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웨덴어는 인도유럽어족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며, 덴마크어와 함께 동스칸디나비아어 그룹에 속한다. 스웨덴은 16~17세기의 전쟁과 19~20세기 민족주의 발현으로 덴마크어, 노르웨이어와 각각 다른 맞춤법, 사전, 문법을 갖게 되었다. 스웨덴어는 8세기 원노르드어에서 고대 노르드어로 발전하여 동부 고대 노르드어로 분화되었고, 13세기에는 덴마크와 스웨덴의 방언이 확립되었다. 20세기 초 철자 개정으로 정서법이 확립되었고, 1960년대에는 2인칭 대명사에 관한 개혁이 있었다. 현대 스웨덴어는 대부분의 스웨덴인과 핀란드 스웨덴어 사용자가 사용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스웨덴어는 스웨덴어 위원회와 스웨덴 아카데미 등의 규제를 받는다. 과거 에스토니아와 우크라이나에 스웨덴어 소수 민족이 있었으나, 현재는 화자가 소수만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노르드어 - 덴마크어
덴마크어는 인도유럽어족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며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스웨덴어, 노르웨이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이 있으며, 섬 덴마크어, 유틀란드어, 동부 덴마크어의 세 방언 지역으로 나뉘고, 굴절이 적고 어순이 고정된 분석적인 언어이다. - 스웨덴어 - TISUS
TISUS는 역사적 발전을 통해 형성된 핵심 특징을 내포하며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 스웨덴어 - 스웨덴어 알파벳
스웨덴어 알파벳은 ISO 기본 라틴 문자 26자에 Å, Ä, Ö 세 문자가 추가된 29개의 문자 체계로, 이 세 문자는 스웨덴어에서 고유하게 사용되며 'Z' 뒤에 정렬된다. - 스웨덴의 상징 - 스웨덴의 국기
스웨덴 국기는 파란색 바탕에 노란색 스칸디나비아 십자가가 그려진 5:8 비율의 직사각형 깃발로, 16세기 초부터 사용되었으며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시기를 거쳐 현재 디자인으로 확정되어 여러 국가의 깃발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다. - 스웨덴의 상징 - 스웨덴의 국가
스웨덴의 국가로 널리 알려진 "Du gamla, Du fria"는 공식적인 국가는 아니지만, 19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정부 행사나 스포츠 행사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스웨덴 국민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스웨덴어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스웨덴어 |
로마자 표기 | svenska |
발음 | ˈsvɛ̂nːska |
사용 국가 | 스웨덴 핀란드 (과거) 에스토니아 |
사용 지역 | 북유럽 |
사용자 | 모어 화자: 약 992만 명 (2012–2021년) 제2 언어 화자: 약 315만 명 |
언어 순위 | 89위 |
사용자 수 | 930만 명 |
문자 | 라틴 문자 (스웨덴어 알파벳) |
점자 | 스웨덴어 점자 |
공용어 지정 국가 | 핀란드 스웨덴 올란드 제도 유럽 연합 북유럽 이사회 |
언어 관리 기관 | 스웨덴어 위원회 (스웨덴) 스웨덴 아카데미 (스웨덴) 핀란드 언어 연구소 (핀란드) |
ISO 639-1 | sv |
ISO 639-2 | swe |
ISO 639-3 | swe |
링구아 코드 | 52-AAA-ck to -cw |
글롯토로그 | swed1254 |
글롯토로그 명칭 | Swedish |
수화 | 테크나드 스벤스카 (구식) |
언어 계통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게르만어파 |
어군 | 북게르만어군 |
분파 | 동 스칸디나비아어군 |
조상 언어 | 고대 노르드어 고대 동노르드어 고대 스웨덴어 현대 스웨덴어 |
추가 정보 | |
관련 민족 | 스웨덴인 |
유럽 언어 | 유럽의 언어 |
현대 스웨덴어 | 현대 스웨덴어 |
표준 스웨덴어 | 표준 스웨덴어 |
핀란드 스웨덴어 | 핀란드 스웨덴어 |
남부 스웨덴어 방언 | 남부 스웨덴어 방언 |
예탈란드 방언 | 예탈란드 방언 |
스톡홀름 방언 | 스톡홀름 방언 |
스베알란드 방언 | 스베알란드 방언 |
노를란드 방언 | 노를란드 방언 |
동부 스웨덴어 방언 | 핀란드 스웨덴어 에스토니아 스웨덴어 |
고트란드어 | 고트란드어 |
외국어로서의 스웨덴어 | 외국어로서의 스웨덴어 |
의무 스웨덴어 | 의무 스웨덴어 |
이민자를 위한 스웨덴어 | 이민자를 위한 스웨덴어 |
2. 분류 및 관련 언어
스웨덴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의 한 갈래인 북게르만어군에 속한다. 덴마크어와 함께 동스칸디나비아어 그룹에 속하며, 페로어, 아이슬란드어, 노르웨이어가 속하는 서스칸디나비아어 그룹과는 구분된다. 최근 연구에서는 노르웨이어를 동스칸디나비아어 그룹에 포함시켜 북게르만어군을 섬 스칸디나비아어와 본토 스칸디나비아어로 분류하는 경향도 있다. 이는 노르웨이어가 1000년 가까이 덴마크어의 영향을 크게 받은 까닭에 페로어 및 아이슬란드어(섬 스칸디나비아어)에서 분리시킨 것이다.[4]
스웨덴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의 한 갈래인 북게르만어군에 속한다. 덴마크어와 함께 동스칸디나비아어 그룹에 속하며, 페로어, 아이슬란드어, 노르웨이어가 속하는 서스칸디나비아어 그룹과는 구분된다. 최근 연구에서는 노르웨이어를 동스칸디나비아어 그룹에 포함시켜 북게르만어군을 섬 스칸디나비아어와 본토 스칸디나비아어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는 노르웨이어가 1000년 가까이 덴마크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상호이해도 원칙에 따르면 본토 스칸디나비아어는 같은 공통스칸디나비아어의 방언으로 쉽게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스웨덴과 덴마크가 16~17세기의 일련의 전쟁을 통해 강경한 상호적대 관계 속에 있었고, 19세기와 20세기에 일어난 민족주의의 발현으로 스웨덴어와 덴마크어, 노르웨이어는 각각 다른 맞춤법과 사전, 문법 등을 갖게 되었다. 덴마크어와 노르웨이어, 그리고 스웨덴어는 언어학적으로 스칸디나비아어의 방언연속체에 속한다. 그리고 베름란드와 같은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접경 지대 방언은 각각의 노르웨이와 스웨덴 표준어의 중간 지대라 할 수 있다.[4]
3. 역사
상호이해도의 원칙에 따르면 본토 스칸디나비아어는 같은 공통스칸디나비아어의 방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스웨덴과 덴마크가 16~17세기의 전쟁을 통해 강경한 상호적대관계 속에 있었고, 19세기와 20세기에 일어난 민족주의의 발현으로 스웨덴어와 덴마크어, 노르웨이어는 각각 다른 맞춤법과 사전, 문법 등을 갖게 되었다. 덴마크어와 노르웨이어, 그리고 스웨덴어는 언어학적으로 스칸디나비아어의 방언연속체에 속한다. 베름란드와 같은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접경지대 방언은 각각의 노르웨이와 스웨덴 표준어의 중간지대라 할 수 있다.
