 같은 시기에 대만으로 건너온 광동성 북부 출신 객가 사람들과 호서 지방 출신자들의 요리도 오늘날 대만 요리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약 50년간 지속된 일본의 대만 통치 시대 일본 문화의 영향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중화민국 정부의 타이베이 천도에 따라 중국 각지에서 온 사람들의 영향을 받은 점 등이 현재 다양한 대만 요리의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재료로는 카라스미와 신죽 지방의 쌀가루(비훈), 그리고 요리로는 타이난 지방의 담자면 등이 유명하며, 대만 차라고 총칭되는 독자적인 차 문화도 존재한다.대만 요리를 제공하는 음식점은 본격적인 매장을 갖춘 고급 요릿집뿐만 아니라, 야시장 등에서 판매되는 포장마차가 친숙한 존재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러한 포장마차를 찾아 여러 나라에서 관광객들이 방문할 정도이다.
불교, 도교, 일관도의 "살생 금지" 계율로 인해 인구의 약 10%가 베지테리언, 비건으로 알려져 있다. 1990년대 이후 동남아시아 이민자 증가로 인해 출신국의 요리도 퍼지고 있다.
9. 3. 문학
대만 문학은 오랜 기간 지속된 정치적, 지리적 제약으로 인해 중국 문학의 지류 또는 변방 문학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발전에는 큰 제약이 존재했다. 또한 외부 지배자에 의한 광의의 식민지였기에 일관된 서사 체계가 확립되지 못했다. 그러한 상황에서 원주민의 구비 문학, 중국 고문, 백화문, 일본어, 대만어 등 다양한 언어를 기반으로 한 대만 문학이 성립하게 되었다.이처럼 다양한 언어가 만들어내는 의식 형태, 성적 모순, 식민지 문화 등의 충돌은 대만 문학을 근본적으로 정의하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어냈다.
대만의 문학은 일제강점기의 신문학, 반공 문학 및 모더니즘 문학을 그 기원으로 하며, 1970년대 이후 향수, 향토, 정치, 여성 문학이 등장했고, 2000년대에 더욱 새로운 형태가 등장하여 대만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 외에도 勵志文學(예: 자기계발 문학)이나 인터넷 문학 등이 다원화의 흐름에 맞춰 발전하고, 상호 경쟁을 거듭하면서 새로운 매체를 통해 소개되어 새로운 대만 문학의 한 면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 영상 매체의 위협에 직면하고 있지만, 대만 문학은 기존의 양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양식을 창출하며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포르노 소설의 출판은 여고생에게 독서의 계몽을 주었다는 출판사도 있을 정도로 포르노 소설은 대만 문학계에서 유행했다.[246] 포르노 소설을 읽도록 지정하는 가톨릭 여학교도 있었다.[246]
9. 4. 스포츠
대만은 정치적 문제로 인해 올림픽 등의 국제 대회에는 일반적으로 '''중화 타이베이'''로 참가한다. 대만은 경제 수준에 비해 스포츠 수준이 높지 않아 국제 무대에서 활약하는 대만 선수는 눈에 띄지 않았으나, 2004년 아테네 올림픽 태권도 종목에서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만 선수단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은 2021년 도쿄 올림픽의 12개이며,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종목은 역도의 10개이다. 하지만 동계 올림픽에서는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대만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로는 프로 리그가 있는 농구와 야구가 있으며, 최근에는 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대만은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미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농구는 인기 스포츠 중 하나이다. P. LEAGUE+, T1 리그 등 여러 프로 농구 리그가 존재하며, 대표팀은 올림픽과 월드컵에 출전한 경험이 있다.
대만에서는 배구 또한 국내 리그가 설립되는 등 발전 추세를 보이고 있다. 차이니스 타이베이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2006년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일본 대표팀을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었으며,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만은 일본 통치 시대였던 1906년에 이미 최초의 야구팀을 가지고 있었다. 1931년 제17회 대회에서 일본인과 한인, 대만 원주민 혼성팀으로 출전한 가의농림(현 가의대학)이 준우승을 차지한 에피소드는 2014년 영화 ‘KANO 1931海の向こうの甲子園’으로 제작되었다. 오창정은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968년에는 가 일본에서 온 올스타 리틀리그 팀을 꺾고 대만에 “리틀리그 야구 붐”을 일으켰다. 곽원치·곽태원·장승웅의 “이곽일장”이 활약하며 CPBL 출범에 대한 여론을 높였다. 진금봉은 대만 최초의 메이저리거이며, 왕건민과 진위인이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했다. 대표팀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에는 2013년 제3회에서 2차 라운드에 진출했다. 2024 WBSC 프리미어12에서 주요 국제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한편, 대만에서의 프로야구 인기는 1990년대 후반에 발생한 '''승부조작 문제'''를 계기로 침체되었다.
참조
[1]
문서
null
[2]
웹사이트
Tourism Bureau, Republic of China (Taiwan)-人文風情
https://jp.taiwan.ne[...]
2008-04-02
[3]
웹사이트
【台湾人とは?】多民族国家台湾!?日本や韓国とは全く違う国だった!
https://yojiyanagisa[...]
2020-03-20
[4]
웹사이트
傲慢な中国に教えてあげたい台湾の「民族の歴史」
https://diamond.jp/a[...]
