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복기는 병원체가 숙주에 침투한 후 질병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잠복기는 감염원의 특성, 숙주의 면역 상태, 감염 경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질병에 따라 잠복기 동안 전염성을 가질 수도 있다. 매개체 감염 질병에서는 고유 잠복기와 외잠복기로 구분하며, 고유 잠복기는 숙주 내에서 병원체가 발현하기까지, 외잠복기는 매개체 내에서 병원체가 잠복 준비를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잠복기는 질병의 예방 및 관리, 특히 격리 정책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학 (의학) - 사망률
사망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사망자 수를 인구 집단 크기로 나눈 비율로, 인구 집단의 건강 상태와 사회 경제적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역학 연구, 세계 보건 동향 분석 등에 활용된다. - 역학 (의학) - 감염
감염은 병원체가 숙주 체내에 침입하여 증식하는 현상으로, 점막이나 상처를 통해 집락화하며, 면역이 약화된 숙주는 기회 감염에 취약하고, 전염병, 유행, 팬데믹, 엔데믹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감염 사슬을 이해하고 차단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하다. - 감염병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감염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 잠복기 | |
|---|---|
| 기본 정보 | |
| 정의 | 감염과 질병 증상 발현 사이의 시간 간격 |
| 관련 질병 | C형 간염 |
| 의학적 정보 | |
| 설명 | 감염 후 질병의 징후나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 |
| 기간 | 질병에 따라 다름 |
| 예시 | C형 간염의 경우 평균 6~7주 (최소 2주, 최대 6개월) |
| 추가 정보 | |
| 관련 용어 | 잠복기는 질병 발생의 초기 단계를 나타내는 용어 |
2. 잠복기의 원인 및 특징
잠복기는 최초 감염량, 감염원의 독성 수준, 침입 경로, 감염원의 번식률, 숙주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38] 같은 병원균이 침투하더라도 침투 경로나 숙주의 면역 상태에 따라 잠복기가 달라질 수 있다. 연쇄상구균 같은 세균은 잠복기에 감염이 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잠복기 감염이라고 한다. 질병에 따라 잠복기 중에 전염성이 없는 경우도 있고, 전염성이 있는 경우도 있다.
질병의 잠복기를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은 감염원의 용량, 감염원의 독성, 접종 경로, 감염원의 복제율, 숙주의 감수성, 면역 반응 등이다.[38] 기재된 내용은 대략적인 것이며, 개인차(특히 생체의 면역력)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2. 1. 잠복기 동안의 증상
잠복기 동안 환자는 증상을 느끼지 않는다. 바이러스 감염의 경우, 잠복기 동안 바이러스가 숙주 내에서 복제되어 증식한다.[39] 잠복기 감염의 예로는 HIV 바이러스나 코로나19 바이러스 등이 있다. HIV는 림프계에서 복제되어 많은 바이러스를 빠르게 양산하지만, 잠복기 동안에는 징후를 보이지 않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그 동안에도 전염성을 가지고 있다.코로나19의 잠복기는 최대 14일(환자 99%의 경우)로 알려져 있다.[38] 이러한 이유로 2주 격리를 통해 발현 여부(유증상 확진자) 또는 무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정부 시책이다.[38] 일반적인 감기의 잠복기는 약 3일로 알려져 있다.[38]
2. 2. 잠복기 감염
HIV 바이러스나 코로나19 바이러스 등은 잠복기에도 감염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HIV는 림프계에서 복제되어 빠르게 증식하지만, 잠복기 동안에는 별다른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도 전염성을 가진다.[39]코로나19의 잠복기는 최대 14일(99%의 환자 기준)로 알려져 있다.[38] 이러한 특성 때문에 2주간의 격리는 유증상 확진자와 무감염자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방역 정책으로 시행되었다.[38]
3. 고유 잠복기와 외잠복기
매개체 감염 질병에서 사용되는 용어로는 고유 잠복기와 외잠복기가 있다. 고유 잠복기는 최종 숙주에서 병원체가 발현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며, 외잠복기는 병원체가 중간 숙주에서 잠복 준비를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39] 말라리아의 경우, 모기 내에서 말라리아원충이 사람에게 전염되기 전 잠복 준비 기간이 외잠복기이다.