8세기,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게르만어(원시 노르드어)에서 고대 노르드어가 형성되었다. 이후 동서 두 가지 비슷한 방언, 고서노르드어(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와 고동노르드어(덴마크와 스웨덴)로 나뉘었다. 12세기 초부터 덴마크와 스웨덴의 방언이 갈리기 시작하여 13세기에는 거의 확립되었다고 생각된다.
원래 룬 문자로 쓰였지만, 기독교화와 함께 라틴 문자로 쓰이게 되었고,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많은 차용어가 유입되었다. 13세기 말부터 14세기에 걸쳐 한자 동맹이 세력을 키우면서 중기 저지 독일어(저지 사크센어)의 영향을 받았다. 4격 3성이었던 명사의 어형 변화는 16세기까지 현재의 2격 2성으로 단순화되었다.
공통어·표준어로서의 스웨덴어가 통용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의 일이다. 1906년의 철자 개정에 의해 거의 일관된 정서법이 확립되었다.
3. 1. 고대 노르드어
8세기에 스칸디나비아의 공통 게르만어인 원시 노르드어는 고대 노르드어로 발전했다. 이 언어는 스칸디나비아 전역으로 확산되지 않은 더 많은 변화를 겪었고, 그 결과 ''서부 고대 노르드어''(노르웨이, 페로 제도, 아이슬란드)와 ''동부 고대 노르드어''(덴마크, 스웨덴)라는 유사한 두 가지 방언이 나타났다. 스웨덴에서 사용된 동부 고대 노르드어 방언은 ''룬 문자 스웨덴어''라고 불리며, 덴마크의 방언은 ''룬 문자 덴마크어''라고 불린다. 이 방언들은 주요 텍스트가 룬 문자로 나타나기 때문에 "룬 문자"로 설명된다. 고대 푸타르크 문자로 쓰여진 원시 노르드어와 달리 고대 노르드어는 16개의 문자만 가진 젊은 푸타르크 문자로 쓰여졌다. 룬 문자의 수가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일부 룬 문자는 모음 'u'의 룬 문자와 같이 다양한 음소에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모음 'o', 'ø', 'y'에도 사용되었고, 'i'의 룬 문자는 'e'에도 사용되었다.[5]
1200년 이후로 덴마크의 방언은 스웨덴의 방언과 갈라지기 시작했다. 혁신은 덴마크에서 고르지 않게 확산되어 남쪽의 셰일란에서 북쪽의 노를란, 오스트로보트니아 및 북서부 핀란드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사소한 방언 경계 또는 등어선을 만들었다.[5]
룬 문자 덴마크어를 다른 동부 고대 노르드어 방언과 구분하는 초기 변화는 이중 모음 'æi'가 단모음 'é'로 변화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stæinn'에서 'sténn'("돌")로 변화했다. 이것은 이전에는 'stain'으로 읽히고 나중에는 'stin'으로 읽히는 룬 문자 비문에 반영되어 있다. 또한 'dauðr'과 같은 'au'는 'døðr'("죽은")과 같은 긴 개방형 'ø'로 변화했다. 이 변화는 룬 문자 비문에서 'tauþr'에서 'tuþr'로의 변화로 나타난다. 또한 'øy' 이중 모음은 고대 노르드어의 "섬"이라는 단어에서와 같이 긴 폐쇄 'ø'로 변화했다. 이 기간이 끝날 무렵, 이러한 혁신은 멜라렌 계곡의 북쪽과 동쪽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룬 문자 스웨덴어 사용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이 지역에서는 원격 지역에서 이중 모음이 여전히 존재한다.[6]
3. 2. 구스웨덴어
13세기에 거의 확립되었다고 생각되는 구스웨덴어(스웨덴어: ''fornsvenska'')는 중세 스웨덴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1225년을 시작 시점으로 보는데, 이는 베스트예탈라겐(Västgötalagen)(베스트예타 법)이 처음 편찬된 것으로 여겨지는 해이기 때문이다.[7] 이는 라틴 알파벳으로 쓰인 당시 가장 중요한 문서 중 하나이며, 가장 오래된 스웨덴어 법전 중 하나이다.
이 시기에 중요한 외부적 영향은 로마 가톨릭 교회(기독교 교회)와 다양한 수도회의 확고한 정착과 함께 등장하였으며, 많은 그리스어와 라틴어 외래어를 도입하였다. 13세기 후반과 14세기 초반 한자 동맹의 부상과 함께 중부 저지 독일어가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한자 동맹은 스웨덴 상업과 행정에 많은 저지 독일어 사용 이민자들을 공급하였다. 그들 중 많은 이들이 스웨덴 중세 사회의 매우 영향력 있는 구성원이 되었고, 모국어에서 온 용어들을 어휘에 도입하였다. 전쟁, 무역, 행정과 같은 분야의 많은 외래어 외에도 일반적인 문법적 접미사와 접속사까지 수입되었다. 한자 동맹은 덴마크어로부터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데, 당시 스웨덴어와 덴마크어는 오늘날보다 훨씬 더 유사했다.[9]
초기 구스웨덴어는 현대 스웨덴어와 현저히 달랐는데, 더 복잡한 격 체계를 가지고 있었고 원래 게르만어의 세 가지 성 체계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명사, 형용사, 대명사 및 특정 수사는 네 가지 격으로 활용되었다. 기존의 주격 외에도 소유격(후에 소유격), 여격 및 목적격이 있었다. 성 체계는 현대 독일어와 유사하여 남성, 여성, 중성의 성을 가지고 있었다. 남성과 여성의 성은 나중에 ''공통 성''으로 합쳐져 정관사 접미사 ''-en''과 정관사 ''den''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는 중성의 ''-et''과 ''det''과 대조적이다. 동사 체계도 더 복잡했는데, 가정법과 명령법 법을 포함했고 동사는 인칭과 수에 따라 활용되었다. 16세기까지 구어와 세속 문학의 격과 성 체계는 대부분 현대 스웨덴어의 두 가지 격과 두 가지 성으로 축소되었다.[10]
북유럽 국가에서 라틴 알파벳의 전환 과정에서 "ae"라는 문자 조합은 æ – 그리고 때로는 a' – 로 표기되었지만 사람과 지역에 따라 달랐다. "ao" 조합도 마찬가지로 ao로, "oe"는 oe로 표기되었다. 이 세 가지는 나중에 별개의 문자 ä, å 및 ö로 발전하였다.[11] 새로운 문자가 인쇄물에 처음 사용된 것은 요한 게르손(Johan Gerson)이 1495년에 출판한 ''Aff dyäffwlsens frästilse''("악마의 유혹에 의해")였다.[12]
3. 3. 현대 스웨덴어
현대 스웨덴어(스웨덴어: ''nysvenska'')는 인쇄술의 등장과 유럽의 종교 개혁과 함께 시작되었다. 새로운 군주 구스타브 바사(Gustav Vasa)는 권력을 장악한 후 스웨덴어 성경 번역을 명령했다. 1526년에 신약 성경이 출판되었고, 1541년에는 구스타브 바사 성경(Gustav Vasa Bible)으로 불리는 완전한 성경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이 번역본은 매우 성공적이고 영향력 있는 것으로 여겨져, 후속 개정판을 통해 1917년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성경 번역본으로 남았다. 주요 번역자는 라우렌티우스 안드레애(Laurentius Andreæ)와 라우렌티우스 페트리(Laurentius Petri), 올라우스 페트리(Olaus Petri) 형제였다.[13]
바사 성경은 종종 구어와 신어 사이의 합리적인 절충안으로 여겨진다. 당시의 구어체를 고수하지는 않았지만, 고어 형태를 과도하게 사용하지도 않았다.[14] 이것은 보다 일관된 스웨덴어 표기법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이었다. "å", "ä", "ö"와 같은 모음을 사용하고 "kk" 대신 "ck" 철자를 사용하는 것이 확립되었으며, 이는 특히 국가 간의 지속적인 경쟁을 고려할 때 덴마크어 성경과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세 명의 번역가 모두 스웨덴 중부 출신이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성경에 특정 중부 스웨덴어 특징을 추가한 것으로 간주된다.[15]
성경 번역이 표기법 표준에 매우 강력한 선례를 남긴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 철자는 그 세기의 나머지 기간 동안 더욱 불일치하게 되었다. 철자가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최초의 문법이 쓰여진 17세기가 되어서였다.[16] 이 시대의 대문자 사용은 표준화되지 않았다. 저자와 그들의 배경에 따라 달랐다. 독일어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모든 명사를 대문자로 썼지만, 다른 사람들은 더 적게 대문자를 사용했다. 성경을 인쇄하는 데 사용된 고딕체(blackletter) 때문에 어떤 문자가 대문자로 쓰였는지 항상 명확하지 않았다. 이 서체는 18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고, 점차 라틴 서체(종종 안티쿠아(Antiqua))로 대체되었다.[17]
