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는 1948년 창간된 독일의 일간 신문으로, 함부르크 시의 인가를 받아 연합군의 인가 없이 발행된 최초의 독일 신문이다. 1970년대까지 오후에 발행되었으나 이후 오전으로 변경되었으며, 2013년까지 악셀 슈프링어 AG에서 발행하다가 2014년부터 풍케 미디엔그루페로 소유가 변경되었다. 함부르크와 주변 지역의 보도를 중심으로 하며, 중도 보수 성향을 보인다. 2008년 콘라트 아데나워 기관상을 수상했으며, 여러 기자들이 저널리스트 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신문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은 1949년 창간된 독일의 유력 일간지이며, 자유주의적 성향을 띠고 독립적인 재단이 지분을 소유하며, 고딕체 헤드라인과 1면 사진 부재를 특징으로 했으나 2007년 레이아웃을 변경했고, 발행 부수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이집트와 중국에서 발행이 금지된 적이 있다.
  • 독일의 신문 - 쥐트도이체 차이퉁
    쥐트도이체 차이퉁은 1945년 바이에른에서 창간된 독일의 진보적 자유주의 성향의 중도좌파 일간 신문으로, 국제적인 탐사보도에 적극 참여하여 영향력을 행사하고, 독일 내 최대 발행 부수를 기록하고 있으나, 과거 논란을 겪기도 했다.
  • 1948년 창간 - 인민일보
    인민일보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공식 기관지로서 중국 정부의 주류 관점을 대변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일간 신문이지만, 정보의 객관성과 허위 정보 유포에 대한 논란 및 선전 매체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 1948년 창간 - 시카고 선타임스
    시카고 선타임스는 1844년 창간된 《시카고 데일리 저널》에서 시작된 시카고의 가장 오래된 일간지로, 1948년 합병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2022년 비영리 단체 합병 후 탐사 보도와 지역 사회 연결에 주력하고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로고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로고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2011년 1월 29일자 1면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2011년 1월 29일자 1면
유형일간 신문 (일요일 제외)
형식브로드시트
소유주Funke-Mediengruppe
창간일1948년
언어독일어
본사함부르크, 독일
발행 부수286,992 (2009년 2분기)
ISSN0949-4618
OCLC85355780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인물
편집장클라우스 슈트룬츠
수상
수상 내역Deutscher Reporter:innenpreis (독일 기자상)
Deutscher Lokaljournalistenpreis (독일 지역 저널리스트상)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8년 10월 14일,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의 초판이 발행되었다. 초판은 60,000부가 판매되었으며, 함부르크 시의회의 인가를 받았다. 이는 독일 최초로 연합군이 아닌 독일 당국의 인가를 받은 일간신문이라는 의미를 지닌다.[7] 6개월 후 발행 부수는 170,000부로 증가했다.

'아벤트블라트'는 직역하면 '저녁 신문'이라는 뜻으로, 실제로 1970년대까지 오후에 출간되었다. 그러나 이후 이른 아침 시간으로 간행 시기가 조정되었다. 인쇄 착수 시간이 비교적 늦은 편이어서 저녁에 발생하는 사건도 다음날 아침 기사로 보도된다.

2008년에는 콘라트 아데나워 기관상을 수상했다.[8]

2. 1. 창간과 초기 역사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창간 기념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광고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8년 10월 14일 초판이 발행되었다. 초판은 60,000부가 판매되었으며, 함부르크 시의회가 인가하였다. 따라서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는 독일 최초로 연합군의 인가가 아닌 독일 당국의 인가를 받은 일간신문이다.[7] 6개월 후 발행 부수는 일 170,000부로 증가하였다. '아벤트블라트'란 직역하면 '저녁 신문'을 의미하는데, 실제로 1970년대까지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는 오후에 출간되었다. 그러나 이후 간행 시기는 이른 아침 시간으로 조정되었다. 인쇄 착수 시간이 비교적 늦은 편이기 때문에 저녁에 발생하는 사건도 다음날 아침 기사로 나간다.

과거 함부르크에는 "아벤트블라트"("저녁 신문")라는 단어를 제목에 사용한 네 개의 신문이 있었는데, 여기에는 1820년 5월 2일에 창간된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Hamburger Abendblatt)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는 1948년 10월 14일, 60,000부의 초판을 발행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이 신문은 함부르크 상원과 시장 막스 브라우어로부터 출판 허가를 받았는데, 이는 연합군 점령 하의 독일 당국이 아닌 독일 당국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전후 독일 최초의 일간지였다. 약 6개월의 운영 기간 이후, 일일 발행 부수는 170,000부로 증가했다. 1970년대까지는 오후에 배달되었지만, 현재는 이른 아침에 배달된다.

1948년부터 2013년까지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는 악셀 슈프링어 AG(Axel Springer AG)에서 발행했다. 이 신문은 2014년 1월 1일부터 악셀 슈프링어로부터 이를 인수한 풍케 미디엔그루페(Funke Mediengruppe)에서 발행한다. 이 신문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만 발행되었지만, 2006년 10월 29일부터는 2006년 11월 5일에 일요판을 도입한 ''함부르거 모르겐포스트''(Hamburger Morgenpost)와 경쟁하기 위해 일요판도 발행하고 있다.