3. 1. 고유 잠복기 (Intrinsic incubation period)
고유 잠복기는 최종 숙주(예: 사람)에서 잠복한 병원체가 발현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말라리아의 경우, 사람에게 말라리아원충이 침투한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이다.[39]3. 2. 외잠복기 (Extrinsic incubation period)
말라리아원충은 모기에 의해 섭취된 후, 사람에게 전염되기 전 모기 내에서 잠복 준비 기간을 갖는다. 이 기간은 말라리아원충의 종과 온도에 따라 10일에서 28일 사이이며, 이를 외잠복기라고 부른다.[39] 암컷 모기가 외잠복기보다 오래 생존하지 않으면, 말라리아원충을 전염시킬 수 없다.[39]4. 잠복기 결정 요인
질병의 잠복기는 최초 감염량, 감염원의 독성 수준, 침입 경로, 감염원의 번식률, 숙주의 면역 상태에 의해 좌우된다.[38] 같은 병원균의 침투라도 침투 경로나 숙주의 면역 상태에 따라서 잠복기가 달라질 수 있다. 연쇄상구균 같은 세균은 잠복기에 감염이 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를 잠복기 감염이라고 한다. 질병에 따라서 잠복기 중에 전염성이 없는 경우도 있고, 전염성이 있는 경우가 있다.
질병의 잠복기를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38]
- 감염원의 용량
- 감염원의 독성
- 접종 경로
- 감염원의 복제율
- 숙주의 감수성
- 면역 반응
5. 질병별 잠복기 (사람)
개인 간 차이로 인해 잠복기는 항상 범위로 표현된다. 아래 표는 다양한 질병의 잠복기 범위를 나타낸다.
| 질병 | 최소 | 최대 |
|---|---|---|
| 봉와직염 (Pasteurella multocida에 의해 발생) | 0일[4] | 1일 |
| 수두 | 9일[5] | 21일 |
| 콜레라 | 0.5일[6] | 4.5일 |
| 감기 | 1일[7][8] | 3일 |
| 코로나19 | 2일[9] | 14일 |
| 뎅기열 | 3일[12] | 14일 |
| 에볼라 바이러스병 (에볼라) | 1일[13] | 21일(95%), 42일(98%) |
| 전염성 홍반 (제5병) | 13일[14] | 18일 |
| 지알디아증 | 3일 | 21일 |
| HIV | 2주에서 수개월, 또는 그 이상[15] | 3주에서 수개월, 또는 그 이상 |
| 전염성 단핵구증 (선열) | 28일[16] | 42일 |
| 인플루엔자 | 1일[17] | 3일 |
| 쿠루병 | 10.3년 (평균)[18] | 13.2년 |
| 나병 | 1년[19] | 20년 이상 |
| 마버그 바이러스병 (마버그) | 5일[20] | 10일 |
| 홍역 | 9일[21] | 12일 |
| 메르스 | 2일[22] | 14일 |
| 볼거리 | 14일[23] | 18일 |
| 노로바이러스 | 1일[24] | 2일 |
| 백일해 | 7일[25] | 14일 |
| 소아마비 | 7일[26] | 14일 |
| 광견병 | 1개월, 그러나 1주 미만에서 드물게 1년 이상까지 다양할 수 있음.[27][28] | 3개월 |
| 로키산 홍반열 | 2일[29] | 14일 |
| 돌발성 발진 (유아 발진) | 5일[30] | 15일 |
| 풍진 (독일 홍역) | 14일[31] | 21일 |
| 살모넬라증 | 12일[31] | 24일 |
| 성홍열 | 1일[32] | 4일 |
|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SARS) | 1일[33] | 10일 |
| 천연두 | 7일[34] | 17일 |
| 파상풍 | 7일[35] | 21일 |
| 결핵 | 2주[36] | 12주 |
| 장티푸스 | 7일 | 21일 |
기재된 내용은 대략적인 것이며, 개인차(특히 생체의 면역력)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5. 1. 주요 질병의 잠복기
잠복기 동안은 환자에게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바이러스 감염이 된 상태에서는 잠복기 동안 바이러스가 숙주 내에서 복제되어 증식된다.[39] 이런 잠복기 감염의 예로는 HIV 바이러스나 코로나19 바이러스 등이 있다. HIV는 림프계에서 HIV가 복제되고, 많은 바이러스를 빠르게 양산하지만, 잠복기 동안에는 징후를 보이지 않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그 동안에도 전염성을 가지고 있다.코로나19의 경우는 잠복기가 최대 14일로 알려져 있다(환자 99%의 경우).[38] 그런 이유로 2주 격리를 시켜 정확하게 발현이 되는지(유증상 확진자) 발현이 되지 않는지(무감염자)를 확실하게 확인하는 것이 정부 시책이다.[38] 일반적인 감기의 잠복기는 약 3일로 알려져 있다.[38]
개인 간 차이로 인해 잠복기는 항상 범위로 표현된다. 가능하면 평균과 10번째 및 90번째 백분위수를 표현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이 정보가 항상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질병의 경우, 잠복기는 어린이 또는 유아보다 성인에게 더 길다.