현대 스웨덴어 시대의 중요한 음운 변화 중 일부는 여러 다른 자음군이 무성 치찰음 [ʃ]로, 나중에는 [ɧ]로 점진적으로 동화된 것이다. 또한 모음 앞에서 [ɡ]와 [k]가 [j]와 무성 치경구개음 [ɕ]로 점진적으로 연화되었다.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도 해당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로 변형되었다.[18]
3. 4. 현대 스웨덴어 (Contemporary Swedish)
현대 스웨덴어(''nysvenska'')는 인쇄술의 등장과 유럽의 종교 개혁과 함께 시작되었다. 새로운 군주 구스타브 바사는 권력을 장악한 후 스웨덴어 성경 번역을 명령했다. 1526년에 신약성경이 출판되었고, 1541년에는 구스타브 바사 성경으로 불리는 완전한 성경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이 번역본은 매우 성공적이고 영향력 있는 것으로 여겨져 1917년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성경 번역본으로 남았다. 주요 번역자는 라우렌티우스 안드레애, 라우렌티우스 페트리, 올라우스 페트리 형제였다.[13]
바사 성경은 구어와 신어 사이의 합리적인 절충안으로 여겨진다. 당시의 구어체를 고수하지는 않았지만, 고어 형태를 과도하게 사용하지도 않았다.[14] 이것은 "å", "ä", "ö"와 같은 모음과 "kk" 대신 "ck" 철자를 사용하는 등 보다 일관된 스웨덴어 표기법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이었으며, 특히 덴마크와의 경쟁을 고려할 때 덴마크어 성경과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세 명의 번역가 모두 스웨덴 중부 출신이었는데, 이는 새로운 성경에 특정 중부 스웨덴어 특징을 추가한 것으로 간주된다.[15]
성경 번역이 표기법 표준에 강력한 선례를 남긴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17세기에 최초의 문법이 쓰여지기 전까지 철자는 더욱 불일치하게 되었다.[16] 이 시대의 대문자 사용은 표준화되지 않았다. 독일어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모든 명사를 대문자로 썼지만, 다른 사람들은 더 적게 대문자를 사용했다. 성경을 인쇄하는 데 사용된 고딕체 때문에 어떤 문자가 대문자로 쓰였는지 항상 명확하지 않았다. 이 서체는 18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고, 점차 라틴 서체(종종 안티쿠아)로 대체되었다.[17]
현대 스웨덴어 시대의 중요한 음운 변화는 여러 자음군이 무성 치찰음 [ʃ]로, 나중에는 [ɧ]로 점진적으로 동화된 것이다. 또한 모음 앞에서 [ɡ]와 [k]가 [j]와 무성 치경구개음 [ɕ]로 점진적으로 연화되었다.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도 해당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로 변형되었다.[18]
오늘날 사용되는 스웨덴어를 포함하는 시대는 언어학에서 nusvenskasv(문자 그대로 "현대 스웨덴어")로 불리며 19세기 후반에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구어체에 가까운 덜 형식적인 서면 형태를 사용하여 언어 민주화가 이루어졌다. 국가 교육 시스템의 성장은 특히 작업 계층에서 boksvenskasv("책 스웨덴어")의 발전으로 이어졌으며, 철자가 발음에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후반 스웨덴의 산업화와 도시화와 함께 새로운 작가들이 스웨덴 문학에 큰 획을 그었다. 구스타프 프뢰딩, 노벨 문학상 수상자 셀마 라겔뢰프, 작가이자 극작가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등 많은 학자, 정치인 및 공인들이 등장하는 국가 언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20]
20세기에 들어서야 모든 스웨덴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국가 언어가 마련되었다. 철자법은 1906년 철자법 개혁으로 안정되었고, 일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거의 통일되었다.[21] 동사의 복수형과 약간 다른 구문(특히 서면 언어)을 제외하고는 오늘날의 스웨덴어와 동일했다. 복수 동사 형태는 1950년대까지 공식적인 글쓰기에서 점차 사라졌다.[22][23]
1960년대 후반, 스웨덴어에서 du-reformensv("당신 개혁")으로 불리는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다. 이전에는 동등하거나 더 높은 사회적 지위의 사람들에게 호칭과 성으로 호칭하는 것이 적절했다. herrsv("Mr", "Sir"), frusv("Mrs", "Ma'am"), frökensv("Miss")을 사용하는 것이 직업, 학위, 군 계급을 알 수 없는 낯선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는 유일하게 허용되는 방법이었다. 20세기 초, 호칭을 nisv(프랑스어의 vous프랑스어와 유사, T-V 구별 참조)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했다. Nisv는 낮은 사회적 지위의 사람들에게 사용되는 2인칭 단수 대명사인 dusv보다 덜 친숙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스웨덴 사회의 자유주의와 급진화와 함께 계급 차이는 덜 중요해졌고, dusv는 공식적인 맥락에서도 표준이 되었다. 이 개혁은 중앙 집권적인 정치적 결정이 아니라 사회적 태도의 변화로,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까지 완료되었다.[24] nisv를 정중한 호칭으로 사용하는 것은 오늘날에도 고령자들 사이에서 간혹 발견된다.[25]
4. 음운
스웨덴어는 모음이 풍부한 언어이다. 스웨덴어 방언에는 17개 또는 18개의 모음 음소가 있으며, 장모음과 단모음이 각각 9개씩 있다. 영어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장모음은 단모음 중 하나와 음성적으로 짝을 이루며, 단모음이 약간 더 낮고 중앙화되어 있다. a, o, u, å는 경모음(硬母音)이라 불리고, e, i, y, ä, ö는 연모음(軟母音)이라고 불리는데, 이들은 발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음의 경우, 18개의 자음 음소가 있으며, 그중 와 두 개는 화자의 방언과 사회적 지위에 따라 발음이 상당히 달라진다. 특히, 많은 방언에서 (치경음으로 발음됨)와 치음의 순서가 후설 자음을 만든다. 는 남부 스웨덴 방언에서 구개수 또는 "프랑스어 R" 발음을 가지는데, 이 때문에 해당 방언에는 후설 자음이 없다.[51]
스웨덴어는 강세-시간 언어로, 강세를 받는 음절 사이의 시간 간격이 같다. 하지만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음절-시간 언어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52] 강세를 받는 음절에는 두 가지 억양 중 하나가 사용되는데, 이것이 스웨덴어 특유의 음색을 만들어 낸다. 운율은 종종 방언 간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 중 하나로 나타난다.[53]
4. 1. 발음 상의 유의점
스웨덴어는 17개 또는 18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9개는 장모음, 9개는 단모음이다. 대부분의 장모음은 단모음과 음성적으로 짝을 이루는데, 단모음은 약간 더 낮고 중앙화되어 있다. 많은 방언에서 또는 로 발음되는 단모음은 짧은 와 합쳐졌다.[50]스웨덴어에는 18개의 자음 음소가 있으며, 그중 와 두 개는 방언과 사회적 지위에 따라 발음이 다르다. 많은 방언에서 와 치음의 순서는 후설 자음을 만든다. 는 남부 스웨덴 방언에서 구개수 발음을 가지며, 이 방언에는 후설 자음이 없다.[51]
스웨덴어는 강세-시간 언어이지만, 일상 대화에서는 음절-시간 언어 경향을 보인다.[52] 강세를 받는 음절에는 두 가지 억양 중 하나가 있어 독특한 음색을 만든다. 운율은 방언 간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 중 하나이다.[53]
강약 악센트 외에도 두 종류의 고저 악센트를 취하는 단어가 많다. 스웨덴어 발음에서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 g: g 뒤에 악센트가 있는 연모음을 취하는 경우 [j]가 되고, 경모음을 취하는 경우 [g]가 된다.