2022-03-05
[5]
웹사이트
六都變九都?台灣直轄市將比中國多,「富都窮縣」再現 {{!}} 遠見雜誌
https://www.gvm.com.[...]
2021-12-22
[6]
웹사이트
六都中誰最不像直轄市?網一致點名這縣市:精華區少、不夠都市化-風傳媒
https://www.storm.mg[...]
2022-11-21
[7]
웹사이트
世界の外貨準備高 国別ランキング・推移
https://www.globalno[...]
2023-04-24
[8]
웹사이트
台湾、5月末の外貨準備高は世界4位
https://jp.taiwantod[...]
2012-06-06
[9]
웹사이트
台湾 {{!}} 外貨準備 {{!}} 1969 – 2023 {{!}} 経済指標 {{!}} CEIC
https://www.ceicdata[...]
2023-06-25
[10]
웹사이트
豊かさで日本を超える台湾経済の強さと課題【近藤伸二の一筆入魂】
https://japan.thenew[...]
2023-07-17
[11]
웹사이트
1人当たりGDP、日台・日韓で逆転へ 日経センター予測
https://www.nikkei.c[...]
2022-12-14
[12]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2
https://www.imf.org/[...]
2022-10-17
[13]
웹사이트
台湾が基本給で日本や韓国に追いつけない現状1人当たりのGDPは両国に追いつきつつあるが…
https://japan.thenew[...]
2022-04-08
[14]
논문
Emotions of Simplified and Traditional Chinese Typeface
https://www.jstage.j[...]
2020-01-01
[15]
웹사이트
Number of Villages, Neighborhoods, Households and Resident Population
http://sowf.moi.gov.[...]
MOI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02-02
[16]
웹사이트
Siraya - WordSense Dictionary
https://www.wordsens[...]
2023-08-04
[17]
문서
null
[18]
문서
null
[19]
문서
null
[20]
문서
null
[21]
서적
ラメイ島原住民族討滅の記 -蘭領台湾時代の悲劇-
汲古書院
2007-01-01
[22]
웹사이트
月イチ連載「山本一郎の#台湾の件」第2回:長崎平戸に生まれた鄭成功と明清交代に見る台湾史への憧憬
https://japan.thenew[...]
2022-05-12
[23]
웹사이트
日本統治時代の建築物
https://www.nikomaru[...]
2023-07-13
[24]
웹사이트
台湾の「日本式建築」に魅せられて:日本統治時代・レトロ建築の「伝道師」渡邉義孝さん
https://www.nippon.c[...]
2020-07-12
[25]
웹사이트
日本統治時代の痕跡を訪ねて 台湾の建築と歴史に触れる旅
https://kids.ohbsn.c[...]
2023-07-13
[26]
웹사이트
台灣光復是謊言.事實真相在眼前
http://www.ssfpp.tw/[...]
2023-10-19
[27]
웹사이트
是台灣光復節,還是國民政府佔領日?揭「10月25日」背後的歷史爭議,身為台灣人一定要知道-風傳媒
https://www.storm.mg[...]
2021-10-24
[28]
웹사이트
三、 台灣「光復」
https://www.phys.sin[...]
2023-10-19
[29]
뉴스
台灣「外省人」的身世與「國家」認同
https://www.bbc.com/[...]
2023-10-19
[30]
웹사이트
吳鈞堯專文:台澎金馬共同聽潮-風傳媒
https://www.storm.mg[...]
2022-11-19
[31]
웹사이트
侯友宜:出來選舉 是為守護台澎金馬
https://udn.com/news[...]
2023-10-19
[32]
웹사이트
再談中華民國 侯友宜:現況就是「台澎金馬」
https://tw.news.yaho[...]
2023-05-09
[33]
웹사이트
小檔案/聯合國2758號決議是什麼?為何「跟台灣無關」
https://tw.news.yaho[...]
2023-08-29
[34]
웹사이트
自由開講》肯定外交部對聯合國2758號決議的正面行動 - 自由評論網
https://talk.ltn.com[...]
2023-09-01
[35]
웹사이트
《聯合國大會第2758號決議》50周年:直到今天,「蔣介石的代表」其實還沒完全退出聯合國?
https://www.thenewsl[...]
2021-10-26
[36]
웹사이트
踩中共紅線? 《台灣政策法》觸及2758號決議
https://www.mnews.tw[...]
2022-09-15
[37]
뉴스
海納百川》不要一再炒作聯合國2758號決議文(魯泰文)
https://www.chinatim[...]
中國時報新聞
2021-10-26
[38]
웹사이트
台灣新民調:台灣身份認同再攀升
https://www.rfi.fr/t[...]
2021-08-11
[39]
웹사이트
Chapter XIII. Fundamental National Policies
http://english.presi[...]
Office of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China
2011-05-02
[40]
웹사이트
7成7自認是台灣人 游盈隆:統攝性的單一民族認同 - 政治 - 自由時報電子報
https://news.ltn.com[...]
2021-08-11
[41]
뉴스
台灣民意調查顯示: 台灣人認同創新高 但維持現狀仍是主流民意
https://www.bbc.com/[...]
[42]
웹사이트
台灣民意基金會民調》台灣人認同跌、中國認同緩升!游盈隆驚:不尋常起伏-風傳媒
https://www.storm.mg[...]
2021-08-11
[43]
웹사이트
最新民調/台灣人民族認同:自認台灣人78% 自認中國人竟增2.4%
https://tw.news.yaho[...]
