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싱키는 60개의 동(kaupunginosa/stadsdel)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헬싱키 시의 행정 구역으로 사용된다. 각 동은 핀란드어와 스웨덴어 이름을 가지며, 01번부터 59번까지의 번호가 부여된다. 동은 통(osa-alue), 반(pienalue), 가곽으로 세분화된다. 또한 헬싱키는 7개의 대구(suurpiiri/stordistrikt)와 그 하위 행정 구역인 기초구(peruspiiri/distrikt)로 나뉘며, 비공식적으로 중앙, 서부, 북부, 동부 헬싱키로 구분된다. 헬싱키는 우편 번호 구역으로도 나뉘어 '00xx0' 형태의 우편 번호를 사용한다.
2. 동 (Kaupunginosa / Stadsdel)
헬싱키 시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공식 행정 구역 단위는 '''동'''(kaupunginosa|카우풍기노사fi, stadsdel|스타스델sv)이다. 이 구역 구분은 헬싱키 시의회가 도시 계획 및 기타 유사 행정 목적을 위해 설정한 것이다. 현재 헬싱키에는 총 60개의 동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동 명칭은 19세기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1959년에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
2. 1. 동의 명칭과 번호
현재 헬싱키에는 60개의 동(구역, kaupunginosafi, stadsdelsv)이 있다. 대부분의 동 명칭은 19세기부터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1959년에 현재의 공식 명칭이 부여되었다. 2009년 1월 1일에는 5개의 동(55~59번)이 새로 편입되었다.
각 동은 01번부터 59번까지의 두 자리 번호와 함께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로 된 공식 명칭을 가진다(두 언어 명칭이 동일한 경우도 있다). 60번째 동인 헬싱키 근해(Aluemeri)는 번호가 없다. 동은 다시 '''통'''(osa-alue|오사알루에fi)으로 나뉘고, 통은 '''반'''(pienalue|피에날루에fi)으로, 반은 가곽으로 세분화된다. 통은 세 자리 번호, 반은 네 자리 번호로 표시된다. 이러한 구역 구분은 시의회가 도시 계획 및 기타 유사 목적을 위해 만든 공식적인 구획이다.
현재 헬싱키에는 60개 동이 있다. 대부분의 동들은 19세기부터 그 이름이 전통적으로 존재하다가 1959년 현재의 이름이 공식적으로 부여되었다.
각 동은 01번에서 59번까지의 두 자리 번호를 부여받고,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로 각각 이름이 있다. 60번째 동인 헬싱키 근해는 번호가 없다. 동은 다시 통(osa-alue|오사알루에fi)으로, 통은 반(pienalue|피에날루에fi)으로, 반은 가곽으로 나뉜다. 통은 세 자리 번호, 반은 네 자리 번호로 표시된다.
3. 구 (Suurpiiri / Stordistrikt, Peruspiiri / Distrikt)
헬싱키의 행정 구역은 크게 '''대구'''(suurpiirifi, stordistriktsv)와 그 하위 단위인 '''기초구'''(peruspiirifi, distriktsv)로 나뉜다. 헬싱키 전체는 8개의 대구와 34개의 기초구로 나뉘며, 각 대구는 여러 개의 기초구를 포함한다. 기초구는 다시 여러 개의 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획은 도시 계획 목적뿐만 아니라 공공 서비스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현재의 구 구획은 1982년 12월 13일 헬싱키 시참사회의 결정으로 제정되었다. 이전에는 시의 여러 부서에서 서로 다른 101개의 구획을 사용했으며, 그 중 공식적인 동 구획과 일치하는 것은 17개에 불과하여 행정상 혼란이 매우 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일된 구획 시스템이 마련되었고, 1986년부터 모든 공공 부문에서 이 구획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었다.
헬싱키의 행정 구역 구분: 대구(굵은 선), 기초구(가는 선), 동(점선)
3. 1. 대구 (Suurpiiri / Stordistrikt) 목록
헬싱키의 행정 구역은 '''대구'''(suurpiirifi, stordistriktsv)와 '''기초구'''(peruspiirifi, distriktsv)로 나뉜다. 헬싱키 전체는 8개의 대구로 나뉘며, 각 대구는 여러 개의 기초구를 포함한다. 기초구는 다시 여러 개의 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의 구획은 1982년 12월 13일 헬싱키 시참사회의 결정으로 제정되었다. 이전에는 시의 여러 부서에서 서로 다른 101개의 구획을 사용했으며, 이 중 동(osa-alue) 구획과 일치하는 것은 17개에 불과해 혼란이 컸다. 1986년부터 모든 공공 부문에서 현재의 구획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었다.
