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어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황어아과(Leuciscinae)는 잉어과(Cyprinidae)에 속하는 아과로, 민물고기의 한 종류입니다.
주요 특징:


  • 분포: 주로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하며, 인도와 동남아시아는 제외됩니다. 한국에는 7속 11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 형태: 몸은 길고 측편되었으며, 등쪽 중앙은 약간 둥근 형태입니다. 입수염은 없고, 측선은 완전하지만 불명료한 경우도 있습니다. 등지느러미의 분지 연조는 7~11개이며, 새파는 짧지만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부레는 2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명칭: 황어아과 물고기들 중 작은 것들은 영명으로 "true minnows"라고 불립니다. "minnow"는 특정 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낚시 미끼로 쓰이는 작은 물고기를 포괄적으로 부르는 이름입니다.
  • 계통: 황어아과 전체는 단일 계통이 아니며, 속들 중에는 단일 계통인 것들이 몇 개 있습니다.
  • 하위 속: 93개의 속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요 속으로는 황어속(Tribolodon), 야레속(Leuciscus), 연준모치속(Phoxinus), 버들치속(Rhynchocypris) 등이 있습니다.
  • 한국 분포 종: 야레, 연준모치, 금강모치 등 4속 10종이 한국에 분포합니다.

황어속 (Genus Tribolodon):황어속에는 황어, 대황어, 그리고 일본 고유종 2종(에조우구이, 우케쿠치우구이)을 포함하여 총 4종이 있습니다.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 크기: 보통 15~30cm, 최대 45cm까지 성장합니다.
  • 형태: 몸은 긴 유선형이며 주둥이는 뾰족하고 뒷부분은 옆으로 납작합니다. 위턱이 아래턱보다 약간 깁니다.
  • 색깔: 등쪽은 약간 푸른색을 띤 연한 갈색이며, 배쪽은 은백색입니다. 산란기 수컷은 머리와 등 부분에 추성이 많이 돋고, 붉은 혼인색을 띕니다.
  • 서식지: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생활하다가 산란을 위해 강으로 돌아오는 회유성 어종입니다. (잉어과 어종 중 유일한 2차 담수어)
  • 분포: 한국의 동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연해지방, 일본, 사할린 등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합니다.

참고:

  •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는 황어아과에 속하는 대표적인 1급수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어느 정도의 수질 오염에도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황어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황어아과 정보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잉어목
잉어과
아과황어아과 (Leuciscinae)
아과 명명Bonaparte, 1835
하위 링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