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다 CBR125R은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생산된 혼다의 125cc 스포츠 바이크이다. 초기 모델은 CBR600F4i와 유사한 디자인에 기화기 방식을 사용했으며, 이후 인젝션 방식과 CBR250R과 유사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연식별로 디자인과 기술적 특징에 변화를 겪었다. 124.7cc 수랭식 엔진, 6단 변속기, 트윈 스파 프레임 등을 특징으로 하며, CBR150R 및 CBR125RR과 같은 파생 모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04년 도입된 모터사이클 - 가와사키 Z750 가와사키 Z750은 유럽 시장을 겨냥해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생산된 가와사키의 네이키드 바이크 모델로, 750cc 병렬 4기통 엔진과 날카로운 디자인이 특징이며, 페이스리프트와 Z750R 모델 출시를 거쳐 Z800 출시로 단종되었다.
혼다의 모터사이클 차종 - 혼다 골드윙 혼다 골드윙은 1974년 출시된 혼다의 대표적인 투어링 모터사이클로, 수평대향 엔진과 샤프트 드라이브를 특징으로 하며 편안한 승차감과 다양한 편의 장비를 제공하고 여러 파생 모델과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며 발전해왔다.
혼다의 모터사이클 차종 - 혼다 줌머 혼다 줌머는 네이키드 스타일과 굵은 타이어로 개성을 중시하는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끈 49cc 원동기 부착 스쿠터로, 커스텀 바이크의 베이스로도 활용되었으며, 2012년에는 줌머 X가 발표되기도 했다.
혼다 CBR125R
2. 역사
CBR125R은 NSR125가 단종된 후 125cc 시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혼다에서 2004년에 출시한 모델이다. 124.7cc 수랭식 4행정 2밸브 SOHC단기통 엔진을 탑재했다.[1]
2. 1. 2004년 ~ 2006년
2004-2006년식 초기형 카울 예시 (해외 2006년식 모델)
랩솔 도색
2006년식 검정빨강 색상
CBR125R은 단종된 NSR125가 남긴 125cc 시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혼다에서 2004년에 출시되었다.[1] 이 기간 동안 생산된 모델은 CBR600F4i와 유사하며, 연료 시스템에 기화기를 사용했다. 2005년에는 렙솔 색상 배색이 도입되었으며, CBR125RS5/6 모델에만 다음 해까지 적용되었다.[2]
2007년, CBR125R은 CBR600RR의 외관을 닮도록 전면 페어링이 변경되었으며, 스윙 암과 전면 텔레스코픽 포크의 색상이 검은색으로 변경되었다. 엔진에는 PGM-FI 연료 분사 시스템, PGM-FI와 함께 작동하는 IACV(공회전 공기 제어 밸브), EURO3 기준 준수를 위한 HECS3 산소 센서가 적용되었다.
차체 구조는 유지되었지만, CBR600RR 디자인을 따라 변경되었으며, 유럽 자동차 배출 가스 규제 EURO-III 대응을 위해 연료 공급 방식이 기화기에서 PGM-FI 전자식 연료 분사 장치로 변경되었다.[1]
국내 정식 출시된 CBR125R 기준 2008년부터 2010년식까지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인젝션 방식, 초기형 카울에 전면 카울이 600rr 형태로 변경 (해외 2008년식부터 인젝션 및 카울 변경)
검정은색 변경 및 퀄리티 상승 / 썬빔 색상 추가 (현 건담)
계기판: 배경 디자인 변경, 인젝션 FI등 추가
2. 3. 2011년 ~ 2016년
2011년에 CBR125R은 출시 이후 처음으로 대대적인 개편을 거쳤다. 외관은 2011년 CBR250R과 유사하게 만들어졌는데, 이는 다시 VFR1200F 스포츠 투어러에서 차용한 것이다.[3]
2011년 혼다 CBR125R
국내에 정식 출시되는 CBR125R을 기준으로 연식마다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연식
특징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CBR150R과 함께 풀 모델 체인지를 실시. 혼다 VFR1200F를 모티브로 한 혼다 CBR250R (MC41)과 유사한 차체 디자인이 되었다. 일본 국내에서는 2004년, 2007년 모델이나 수입 대리점 및 오토바이 상점에 의해 병행 수입차로 판매되었지만, 혼다 기연 공업은 2013년에 도쿄・오사카 양 모터사이클 쇼에서 시판 예정차로 출시[3], 같은 해 5월 22일에 형식명 EBJ-JC50의 일본 국내 사양을 정식 발표, 같은 해 6월 17일에 발매되었다[4].2015년에 생산 종료.