| 질병 | 최소 | 최대 |
|---|---|---|
| 봉와직염 (Pasteurella multocida에 의해 발생) | 0일[4] | 1일 |
| 수두 | 9일[5] | 21일 |
| 콜레라 | 0.5일[6] | 4.5일 |
| 감기 | 1일[7][8] | 3일 |
| 코로나19 | 2일[9] | 14일 |
| 뎅기열 | 3일[12] | 14일 |
| 에볼라 바이러스병 (에볼라) | 1일[13] | 21일(95%), 42일(98%) |
| 전염성 홍반 (제5병) | 13일[14] | 18일 |
| 지알디아증 | 3일 | 21일 |
| HIV | 2주에서 수개월, 또는 그 이상[15] | 3주에서 수개월, 또는 그 이상 |
| 전염성 단핵구증 (선열) | 28일[16] | 42일 |
| 인플루엔자 | 1일[17] | 3일 |
| 쿠루병 | 10.3년 (평균)[18] | 13.2년 |
| 나병 | 1년[19] | 20년 이상 |
| 마버그 바이러스병 (마버그) | 5일[20] | 10일 |
| 홍역 | 9일[21] | 12일 |
| 메르스 | 2일[22] | 14일 |
| 볼거리 | 14일[23] | 18일 |
| 노로바이러스 | 1일[24] | 2일 |
| 백일해 | 7일[25] | 14일 |
| 소아마비 | 7일[26] | 14일 |
| 광견병 | 1개월, 그러나 1주 미만에서 드물게 1년 이상까지 다양할 수 있음.[27][28] | 3개월 |
| 로키산 홍반열 | 2일[29] | 14일 |
| 돌발성 발진 (유아 발진) | 5일[30] | 15일 |
| 풍진 (독일 홍역) | 14일[31] | 21일 |
| 살모넬라증 | 12일[31] | 24일 |
| 성홍열 | 1일[32] | 4일 |
|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SARS) | 1일[33] | 10일 |
| 천연두 | 7일[34] | 17일 |
| 파상풍 | 7일[35] | 21일 |
| 결핵 | 2주[36] | 12주 |
| 장티푸스 | 7일 | 21일 |
5. 2. 기타 질병의 잠복기(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아래는 여러 질병들의 잠복기를 나타낸 것이다. 잠복기는 개인차, 특히 면역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39]| 질병 | 사이 | 및 |
|---|---|---|
| 봉와직염 (Pasteurella multocida에 의해 발생) | 0일[4] | 1일 |
| 수두 | 9일[5] | 21일 |
| 콜레라 | 0.5일[6] | 4.5일 |
| 감기 | 1일[7][8] | 3일 |
| 코로나19 | 2일[9] | 11.5[10]/12.5[11]/14일 |
| 뎅기열 | 3일[12] | 14일 |
| 에볼라 바이러스병 (에볼라) | 1일[13] | 21일(95%), 42일(98%) |
| 전염성 홍반 (제5병) | 13일[14] | 18일 |
| 지알디아증 | 3일 | 21일 |
| HIV | 2주에서 수개월, 또는 그 이상[15] | 3주에서 수개월, 또는 그 이상 |
| 전염성 단핵구증 (선열) | 28일[16] | 42일 |
| 인플루엔자 | 1일[17] | 3일 |
| 쿠루병 | 10.3년 (평균)[18] | 13.2년 |
| 나병 | 1년[19] | 20년 이상 |
| 마버그 바이러스병 (마버그) | 5일[20] | 10일 |
| 홍역 | 9일[21] | 12일 |
| 메르스 | 2일[22] | 14일 |
| 볼거리 | 14일[23] | 18일 |
| 노로바이러스 | 1일[24] | 2일 |
| 백일해 | 7일[25] | 14일 |
| 소아마비 | 7일[26] | 14일 |
| 광견병 | 1개월, 그러나 1주 미만에서 드물게 1년 이상까지 다양할 수 있음.[27][28] | 3개월 |
| 로키산 홍반열 | 2일[29] | 14일 |
| 돌발성 발진 (유아 발진) | 5일[30] | 15일 |
| 풍진 (독일 홍역) | 14일[31] | 21일 |
| 살모넬라증 | 12일[31] | 24일 |
| 성홍열 | 1일[32] | 4일 |
|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SARS) | 1일[33] | 10일 |
| 천연두 | 7일[34] | 17일 |
| 파상풍 | 7일[35] | 21일 |
| 결핵 | 2주[36] | 12주 |
| 장티푸스 | 7일 | 21일 |
참조
[1]
웹사이트
Lesson 1, Section 9: Natural History and Spectrum of Disease
https://www.cdc.gov/[...]