2023-03-21
[44]
웹사이트
劉性仁 {{!}} 台灣親美究竟親的是甚麼? {{!}} 國家政策研究基金會 {{!}} 公共政策的理性思辯與對話平台!
https://www.npf.org.[...]
[45]
웹사이트
觀點投書:「親美仇中」豈可殃及無辜百姓?-風傳媒
https://www.storm.mg[...]
2022-08-10
[46]
웹사이트
Re: [討論] 賴清德與日本的關係非常好
https://ptt.reviews/[...]
2023-07-07
[47]
웹사이트
洪秀柱指投蔡英文是「817萬不用腦筋的人」 劉仕傑批:國民黨永遠不會讓中共失望
https://tw.news.yaho[...]
2022-03-11
[48]
웹사이트
要聞解說 - 台灣究竟“親美友中”或“親美仇中”,將影響未來兩岸關係的互動
https://www.rfi.fr/t[...]
2019-10-10
[49]
웹사이트
莊淇銘未來事件簿》仇中、親美、賣台,就是出賣台灣的年輕人 - umedia 優傳媒
https://umedia.world[...]
[50]
웹사이트
深藍與國民黨的戰爭(上):反日反美的表象下,隱含讓國民黨成為「中共應聲蟲」的願望
https://www.thenewsl[...]
2022-07-19
[51]
웹사이트
社論》「親中」為何令人「噁心」? - 自由評論網
https://talk.ltn.com[...]
2017-06-12
[52]
웹사이트
許劍虹觀點:中國國民黨「疑美論」的歷史淵源-風傳媒
https://www.storm.mg[...]
2022-03-20
[53]
웹사이트
親美或親中:台灣的突變
https://newcongress.[...]
2021-04-25
[54]
웹사이트
民報 Taiwan People News {{!}} 【專文】「台獨」沒有務實不務實的問題
https://www.peoplene[...]
[55]
웹사이트
苦苓/這樣一大兩小的政黨政治不健康 {{!}} 雲論 {{!}} ETtoday新聞雲
https://forum.ettoda[...]
2022-02-24
[56]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GDP (PPP)
https://www.cia.gov/[...]
[57]
뉴스
Taiwan needs to boost public awareness on climate change: EU envoy
http://www.chinapost[...]
2009-06-17
[58]
논문
The Quality of Life in Taiwan
2008-10-06
[59]
간행물
2010中華民國人類發展指數 (HDI)
http://www.dgbas.gov[...]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Executive Yuan, R.O.C.
[60]
보고서
Freedom in the World 2022 The Global Expansion of Authoritarian Rule
https://freedomhouse[...]
2022-02-25
[61]
뉴스
台湾の自由度、アジア2位 日本に次ぐ高評価=米人権団体
https://japan.focust[...]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2-02-25
[62]
뉴스
「人間の自由度ランキング」 台湾14位 アジア最高位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3-02-01
[63]
웹사이트
https://www.eiu.com/[...]
[64]
뉴스
台湾は世界10位=民主主義指数 アジア最高位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2-16
[65]
웹사이트
世界で最も裕福な国 トップ29
https://www.business[...]
BUSINESS INSIDER JAPAN
2018-05-24
[66]
간행물
国情統計通報(第 195 号)
https://www.dgbas.go[...]
行政院主計総処
2022-10-14
[67]
뉴스
台湾、「生活の豊かさ」で世界19位=国連報告に基づき独自算出
https://japan.focust[...]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2-10-17
[68]
뉴스
ジェンダー平等、台湾はアジア首位 世界で8位=行政院
https://headlines.ya[...]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9-02-18
[69]
웹사이트
Expat Insider 2022: Of Sun, Safety, Sports & More: The Quality of Life Index
https://www.internat[...]
[70]
보고서
Quality of Life Index 2022
https://www.internat[...]
InterNations
2023-11-02
[71]
보고서
World Happiness Report 2018
http://worldhappines[...]
The United Nations(U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SDSN), The Global Happiness Council (GHC)
2018-03-14
[72]
문서
尖閣諸島は日本が実効支配しているが、中華民国政府も「釣魚台列嶼」という名称で領有権を主張している。
[73]
뉴스
【日々是世界 国際情勢分析】「地位未定」発言で日台膠着状態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09-07-28
[74]
뉴스
「台湾独立」反対を強調…中国で政協が開幕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19-09-26
[75]
웹사이트
李登輝が「台湾独立」を明言しないワケ
https://wedge.ismedi[...]
2019-09-26
[76]
웹사이트
Taiwan, Sverige och synen på ”ett-Kina-politiken”
https://kinacentrum.[...]
2024-01-14
[77]
웹사이트
Taiwan seen more favorably than not across 24 countries
https://www.pewresea[...]
2023-10-22
[78]
웹사이트
Americans are increasingly worried about China-Taiwan tensions
https://www.pewresea[...]
2023-10-25
[79]
웹사이트
大家谈中国:大陆百姓看台湾
https://www.bbc.com/[...]
2014-12-03
[80]
웹사이트
TAIWAN: Counties and Cities
https://www.citypopu[...]
2024-02-23
[81]
간행물
112年第4季経済成長率概估統計saar為8.79%,yoy為5.12%
https://www.dgbas.go[...]
行政院主計総処
2024-01-31
[82]
보고서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https://www.imf.org/[...]
