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원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해원군(海原君)은 여러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조선의 왕족 이건(李健, 1614년 ∼ 1662년): 조선 선조의 손자이자 인성군 이공의 아들입니다. 자는 자강(子强), 호는 규창(葵窓)이며, 시호는 충효(忠孝)입니다. 1657년(효종 8) 해원군에 봉해졌습니다. 아버지 인성군이 역모 혐의를 받자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습니다. 글, 그림, 글씨에 능하여 삼절(三絶)이라 불렸습니다.[1, 3, 4] 그의 묘는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에 있으며, 의정부시 향토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3, 7]
  • 고려의 승려 해원 (海圓): 몽골 황제 무제의 원찰인 숭은복원사 주지를 지낸 유가종 승려입니다. 고려 왕실은 몽골 황실에 요청하여 해원을 금산사 주지로 임명하고, 혜감원명편조무애국일대사(慧鑑圓明遍照無礙國一大師)라는 호를 내렸으며, 우세군(祐世君)에 봉했습니다. 그는 유식학(唯識學)에 밝았으며, 1340년에 입적했습니다.[2]
  • 조선의 왕족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 1545년 - 1597년): 조선 중종의 서자 덕흥대원군의 장남이며, 선조의 큰형입니다. 하원정(河原正)에 봉해졌다가 하원군(河原君)으로 진봉되었습니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위하여 의주로 피난갔으며, 정유재란 때에는 분의복수군(奮義復讐軍)에 가담했습니다. 시호는 의헌(懿獻)이며, 그의 신주는 불천지위로 정해졌습니다.[5]


따라서, "해원군"이라는 단어는 맥락에 따라 다른 인물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의도에 맞는 인물을 특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해원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해원군
원래 이름海原君
작위정(正)
군(君)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總府 都總管)
본명이건
별칭자(字)는 자강(子强)
호(號)는 규창(葵窓)
시호충효
출생일1614년
출생지조선 한성부 인성군 사저
사망일1662년 (49세)
사망지조선 한성부 사저에서 병사
매장지경기도 의정부
종교유교(성리학)
가족 관계
자녀슬하 4남 3녀
아들3남 화춘군 이정(花春君 李瀞)
친인척조부: 선조 하성군 이연
사위: 심정기(沈廷耆) - 심지원(沈之源)의 손자
부친인성군 이공
모친군부인 해평 윤씨
배우자군부인 풍산 심씨두산백과 해원군묘
왕조
왕가조선 왕조 전주 이씨
왕조조선 왕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