#: Göteborg /'jøːtːeborj/ (예테보리[85]): 예테보리
#: gå /ɡoː/ (고[86]): 가다
# k: k 뒤에 악센트가 있는 연모음을 취하는 경우 [ç] 또는 가 되고, 경모음을 취하는 경우 [k]가 된다.
#: kyss /'çʏs/ (슈스[87]): 키스
#: katt /'kat/ (카트[88]): 고양이
# sk: sk 뒤에 악센트가 있는 연모음을 취하는 경우 이 되고, 경모음을 취하는 경우 [sk]가 된다.
#: sked /ɧeːd/ (후에드[89]): 숟가락
#: Skåne /skoːnɛ/ (스코네[90]): 스케오네
# skt: skt의 경우 k는 묵음이 된다.
#: dramatiskt /dramɑː'tɪst/ (드라마티스크[91]): 드라마틱한
# 어말의 -rg/-lg는 [-rj], [-lj]가 된다.
#: berg /'bæɾj/ (바리[92]): 산
# 어두에 dj, gj, hj, lj가 있는 경우, j만 읽는다.
#: djup /'jʉːp/ (유프[93]): 깊은
#: hjul /'jʉːl/ (율[94]): 바퀴
# r + {d, l, n, s, t} (rd, rl, rn, rs, rt)의 경우, r이 설측음에 동화되어 설면음이 된다.
#: pärla /'pæːɭa/ (팰라[95]): 진주
#: Anders /'andæʂ/ (안데쉬[96]): 앤드류
# -tion, -sion, -xion이 어미인 경우, ti, si 부분은 (드물게 ), xi 부분은 로 발음한다.
#: lektion /lɛk'ɧuːn/ (렉훈[97]): 수업
#: passion /pa'ɧuːn/ (파훈[98]): 열정
#: reflexion /rɛflɛk'ɧuːn/ (레플렉훈[99]): 반사
#: nation /nat'ɧuːn/ (나트훈[100]): 국가
5. 문법
스웨덴어는 대부분의 게르만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V2 어순을 따르며, 유한 동사가 문장에서 두 번째 위치에 온다.[54] 스웨덴어 형태론은 영어와 유사하여 단어의 어미 변화가 비교적 적다. 스웨덴어는 두 가지 성[54]과 두 가지 격 – 주격과 소유격 –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지만, 소유격 '-s'를 첨가어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54] 또한, 두 가지 수 – 복수와 단수 –를 가진다.[54] 형용사는 비교급과 최상급 형태를 가지며, 성, 수, 정성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54] 명사의 정성은 주로 접미사(어미)를 통해 표시되며, 정관사와 부정관사 관사가 보완적으로 사용된다.[54] 운율에는 강세와 음조가 특징으로 나타나며, 다양한 모음과 무성 후경구개 설후 마찰음과 같은 독특한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54]
스웨덴어 대명사는 영어와 유사하며, ''han''(그)과 ''hon''(그녀) 외에도 보통 성 ''den''과 중성 ''det''이 있다.[56] 최근에는 성중립 대명사 ''hen''이 도입되었다.[56] 대명사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 형태를 가진다.[56] 스웨덴어는 명사구의 머리 끝에 붙는 소유격을 가지고 있었으나, 현대 스웨덴어에서는 명사 자체가 아니라 명사구의 끝에 붙는 첨가어 ''-s''가 되었다.[57]
다른 언어가 격을 사용하는 곳에서 스웨덴어는 영어와 유사한 많은 전치사를 사용한다.[59]
스웨덴어는 게르만어이므로, 구문론은 영어와 독일어 모두와 유사점을 보인다. 영어와 마찬가지로 스웨덴어는 주어-동사-목적어 기본 어순을 가지고 있지만,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주절에서 동사-두 번째 어순을 사용한다.[60] 전치사구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장소-방식-시간 순서로 배치된다.[60]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60] 동사-두 번째(도치) 어순은 의문문에도 사용된다.[61]
5. 1. 명사 (일본어 위키 문서)
스웨덴어 명사는 성과 수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명사는 보통 성(''en'' 형태) 또는 중성(''ett'' 형태)이다.[55] 성은 형용사의 어미 변화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물고기"라는 단어 ''fisk''는 보통 성 명사(''en fisk'')이며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단수 | 복수 | |
---|---|---|
부정형 | fisk | fiskar |
정형 | fisken | fiskarna |
명사의 정관사 단수형은 성과 명사가 모음으로 끝나는지 여부에 따라 접미사(''en'', ''n'', ''et'', ''t'')를 붙여 만든다. 정관사 ''den'', ''det'', ''de''는 명사의 정성에 대한 변형에 사용된다. 이들은 부사인 ''här''("여기") 또는 ''där''("저기")와 함께 ''den/det här (denna/detta로도 사용 가능)''("이것"), ''de här (dessa로도 사용 가능)''("이것들"), ''den/det där''("저것"), ''de där''("저것들")을 형성할 때 지시대명사 또는 지시 한정사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en där fisken''은 특정 물고기를 가리키는 "저 물고기"를 의미하고, ''den fisken''은 "저 물고기"를 더 추상적인 의미(예: 그 물고기 무리)로 나타내며, ''fisken''은 "그 물고기"를 의미한다. 특정 경우에는 정형이 소유를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jag måste tvätta håret''는 ("나는 내 머리를 감아야 한다")를 의미한다.[56]
소유격은 명사 어미에 -s를 붙여 만든다. 단, -s, -x, -z인 경우에는 붙일 필요가 없다.