헬싱키의 행정 구역 지도
헬싱키의 대구 지도. 파란색: 남구 / 보라색: 서구 / 주황색: 중구 / 초록색: 북구 / 빨간색: 동북구 / 연두색: 동남구 / 노란색: 동구 / 하늘색: 외스테르순돔구
'''1. 남구''' (Eteläinen suurpiirifi)
* 101 비로니에미 (Vironniemifi, Estnässv)
* 102 울란린나 (Ullanlinnafi, Ulrikasborgsv)
* 103 캄핀말미 (Kampinmalmifi, Kampmalmensv)
* 104 타카퇼뢰 (Taka-Töölöfi, Bortre Tölösv)
* 105 라우타섬 (Lauttasaarifi, Drumsösv)
'''2. 서구''' (Läntinen suurpiirifi)
* 201 레이욜라 (Reijolafi, Grejussv)
* 202 문키니에미 (Munkkiniemifi, Munksnässv)
* 203 하가 (Haagafi, Hagasv)
* 204 피태얜매키 (Pitäjänmäkifi, Sockenbackasv)
* 205 카렐라 (Kaarelafi, Kårbölesv)
'''3. 중구''' (Keskinen suurpiirifi)
* 301 칼리오 (Kalliofi, Berghällsv)
* 302 알피하류 (Alppiharjufi, Åshöjdensv)
* 303 발릴라 (Vallilafi, Vallgårdsv)
* 304 파실라 (Pasilafi, Bölesv)
* 305 반하카우풍키 (Vanhakaupunkifi, Gammelstadensv)
'''4. 북구''' (Pohjoinen suurpiirifi)
* 401 마우눌라 (Maunulafi, Månsassv)
* 402 서파킬라 (Länsi-Pakilafi, Västra Baggbölesv)
* 403 투오마린퀼래 (Tuomarinkyläfi, Domarbysv)
* 404 오울룬퀼래 (Oulunkyläfi, Åggelbysv)
* 405 동파킬라 (Itä-Pakilafi, Östra Baggbölesv)
'''5. 동북구''' (Koillinen suurpiirifi)
* 501 라토카르타노 (Latokartanofi, Ladugårdensv)
* 502 푸킨매키 (Pukinmäkifi, Bocksbackasv)
* 503 말미 (Malmifi, Malmsv)
* 504 수타릴라 (Suutarilafi, Skomakarbölesv)
* 505 푸이스톨라 (Puistolafi, Parkstadsv)
* 506 야코매키 (Jakomäkifi, Jakobackasv)
'''6. 동남구''' (Kaakkoinen suurpiirifi)
* 601 쿨로섬 (Kulosaarifi, Brändösv)
* 602 헤르토니에미 (Herttoniemifi, Hertonässv)
* 603 라야섬 (Laajasalofi, Degerösv)
'''7. 동구''' (Itäinen suurpiirifi)
* 701 바르티오퀼래 (Vartiokyläfi, Botbysv)
* 702 뮐뤼푸로 (Myllypurofi, Kvarnbäckensv)
* 703 멜룬퀼래 (Mellunkyläfi, Mellungsbysv)
* 704 부오섬 (Vuosaarifi, Nordsjösv)
'''8. 외스테르순돔구''' (Östersundomin suurpiirifi)
* 801 외스테르순돔 (Östersundomsv)
3. 2. 기초구 (Peruspiiri / Distrikt) 목록
파란색: 남구 / 보라색: 서구 / 주황색: 중구 / 초록색: 북구 / 빨간색: 동북구 / 연두색: 동남구 / 노란색: 동구 / 하늘색: 외스테르순돔구]]
헬싱키는 비공식적으로 4개의 지리적 구역으로 나뉘기도 한다. 이 구역들은 명확한 경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중앙 헬싱키: 남부 주요 구역(라우타사리 제외)과 중앙 주요 구역의 남부.
서부 헬싱키: 서부 주요 구역과 라우타사리.
북부 헬싱키: 북부 및 북동부 주요 구역과 중앙 주요 구역의 북부.
동부 헬싱키: 동부 및 남동부 주요 구역.
또한 헬싱키는 10번부터 99번까지 번호가 매겨진 우편 번호 구역으로 나뉜다. 헬싱키 개인 주소의 우편 번호는 00xx0 형태이다. 여기서 앞의 '00'은 헬싱키 지역임을, 가운데 두 자리 'xx'는 우편 번호 구역을, 마지막 '0'은 개인 주소용 코드임을 나타낸다. (우체국 주소는 마지막 숫자가 1이며, 자체 우편 번호를 사용하는 대규모 사업체는 다른 숫자를 사용한다.) (핀란드의 우편 번호 참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