2. 2. 소유권 변동

1948년부터 2013년까지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는 악셀 슈프링어 AG(Axel Springer AG)에서 발행했다. 2014년 1월 1일부터는 풍케 미디엔그루페(Funke Mediengruppe)가 악셀 슈프링어로부터 인수하여 발행하고 있다.[1]

3. 보도 내용 및 성향

함부르크와 주변 지역 보도를 중심으로 하며, 노르더스테트, 아렌스부르크, 함부르크-하부르크, 핀네베르크, 뤼네부르크, 스타데 지역에는 지역판이 추가 간행된다.[9] 정치 성향은 중도 보수로, 2001년 함부르크 시장 선거에서 자민당을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3. 1. 보도 내용

함부르크와 주변 지역에 대한 보도가 중심을 이룬다. 노르더스테트와 아렌스부르크, 함부르크-하부르크, 핀네베르크, 뤼네부르크, 스타데 지역에는 지역판도 추가로 간행된다.[9]

3. 2. 보도 성향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의 정치 성향은 중도 보수이다. 함부르크 시장은 전통적으로 사회민주당에서 배출되었는데, 2001년에는 자민당 시장이 선출되었다. 당시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가 선거에서 자민당을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4. 계열사 및 서비스

함부르거 모르겐포스트가 2006년 1월 5일에 일요판을 출간하자, 이에 대한 대항책으로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는 2006년 10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일요판을 발행했다.[10] 그러나 곧 운영이 중지되었고, 공식적으로는 벤치마크 시험이었다고 발표했다. 1950년대에도 일요판이 있었지만 악셀 스프링거사에서 빌트 암 존탁으로 전환하여 발행했다. 일요일 저녁에는 함부르크 주 정부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라트하우스 보헤(Rathauswoche)라는 칼럼이 실린다. 2009년부터 웹사이트의 지역 보도 내용은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4. 1. 일요판 발행

2006년 10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일요판도 제공되었다. 이는 함부르거 모르겐포스트가 2006년 1월 5일에 출간한 일요판에 대한 대항책이었다.[10] 그러나 일요판은 곧 운영이 중지되었고, 공식적으로 벤치마크 시험으로 발표되었다. 1950년대에도 일요판이 있었지만 악셀 스프링거사에서 오늘날 간행되는 빌트 암 존탁으로 전환 발행되었다.

4. 2. 온라인 서비스

2009년부터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지역 보도 내용이 유료 서비스로 전환되었다.

4. 3. 칼럼

일요일 저녁에는 라트하우스 보헤(Rathauswoche)라는 칼럼이 기재된다. 라트하우스 보헤는 함부르크 주 정부를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정부의 정책을 분석한다.

5. 수상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소속 기자들은 많은 저널리스트 상을 받았다. 테오도르 볼프 상을 받은 바르바라 하르딩하우스, 에리히 클라분데 상을 받은 옌스 마이어 벨만, 독일 일간프렌스상을 받은 크리스티안 덴소, 독일 리포터상을 받은 안트예 빈트만이 대표적이다.

2008년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는 콘라트 아데나워 기관에서 수여하는 ‘편집부 종합 성적‘ 부문에서 독일 지역신문 1위로 선정되어 이름을 알렸다.[11]

6. 역대 편집장

} || 1948년 – 1952년

|-

| 오토 지머 Otto Siemer|de || 1952년 – 1965년

|-

| 마르틴 젤러 Martin Saller|de || 1965년 – 1969년

|-

| 베르너 티츠라트 Werner Titzrath|de || 1969년 – 1983년

|-

| 클라우스 코른 Klaus Korn|de || 1983년 – 1989년

|-

| 페터 크루제 Peter Kruse|de || 1989년 – 2001년

|-

| 멘소 하일 Menso Heyl|de || 2001년 – 2008년

|-

| 클라우스 슈트룬츠 || 2008년 – 2011년 6월

|-

| 라스 하이더 Lars Haider|de || 2011년 7월 – 현재

|}

7. 관련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Deutscher Lokaljournalistenpreis https://www.kas.de/d[...] kas.de 2024-01-20
[2] 논문 Sell-Off: Newspaper Giant Turns Back on Journalism http://www.spiegel.d[...] 2013-07-26
[3] 뉴스 Europe's Top Papers http://www.campaignl[...] 2002-11-15
[4] 웹사이트 European Publishing Monitor http://edz.bib.uni-m[...] 2015-03-27
[5] 웹사이트 IVW website http://www.ivw.eu/in[...]
[6] 문서 독일 광고매체 유통 관측 정보협회(IVW http://daten.ivw.eu/[...]
[7] 웹인용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30년 기념 악셀 스프링거 축하 스피치 http://www.axelsprin[...] 2012-10-28
[8] 문서 Hamburger Abendblatt - Zeitungs-Archiv http://www.historisc[...]
[9] 웹인용 악셀 스프링거 미디어 임팩트에서 현재 간행되는 지역신문 정보 http://www.axelsprin[...] 2012-10-28
[10] 문서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일요일에도 간행되다, 2006년 10월 29일 http://www.hamburg-w[...]
[11] 문서 함부르거 아벤트블라트 콘라트 아데나워 상 수여, 콘라트 아데나워 기간 사이트 프레스 릴리스 25호, 2008년 4월 25일 http://www.kas.de/w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이름재임 기간
빌헬름 슐체 {{lang|de|Wilhelm Schul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