:예) fader: fader'''s'''(아버지의), Lars: Lar'''s'''(라르스의) ※ 단, 어포스트로피를 붙여 Lars'로 해도 좋다.
과거에는 여격과 목적격이 존재했지만, 주격과 동형이 되어 사라졌다.
명사에는 공성명사(양성명사)와 중성명사의 두 종류가 있다. 과거에는 공성명사가 남성명사와 여성명사로 구분되었지만, 현재는 공성명사(범성 genus utrumla이라고도 함)로 통일되어 있다. 공성명사는 부정관사 '''en''', 정관사 '''den''', 중성명사는 부정관사 '''ett''', 정관사 '''det'''을 취한다. 또한 형용사의 활용 등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학습 시 중요하다.
복수형은 다음 5가지 유형으로 크게 나뉜다.
# 단수 부정형이 -a로 끝나는 공성명사 ⇒ 복수 어미는 -or
#:예) en flicka(소녀): flick'''or'''
# 한 음절 단어의 공성명사 및 -el/-en/-er/-ing/-dom으로 끝나는 중성명사 ⇒ 복수 어미는 -ar
#:예) en stol(의자): stol'''ar'''
# 라틴어 계 외래어의 대부분 ⇒ 복수 어미는 -(e)r
#:예) en familj(가족): familj'''er'''
# 마지막 모음에 악센트가 없는 중성명사 ⇒ 복수 어미는 -n
#:예) ett äpple(사과): äpple'''n'''
# 자음으로 끝나는 중성명사 ⇒ 단수/복수 동형
#:예) ett golv(바닥) ⇒ golv
다른 유럽 언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명사 앞에 붙는 정관사(''영어.''the, ''프랑스어.''le/la, ''독일어.''der/die/das 등)는 스웨덴어에서는 명사의 '''어미'''로 나타난다.[101] 기본적으로 부정관사가 그대로 명사 어미에 붙어 정형을 만드는 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공성명사로 어미가 자음인 경우 ⇒ 부정관사 en을 그대로 어미에 붙인다(어미 -en)
#:예) en bil(자동차): bil'''en'''
# 공성명사로 어미가 모음인 경우 ⇒ 부정관사 en의 "e"가 탈락하고 어미에 붙는다(어미 -n)
#:예) en flicka(소녀): flicka'''n'''
# 중성명사로 어미가 자음인 경우 ⇒ 부정관사 ett의 "t"가 하나 탈락하고 어미에 붙는다(어미 -et)
#:예) ett hus(집): hus'''et'''
# 중성명사로 어미가 모음인 경우 ⇒ 부정관사 ett의 "et"가 탈락하고 어미에 붙는다(어미 -t)
#:예) ett äpple(사과): äpple'''t'''
5. 2. 동사 (일본어 위키 문서)
스웨덴어 동사는 시제에 따라 활용된다. 한 무리의 동사(현재 시제에서 ''-er''로 끝나는 동사)는 특별한 명령법 형태(일반적으로 동사 어근)를 가지지만, 대부분의 동사의 명령법은 원형과 동일하다. 완료 및 현재 분사는 형용사적 동사로 매우 일반적이다.[56]:완료분사: ''en stekt fisk''; "튀긴 물고기"(steka|튀기다sv)
:현재분사: ''en stinkande fisk''; "썩는 물고기"(stinka|썩다sv)
영어와 다른 많은 언어와 달리, 스웨덴어는 현재완료와 과거완료를 형성하는 데 완료분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har''("있다"), ''hade''("있었다")라는 조동사 다음에 이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특별한 형태인 보어가 온다(하지만 종종 완료분사의 중성형과 동일하다).[56]
:완료분사: ''målad'', "칠해진" – 보어 ''målat'', 현재완료 ''har målat''; "칠했다"
:완료분사: ''stekt'', "튀긴" – 보어 ''stekt'', 현재완료 ''har stekt''; "튀겼다"
:완료분사: ''skriven'', "쓴" – 보어 ''skrivit'', 현재완료 ''har skrivit''; "썼다"
''att bli'' 동사를 사용하여 복합 수동태를 만들 때는 과거분사가 사용된다.
:''den blir målad''; "그것은 칠해지고 있다"
:''den blev målad''; "그것은 칠해졌다"
현재 시제의 마지막 ''r''을 ''-s''로 바꾸어 만든 활용 수동태도 있다.
:''den målas''; "그것은 칠해지고 있다"
:''den målades''; "그것은 칠해졌다"
종속 절에서는 조동사 ''har''가 생략될 수 있으며, 특히 문어체 스웨덴어에서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Jag ser att han (har) stekt fisken''; "나는 그가 물고기를 튀겼다는 것을 본다"
가정법은 일부 동사에 가끔 사용되지만,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몇 안 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사(예: ''vore, månne'')를 별개의 활용으로 인식하는 화자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관용구로만 남아 있다.[56]
스웨덴어에는 다른 유럽 언어들처럼 인칭에 따른 동사 활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존재했지만, 현대 스웨덴어에서는 사라졌다. 시제 체계는 현대 영어와 유사하지만 차이점도 있다. 아래는 규칙 동사의 네 가지 유형의 시제 변화이다.
유형 | 예시 | 현재형 | 과거형 | 완료분사 | 과거분사 |
---|---|---|---|---|---|
유형 1: 어간이 -a로 끝나는 것 | tala|말하다sv | talar | talade | ha talat | talad |
유형 2-1: 어간이 유성 자음으로 끝나는 것 | stänga|닫다sv | stänger | stängde | ha stängt | stängd |
유형 2-2: 어간이 무성 자음으로 끝나는 것 | köpa|사다sv | köper | köpte | ha köpt | köpt |
유형 3: -a 이외의 모음으로 끝나는 것 | sy|바느질하다sv | syr | sydde | ha sytt | sydd |
6. 어휘
스웨덴어 어휘는 주로 게르만어족에 속하며, 공통 게르만어 유산 또는 독일어, 중부 저지 독일어, 그리고 어느 정도 영어로부터 차용된 단어들로 이루어져 있다. 스웨덴어의 게르만어 단어의 예로는 ''mus''("쥐"), ''kung''("왕"), ''gås''("거위") 등이 있다.[62] 종교 및 과학 어휘의 상당 부분은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며, 종종 프랑스어를 거쳐, 최근에는 영어를 통해 차용되었다. 또한 스칸도로마니어 또는 로마니어에서 100~200개 정도의 단어가 차용되었는데, 이는 종종 속어 형태로 사용된다. 로마니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로는 ''tjej''("소녀")가 있다.[62]
18세기경 스웨덴에는 많은 수의 프랑스어 단어가 유입되었다. 이러한 단어들은 스웨덴어 철자 체계에 따라 전사되었으며, 따라서 프랑스어 화자에게는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발음된다. 이 단어들의 대부분은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있는 "프랑스식 악센트"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nivå''(niveau|수준프랑스어), ''fåtölj''(fauteuil|안락의자프랑스어), ''affär''("가게; 일") 등이 있다. 다른 게르만어에서의 상호 차용도 흔했는데, 처음에는 한자 동맹의 공용어였던 중부 저지 독일어에서, 나중에는 표준 독일어에서 차용되었다. 일부 복합어는 독일어 원어의 구성 요소를 스웨덴어로 번역한 것이다(역어). 예를 들어, 독일어 ''Baumwollede''("목화"; 문자 그대로 "나무 털")에서 유래한 ''bomullsv''이 있다.[63]
많은 게르만어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단어는 합성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agellackborttagningsmedelsv''("매니큐어 제거제")와 같은 명사나 ''smyglyssnasv''("엿듣다")와 같은 동사가 있다.[65][64] 복합 명사는 스웨덴어에서 항상 마지막 형태소인 중심어에서 성을 취한다.[65] 새로운 단어는 다른 기존 단어에서 파생하여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명사에 접미사 ''-a''를 붙여 동사화하는 방법이 있다. ''bilsv''("자동차")와 ''bilasv''("자동차로 여행하다")가 그 예이다.[66] 그 반대로, 동사로부터 명사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tänkasv''("생각하다")에서 유래한 ''tänksv''("사고방식; 개념")이 그 예이다.[67]
7. 표기
로마자를 사용하며, 마지막 세 글자는 å, ä, ö이다.