2. 4. 대한민국 시장
앞 쇼바, 스윙암 검은색 도색
전체 검정 변경, 빨강검정 도색 퀄리티 상승
2010년식
인젝션 방식, 초기형 카울에 전면 카울이 600rr 형태 변경 (해외 2008년식부터 인젝션 및 카울변경) 계기판: 배경 디자인 변경, 인젝션 FI등 추가
검정은색 변경 및 퀄리티 상승 / 썬빔 색상 추가 (현 건담)
2011년식
인젝션 방식, 2011년 혼다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카울 타이어 사이즈 소폭 상승
전체 검정 / 건담 (썬빔) 추가 / 스페셜 은색주황 추가
2012년식
인젝션 방식, 2011년 혼다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카울
2013년식
인젝션 방식, 2011년 혼다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카울
2014년식
인젝션 방식, 2011년 혼다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카울
2015년식
인젝션 방식, 2011년 혼다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카울
전체 검정에서 로고 색상 변경 / 스페셜 랩솔 추가
3. 디자인 및 기술적 특징
2011년식 CBR125R
CBR125R은 혼다에서 125cc 시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2004년에 출시한 모델로, 10kW 출력을 내는 124.7cc 수랭식 4행정 2밸브 SOHC단기통 엔진을 탑재했다.[1]
2007년에는 PGM-FI 연료 분사 시스템, IACV(공회전 공기 제어 밸브), HECS3 산소 센서가 추가되어 EURO3 기준을 충족하게 되었다.
2011년에는 혼다 VFR1200F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으며, 혼다 CBR250R (MC41)과 유사한 외형을 갖게 되었다.
앞 쇼바, 스윙 암 검은색 도색 해외 CBR150R 모델 계기판. 국내 CBR125R 2008년식 이전 모델들과 동일
2010년
인젝션
초기형 (전면 카울: 600rr 형태)
검정은색 (퀄리티 향상), 썬빔(건담)
계기판 배경 디자인 변경, 인젝션 FI등 추가
2011년
인젝션
2011년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전체 검정, 건담(썬빔), 스페셜 은색주황
타이어 사이즈 소폭 증가
2012-2014년
인젝션
2011년 CBR250R과 동일한 신형
2015년
인젝션
2011년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전체 검정 (로고 색상 변경), 스페셜 랩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생산된 모델은 CBR600F4i와 유사하며, 기화기를 사용했다. 2005년에는 렙솔 색상이 추가되었으며, CBR125RS5/6 모델에만 다음 해까지 적용되었다.[2]
2007년, CBR125R은 CBR600RR의 외관을 닮도록 전면 페어링이 변경되었고, 스윙 암과 전면 텔레스코픽 포크의 색상이 검은색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PGM-FI 연료 분사 시스템, IACV(공회전 공기 제어 밸브), HECS3 산소 센서가 구현되어 EURO3 기준을 준수하게 되었다.
2011년, CBR125R은 2011년 CBR250R과 유사하게 대대적인 외관 변경을 거쳤으며, 이는 혼다 VFR1200F 스포츠 투어러에서 디자인을 차용했다.
3. 2. 엔진 및 성능
CBR125R은 단종된 NSR125가 남긴 125cc 시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혼다에서 2004년에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10kW의 출력을 내는 124.7cc 수랭식 4행정 2밸브 SOHC단기통 엔진을 탑재했다.[1]
2007년, CBR125R은 몇 가지 주요 변경 사항을 겪었다. 엔진 변경 사항으로는 PGM-FI 연료 분사 시스템, PGM-FI와 함께 작동하는 IACV(공회전 공기 제어 밸브), 그리고 EURO3 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HECS3 산소 센서가 구현되었다.[2]
차체는 CBR150R과 동일한 디자인이지만 폭이 좁고, 엔진도 CBR150R의 DOHC 4밸브에서 SOHC 2밸브로 밸브 기구에 차이가 있다. 차체 구조는 그대로지만, CBR600RR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으며, 유럽의 자동차 배출 가스 규제 EURO-III 대응을 위해 연료 공급 방식을 기화기에서 PGM-FI 전자식 연료 분사 장치로 변경했다.
CBR150R과 함께 풀 모델 체인지를 실시. 혼다 VFR1200F를 모티브로 한 혼다 CBR250R (MC41)과 유사한 차체 디자인이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