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마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혼마루는 중세 산성에서 대장이 거처하는 주곽으로, 근세 성곽에서는 성주와 가족이 생활하는 공간이다. 근세 성곽의 혼마루는 천수나 망루를 세워 권위를 상징하고 최후의 방어 역할을 했다. 에도 시대에는 쇼군의 숙소로 사용되는 오나리 어전이 혼마루에 설치되기도 했다. 현재 혼마루 어전은 고치성, 가와고에성, 마쓰마에성 등에 일부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혼마루 | |
---|---|
혼마루 | |
개요 | |
정의 | 일본 성의 주요 건물과 시설이 위치한 핵심 구역을 가리킨다. |
역할 | 성 전체의 중심이자 최후 방어선 역할을 수행한다. 유사시 성주와 그의 가족, 주요 거점으로서 기능했다. |
구성 요소 | 천수 (있는 경우) 御殿 (ごてん) (거주 공간) 櫓 (やぐら) (망루) 문 塀 (へい) (담) 土塀 (どべい) (흙담) 堀 (ほり) (해자) |
위치 | 성의 가장 안쪽,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방어 구조 | 높은 석벽, 해자, 망루 등으로 둘러싸여 방어력을 극대화했다. |
추가 설명 | 혼마루는 단순히 건물들의 집합체가 아닌, 정치적, 군사적, 상징적 의미를 모두 내포하는 중요한 공간이었다. |
역사적 변천 | |
초기 | 산성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였으나, 평산성, 평야성으로 발전하면서 점차 복잡하고 정교해졌다. |
전국 시대 | 방어 기능 강화에 집중하여, 좁은 면적에 많은 시설을 밀집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
에도 시대 | 정치적 안정과 함께 성의 규모가 확장되면서, 혼마루 또한 넓어지고 건물 배치도 체계화되었다. 권력의 상징으로서의 의미가 더욱 강조되었다. |
구조 | |
일반적인 형태 |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
내부 구조 | 성의 규모와 중요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
주요 시설 배치 | 천수는 혼마루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성 전체를 감시하는 역할 고텐은 성주의 거주 공간으로, 정치, 외교 활동의 중심지 망루는 성벽의 모퉁이에 설치되어 적의 침입을 감시 |
구루와 (曲輪) | 혼마루 주변에는 니노마루(二の丸), 산노마루(三の丸) 등의 구루와가 배치되어 혼마루를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
혼마루의 면적 | 성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성 전체 면적의 1/3 ~ 1/2 정도를 차지한다. |
참고 자료 | |
관련 용어 | 천수 御殿 櫓 門 塀 土塀 堀 니노마루 산노마루 구루와 |
2. 용도
중세 산성에서는 혼마루에 해당하는 주곽에 대장이 거처하는 진야를 두었다. 전시나 성에 농성할 때는 산기슭의 관저에서 주곽의 진야로 들어가 지휘를 맡았다.[1]
2. 1. 근세 성곽


근세의 혼마루에는 성주와 그 가족이 생활하는 오쿠고텐과 정청인 오모테고텐을 두고, 필요에 따라 중층의 천수나 망루를 세워 성주의 권위를 상징하고 최후의 방어 시설로 사용했다. 혼마루 안 또는 혼마루와 별도로 천수가 있는 소규모의 구루와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를 천수구루와 또는 천수마루라고 불렀다.[1]
혼마루의 기능을 니노마루나 산노마루 등에 두는 경우도 있었다. 이때 혼마루에는 망루나 천수 등의 방어 시설만 짓고 일상생활이 가능한 저택은 두지 않아 간소화하거나, 면적을 좁혀 전시에서의 츠메노마루로서의 기능만을 가지게 했다.[1]
2. 2. 오나리 어전
에도 시대의 오사카성, 나고야성, 요도성, 우츠노미야성, 카와고에성 등과 같이 혼마루에 놓인 어전을 쇼군이 "오나리(御成)"할 때 숙소로 사용하기 위해, 원래의 성주는 혼마루 이외의 구루와에 다른 어전을 두고 그곳에서 정무나 일상생활을 하는 예도 있었다. 나고야성이나 요도성의 경우에는 주로 쇼군이 교토에 상락할 때의 숙소로, 우츠노미야성의 경우에는 닛코 토쇼구에 참배하는 쇼군이 오나리할 때 숙박했다. 오사카성의 경우에는 에도의 도쿠가와 쇼군가가 직접적인 성주였기 때문에, 평소에는 막부 파견의 오사카성대와 그 부하들이 니시노마루나 니노마루에 주둔했다. 이러한 도쿠가와 쇼군 전용의 혼마루 어전은 "오나리 어전(御成御殿)"이라고 불렸다.3. 현황
현존하는 혼마루 어전은 매우 적으며, 고치성, 가와고에성, 마쓰마에성 등이다. 이 중에서 고치성의 혼마루는 천수각, 어전, 성문, 망루, 담장이 모두 현존하는 예이다.
참조
[1]
서적
歴史群像特別編集 【決定版】図説 よみがえる名城 白亜の巨郭 徳川の城
学習研究社
2008
[2]
서적
城 東海4 天下人への夢馳せる群雄の城
毎日新聞社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