현대 스웨덴어(스웨덴어: ''nysvenska'')는 인쇄술의 등장과 유럽의 종교 개혁과 함께 시작되었다. 새로운 군주 구스타브 바사(Gustav Vasa)는 권력을 장악한 후 스웨덴어 성경 번역을 명령했다. 1526년에 신약 성경이 출판되었고, 1541년에는 완전한 성경 번역본이 출판되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구스타브 바사 성경(Gustav Vasa Bible)''으로 불리며, 매우 성공적이고 영향력 있는 번역으로 1917년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성경 번역본으로 남았다. 주요 번역자는 라우렌티우스 안드레애(Laurentius Andreæ)와 형제인 라우렌티우스 페트리(Laurentius Petri)와 올라우스 페트리(Olaus Petri)였다.[13]
바사 성경은 종종 구어와 신어 사이의 합리적인 절충안으로 여겨진다. 당시의 구어체를 고수하지는 않았지만, 고어 형태를 과도하게 사용하지도 않았다.[14] 이것은 보다 일관된 스웨덴어 표기법(Swedish orthography)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이었다. "å", "ä", "ö"와 같은 모음과 "kk" 대신 "ck" 철자를 사용하여 확립되었으며, 특히 국가 간의 지속적인 경쟁을 고려할 때, 덴마크어 성경과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세 명의 번역가 모두 스웨덴 중부 출신이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성경에 특정 중부 스웨덴어 특징을 추가한 것으로 간주된다.[15]
성경 번역이 표기법 표준에 매우 강력한 선례를 남긴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 철자는 그 세기의 나머지 기간 동안 더욱 불일치하게 되었다. 철자가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최초의 문법이 쓰여진 시기인 17세기가 되어서였다.[16] 이 시대의 대문자 사용은 표준화되지 않았다. 독일어(German language)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모든 명사를 대문자로 썼지만, 다른 사람들은 더 적게 대문자를 사용했다. 성경을 인쇄하는 데 사용된 고딕체 또는 블랙레터(blackletter) 서체 때문에 어떤 문자가 대문자로 쓰였는지 항상 명확하지 않다. 이 서체는 18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고, 점차 라틴 서체(종종 안티쿠아(Antiqua))로 대체되었다.[17]
스웨덴어 알파벳은 26자의 ISO 기본 라틴 알파벳에 세 글자 åsv, äsv, ösv를 더한 29자의 알파벳이다. 이 세 글자는 16세기에 osv와 esv를 asv 위에, esv를 osv 위에 써서 만들어졌다. 영어에서 사용하는 구분 부호라는 용어의 의미 범위에 따르면 이 조합들은 역사적으로 asv와 osv의 변형된 버전이지만, 스웨덴어에서는 이 세 글자는 구분 부호로 간주되지 않고 별개의 독립적인 글자로, zsv 다음에 온다. 2006년 4월 Svenska Akademiens ordlistasv 13판이 발표되기 전에는 wsv는 "Wallenberg"와 같은 고유명사와 "bowling"과 같은 외래어에서만 사용되는 vsv의 변형으로 간주되어 vsv로 발음되고 정렬되었다. 다른 구분 부호(여기서 언급된 영어 용어의 더 넓은 의미를 사용)는 스웨덴어에서 드물다. ésv는 특히 강세가 의미를 바꿀 때 (idesv 대 idésv, "겨울 굴" 대 "생각") 종결음절에 esv가 있는 경우 강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Kastrénsv과 같은 일부 이름에도 사용된다. 때때로 다른 악센트와 드물게 그래브 악센트가 이름과 일부 외래어에서 볼 수 있다. àsv는 단위원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프랑스어에서 차용), 영어의 앳 기호(@sv)와 같다.[68]
독일어 üsv는 ysv의 변형으로 간주되며, 때때로 müslisv("뮤즐리/그래놀라")와 같이 외래어 이름과 단어에서 유지된다. 적절한 분음 부호는 매우 예외적으로 정교한 스타일에서 볼 수 있다(예: "Aïda"). 독일어 관습에서 글자가 없을 경우 äsv와 ösv를 aesv와 oesv로 쓰는 것은 현대 스웨덴어 화자에게는 드문 관습이다. 스웨덴 국가 최상위 인터넷 도메인 및 기타 유사 도메인에서 이러한 모든 문자가 사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스웨덴어 사이트는 시각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asv와 osv를 사용하여 자주 표시된다. 하지만 2003년부터 åsv, äsv, ösv를 사용하여 스웨덴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다.[69]
스웨덴어 표기법에서 콜론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영어와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콜론은 3:esv를 tredjesv("셋째")로, S:tsv를 Sanktsv("성")으로 나타내는 등 일부 약어에 사용되며, a:etsv("a") 및 CD:nsv("CD")과 같이 숫자, 문자 및 약어에 추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접미사에도 사용된다. 또는 USA:ssv("미국의")와 같은 소유격 형태에도 사용된다.[70]
8. 방언
스웨덴어 발음은 넓은 지리적 거리와 역사적 고립으로 인해 지역마다 크게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휘는 표준화되어 있어 스웨덴 내 방언들은 사실상 완전히 상호 이해 가능하다.
