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혼다 CBR125R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혼다 CBR125R은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생산된 혼다의 125cc 스포츠 바이크이다. 초기 모델은 CBR600F4i와 유사한 디자인에 기화기 방식을 사용했으며, 이후 인젝션 방식과 CBR250R과 유사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연식별로 디자인과 기술적 특징에 변화를 겪었다. 124.7cc 수랭식 엔진, 6단 변속기, 트윈 스파 프레임 등을 특징으로 하며, CBR150R 및 CBR125RR과 같은 파생 모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도입된 모터사이클 - 가와사키 Z750
    가와사키 Z750은 유럽 시장을 겨냥해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생산된 가와사키의 네이키드 바이크 모델로, 750cc 병렬 4기통 엔진과 날카로운 디자인이 특징이며, 페이스리프트와 Z750R 모델 출시를 거쳐 Z800 출시로 단종되었다.
  • 혼다의 모터사이클 차종 - 혼다 골드윙
    혼다 골드윙은 1974년 출시된 혼다의 대표적인 투어링 모터사이클로, 수평대향 엔진과 샤프트 드라이브를 특징으로 하며 편안한 승차감과 다양한 편의 장비를 제공하고 여러 파생 모델과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며 발전해왔다.
  • 혼다의 모터사이클 차종 - 혼다 줌머
    혼다 줌머는 네이키드 스타일과 굵은 타이어로 개성을 중시하는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끈 49cc 원동기 부착 스쿠터로, 커스텀 바이크의 베이스로도 활용되었으며, 2012년에는 줌머 X가 발표되기도 했다.
혼다 CBR125R

2. 역사

CBR125R은 NSR125가 단종된 후 125cc 시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혼다에서 2004년에 출시한 모델이다. 124.7cc 수랭식 4행정 2밸브 SOHC 단기통 엔진을 탑재했다.[1]

2. 1. 2004년 ~ 2006년

2004-2006년식 초기형 카울 예시 (해외 2006년식 모델)


랩솔 도색


2006년식 검정빨강 색상


CBR125R은 단종된 NSR125가 남긴 125cc 시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혼다에서 2004년에 출시되었다.[1] 이 기간 동안 생산된 모델은 CBR600F4i와 유사하며, 연료 시스템에 기화기를 사용했다. 2005년에는 렙솔 색상 배색이 도입되었으며, CBR125RS5/6 모델에만 다음 해까지 적용되었다.[2]

국내 정식 출시되는 CBR125R 기준으로 년식마다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년식방식카울색상
2004년식캬브레타 방식초기형 카울전체 검정 / 빨강검정 (리어카울 무광)
2005년식캬브레타 방식초기형 카울빨강파랑은색 추가 / 랩솔 추가
2006년식캬브레타 방식초기형 카울검정은색 변경 / 빨강검정 (리어카울 유광)


2. 2. 2007년 ~ 2010년

해외 혼다 CBR125r 2008. 전면 카울이 600rr 형태


2007년, CBR125R은 CBR600RR의 외관을 닮도록 전면 페어링이 변경되었으며, 스윙 암과 전면 텔레스코픽 포크의 색상이 검은색으로 변경되었다. 엔진에는 PGM-FI 연료 분사 시스템, PGM-FI와 함께 작동하는 IACV(공회전 공기 제어 밸브), EURO3 기준 준수를 위한 HECS3 산소 센서가 적용되었다.