2012-05-18
[2]
논문
Chronic hepatitis C
[3]
논문
The Incubation Periods of Dengue Viruses
2012-11-30
[4]
웹사이트
Cellulitis
http://kidshealth.or[...]
2012-05-28
[5]
논문
Chickenpox: Practice Essentials, Background, Pathophysiology
https://emedicine.me[...]
2020-03-22
[6]
논문
The incubation period of cholera: A systematic review
[7]
논문
Incubation periods of acute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A systematic review
[8]
웹사이트
Common cold
http://www.mayoclini[...]
The Mayo Clinic
2012-05-28
[9]
논문
Incubation Period and Other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2019 Novel Coronavirus Infections with Right Truncation: A Statistical Analysis of Publicly Available Case Data
[10]
논문
The Incubation Period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From Publicly Reported Confirmed Cases: Estimation and Application
2020-03-10
[11]
논문
Early Transmission Dynamics in Wuhan, China, of Novel Coronavirus–Infected Pneumonia
2020-03-26
[12]
논문
Dengue and dengue hemorrhagic fever
[13]
웹사이트
Are the Ebola outbreaks in Nigeria and Senegal over?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10-21
[14]
EMedicine
Erythema Infectiosum
[15]
논문
Acut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fection
[16]
뉴스
Glandular fever
https://www.bbc.co.u[...]
BBC
2012-05-28
[17]
웹사이트
Seasonal Influenza (Flu)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05-28
[18]
논문
The incubation period of kuru
[19]
웹사이트
Leprosy Fact sheet N°101
https://www.who.int/[...]
2014-01
[20]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About Marburg Hemorrhagic Fever
http://www.cdc.gov/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05-28
[21]
웹사이트
Measles
http://www.aocd.org/[...]
American Osteopathic College of Dermatology
2012-05-28
[22]
웹사이트
MERS Clinical Features
https://www.cdc.gov/[...]
CDC
2020-03-22
[23]
웹사이트
Mumps Disease, Questions & Answers
http://www.vaccinein[...]
2012-05-28
[24]
웹사이트
Noroviru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05-28
[25]
웹사이트
Pertussis
http://www.gpnoteboo[...]
GPnotebook
2012-05-28
[26]
웹사이트
Polio
http://www.gpnoteboo[...]
GPnotebook
2012-05-28
[27]
웹사이트
WHO - Rabies
https://www.who.int/[...]
[28]
웹사이트
Rabies vaccines: WHO position paper – April 2018
https://apps.who.int[...]
2018-04
[29]
웹사이트
Rocky Mountain Spotted Fever
http://dermatology.a[...]
About.com
2012-05-28
[30]
EMedicine
Roseola Infantum
[31]
EMedicine
Dermatologic Manifestations of Rubella
[32]
EMedicine
Scarlet Fever
[33]
웹사이트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05-28
[34]
웹사이트
Smallpox Disease Overview
http://www.bt.cdc.g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05-28
[35]
EMedicine
Tetanus
[36]
웹사이트
Tuberculosis (TB)
https://www.medicine[...]
2020-03-22
[37]
서적
標準微生物学
医学書院
[38]
웹인용
잠복기
https://100.daum.net[...]
2020-04-19
[39]
논문
Chronic hepatitis C
https://www.ncbi.nlm[...]
199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