IMF
2024-02-09
[83]
웹사이트
内閣府による県民経済計算
https://www.esri.cao[...]
内閣府
[84]
뉴스
豊かなアジア、1人当たりGDPで日本猛追 台湾、購買力平価ベースで日本抜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0-09-05
[8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s://www.imf.org/[...]
2023-08-03
[86]
간행물
国民所得統計及国内経済情勢展望
https://www.stat.gov[...]
行政院主計総処
2022-02-24
[87]
보고서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4
https://www.imf.org/[...]
IMF
2024-04-20
[88]
보고서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1
https://www.imf.org/[...]
IMF
2021-12-04
[89]
보고서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1
https://www.imf.org/[...]
IMF
2021-12-06
[90]
보고서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6–2017
https://www.weforum.[...]
World Economic Forum
2016-09-28
[91]
보고서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16
https://www.imd.org/[...]
IMD
2016-07
[92]
보고서
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Ranking 2021
https://www.imd.org/[...]
IMD
2021-09
[93]
뉴스
台湾のデジタル競争力、世界8位 初のトップ10入り
https://japan.focust[...]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1-09-30
[94]
뉴스
台湾、脱原発法を可決 アジアで初、2025年廃炉 再生エネ拡大へ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7-01-11
[95]
뉴스
台湾:「脱原発法」成立 「25年までに全て停止」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7-01-11
[96]
뉴스
台湾、風力発電普及に本腰 2025年までに4.2ギガワットへ
http://japan.cna.com[...]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7-06-02
[97]
뉴스
マイクロソフト、台湾にAIの研究施設設置 世界大手による投資相次ぐ
https://headlines.ya[...]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8-01-11
[98]
뉴스
グーグル、HTCの「Pixel」開発チーム買収を完了
https://japan.cnet.c[...]
CNET Japan
2018-01-31
[99]
뉴스
AI人材の宝庫、台湾 米企業がエンジニア争奪戦
https://forbesjapan.[...]
Forbes JAPAN
2018-04-08
[100]
뉴스
AI開発の新拠点・台湾 米大手の取り組みで急浮上
https://headlines.ya[...]
Impress Watch
2018-04-16
[101]
뉴스
NVIDIAと台湾の科学技術省が提携、AI研究を加速
https://iotnews.jp/a[...]
IoT NEWS
2018-06-06
[102]
뉴스
【台湾】クアルコム、台湾に研究拠点2カ所設立へ
https://headlines.ya[...]
NNA
2018-09-28
[103]
뉴스
【台湾】米クアルコム、竹科でCOMET着工
https://headlines.ya[...]
NNA
2019-07-01
[104]
뉴스
【台湾】米シスコ、新北にア太初のソフト開発拠点
https://www.nna.jp/n[...]
NNA
2021-01-15
[105]
뉴스
再送-米シスコ、台湾にサイバーセキュリティーセンター設立へ
https://news.yahoo.c[...]
REUTERS ロイター
2024-06-18
[106]
뉴스
エヌビディア、台湾に大規模デザインセンター設立へ エンジニア1千人以上雇用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6-04
[107]
뉴스
Amazon、台湾に数十億ドル投資 クラウド需要に対応
https://news.yahoo.c[...]
JBpress
2024-06-21
[108]
웹사이트
独インフィニオンが台湾にR&Dセンター設立、車載/無線通信用半導体の研究・開発へ
https://investtaiwan[...]
2024-06-18
[109]
뉴스
独光学機器大手カールツァイス、新竹に拠点開所 今後10年で台湾に約490億円投資へ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6-19
[110]
뉴스
AMD to set up R&D center in Taiwan
https://focustaiwan.[...]
Focus Taiwan
2024-07-27
[111]
뉴스
【台湾】AMDは亜洲新湾区に研究拠点設置、高雄市長
https://news.yahoo.c[...]
NNA
2024-08-26
[112]
뉴스
世界の競争力 台湾は6位 12年以降で最高位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3-06-20
[113]
웹사이트
Index of Economic Freedom
https://www.heritage[...]
2024-02-28
[114]
뉴스
台湾の経済自由度、2年連続で4位 過去最高タイ=米シンクタンク
https://japan.focust[...]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2-28
[115]
뉴스
2018年版「ビジネスに最適な国」評価、英国が初の首位 日本は21位
https://forbesjapan.[...]
Forbes JAPAN
2017-12-27
[116]
웹사이트
台湾 TPPへの加入を申請 中国側の反発も予想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2-02-20
[117]
웹사이트
台湾のTPP加入を淡々と進めよう
https://cigs.canon/a[...]
2022-02-20
[118]
웹사이트
台湾と米国、新たな貿易協議の枠組み「21世紀の貿易に関するイニシアチブ」を発足
https://www.taiwanem[...]
2022-06-02
[119]
웹사이트
米USTR、米台貿易イニシアチブの第1段階合意を発表
https://www.jetro.go[...]
2023-05-22
[120]
뉴스
台湾と米国 貿易イニシアチブ第2段階巡り会合 農業や環境保護などで意見交換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5-04
[121]
뉴스
台湾と英国、強化版貿易パートナー協定締結
https://www.nna.jp/n[...]
NNA ASIA
2023-11-10
[122]
웹사이트
台湾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2-02-20
[123]
웹사이트
112年全年工業及服務業受雇員工人数平均為817萬8千人,全年毎人毎月総薪資平均為58,545元
https://www.dgbas.go[...]