전통적인 스웨덴어 방언 분류에 따르면, 주요 방언 그룹은 여섯 가지가 있다.[71][72]
- 노르란드 방언
- 핀란드 스웨덴어
- 스베알란드 방언
- 고틀란드 방언
- 예탈란드 방언
- 남 스웨덴 방언
전통적인 스웨덴어 방언의 정의는 표준어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고, 고대 노르드어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별개의 발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지역적 변종이다. 달라르나주 오르샤 또는 외스터보텐주 뇌르페스와 같은 진정한 농촌 방언은 동사의 복수형이나 고어체 격 어미와 같은 매우 독특한 음운론적 및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언들은 대다수의 스웨덴인들에게 거의 이해할 수 없을 정도이며, 대부분의 화자들은 표준 스웨덴어에도 유창하다. 서로 다른 방언들은 종종 개별 교구로 제한될 정도로 지역화되어 있으며, 스웨덴어 언어학자들은 이를 ''sockenmål''(직역: "교구 방언")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분류는 낭만적인 민족주의적 관점에 기반을 두고 있다. 스웨덴어의 농촌 변종만을 "진정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생각은 현대 학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19세기 후반부터 대중 매체와 발전된 교통수단의 출현으로 인해, 아무리 외딴 곳이나 알려지지 않은 방언이라도 주변 방언이나 표준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변화 없이 남아 있지는 않았다. 오늘날의 차이점은 상황에 따라 동일인의 말투조차도 "표준어"에서 "농촌 방언"까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 척도로 더 정확하게 설명된다. 달라르나, 노르보텐 및 어느 정도 고틀란드의 매우 다양한 말투를 제외한 모든 스웨덴어 방언은 상호 이해 가능한 공통 방언 연속체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연속체에는 노르웨이 방언과 일부 덴마크 방언도 포함될 수 있다.[74]

화자 인구는 적지만, 사용 지역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방언의 다양성이 높다. 비화자가 들어도 명확하게 차이를 알 수 있는 방언으로는 스코네(스웨덴어: skånska)[102], 스웨덴계 핀란드인이 사용하는 핀란드 스웨덴어(스웨덴어: finlandssvenska)가 있다. 또한 고틀란드어도 스웨덴어 방언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103] 노르웨이와 가까운 지역, 달라르나주, 노르보텐주 등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8. 1. 표준 스웨덴어
표준 스웨덴어(Standard Swedish)는 사실상 모든 스웨덴인과 대부분의 핀란드 스웨덴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스웨덴에서는 "rikssvenska" 또는 "standardsvenska" (표준 스웨덴어)라고 한다.[76] 핀란드에서는 핀란드 표준 스웨덴어 변종에 대해 "högsvenska" (고급 스웨덴어)가 사용되며, "rikssvenska"는 일반적으로 스웨덴에서 사용되는 스웨덴어를 가리킨다.[77]2005년 스웨덴 소매 연구소 (http://www.hui.se/ Handelns Utredningsinstitut)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판매원의 특정 방언 사용에 대한 스웨덴인의 태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4%가 전화로 판매원과 대화할 때 "rikssvenska"를 듣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이 설문 조사에서는 "gotländska"나 skånska와 같은 방언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78]
8. 2. 핀란드 스웨덴어
핀란드는 13세기부터 1809년 러시아에 핀란드 영토를 빼앗길 때까지 스웨덴의 일부였다. 1902년까지 스웨덴어는 유일한 행정 언어였으며, 1917년 핀란드 독립까지 문화와 교육의 주요 언어였다.[79] 그 이후 핀란드 내 스웨덴어 사용자 비율은 꾸준히 감소했다.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주로 오스트로보트니아 지역, 핀란드 남서부, 우시마(뉘란드)의 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일부 지자체에서는 인구의 90% 이상이 스웨덴어를 사용하고, 올란드 제도에서는 대다수의 인구가 스웨덴어를 사용하며 유일한 공용어이다. 그러나 스웨덴어는 핀란드어와 동일한 공식 지위를 가진 핀란드의 다른 지역에서도 공용어이다.[79] 국영 방송사인 Yle는 스웨덴어 방송으로 Yle Vega와 Yle X3M 두 개의 라디오 방송국과 Yle Fem TV 채널을 운영한다.[80]8. 3. 이민자 변종
린케비(Rinkeby) 스웨덴어(Rinkeby - 스톡홀름 북부의 이민자 인구가 많은 교외 지역)는 언어학자들이 스톡홀름, 예테보리(Gothenburg), 말뫼(Malmö) 주요 도시의 특정 교외 지역과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 출신 배경을 가진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스웨덴어 변종을 일컫는 일반적인 명칭이다.[81] 이러한 변종들은 사용자의 지리적 분포나 모국과 관계없이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하기 때문에 사회언어로 분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독특한 특징이 발견되어 스카니아 방언(Scanian dialect)의 변종인 로젠가르드 스웨덴어(말뫼(Malmö)의 로젠가르드(Rosengård))와 같은 용어가 생겨났다.[81] 스웨덴 언어학자 울라-브리트 코트시나스(Ulla-Britt Kotsinas)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외국어 학습자는 스톡홀름 린케비 스웨덴어 사용자의 출신지를 추측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가장 어려웠던 것은 부모 모두 스웨덴 사람인 소년이 사용하는 린케비 스웨덴어를 식별하는 것이었는데, 그의 모국어를 정확하게 추측한 사람은 1.8%에 불과했다.[82]소설과 힙합 문화, 랩 가사 등 다국어 도시 환경에서의 새로운 언어적 관행이 등장하여 기존의 사회언어학적 영역을 넘어섰다.[83]
9. 스웨덴어 규제 기관
스웨덴어 위원회(스웨덴어: Språkrådetsv)는 스웨덴어의 규제 기관이지만, 프랑스 아카데미(Académie française)가 프랑스어에 대해 하는 것처럼 언어 사용을 강제로 통제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많은 단체와 기관에서는 공식적인 맥락에서 위원회의 출판물인 'Svenska skrivregler'의 사용을 요구하며, 그렇지 않으면 사실상의 표기법 표준으로 간주된다. 스웨덴어 위원회를 구성하는 많은 단체 중에서 스웨덴 아카데미(1786년 설립)가 가장 영향력이 큰 단체라고 할 수 있다. 스웨덴 아카데미의 주요 도구는 철자 사전인 'Svenska Akademiens ordlista'(SAOL, 현재 14판)와 사전 'Svenska Akademiens Ordbok' 외에도 문법, 철자 및 스타일 매뉴얼에 관한 다양한 서적이다. 이러한 사전에는 규범적인 요소가 있지만 주로 현재 사용법을 설명한다.[45]
핀란드에서는 핀란드어 연구소의 특별 부서가 핀란드 스웨덴어의 규제 기관으로서 공식적인 지위를 갖고 있다. 그 최우선 과제 중 하나는 스웨덴에서 사용되는 언어와의 상호 이해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기관은 핀란드 스웨덴어와 스웨덴 스웨덴어의 차이점에 대한 사전인 'Finlandssvensk ordbok'을 출판했다.[46]
10. 에스토니아와 우크라이나의 스웨덴어 소수 민족
13세기부터 20세기까지 히이우마아(Hiiumaa)(스웨덴어로 ''Dagö''), 보름시(Vormsi)(''Ormsö''), 루흐누(Ruhnu)(''Runö'') 섬과 발트 해(Baltic Sea) 연안을 중심으로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공동체가 에스토니아에 존재했으나, 현재는 모두 사라졌다. 이들은 의회(parliament)에 대표를 파견했고, 의회 토론에서 모국어를 사용할 권리가 있었다. 18세기 초 에스토니아가 러시아 제국(Russian Empire)에 넘어가면서, 약 1,000명의 에스토니아 스웨덴인(Estonian Swedish)들이 우크라이나 남부로 강제 이주당했고, 그곳에 감말스벤스뷔(Gammalsvenskby)(''옛 스웨덴 마을'')라는 마을을 세웠다. 이 마을의 일부 노인들은 여전히 스웨덴 방언을 사용하고 스웨덴 달력의 휴일을 지키지만, 방언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47]
1918년부터 1940년까지 에스토니아가 독립했을 때, 스웨덴 공동체는 좋은 대우를 받았다. 해안가에 위치한 스웨덴어 사용 인구가 다수인 지자체에서는 스웨덴어가 행정 언어로 사용되었고, 스웨덴-에스토니아 문화는 부흥기를 맞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웨덴어 사용자들은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이 끝나기 전인 1944년 소련군의 에스토니아 침공 전에 스웨덴으로 탈출했다. 현재는 소수의 화자만 남아 있다.[48]
참조
[1]
웹사이트
Svenska talas också i Finland
https://svenskasprak[...]
