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살자리 알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살자리 알파는 화살자리에 있는 별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Alpha Sge 또는 α Sge로 표기한다. 전통적인 이름은 샴(Sham) 또는 알삼(Alsahm)으로, 아랍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국제천문연맹은 샴을 공식 명칭으로 지정했다. 겉보기 등급은 4.39로 맨눈으로 보이며, 태양으로부터 약 382 광년 떨어져 있다. 분광형은 G1 II로 진화가 진행된 거성이다. 질량은 태양의 4배, 반지름은 21배이며, 유효 온도는 5333 켈빈이다. 화살자리 알파의 진화 단계는 불분명하며, 탄소결핍 적색거성으로 쌍성계 질량 교환 과정을 거쳤을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살자리 - WR 124
격렬한 항성풍으로 M1-67 성운을 형성하는 볼프-레이에별 WR 124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거리가 측정되었으며, M1-67 성운의 팽창 속도와 복잡한 구조, 그리고 WR 124의 질량 손실률은 별의 진화와 초신성 폭발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 화살자리 - 메시에 71
메시에 71은 방패자리에 위치한 느슨한 집중도의 구상 성단으로, 과거에는 구상 성단과 산개 성단 사이에서 분류가 모호했으며 장-필립 로아 드 셰조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 G형 거성 - 마차부자리 SU
마차부자리 SU는 추가 정보가 필요한 천체로, 구체적인 특성 및 분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 G형 거성 - 쌍둥이자리 카파
쌍둥이자리 카파는 폴룩스 근처에 위치한 G형 거성이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고 약 6억 년 된 별로 추정되며, 중국에서는 '재화로서의 장작'을 의미하는 '적신'이라 불렸다. - 플램스티드 천체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플램스티드 천체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화살자리 알파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화살자리 |
명칭 | 샤ム (Sham), 알삼 (Alsahm) |
바이어 기호 | α Sagittae |
관측 정보 | |
J2000.0 좌표계 | J2000.0 (ICRS) |
별자리 | 화살자리 |
겉보기 등급 | +4.38 |
특징 | |
종족 II 광도 | 밝은 거성 |
분광형 | G1 II |
운동 | |
시선 속도 | 1.72 ± 0.16 km/s |
고유 운동 - 적경 | 14.630 ± 0.257 mas/yr |
고유 운동 - 적위 | -20.160 ± 0.276 mas/yr |
연주시차 | 8.5307 mas |
절대 등급 | -0.96 |
물리적 특징 | |
질량 | 4.11 태양질량 |
반지름 | 태양반지름 |
표면 온도 | 5,333 K |
광도 | 340 태양광도 |
표면 중력 | 3.11 |
금속함량 | −0.15 |
자전 속도 | 10 km/s |
나이 | 1억 5100만 년 |
명칭 | |
HD | 185758 |
HIP | 96757 |
HR | 7479 |
SAO | 105120 |
GC | 27215 |
CCDM | J19401+1801A |
IDS | 19356+1747 A |
PPM | 136737 |
WDS | J19401+1801A |
기타 명칭 | 화살자리 5번성 BD+17°4042 FK5 1133 |
외부 링크 | |
SIMBAD | 5 Sagittae |
2. 명칭
'''화살자리 알파'''(''Alpha Sagittae'')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으로 ''Alpha Sge'' 또는 ''α Sge''로 표기한다. 이 별의 전통적 이름은 샴(''Sham'') 또는 알삼(''Alsahm'')으로 아랍어 단어 سهم(''삼'', 화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전에는 화살자리 전체를 일컫는 명칭이었다. 2016년 9월 12일 국제천문연맹 소속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화살자리 알파별에 '''샴'''(''Sham'')을 공식 명칭으로 부여했으며, 이 이름은 현재 IAU 공인 항성명칭 목록에 실려 있다.
