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탄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탄바이러스는 한타바이러스속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신장 증후군을 동반한 출혈열을 일으킨다. 한국 전쟁 당시 UN 평화유지군에서 3,200명의 사상자를 내면서 알려졌으며, 1976년 칼 M. 존슨과 이호왕에 의해 줄무늬 밭쥐의 폐에서 분리되었다. 등줄쥐가 한탄바이러스의 병원체이며, 쥐의 소변과 배설물에 의해 공기 중으로 전파된다. 잠복기는 2~4주이며, 증상의 심각성은 바이러스 부하량에 따라 달라진다. 한탄바이러스의 치사율은 10~12%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놈 해독이 완료된 바이러스 - 에볼라바이러스
    에볼라바이러스는 에볼라 출혈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1976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5가지 아형 중 자이르형이 가장 흔하고, 감염 시 심한 증상이 나타나며, 현재까지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고 예방을 위해 환자 격리와 백신 접종이 중요하다.
  • 한타바이러스과 - 서울바이러스
    서울바이러스는 갈색쥐를 통해 전파되는 한타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신증후군출혈열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 인간 감염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고, 야생 쥐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책이다.
  • 한탄강 - 고석정
    고석정은 한탄강 변에 위치한 정자로 신라 진평왕과 고려 충숙왕이 머물렀다는 기록과 의적 임꺽정 설화가 깃들어 있으며, 한국 전쟁 때 소실된 후 재건되어 순담 계곡과 함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한다.
  • 한탄강 -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는 한탄강 용암대지가 침식되어 형성된 현무암 협곡과 폭포로, 하식 동굴, 주상절리 등 다양한 지형과 한국 전쟁 당시 피난처로 이용된 역사적 배경을 지닌 지질학적 가치가 있는 곳이다.
한탄바이러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상위 분류오르토한타바이러스
한탄 오르토한타바이러스
학명Hantaan orthohantavirus
종 동의어
종 동의어
관련된 참고 문헌

관련 참고 문헌
한국어 정보
이름한탄바이러스
부냐바이러스과(Bunyaviridae)
한타바이러스(Hantavirus)
Hantaan Virus
아종서울바이러스(도시형)
학명 명명이호왕(1976)
발견
최초 발견한국 한탄강 유역
발견자이호왕
발견 연도1976년
질병 정보
관련 질병유행성출혈열
전파 경로들쥐의 배설물
감염 경로흡입
직접 접촉
증상발열
출혈
신부전
학술 정보
ICTV 보고서ICTV 9th Report (2011) Bunyaviridae
어원한탄강 (Hantaan, type virus isolated 강 이름)

2. 역사

한국전쟁 (1951–1953) 동안 3,000명 이상의 미국 및 한국 군인이 신부전, 출혈, 쇼크를 동반한 질병에 걸렸다.[8] 1976년 이호왕이 이 바이러스를 처음으로 분리하여 정체를 규명하기 전까지 그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2. 1. 발견

한탄바이러스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알려지게 되었는데, 당시 UN 평화유지군에서 3,200명의 사상자를 냈기 때문이다.[8] 1976년 미국 열대 바이러스학자 칼 M. 존슨과 한국 바이러스학자 이호왕을 포함한 그의 동료들이 줄무늬 밭쥐의 폐에서 한탄바이러스를 분리하기 전까지, 한국 전쟁 (1951–1953) 동안 3,000명 이상의 미국 및 한국 군인이 걸렸던 신부전, 출혈, 쇼크를 동반한 질병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2. 2. 명칭 유래

한탄바이러스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알려지게 되었는데, 당시 UN 평화유지군에서 3200명의 사상자를 냈기 때문이다.[8] 1976년 미국 열대 바이러스학자 칼 M. 존슨과 한국 바이러스학자 이호왕을 포함한 그의 동료들이 줄무늬 밭쥐의 폐에서 한탄바이러스를 분리하기 전까지 그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한국 전쟁 (1951–1953) 동안 3,000명 이상의 미국 및 한국 군인이 신부전, 출혈, 쇼크로 인해 질병에 걸렸다.

3. 병원체

등줄쥐(''Apodemus agrarius'')는 한탄 오르토한타바이러스의 병원체이다.[4]

4. 전파

한탄바이러스의 전파는 쥐의 소변과 배설물이 공기 중에 떠다니는 에어로졸 형태로 흡입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5. 증상 및 치사율

한타바이러스 유발 출혈열에서 잠복기는 감염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 2~4주 사이이다. 증상의 심각성은 바이러스 부하량에 따라 달라진다. 도브라바-베오그라드 바이러스와 같은 한탄바이러스는 10~12%의 치사율을 보인다.[5][6]

참조

[1] 논문 Hantavirus infection—haemorrhagic fever in the Balkans—potential nephrological hazards in the Kosovo war 2013-04-04
[2] 논문 Isolation of Hantaan virus, the etiologic agent of Korean hemorrhagic fever, from wild urban rats
[3] 웹사이트 ICTV 9th Report (2011) ''Bunyaviridae'' https://ictv.global/[...] 2019-01-31
[4] 논문 The Murine Model for Hantaan virus-Induced Lethal Disease Shows Two Distinct Paths in Viral Evolutionary Trajectory with or without Ribavirin Treatment 2013-07-31
[5] 논문 Hantaan Virus RNA Load in Patients Having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Correlation With Disease Severity
[6] 논문 Neurological Disease That Is Fatal in Adult with Hantaan Virus Infection
[7] 저널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2017-02-17
[8] 뉴스 한탄 바이러스를 아시나요 http://www.sisain.co[...] 시사인 2014-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