차체 구조는 유지되었지만, CBR600RR 디자인을 따라 변경되었으며, 유럽 자동차 배출 가스 규제 EURO-III 대응을 위해 연료 공급 방식이 기화기에서 PGM-FI 전자식 연료 분사 장치로 변경되었다.[1]

국내 정식 출시된 CBR125R 기준 2008년부터 2010년식까지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연식주요 변경 사항색상기타
2008년식기화기 방식, 초기형 카울전체 검정 변경, 빨강검정 도색 퀄리티 상승앞 쇼바, 스윙암 검은색 도색
2010년식인젝션 방식, 초기형 카울에 전면 카울이 600rr 형태로 변경 (해외 2008년식부터 인젝션 및 카울 변경)검정은색 변경 및 퀄리티 상승 / 썬빔 색상 추가 (현 건담)계기판: 배경 디자인 변경, 인젝션 FI등 추가


2. 3. 2011년 ~ 2016년

2011년에 CBR125R은 출시 이후 처음으로 대대적인 개편을 거쳤다. 외관은 2011년 CBR250R과 유사하게 만들어졌는데, 이는 다시 VFR1200F 스포츠 투어러에서 차용한 것이다.[3]

2011년 혼다 CBR125R


국내에 정식 출시되는 CBR125R을 기준으로 연식마다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연식특징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CBR150R과 함께 풀 모델 체인지를 실시. 혼다 VFR1200F를 모티브로 한 혼다 CBR250R (MC41)과 유사한 차체 디자인이 되었다. 일본 국내에서는 2004년, 2007년 모델이나 수입 대리점 및 오토바이 상점에 의해 병행 수입차로 판매되었지만, 혼다 기연 공업은 2013년에 도쿄・오사카 양 모터사이클 쇼에서 시판 예정차로 출시[3], 같은 해 5월 22일에 형식명 EBJ-JC50의 일본 국내 사양을 정식 발표, 같은 해 6월 17일에 발매되었다[4].2015년에 생산 종료.

2. 4. 대한민국 시장

앞 쇼바, 스윙암 검은색 도색전체 검정 변경, 빨강검정 도색 퀄리티 상승2010년식인젝션 방식, 초기형 카울에 전면 카울이 600rr 형태 변경 (해외 2008년식부터 인젝션 및 카울변경)
계기판: 배경 디자인 변경, 인젝션 FI등 추가검정은색 변경 및 퀄리티 상승 / 썬빔 색상 추가 (현 건담)2011년식인젝션 방식, 2011년 혼다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카울
타이어 사이즈 소폭 상승전체 검정 / 건담 (썬빔) 추가 / 스페셜 은색주황 추가2012년식인젝션 방식, 2011년 혼다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카울2013년식인젝션 방식, 2011년 혼다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카울2014년식인젝션 방식, 2011년 혼다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카울2015년식인젝션 방식, 2011년 혼다 CBR250R과 동일한 신형 카울전체 검정에서 로고 색상 변경 / 스페셜 랩솔 추가


3. 디자인 및 기술적 특징

2011년식 CBR125R


CBR125R은 혼다에서 125cc 시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2004년에 출시한 모델로, 10kW 출력을 내는 124.7cc 수랭식 4행정 2밸브 SOHC 단기통 엔진을 탑재했다.[1]

2007년에는 PGM-FI 연료 분사 시스템, IACV(공회전 공기 제어 밸브), HECS3 산소 센서가 추가되어 EURO3 기준을 충족하게 되었다.

2011년에는 혼다 VFR1200F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으며, 혼다 CBR250R (MC41)과 유사한 외형을 갖게 되었다.

CBR125R 주요 제원
사양2004–20062007–20102011–2016
엔진 및 변속기
레이아웃4행정 2밸브 SOHC 단기통
배기량124.7cc
보어 × 스트로크58×
압축비11.0:1
냉각 방식수냉식
연료 공급기화기PGM-FI 연료 분사
시동 방식전기식
최대 출력10kW @ 10,000 rpm (제조사 발표)
최대 토크10.4Nm @ 8,250 rpm (제조사 발표)
변속기6단 기어 상시 맞물림
최종 구동 방식체인
사이클 부품 및 서스펜션
프레임강철 트윈 스파
전륜 서스펜션일반형 31mm 텔레스코픽 포크
전륜 타이어80/90–17100/80–17
전륜 브레이크싱글 276mm 디스크, 축 방향 2피스톤 캘리퍼
레이크25°35°
후륜 서스펜션강철 스윙 암, 모노 쇼크
후륜 타이어100/80–17130/70–17
후륜 브레이크싱글 220mm 디스크, 단일 피스톤 캘리퍼
ABS해당 없음
치수
길이1920mm1946mm
너비675mm704mm
높이1070mm1089mm
시트고776mm795mm
휠베이스1294mm1310mm
최저 지상고172mm185mm
트레일88mm90mm
젖은 상태의 무게127kg137kg
연료 탱크 용량10L13L


