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표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표욱은 대한민국의 학자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미 외교 요람기》(1984), 《이승만과 한미 외교》(1996), 《The Divided Korea in the World》(1997), 《한국 통일의 문제》(2000) 등이 있다. 그의 저서들은 주로 이승만 정부 시기의 외교 정책, 한미 관계, 분단 한국의 국제적 위치, 통일 문제 등을 다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천병규
    천병규는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금융인, 관료, 정치인,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며, 한국은행 부총재,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6.10 통화 개혁을 주도하며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내다 사망했다.
  • 태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유재흥
    유재흥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로 복무 후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 국군 장성으로 활동하며 여러 전투를 지휘했으나, 잇따른 패전과 논란으로 비판받았고, 전쟁 후 국방부 장관 및 외교관직을 역임했으며 친일 및 친미 논란, 전시 작전통제권 문제에 대한 견해가 논쟁 대상이다.
  • 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천영우
    천영우는 외무고시를 통해 외교관으로 시작하여 외교통상부, 주유엔대표부, 주영국 대사 등을 역임하고,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본부장, 제2차관,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을 거쳐 현재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 등으로 활동한다.
  • 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김용우 (정치인)
    김용우는 배재고등보통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서울특별시 후생국장, 국회의원, 국방부 차관 및 장관, 주영국 대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했으며, 동양방송 TV를 설립하고 국방부 장관 재직 시 안식교 신자 병사 배치를 지시했으며, 주영국 대사 재임 중 해임되었다.
  • 유엔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박동진 (1922년)
    박동진은 대구 출신으로 주오대학을 졸업하고 국무총리 비서, 대통령 비서를 거쳐 외무부 차관, 주베트남 대사, 주브라질 대사, 주제네바 대사, 유엔 대사, 외무부 장관, 민주정의당 소속 국회의원, 국토통일원 장관, 주미 대사,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유엔 주재 대한민국 대사 - 김현종
    김현종은 대한민국의 법률가, 통상 전문가, 정치인, 외교관으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과 법학을 전공하고 미국 로펌 변호사, 홍익대학교 교수, 외교통상부 통상전문관 등을 거쳐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 주UN 대한민국 대표부 대사, 국가안보실 제2차장, 대통령 외교안보특별보좌관 등을 역임하며 한미 FTA 체결을 주도했고 황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한표욱
기본 정보
한표욱
한표욱
본관청주 한씨
출생1916년 8월 14일
사망1997년 1월 11일
직업외교관
학력
학력연희전문학교 졸업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외교학 전공
시라큐스 대학교 졸업
경력
경력대한민국 임시정부 주미 외교위원
주미 한국대사관 1등 서기관
주미 한국대사관 참사관
주미 한국대사관 공사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 대한민국 대표
주미 대사 대리
유엔 총회 대한민국 대표단
기타
출신지함경남도

2. 주요 저서

한표욱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한미 외교 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 《이승만과 한미 외교》 (중앙일보사, 1996)
  • 《세계 속의 분단 한국》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7)
  • 《한국 통일의 문제》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2. 1. 한미 외교 요람기 (1984)

《The Cradle of Korean-American Diplomacy영어》(한미 외교 요람기)는 중앙일보사에서 1984년에 출판된 책으로, 해방 이후부터 한국 전쟁까지의 시기, 즉 한미 외교의 초기 형성 과정을 다룬다. 이승만 정부의 외교 정책 수립 과정과 초기 한미 관계의 특징을 분석한다.[1]

2. 2. 이승만과 한미 외교 (1996)

《The Rhee Syngman Government and U.S. Diplomacy영어》는 1996년 중앙일보사에서 출판한 책으로, 이승만 대통령의 외교 정책 전반을 다룬다. 특히, 이승만의 반공주의적 외교 노선과 미국의 대외 정책 사이의 상호 작용,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과 협력 관계를 조명한다.[2]

2. 3. 세계 속의 분단 한국 (1997)

《The Divided Korea in the World영어》()은 연세대학교 출판부에서 1997년에 출판된 책으로, 분단 한국의 국제적 위치와 외교적 상황을 분석한다. 이승만 정부 시기 한국이 냉전 체제 속에서 겪었던 어려움과 국제 사회의 인식을 보여준다.[1]

2. 4. 한국 통일의 문제 (2000)

The Problems of Korean Unification영어연세대학교 출판부에서 2000년에 출판된 책으로, 이승만 정부의 통일 정책과 그 한계를 분석한다. 이승만의 북진통일론과 반공주의적 통일관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과 그 역사적 의미를 되짚어본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승만의 북진통일론이 현실성이 결여된 이상론에 불과했으며, 남북 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평화통일의 기회를 놓치게 만들었다고 비판한다.

참조

[1] 뉴스 延專卒業式 各科合百四名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8-03-15
[2] 서적 제2공화국과 장면 범우사 1999
[3] 뉴스 韓國代表韓豹頊氏 民國樹立에 貢獻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49-12-01
[4] 뉴스 歷代유엔總會韓國代表團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2-08-08
[5] 뉴스 話題와 人物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6-04-26
[6] 뉴스 내가 본 美國⑦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6-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