2021-08-16
[2]
웹사이트
Nordic Languages: What's The Difference?
https://wordminds.co[...]
2023-02-03
[3]
웹사이트
Var tionde Oslobo är nu svensk
https://web.archive.[...]
Sverige-Norge Personalförmedling
2018-10-11
[4]
논문
Scandinavian
[5]
논문
Språkhistorisk översikt
[6]
논문
[7]
기타
[8]
논문
Språkhistorisk översikt
[9]
논문
Språkhistorisk översikt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Språkhistorisk översikt
[13]
논문
Språkhistorisk översikt
[14]
논문
[15]
서적
The Nord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6]
웹사이트
Svenska språket
https://web.archive.[...]
Svenska institutet
2012-10-25
[17]
서적
The Nord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8]
논문
[19]
서적
Språkriktighetsboken
Svenska språknämnden and Norstedts
2013
[20]
논문
chapter 2
[21]
서적
Sociolinguistic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2]
서적
Writing in Nonstandard English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3]
서적
The Nord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4]
기타
[25]
서적
Swedish: An Essential Grammar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6]
웹사이트
Population structure
https://www.stat.fi/[...]
2007-11-27
[27]
웹사이트
Main outlines of Finnish History – thisisFINLAND
http://finland.fi/pu[...]
2015-04-26
[28]
웹사이트
Svensk- och tvåspråkiga kommuner
http://www.kommunern[...]
2007-12-03
[29]
논문
Sveriges språk ute i världen
[30]
웹사이트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http://ec.europa.eu/[...]
2016-01-06
[31]
간행물
The Contribution of Linguistic Factors to the Intelligibility of Closely Related Languages
http://www.let.rug.n[...]
2014-07-19
[32]
웹사이트
Swedish
http://www.usefounda[...]
2015-02-27
[33]
웹사이트
2006 Census: Highlight tables
http://www12.statcan[...]
2.statcan.ca
2008-09-28
[34]
뉴스
Krisberedskap på svenska ambassaden
http://www.dn.se/nyh[...]
2012-01-04
[35]
웹사이트
Learn Swedish
http://www.studyinsw[...]
2011-01-27
[36]
웹사이트
1940 Census of Population: Mother Tongue, by Nativity, Parentage, Country of Origin, and Age, for States and Large Cities
https://www2.census.[...]
1943-00-00
[37]
웹사이트
Swedish
https://cla.umn.edu/[...]
[38]
웹사이트
About
https://www.cityofli[...]
[39]
웹사이트
Språklagen
http://www.sprakfors[...]
2009-07-01
[40]
웹사이트
Swedish becomes official 'main language'
http://www.thelocal.[...]
thelocal.se
2009-07-01
[41]
웹사이트
Svenskan blir inte officiellt språk
http://www.svt.se/ny[...]
2005-12-07
[42]
웹사이트
Värna språken – förslag till språklag
http://www.regeringe[...]
2008-03-18
[43]
웹사이트
Konvention mellan Sverige, Danmark, Finland, Island, och Norge om nordiska medborgares rätt att använda sitt eget språk i annat nordiskt land
http://www.norden.or[...]
2007-05-02
[44]
웹사이트
20th anniversary of the Nordic Language Convention
http://www.norden.or[...]
2007-02-22
[45]
웹사이트
Norm och bruk i SAOL
https://gupea.ub.gu.[...]
Nordisk forening for leksikografi i samarbeit med Nordisk språksekretariat
2002-00-00
[46]
학술지
Normeringen i Finlandssvensk ordbok
http://ojs.statsbibl[...]
2002-00-00
[47]
백과사전
svenskbyborna
[48]
백과사전
estlandssvenskar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학술지
Fonetik 2005
https://flov.gu.se/f[...]
University of Gothenburg
2005-05-00
[53]
논문
[54]
서적
Språkriktighetsboken
Norstedts
2005-00-00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웹사이트
Swedish Grammar {{!}} Syntax
https://www.lysator.[...]
Lysator Society, Linköping University
2013-08-00
[62]
논문
[63]
백과사전
svenska: språkhistoria
[64]
웹사이트
Smyglyssna
http://ordbok.woxiko[...]
[65]
웹사이트
Minor Grammar English-Swedish
https://www.scribd.c[...]
Scribd
[66]
서적
Bila
Prisma
1976-00-00
[67]
웹사이트
Språket lever {{!}} tänk
https://www.sprakins[...]
Institutet för de inhemska språken
2016-02-18
[68]
논문
[69]
웹사이트
Domain names with characters like å, ä, ö (IDN)
https://www.iis.se/e[...]
iiS
[70]
논문
[71]
논문
Språklig variation i tid och rum
2010
[72]
웹사이트
Hur många dialekter finns det i Sverige? Var går gränsen mellan olika dialekter?
http://www.sprakochf[...]
Institutet för språk och folkminnen
2017-02-03
[73]
논문
1996
[74]
논문
2000
[75]
논문
1996
[76]
웹사이트
standardspråk
https://www.ne.se/up[...]
Nationalencyklopedin AB
2018-03-03
[77]
웹사이트
Do answers to a questionnaire give reliable data?
https://web.archive.[...]
Helsinki University
2018-03-03
[78]
뉴스
Norrländska låter bäst
https://web.archive.[...]
Dagens Industri
2005-05-03
[79]
웹사이트
Finlands grundlag – Constitution of Finland 17 § Rätt till eget språk och egen kultur Finlands nationalspråk är finska och svenska. Vars och ens rätt att hos domstol och andra myndigheter i egen sak använda sitt eget språk, antingen finska eller svenska, samt att få expeditioner på detta språk skall tryggas genom lag. Det allmänna skall tillgodose landets finskspråkiga och svenskspråkiga befolknings kulturella och samhälleliga behov enligt lika grunder.
http://www.finlex.fi[...]
[80]
웹사이트
Svenska Yle, scroll to the bottom of the page
https://svenska.yle.[...]
2016-10-27
[81]
간행물
Ey, mannen! Wazzup? / På jakt efter "rosengårdssvenskan"
https://web.archive.[...]
Institutionen för nordiska språk och Institutionen för lingvistik, Lunds universitet
[82]
논문
1994
[83]
학술지
Multilingual urban Scandinavia
https://www.academia[...]
2019-07-16
[84]
논문
1999
[85]
웹사이트
Göteborg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86]
웹사이트
gå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87]
웹사이트
kyss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88]
웹사이트
katt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89]
웹사이트
sked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90]
웹사이트
Skåne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91]
웹사이트
dramatiskt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92]
웹사이트
berg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93]
웹사이트
djup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94]
웹사이트
hjul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95]
웹사이트
pärla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96]
웹사이트
Anders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97]
웹사이트
lektion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98]
웹사이트
passion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99]
웹사이트
reflexion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100]
웹사이트
nation pronunciation in Swedish (sv)
https://forvo.com/wo[...]
[101]
일반
[102]
일반
[103]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