3. 1. 디자인

국내 정식 출시되는 CBR125R은 연식에 따라 디자인에 차이가 있다.

연식방식카울색상기타
2004년캬브레타초기형전체 검정, 빨강검정(리어카울 무광)
2005년캬브레타초기형빨강파랑은색, 랩솔
2006년캬브레타초기형검정은색, 빨강검정(리어카울 유광)
2008년캬브레타초기형전체 검정, 빨강검정 (도색 퀄리티 향상)앞 쇼바, 스윙 암 검은색 도색
해외 CBR150R 모델 계기판. 국내 CBR125R 2008년식 이전 모델들과 동일
2010년인젝션초기형
(전면 카울: 600rr 형태)
검정은색 (퀄리티 향상), 썬빔(건담)계기판 배경 디자인 변경, 인젝션 FI등 추가
2011년인젝션2011년 CBR250R과 동일한 신형전체 검정, 건담(썬빔), 스페셜 은색주황타이어 사이즈 소폭 증가
2012-2014년인젝션2011년 CBR250R과 동일한 신형
2015년인젝션2011년 CBR250R과 동일한 신형전체 검정 (로고 색상 변경), 스페셜 랩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생산된 모델은 CBR600F4i와 유사하며, 기화기를 사용했다. 2005년에는 렙솔 색상이 추가되었으며, CBR125RS5/6 모델에만 다음 해까지 적용되었다.[2]

2007년, CBR125R은 CBR600RR의 외관을 닮도록 전면 페어링이 변경되었고, 스윙 암과 전면 텔레스코픽 포크의 색상이 검은색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PGM-FI 연료 분사 시스템, IACV(공회전 공기 제어 밸브), HECS3 산소 센서가 구현되어 EURO3 기준을 준수하게 되었다.

2011년, CBR125R은 2011년 CBR250R과 유사하게 대대적인 외관 변경을 거쳤으며, 이는 혼다 VFR1200F 스포츠 투어러에서 디자인을 차용했다.

3. 2. 엔진 및 성능

CBR125R은 단종된 NSR125가 남긴 125cc 시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혼다에서 2004년에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10kW의 출력을 내는 124.7cc 수랭식 4행정 2밸브 SOHC 단기통 엔진을 탑재했다.[1]

2007년, CBR125R은 몇 가지 주요 변경 사항을 겪었다. 엔진 변경 사항으로는 PGM-FI 연료 분사 시스템, PGM-FI와 함께 작동하는 IACV(공회전 공기 제어 밸브), 그리고 EURO3 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HECS3 산소 센서가 구현되었다.[2]

차체는 CBR150R과 동일한 디자인이지만 폭이 좁고, 엔진도 CBR150R의 DOHC 4밸브에서 SOHC 2밸브로 밸브 기구에 차이가 있다. 차체 구조는 그대로지만, CBR600RR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으며, 유럽의 자동차 배출 가스 규제 EURO-III 대응을 위해 연료 공급 방식을 기화기에서 PGM-FI 전자식 연료 분사 장치로 변경했다.

CBR150R과 함께 풀 모델 체인지를 실시. 혼다 VFR1200F를 모티브로 한 혼다 CBR250R (MC41)과 유사한 차체 디자인이 되었다.