화살자리 알파(α Sge)는 태양계로부터 약 38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황색 거성으로, 알파성이지만 화살자리 내에서는 네 번째로 밝게 보이는 별이다. 그 광도와 표면 온도로 미루어 보아 이미 세페이드 변광성이 되었어야 하지만, 아직 그렇지 않으며 그 원인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중국 천문학에서 좌기(左旗)는 화살자리 알파, 화살자리 베타, 화살자리 델타, 화살자리 제타, 화살자리 감마, 화살자리 13, 화살자리 11, 화살자리 14, 독수리자리 로와 함께 구성되는 성군이다. 이들 중 알파별 하나만을 일컫는 이름은 좌기1(左旗一)이다.[12]
3. 상세
3. 1. 물리적 특징
이 별의 겉보기등급은 4.39로 맨눈으로 볼 수 있으며 황색 빛을 내는 것처럼 보인다. 이름에도 불구하고 알파는 화살자리에서 제일 밝은 별은 아니다.(가장 밝은 별은 화살자리 감마이다.) 시차 자료에 따르면 화살자리 알파는 태양으로부터 약 382 광년 떨어져 있다. 알파별은 초당 1.7 킬로미터의 태양중심 시선속도로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화살자리 알파의 분광형은 G1 II로 진화가 진척된 거성이다. 알파의 나이는 1억 5100만 년이고 질량은 태양의 4 배, 반지름은 21 배이다. 알파의 광구는 확장되어 있으며 유효온도는 5333 켈빈이고, 알파는 여기에서 태양의 340 배에 이르는 복사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있다. 알파의 좌표에서 이내에 엑스선원 하나가 위치해 있다.
화살자리 알파의 진화 단계는 불분명하다. 이 별의 표면온도와 광도로 볼 때 알파는 헤르츠스프룽빈틈(태양보다 질량이 큰 항성들이 주계열에서 이탈하여 적색거성으로 빠르게 진화하는 단계) 내에 위치한다. 그러나 알파 표면의 화학적 조성은 이 별이 첫 번째 끌어올림 단계(어떤 별이 적색거성가지에 다다른 직후 발생함)를 이미 지났음을 알려준다. 알파는 세페이드 불안정띠 내에도 놓이지만 세페이드 변광성은 아니다.[10] 알파는 탄소결핍 적색거성으로 불리는 소규모 그룹에 속하며 쌍성계 질량 교환 과정을 거쳤을 수도 있다.[11]
3. 2. 진화 상태
화살자리 알파의 분광형은 G1 II로 진화가 진척된 거성이다. 알파의 나이는 1억 5100만 년이고 질량은 태양의 4 배, 반지름은 21 배이다. 광구는 확장되어 있으며 유효온도는 5333 켈빈이고, 여기에서 태양의 340 배에 이르는 복사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있다.
화살자리 알파의 진화 단계는 불분명하다. 이 별의 표면온도와 광도로 볼 때 알파는 헤르츠스프룽빈틈(태양보다 질량이 큰 항성들이 주계열에서 이탈하여 적색거성으로 빠르게 진화하는 단계) 내에 위치한다. 그러나 알파 표면의 화학적 조성은 이 별이 첫 번째 끌어올림 단계(어떤 별이 적색거성가지에 다다른 직후 발생함)를 이미 지났음을 알려준다. 알파는 세페이드 불안정띠 내에도 놓이지만 세페이드 변광성은 아니다.[10] 알파는 탄소결핍 적색거성으로 불리는 소규모 그룹에 속하며 쌍성계 질량 교환 과정을 거쳤을 수도 있다.[11]
3. 3. 엑스선 방출
화살자리 알파의 좌표에서 이내에 엑스선 방출원이 하나 있다.
참조
[1]
간행물
1824277055360974720
[2]
SIMBAD
5 Sge
2019-03-30
[3]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2006
[4]
저널
Carbon, Nitrogen, and Oxygen Abundances of Selected Stars in the Hertzsprung Gap
[5]
저널
Carbon-deficient Red Giants
[6]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년 7 월 3 일
http://aeea.nmns.edu[...]
2011-05-21
[7]
저널
An Independent Confirmation of the Future Flyby of Gliese 710 to the Solar System Using Gaia
2018-05-10
[8]
SIMBAD
5 Sge
2019-03-30
[9]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https://archive.org/[...]
Sky Pub
2006
[10]
저널
Carbon, Nitrogen, and Oxygen Abundances of Selected Stars in the Hertzsprung Gap
[11]
저널
Carbon-deficient Red Giants
[12]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년 7 월 3 일
http://aeea.nmns.edu[...]
2011-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