2024-02-19
[124]
웹사이트
薪情平台 - 毎人毎月総薪資 - 工業及服務業 - 性別 - 統計値 & 較上年同期増減率
https://earnings.dgb[...]
2024-02-19
[125]
웹사이트
113年2月底工業及服務業受雇員工人数為842萬4千人,全年毎人毎月総薪資平均為81,576元
https://www.dgbas.go[...]
2024-04-12
[126]
뉴스
工業・サービス業のボーナス、月給の1.69カ月分 過去9年間で最高水準/台湾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4-17
[127]
웹사이트
毎月勤労統計調査地方調査 令和5年平均分結果概要
https://www.mhlw.go.[...]
2024-07-02
[128]
웹사이트
112年事業人力雇用狀況調査(員工報酬及進退等概況)統計結果
https://www.dgbas.go[...]
2024-09-27
[129]
웹사이트
112年工業及服務業受雇員工全年総薪資中位数及分布統計結果
https://www.dgbas.go[...]
2024-11-27
[130]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https://www.imf.org/[...]
2024-02-19
[131]
웹사이트
表1 福祉衡量指標統計表
https://ws.dgbas.gov[...]
2024-05-31
[132]
웹사이트
Average wages
https://data.oecd.or[...]
[133]
웹사이트
Average annual wages
https://doi.org/10.1[...]
[134]
웹사이트
112年初任人員薪資統計結果
https://www.mol.gov.[...]
2024-04-30
[135]
뉴스
台湾、大学新卒者の月給平均約16万円 前年比3.9%増=労働部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5-02
[136]
웹사이트
112年7月職類別薪資調査統計結果
https://www.mol.gov.[...]
2024-05-30
[137]
뉴스
パイロットの月給152万円超 労働部の職種別給与調査/台湾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6-01
[138]
웹사이트
統計表一覧 政府統計の総合窓口 賃金構造基本統計調査 令和5年賃金構造基本統計調査 - 一般労働者 - 職種
https://www.e-stat.g[...]
2024-06-06
[139]
웹사이트
112年人力運用調査統計結果
https://www.dgbas.go[...]
2023-11-23
[140]
웹사이트
113年人力運用調査統計結果
https://www.dgbas.go[...]
2024-11-28
[141]
뉴스
112年家庭收支調査新聞稿
https://www.dgbas.go[...]
行政院主計総処
2024-08-16
[142]
웹사이트
111年家庭收支調査報告
https://ws.dgbas.gov[...]
行政院主計総処
2023-08-21
[143]
뉴스
112年家庭收支調査報告
https://www.stat.gov[...]
行政院主計総処
2024-08-16
[144]
웹사이트
2023(令和5)年 国民生活基礎調査の概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4-07-05
[145]
웹사이트
台北市家庭收支訪問調査報告
https://dbas.gov.tai[...]
台北市政府主計処
2020-10-01
[146]
웹사이트
2019年 全国家計構造調査 所得に関する結果及び家計資産・負債に関する結果
https://www.stat.go.[...]
総務省統計局
2021-05-18
[147]
웹사이트
統計表一覧 政府統計の総合窓口 2019年全国家計構造調査 全国 - 年間収入・資産分布等に関する結果[分布指標] - 1世帯当たり年間収入額 - 7-73 全国・都市階級・地方・4大都市圏・都道府県,所得構成(44区分)別1世帯当たり年間収入額-全国・都市階級・地方・4大都市圏・都道府県
https://www.e-stat.g[...]
総務省統計局
2021-08-31
[148]
웹사이트
Allianz Global Wealth Report 2024 : Surprising relief
https://www.allianz-[...]
Allianz SE
2024-09-24
[149]
웹사이트
グローバル・ウェルス・レポート 2015
https://www.credit-s[...]
Credit Suisse
2015-10-01
[150]
웹사이트
Global Wealth Report 2024
https://www.ubs.com/[...]
2024-07-11
[151]
뉴스
フォーブス「台湾長者番付」2024年版、AIサーバー大手の創業者が1位に
https://forbesjapan.[...]
Forbes JAPAN
2024-05-30
[152]
뉴스
フォーブス「日本長者番付」2024年版、33歳のビリオネアが初のランク入り
https://forbesjapan.[...]
Forbes JAPAN
2024-05-29
[153]
웹사이트
三三会のあらましについて
http://www.sansanfe.[...]
2018-12-01
[154]
뉴스
日台企業の橋渡し役に みずほ銀 台湾経済団体と連携
https://www.nikkan.c[...]
日刊工業新聞
2018-11-07
[155]
뉴스
大商、台湾経済団体と覚書 企業連携・相互進出促す
https://www.nikkan.c[...]
日刊工業新聞
2016-03-23
[156]
뉴스
台湾TSMCが過去最高の決算、世界9番目の「1兆ドル企業」に
https://forbesjapan.[...]
Forbes JAPAN
2024-10-18
[157]
웹사이트
Goodinfo!台灣股市資訊網
http://goodinfo.tw/S[...]
[158]
뉴스
富士通、三重の半導体製造子会社を台湾メーカーに売却
https://headlines.ya[...]
産経新聞
2018-06-29
[159]
뉴스
UMC、三重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の株式100%取得で合意
http://www.fujitsu.c[...]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2018-06-29
[160]
뉴스
定額定期券「TPASS」、北部・中部・南部で7月1日より実施
https://jp.taiwantod[...]