사양2004–20062007–20102011–2016
엔진 및 변속기
레이아웃4행정 2밸브 SOHC 단기통
배기량124.7cc
보어 × 스트로크colspan="3"|
압축비11.0:1
냉각 방식수냉식
기화기기화기PGM-FI 연료 분사
시동 방식전기식
최대 출력10kW @ 10,000 rpm (제조사 발표)
최대 토크@ 8,250 rpm (제조사 발표)
변속기6단 기어 상시 맞물림
최종 구동 방식체인


3. 3. 섀시 및 서스펜션

CBR125R은 강철 트윈 스파 프레임을 사용하며, 전륜에는 일반형 31mm 텔레스코픽 포크가 장착되어 있다. 전륜 브레이크는 싱글 276mm 디스크와 축 방향 2피스톤 캘리퍼로 구성된다.

후륜 서스펜션은 강철 스윙 암에 모노 쇼크 업소버가 결합된 방식이다. 후륜 브레이크는 싱글 220mm 디스크와 단일 피스톤 캘리퍼가 장착되어 있다. ABS는 제공되지 않는다.

2011년 모델 체인지에서는 전륜 타이어가 80/90–17에서 100/80–17로, 후륜 타이어는 100/80–17에서 130/70–17로 변경되었으며, 레이크 각도도 25°에서 35°로 변경되었다.

구분2004–20062007–20102011–2016
프레임강철 트윈 스파
전륜 서스펜션일반형 31mm 텔레스코픽 포크
전륜 타이어80/90–17100/80–17
전륜 브레이크싱글 276mm 디스크, 축 방향 2피스톤 캘리퍼
레이크25°35°
후륜 서스펜션강철 스윙 암, 모노 쇼크
후륜 타이어100/80–17130/70–17
후륜 브레이크싱글 220mm 디스크, 단일 피스톤 캘리퍼
ABS해당 없음


3. 4. 제원 (2011년 ~ 2016년 모델 기준)

사양2011–2016
엔진 및 변속기
레이아웃4행정 4밸브 DOHC 단기통
배기량
보어 × 스트로크
압축비11.0:1
냉각 방식수냉식
기화기PGM-FI 연료 분사
시동 방식전기식
최대 출력@ 10,000 rpm (제조사 발표)
최대 토크@ 8,250 rpm (제조사 발표)
변속기6단 기어 상시 맞물림
최종 구동 방식체인
사이클 부품 및 서스펜션
프레임강철 트윈 스파
전륜 서스펜션일반형 텔레스코픽 포크
전륜 타이어100/80–17
전륜 브레이크싱글 디스크에 축 방향 2피스톤 캘리퍼
레이크35°
후륜 서스펜션강철 스윙 암에 모노 쇼크
후륜 타이어130/70–17
후륜 브레이크싱글 디스크에 단일 피스톤 캘리퍼
ABS해당 없음
치수
길이
너비
높이
시트고
휠베이스
최저 지상고
트레일
젖은 상태의 무게
연료 탱크 용량


4. 파생 모델

(주어진 원본 소스가 비어있고, 하위 섹션의 내용만 존재하므로, '파생 모델' 섹션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1. CBR125RR

CBR150R을 병행 수입 판매하는 엔듀런스(Endurance)의 독자 모델이다. 초대 CBR150R용 DOHC 엔진의 내경을 63.5mm에서 58mm로 줄여 배기량을 소형 자동 이륜차 범위에 맞춘 것으로, 혼다 기연 공업(本田技研工業)의 정식 모델은 아니다[5].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site http://www.honda.co.[...]
[2] 웹사이트 Motorcycle Reviews - Honda CBR125R (2011-Current) http://www.motorcycl[...] Motorcycle News
[3] 뉴스 2013年3月12日プレスリリース http://www.honda.co.[...] 2013-03-12
[4] 뉴스 2013年5月22日プレスリリース http://www.honda.co.[...] 2013-05-22
[5] 웹사이트 ENDURANCE・CBR125RR http://www.endura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