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핫 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핫 슈는 카메라 상단에 있는 거꾸로 된 U자 모양의 금속 부착 장치로, 플래시와 같은 액세서리를 장착하는 데 사용된다. 핫 슈는 플래시 동기화를 위한 중앙 접점과, 카메라와 플래시 간의 통신을 위한 추가 접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ISO 518:2006 표준에 따라 물리적 치수가 정의된다. 1970년대 이전에는 액세서리 슈가 플래시, 노출계 등을 장착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핫 슈는 싱크로 케이블 연결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TTL 자동 조광을 가능하게 하면서 발전했다. 핫 슈는 카메라의 전기 회로에 과도한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전압 보호 어댑터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현대에는 콜드 슈 형태로 전기 기능이 없는 액세서리 장착에도 사용되며, 뷰파인더, 마이크, 노출계 등 다양한 액세서리를 지원한다.

2. 디자인

핫 슈는 보통 금속으로 만들어져 거꾸로 된 "U"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카메라 뒤쪽에서 액세서리 어댑터를 밀어 넣어 끼운다. 가운데에는 플래시 동기화를 위한 금속 접점이 있는데, 이 접점은 표준 방식으로 작동하여 브랜드에 관계없이 플래시를 쓸 수 있게 한다. 보통 핫 슈의 금속과 접점의 금속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플래시를 터뜨리려면 이 두 조각을 함께 연결해야 한다. 플래시 장치는 슈와 접점 사이에 회로를 설정하며, 카메라가 이를 완성하면 플래시가 터진다.[2][3]

많은 카메라에는 가운데 접점 말고도 핫 슈의 "U" 안에 추가적인 금속 접점이 있다. 이는 카메라와 "전용 플래시" 사이에 더 많은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전용 커넥터이다. 전용 플래시는 전력 등급 정보를 카메라에 보내고, 카메라 설정을 자동으로 맞추고, 방출된 빛의 색온도 데이터를 보내고, 초점 보조 램프를 켜거나, 초점 보조, 측광 보조 또는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해 저전력 프리 플래시를 터뜨리도록 명령할 수 있다.

표준 핫 슈의 물리적 치수는 ISO 518:2006에 의해 정해진다.[2][3]

3. 역사 및 발전

1975년 올림푸스 OM-2는 TTL 자동 조광을 채택하면서,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의 측광값을 카메라에서 클립온 플래시로 전달하기 위해 핫 슈에 더 많은 접점을 추가했다.[1] 이후 여러 제조사에서 TTL 자동 조광 카메라를 출시했지만, 접점의 모양, 위치, 배선은 제조사마다 달라 호환성 문제가 있었다.[1] 일부 서드 파티제 플래시는 슈 부분을 교체하여 호환성을 확보하기도 했다.[1]

미놀타/소니 알파(α) 시리즈 일안 반사식 카메라는 1987년 α7700i부터 2011년 소니 α77, NEX-7까지 독자적인 형태의 iISO flash shoe영어를 채용하여, 범용 슈 형태의 플래시나 액세서리는 직접 장착할 수 없고 변환 어댑터가 필요했다.[1]

최근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캐논의 멀티 액세서리 슈처럼 동영상 촬영 장비 등을 연결하기 위한 접점이 늘어난 경우도 있다.[1]

캐논(Canon) R7의 멀티 액세서리 슈. 기존 접점 뒤에 다수의 접점이 보인다.

4. 전압 문제

핫 슈의 트리거 전압은 플래시 장치에 따라 다르며, 과도하거나 불충분한 전압은 카메라 손상 또는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ISO 10330 규격은 24볼트의 트리거 전압을 허용하지만, 일부 제조사, 특히 캐논은 6볼트 이하를 요구한다.[4] 최신 카메라용으로 설계된 플래시 장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전압을 사용하지만, 일부 구형 플래시는 수백 볼트까지 훨씬 높은 전압을 사용하여 전자식 트리거 회로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5] 일부는 음의 직류 극성 또는 교류를 사용한다.