中華民国(台湾)外交部
2023-06-09
[161]
뉴스
政府推進の定期券「TPASS」、導入から間もなく1年 延べ600万人超が購入/台湾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4-25
[162]
웹사이트
国情統計通報(第 030 号)
https://www.dgbas.go[...]
行政院主計総処
2020-02-18
[163]
뉴스
台湾・桃園空港、世界ランクで15位に選出 入国審査部門では1位
https://headlines.ya[...]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8-03-23
[164]
뉴스
桃園空港 国際線旅客数や貨物取扱量が世界トップ10入り/台湾
https://headlines.ya[...]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8-04-11
[165]
뉴스
17年の運航便数、香港-台北が最多 国内線は金浦-済州、羽田路線も 英OAG
https://headlines.ya[...]
Aviation Wire
2018-01-16
[166]
웹사이트
On-time performance for airlines and airports and Top 20 busiest routes(Based on full year data 2017)
https://www.oag.com/[...]
英OAG
2018-01-01
[167]
서적
臺灣血統
前衛出版社
[168]
웹사이트
台湾人の平均寿命81.3歳 過去最高を更新
https://japan.focust[...]
フォーカス台湾
2021-08-06
[169]
웹사이트
台湾、高齢社会に突入 7人に1人が65歳以上
http://japan.cna.com[...]
フォーカス台湾
2020-05-07
[170]
웹사이트
総統選まで1カ月 台湾の未来(3) 格差拡大・少子化が進行
https://www.nikkei.c[...]
日経新聞
2024-03-05
[171]
웹사이트
台湾の人口、初めて減少 2020年に出生数急落
https://www.afpbb.co[...]
AFP
2021-01-10
[172]
웹사이트
50年に人口2000万人割れへ 少子高齢化で、30年代に急加速
https://www.nna.jp/n[...]
NNA
2020-03-04
[173]
웹사이트
外僑居留人數統計表10912
https://www.immigrat[...]
2024-03-05
[174]
웹사이트
台湾:外国人労働者の受入れを拡大
https://www.jil.go.j[...]
独立行政法人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2024-03-05
[175]
논문
グローバル化時代の台湾における日本人コミュニティの変容
日中社会学会
2013-12-01
[176]
뉴스
台湾で働く「外国専門人材」約4万9千人に増加 マレーシア籍が日本抜き最多に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5-05
[177]
웹사이트
台湾移民署
https://web.archive.[...]
2008-12-24
[178]
뉴스
Taiwanese / Chinese Identity(1992/06~2020/06)
https://esc.nccu.edu[...]
国立政治大学
2020-07-03
[179]
웹사이트
臺灣民眾臺灣人/中國人認同趨勢分佈(1992年06月~2022年12月)
https://esc.nccu.edu[...]
2023-03-10
[180]
뉴스
台湾が感動した安倍総理の友人発言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3-05
[181]
뉴스
台湾が感動した安倍総理の友人発言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3-05
[182]
뉴스
「私は台湾人」急増、20代は8割 薄れゆく中国人意識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08-22
[183]
웹사이트
中華民国旅券の氏名アルファベット表記、ビン南・客家・先住民語も使用可に
https://www.excite.c[...]
2019-09-11
[184]
웹사이트
共通語は北京語、台湾の複雑な言語事情
https://www.afpbb.co[...]
AFP
2022-07-11
[185]
서적
台湾の言葉について
情報センター出版局
2004
[186]
서적
絶滅していく言語を救うために —ことばの死とその再生—
白水社
2004
[187]
논문
Emotional Responses to Chinese Characters: Exploration for Simplified, Traditional Chinese and Japanese Typefaces
[188]
웹사이트
公告內政部「110年宗教團體表揚大會之績優宗教團體遴選」資訊
https://www.ipb.ntpc[...]
2022-07-17
[189]
웹사이트
統一教獲頒十年績優宗教~ 行政院獎 2011/9/5
https://web.archive.[...]
統一教会台湾連盟
2022-07-17
[190]
웹사이트
現代台灣宗教與社會變遷之因果關係
http://www.chibs.edu[...]
[191]
서적
現代台湾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08
[192]
웹사이트
十二年国民基本教育
http://12basic.edu.t[...]
教育部国民及学前教育署
2017-12-22
[193]
웹사이트
95%が大卒 台湾は世界有数の高学歴社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3-05
[194]
웹사이트
大專校院概況統計 111 學年度
https://stats.moe.go[...]
2024-03-05
[195]
웹사이트
Positive Peace Index {{!}} The most and least resilient countries in the world
https://www.visionof[...]
2021-12-06
[196]
웹사이트
IMD World Talent Ranking 2021
https://www.imd.org/[...]
IMD
2021-12
[197]
뉴스
世界人材ランキング、台湾は16位 発表以来最高=IMD調査/台湾
https://japan.focust[...]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1-12-09
[198]
서적
台湾の家族法
敬文堂
1991
[199]
논문
台湾の家族法の改正について
[200]
논문
中華民国戸籍法の改正(下)
[201]
웹사이트
BBC News
http://news.bbc.co.u[...]
BBC News
2003-10-28
[202]
웹사이트
taiwan moves to recognise gay marriages
http://www.fridae.co[...]
