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합천군 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천군 갑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63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합천군 합천면, 봉산면, 묘산면, 가야면, 야로면, 율곡면, 초계면, 쌍책면을 관할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산청군 선거구, 합천군 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산청군·합천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원홍, 노기용, 유봉순, 이상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합천군의 정치 -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경상남도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선거구는 20대 총선 때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선거구에 합천군이 편입되어 신설되었으며, 강석진, 김태호, 신성범이 당선되었고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 합천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합천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합천군의회 의원 선거에서 자유한국당이 다수당이 되었고 더불어민주당과 무소속 의원도 당선되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합천군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의회국회
유형국회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이전 선거구해당 없음
이후 선거구산청군·합천군
의원수1인
인구 정보
유권자알 수 없음
인구알 수 없음
지방 의회 정보
지방 의회알 수 없음
지방 선거구알 수 없음
의원 정보
의원알 수 없음
정당알 수 없음

2. 역사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합천군의 일부 지역(합천면, 봉산면, 묘산면, 가야면, 야로면, 율곡면, 초계면, 쌍책면)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산청군 선거구, 합천군 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산청군·합천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설치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합천군의 일부 지역(합천면, 봉산면, 묘산면, 가야면, 야로면, 율곡면, 초계면, 쌍책면)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2. 2. 폐지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산청군 선거구, 합천군 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산청군·합천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헌 국회 (1948년 ~ 1950년)

1948년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의 이원홍이 당선되었다.

3. 2. 제2대 국회 (1950년 ~ 1954년)

노기용1950년 합천군 갑 선거구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한국 전쟁 발발 직전에 당선되었으며, 전쟁 중 납북되었다.

3. 3. 제3대 국회 (1954년 ~ 1958년)

유봉순1954년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3. 4. 제4대 국회 (1958년 ~ 1960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유봉순 후보가 당선되었다.

3. 5. 제5대 국회 (1960년 ~ 1961년)

1960년 무소속 이상신 의원이 당선되었다. 그러나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국회가 해산되면서 임기를 채우지 못했다.

4. 역대 선거 결과

합천군 갑 선거구에서는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각 선거 결과는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경상남도 합천군 갑 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이원홍 후보가 48.1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원홍대한독립촉성국민회14,86748.19
박운표대한독립촉성국민회8,88128.79
이경주무소속5,24417.00
윤복주무소속1,8556.01
합계30,847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노기용무소속7,32123.81%
이원홍민주국민당5,29817.23%
유봉순무소속4,65615.14%
하종구무소속4,57414.87%
윤봉오무소속3,78712.31%
이원용대한독립촉성국민회2,3327.58%
이정갑무소속1,2203.96%
이희동대한노동총연맹8202.66%
윤정훈대한국민당7352.39%
합계30,743100%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노기용 후보가 23.8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유봉순 후보가 42.5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유봉순무소속12,69142.55
이원홍민주국민당6,30321.13
노기용민주국민당4,08013.67
이정갑자유당3,28511.01
변종철무소속1,2944.33
이상신무소속1,1063.70
박문신무소속1,0663.57
합계29,825100.00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유봉순 후보가 69.5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유봉순자유당23,77069.53%
이용조무소속4,94814.47%
이상신무소속4,51313.20%
이기백무소속9552.79%
합계34,186100%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 치러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이상신 후보가 22.3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상신무소속7,89822.33
정경식민주당7,29120.61
유봉순자유당4,54812.86
배원효무소속3,87610.96
이용조무소속3,61710.22
조창순무소속3,2429.16
이인현사회대중당2,4526.93
이수봉무소속1,5964.51
배상수사회대중당8442.38
합계35,364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