구형 고전압 트리거링 플래시를 5~6볼트만 견딜 수 있는 카메라에 연결하기 위해 전압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는 플래시의 트리거 전압에서 전원을 끌어오므로 자체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더 나은 어댑터는 전압 보호 및 장치의 갈바닉 절연을 제공한다. 이러한 어댑터는 변압기 또는 광 커플러를 사용하여 카메라에서 플래시로 안전한 트리거 펄스를 전송하며, 플래시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으므로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받는다.

플래시 서보 및 무선 트리거(예: 포켓위자드)도 트리거 및 수신기 장치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 절연을 제공할 수 있다.[6]

일부 최신 플래시 또는 무선 트리거에서 제공하는 트리거 전압은 카메라 또는 수신기의 전자 회로를 안정적으로 트리거하기에 너무 낮을 수도 있다. 트리거 회로 전압이 약 2~2.5볼트 미만이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5. 현대적 활용

전기적 기능이 없는 콜드 슈는 카메라에서 떨어진 플래시 유닛과 함께 사용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액세서리를 장착하는 데 사용된다.[7] 예를 들어 스테레오 마이크나 전자식 뷰파인더는 올림푸스 XZ-1 카메라의 핫 슈에 사용할 수 있다.[8] FotoSpot 지오태깅 위성 위치 확인 장치는 카메라에 장착하기 위해 액세서리 슈를 사용한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동영상 촬영용 장비 등을 연결하기 위한 접점이 늘어난 멀티 액세서리 슈가 등장하기도 한다.

6. 지원 액세서리

핫 슈는 일반적으로 클립온 플래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싱크로 접점을 내장하고 있으며, 핫 슈 등장 이후 접점이 없는 액세서리 슈는 '''콜드 슈'''라고도 불린다. 카메라 외에도 브라켓이나 슬레이브 유닛 등 액세서리 슈를 가진 카메라 용품이 있다.

다음은 지원 액세서리의 몇 가지 예시이다.


  • 외장 뷰파인더
  • 전자 뷰파인더
  • PL 뷰파인더 - PL 필터를 사용하여 일안 반사식 카메라 이외의 필름 카메라에 사용하기 위한 뷰파인더
  • 플래시[7]
  • 오프 카메라 슈 케이블 - 플래시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연결하기 위한 액세서리
  • 바운서 - 볼 헤드 삼각대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액세서리 슈와 플래시 사이에 장착하여 플래시의 각도를 변경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은 없으며, 바운서 사용 시 핫 슈, TTL 조광 등의 기능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 슬레이브 유닛 - 카메라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플래시를 발광시키는 액세서리
  • 카메라 내장 플래시용 디퓨저
  • 노출계 - 노출계를 탑재하지 않은 카메라용. 특정 카메라 전용품 중에는 셔터 속도와 연동되는 것도 있었다.
  • 수평계[8]

참조

[1] 웹사이트 Photo Strobe Trigger Voltages http://www.botzilla.[...] 2019-06-05
[2] 웹사이트 ISO 518:2006 - Photography - Camera accessory shoes, with and without electrical contacts, for photoflash lamps and electronic photoflash units - Specification http://www.iso.org/i[...]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6-05-12
[3] 웹사이트 ISO 518:2006 - Photography -- Camera accessory shoes, with and without electrical contacts, for photoflash lamps and electronic photoflash units https://www.iso.org/[...]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4] 웹사이트 Strobist: Don't fry your camera http://strobist.blog[...]
[5] 웹사이트 List of strobes and voltages http://www.botzilla.[...]
[6] 웹사이트 Pocket Wizard owner's manual for PW II Plus, p. 14 http://www.pocketwiz[...]
[7] 웹사이트 Strobist: Frio Cold Shoe: Locked and Loaded https://strobist.blo[...]
[8] 웹사이트 Olympus http://www.getolympu[...] 2015-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