Fridae.com
2003-10-28
[203]
웹사이트
taiwan-couple-same-sex-buddhist-wedding
http://www.france24.[...]
[204]
웹사이트
http://nijipi.lgbt/n[...]
[205]
뉴스
台湾、同性婚を合法化へ アジア初 憲法法廷が判断(17/05/24)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5-24
[206]
뉴스
アジア初の同性婚法施行=結婚届け出受理始まる―台湾
https://www.jiji.com[...]
2019-05-24
[207]
웹사이트
馬総統、「2016年国際女性デー懇親茶話会」に出席
http://www.roc-taiwa[...]
台北駐日経済文化代表処
2016-03-09
[208]
웹사이트
我国106年「同酬日」為2月21日,較去年向前推進2天。
http://www.mol.gov.t[...]
中華民国労働部
2017-02-24
[209]
뉴스
台湾の企業トップ、女性比率は36% 過去最高に
http://japan.cna.com[...]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7-01-10
[210]
웹사이트
Women, Business and the Law
https://wbl.worldban[...]
World Bank Group
2019-03
[211]
뉴스
ジェンダー平等、台湾は91.25点 日本は79.38点=世銀調査
https://headlines.ya[...]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9-03-06
[212]
간행물
111年社会保障支出統計
https://www.dgbas.go[...]
行政院主計総処
2023-12-15
[213]
간행물
老年経済安全制度専刊第5期(11012)
https://ws.ndc.gov.t[...]
国家発展委員会 人力発展処
2021-12-01
[214]
웹사이트
【観光統計年報】- 歷年中華民国国民出国人数統計(1980~ )
http://admin.taiwan.[...]
中華民国交通部観光局
2018-01-03
[215]
뉴스
【台湾】19年の台湾人出境3%増、日本行きが首位
https://headlines.ya[...]
NNA
2020-02-27
[216]
웹사이트
統計データ(訪日外国人・出国日本人)
https://www.jnto.go.[...]
日本政府観光局(JNTO)
2019-03-06
[217]
뉴스
17年の台湾寄港クルーズ船客、最多114万人
https://www.nna.jp/n[...]
NNA ASIA
2018-02-28
[218]
간행물
訪日外国人消費動向調査2023年年間値(速報)及び10-12月期(1次速報)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観光庁
2024-01-17
[219]
간행물
106年7月職類別薪資調査統計結果。
https://www.mol.gov.[...]
中華民国労働部
2018-05-31
[220]
웹사이트
労働部職類別薪資調査動態査詢
https://pswst.mol.go[...]
中華民国労働部
2018-06-01
[221]
뉴스
育児手当の支給対象拡大、少子化対策強化
https://www.nna.jp/n[...]
NNA ASIA
2018-05-17
[222]
간행물
政院提出持続加速教保服務公共化等策略 改善我国少子女化問題
https://www.ey.gov.t[...]
行政院
2018-05-16
[223]
웹사이트
我国少子女化対策(2-5歳幼児教育及照顧篇)
https://www.ece.moe.[...]
全国教保資訊網
2018-09-12
[224]
간행물
蘇揆:加津貼、増名額、減負担 0–6歲国家一起養
https://www.ey.gov.t[...]
行政院
2021-02-04
[225]
간행물
持続精進少子女化對策計画 蘇揆:明年1月育兒津貼及托育補助取消排富、幼教服務人員加薪,並提供保母及托嬰設備優化補助
https://www.ey.gov.t[...]
行政院
2022-10-27
[226]
간행물
0-6歲国家一起養—讓年輕人敢婚、願生、樂養
https://www.ey.gov.t[...]
行政院
2023-10-06
[227]
뉴스
外国人人材の台湾での就労促進へ 関連法案が国会通過
http://japan.cna.com[...]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7-11-01
[228]
웹사이트
外国専業人材申辦窓口平台(外国籍専門人員申請窓口プラットフォーム)
https://coa.immigrat[...]
中華民国内政部移民署
2018-05-27
[229]
웹사이트
Contact Taiwan - 前往就業金卡申辦平台
https://www.contactt[...]
中華民国経済部
2018-05-27
[230]
웹사이트
外国人就業規制・在留許可、現地人の雇用 - 外国専業人材の雇用についてー〔外国専業人材招聘雇用法〕の制定
https://www.jetro.go[...]
JETRO ジェトロ(日本貿易振興機構)
2018-02-22
[231]
웹사이트
外国専業人才延攬及雇用法 - 2021修法(改正)
https://foreigntalen[...]
国家発展委員会
2022-02-19
[232]
간행물
JSG ニュースレター「外国籍専門人材の招聘と雇用法」の改正草案が 立法院を正式通過
https://www2.deloitt[...]
Deloitte Taiwan 勤業眾信
2021-07-01
[233]
뉴스
台湾、外国特定専門人材が1万人突破=高度人材の誘致進む
https://japan.focust[...]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3-02-01
[234]
뉴스
就業ゴールドカード、発給1万枚突破 頼総統「世界各国の人材を歓迎」/台湾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7-09
[235]
뉴스
国籍法改正案が立法院で可決 外国高級人材の帰化条件緩和 優秀な人材の誘致強化/台湾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5-07
[236]
뉴스
ハイエンド人材の永住権、最短1年で取得可能に 外国人人材誘致関連法改正案/台湾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07-20
[237]
간행물
行政院会通過「新経済移民法」草案
https://www.ey.gov.t[...]
行政院
2018-11-29
[238]
뉴스
新経済移民法が閣議決定、人手不足解消に期待
https://www.nna.jp/n[...]
NNA ASIA
2018-12-03
[239]
간행물
推動移工留才久用方案 蘇揆:確保国人就業前提下 以最短時間補充特定產業人力
https://www.ey.gov.t[...]
行政院
2022-02-17
[240]
뉴스
台湾、ミドルスキルの外国人労働者つなぎ留めへ 新制度を4月末にも施行
https://japan.focust[...]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2-02-17
[241]
웹사이트
公布統計資料
https://sewergis.nlm[...]
内政部国土管理署
2024-12-07
[242]
웹사이트
112年台湾地區雨水下水道系統規画及実施率
https://sewergis.nlm[...]
内政部国土管理署
2024-12-07
[243]
웹사이트
台湾人が今インバウンドで行きたい都道府県ランキング!2位東京、1位は?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22-10-15
[244]
웹사이트
台湾に行ったら「ベジタリアン」料理が凄すぎた - ヴィーガンではない人も満足する台湾素食
https://toyokeizai.n[...]
[245]
서적
台湾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6-08-25
[246]
웹사이트
那些年,我讀了超多垃圾
https://www.cw.com.t[...]
2018-05-21
[247]
웹사이트
台湾世界遺産候補地
http://www.wh-taiwan[...]
2015-08-30
[248]
뉴스
韓国、台湾との協力も検討 慰安婦の記憶遺産登録計画で
http://japan.cna.com[...]
中央通訊社|フォーカス台湾
2014-01-15
[249]
웹사이트
台湾SABC ニュース
http://www.taiwan-ma[...]
2014-04-23
[250]
웹사이트
Taiwan Today
http://www.taiwantod[...]
2024-09-24
[251]
서적
台灣棒球一百年
果實
2003-08
[252]
뉴스
台湾プロ野球、存続の危機 八百長・経営難…4球団に
https://megalodon.jp[...]
朝日新聞
2008-11-17
[253]
웹사이트
初の国際大会 台北市カップ国際アマボクシング大会
http://www.ima-earth[...]
十勝毎日新聞社
2013-02-24
[254]
웹사이트
FEATURE: Taiwan's soccer roots start in colonial Tainan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1-02-22
[255]
웹사이트
北朝鮮がアジア大会出場 サッカー男子1次リーグ、台湾に勝利
https://www.sanspo.c[...]
SANKEI DIGITAL INC
2023-09-19
[256]
웹사이트
親中派ニュースチャンネル、台湾が放映許可せず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1-01-10
[257]
간행물
Freedom of the Press 2017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17-04-28
[258]
간행물
CLASSEMENT MONDIAL DE LA LIBERTÉ DE LA PRESSE 2018
https://rsf.org/fr/c[...]
REPORTERS SANS FRONTIERES
2018-04-25
[259]
뉴스
報道の自由度、台湾が昨年に続きアジア首位=国境なき記者団
https://headlines.ya[...]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8-04-25
[260]
뉴스
「国境なき記者団」アジア初の事務所を台湾に開設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7-04-08
[261]
간행물
Freedom on the Net 2024 The Struggle for Trust Online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24-10-17
[262]
뉴스
インターネットの自由度、台湾は7位 アジア首位を維持 米人権団体調査
https://news.yahoo.c[...]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24-10-17
[263]
문서
최신 쾨펜-가이어의 기후 구분 지도
[264]
문서
중화민국의 역사
[265]
웹사이트
대만 법인 요약, 2021
https://premiatnc.c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중국어 대화 시끄럽다’며 관광객 폭행 30대 징역 10개월…“혐오범죄 엄벌”
8월 외환보유액 4,162억 달러…석 달 연속 증가
'케데헌' 열풍에 7월 서울 온 외국인 관광객 136만 '역대 최대'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국회자살예방포럼과 ‘국제 세미나’ 개최
흔들리는 국제질서, 한국 안보의 삼중 과제 [세상읽기]
LS전선, 1600억원 규모 대만 해상풍력 해저케이블 수주
대만계 미국인농구 스타 제러미 린 은퇴…“내 인생의 가장 어려운 결정”
중국 전승절 코앞 미국 상원 군사위원장 대만 방문
지난달 방한 외국인 관광객 23% 늘어…7개월간 1천만 명 넘어
‘대만 진출’ 정지선 “흑백요리사 시즌 2 요리사, 응원합니다”
US Treasury secretary suggests acquiring stake in shipbuilding business
한미 회담서 중국 자극 ‘전략적 유연성’ 논의 사라져…배경엔 ‘두 개의 미국’
이 대통령 “안미경중 취할 수 없어…대중 관계 잘 관리해야”
더울수록 빨리 늙는다…“2년간 폭염노출, 8~12일 더 빨리 노화”
극초음속 미사일·무인포탑 전차…중국 ‘강군몽’ 미래로 줄달음
한국 남자하키 국가대표, 아시아컵 출전 위해 인도로 출국
이 대통령, 왜 전략적 유연성을 “쉽게 동의 못 할 문제”라고 했나?
대만 孟母도 사로잡은 K 오디오콘텐츠 플랫폼
큐슈곤약: 여름꽃 사이로 가을 익는 소리 [황금비의 수목원 가드닝 다이어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